KR100700209B1 -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209B1
KR100700209B1 KR1020050055107A KR20050055107A KR100700209B1 KR 100700209 B1 KR100700209 B1 KR 100700209B1 KR 1020050055107 A KR1020050055107 A KR 1020050055107A KR 20050055107 A KR20050055107 A KR 20050055107A KR 100700209 B1 KR100700209 B1 KR 10070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loop
knitting
yarn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5261A (ko
Inventor
이재동
Original Assignee
이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동 filed Critical 이재동
Priority to KR102005005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20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직에 형성된 파일을 기모하여, 표면과 기모면으로 구분되는 이중 구조를 가지며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은 벨로아 조직으로 편직되되 일면은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Air covering Single Jersey) 조직을 가지며, 이면은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루프가 고정된 파일이 기모된 플리스 조직을 가지며,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은 원사로써 75데니아~100데이아의 폴리에스터 이형단면사와 30데니아~ 40데니아의 스판덱스사를 인터레이스(Interlace) 방법으로 혼섬한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가 편직되며, 상기 편직으로 형성된 제 1 루프에 상기 파일의 루프가 감싸지면서 인접한 다른 한 쌍의 제 2 루프들과 매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벨로아 제조 방법은, 일면은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Air covering Single Jersey) 조직을 가지며, 이면은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루프가 고정된 파일이 기모된 플리스 조직을 갖도록 벨로아 조직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상기 편직된 원단에 형성된 상기 파일을 균일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처리가 이루어진 파일을 기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기모가 이루어진 원단에 대한 열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Velour knit having a brushed-surface and method for knitting velour}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벨로아 편직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벨로아 편직에서 수분이 흡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 편직의 수분 발산 및 방풍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의 기본 편직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도 4b는 도 4a 구조의 벨로아가 기모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도 5a는 도 4a에 대응되는 표면의 평면도.
도 5b는 도 4b에 대응되는 표면의 평면도.
도 6a는 도 4a에 대응되는 상태의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6b는 도 4b에 대응되어 당겨진 상태의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6c는 도 4b에 대응되어 기모되고 후 처리된 완성 상태의 기모된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직에 형성된 파일을 기모하여, 표면과 기모면으로 구분되는 이중 구조를 가지며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종류의 원사가 항상 쾌적하고 건강에 좋으면서 체내의 온도를 유지하여 따뜻하면서도 양호한 촉감을 갖는 기능성 의류에 이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 원사가 개발됨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원단이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의복 착용시, 의류는 습윤, 온냉, 압박감이 없고 촉감이 좋아야 한다. 그러므로, 습윤, 온냉의 조건을 맞추기 위하여 이형단면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기능성 원사가 개발되고 있고, 압박감을 풀고 신체의 원활한 활동을 위하여 spandex를 사용하여 stretch 기능이 향상된 원단이 개발되고 있으며, 촉감과 보온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원단에 기모의 적용이 검토될 수 있다.
그러나, 원단은 흡습 기능이 탁월하여도 인체에 접하여 있는 부분이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 불쾌감과 더불어 보온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여러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원사 또는 원단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예로써, 흡한속건성 의류로서 특양면 편직기로 제조된 조직(일예로 mesh 조직)은 보온성을 위하여 기모는 형성할 수 있으나 자체의 보온성의 효율이 떨어지고, 한쪽만 스판덱스나 커버링(covering)사를 사용한 기모면을 갖는 원단은 스내깅(Snagging)을 방지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신축성 즉 스트레치(Stretch) 기능이 떨어진다.
보온 기능성을 갖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는 폴라 플리스(Polar Fleece)는 가볍고 따뜻하고 stretch성도 좋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부피가 크고 바람이 잘 통과되는 단점이 있으며, 스내깅(Snagging) 때문에 기모의 이면인 저지(Jersey) 부분은 겉면으로 사용을 못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서 스내깅이란 외부에서 끌어당기는 어떤 작용에 의하여 직편물을 조직하는 섬유나 실이 뽑혀져서 루프상 및 필상을 나타내고 또는 이들 현상과 같은 조직속에서 실의 당김 현상 등을 동반하여 생지 표면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일면에 기모를 형성할 수 있는 싱글 주리(single Jurry)의 조직은 제품의 안면에 파일(Pile)이나 기모된 면을 적용하도록 제품화될 수 있으나 기모를 풍부하게 할 수가 없고 상기한 스내깅 현상 등의 이유로 그 기능성에 있어서 한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기모 제품인 폴라 플리스(polar fleece)나 인터록(interlock) 등의 기모면이 인체의 피부와 접촉가능한 의류 등의 안쪽 면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스내깅 등을 고려하여 다른 원단과 합포(Bonding)하여 사용하거나 양쪽을 기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품의 부피가 커지고, 바람이 잘 통과되어 방풍 효과가 적으며, 신축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판덱스(spandex)사를 사용할 경우 중량이 많아져서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으로 사용될 면은 스내깅(Snagging)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마찰에 강하고, 피부와 접촉이 되는 안쪽면은 플리스(Fleece) 조직으로 보온기능이 극대화되고, 내부의 수분 및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발산할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의 내부 통풍을 막는 방풍 기능 및 고도의 신축성을 가지며, 등산이나 낚시 등 기상변화와 온도변화에 많이 노출되는 레저용 의류와 보온 및 신축성(stretch)이 요구되는 내의류(Inner Wear)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벨로아 편직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은, 벨로아 조직으로 편직되되 일면은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Air covering Single Jersey) 조직을 가지며, 이면은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루프가 고정된 파일이 기모된 플리스 조직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은 원사로써 75데니아~100데이아의 폴리에스터 이형단면사와 30데니아~ 40데니아의 스판덱스사를 인터레이스(Interlace) 방법으로 혼섬한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가 편직되며, 상기 편직으로 형성된 제 1 루프에 상기 파일의 루프가 감싸지면서 인접한 다른 한 쌍의 제 2 루프들과 매듭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AIR-COVERING사 또는 LOOP사의 스판덱스사는 상기 폴리에스터 이형단면사를 포함하는 화학섬유사 대비 10% 내지 15%의 혼용률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은 상기 에어커버링사에 의한 그라운드 루프에 상기 파일이 연결된 파일 루프가 포함된 편직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파일 루프는 상기 그라운드 루프의 수축력 및 기모 공정의 당겨짐에 의하여 상기 그라운드 루프에 의하여 감춰짐으로써 표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일은 항균성, 방염성, 또는 대전방지성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갖는 파일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사는 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 제조 방법은, 일면은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Air covering Single Jersey) 조직을 가지며, 이면은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루프가 고정된 파일이 기모된 플리스 조직을 갖도록 벨로아 조직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상기 편직된 원단에 형성된 상기 파일을 균일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처리가 이루어진 파일을 기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기모가 이루어진 원단에 대한 열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포함되어 표면을 이루는 그라운드 루프가 자체 신축력에 의하여 상기 기모에 연결된 파일 루프를 상기 표면에서 1 차적으로 분리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기모에 의하여 상기 파일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파일에 연결된 파일 루프는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포함되어 표면을 이루는 그라운드 루프와 2차적으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전처리로서 염색 또는 150도 내지 160도 범위의 텐터(Tenter)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전처리로서 염색 즉 염색제 투입 없이 단순 열처리(Boiled off, B/O)가 수행되면, 상기 제 4 단계의 후처리로서 세팅(180도 이상), 다잉(Dyeing), 및 텐터 가공(final tenter)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전처리로서 텐터 가공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 4 단계의 후처리로서 180~190도 범위의 열가공, 염색 및 파이널 세팅(final setting)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의 상기 기모를 위하여 복식 기모기를 이용하는 경우, 털 눕힘 롤러 바늘은 기모 바늘보다 짧은 것을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3 단계의 상기 기모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경우, 샤링을 수행하여 길어진 파일 부분을 잘라내고 상기 기모를 실시하되, 상기 샤링의 높이는 파일(Pile)의 높이(싱커높이) + 침포의 당김으로 길어진 파일(Pile)의 당겨진 파일(Pile) 높이를 합한 높이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 편직은 이중지로써 벨로아 조직으로 편직하여 일면은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Air-covering single jersey) 조직을 가지며 이면은 기모한 플리스 조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벨로아 편직은 도 1과 같이 의류의 외면으로 적용되는 표면(10)과 신체 쪽 면으로 적용되는 기모면(12)을 이중으로 갖는다. 여기에서, 표면(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원사가 편직된 구조를 가지며, 기모면(12)은 편직된 구조에서 일면으로 돌출된 파일이 기모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표면(10)을 이루는 편직 구조에 적용되는 원사 즉 심사는 단사섬도가 30~40 데니어(denia=denier)인 스판덱스(Spandex)사와 전체섬도가 75~1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Polyester) 이형단면사를 공기 교락으로 혼섬하는 인터레이스(Interlace) 방법으로 연사한 에어커버링(Air covering)사를 벨로아(Velour)의 루프(Loop)(싱글 스판 저지(Single span Jersey) 표면)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은 전체섬도 75데니어 이하인 폴리에스터(Polyester)사를 파일(Pile)사로 하여 벨로아(Velour) 실린더(Cylinder, 일명 "가마")와 싱커(Sinker), 및 캠(Cam) 등을 이용하면서 사의 장력을 조절하여 편직되고, 그에 따라 표면(10) 구조가 결정되며, 그 후 이면의 파일(Pile)사를 샤링(Shearing)하지 않고 별도의 기모 방법을 이용하여 파일(Pile)을 해모한다. 그 결과 원단은 한쪽면이 싱글 스판 저지(Single span Jersey) 조직을 가지며(표면(10)), 다른 한쪽면은 플리스(fleece) 모양을 갖는 면(기모면(12))을 갖는다. 결국, 합포 없이 본 발명에 의하여 양면 모양이 전혀 다른 이중 구조의 원단의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파일사는 항균성, 방염성, 대전방지성 등을 갖는 은 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원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원단이 수분을 배출하는 메카니즘은 도 2a 내지 도 2c로써 설명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표면(10)은 벨로아(Velour)의 바닥면으로써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를 사용하여 싱글 스판 저지(Single span Jersey)로 편직되고, 기모면(12)은 돌출된 파일을 기모하여 두꺼워진 플리스(Fleece) 부분이다.
원단이 의류로 제작될 때, 벨루어 편직의 표면인 Jersey면인 표면(10)은 외면으로 이용되고 기모된 플리스(Fleece) 면인 기모면(12)은 내면으로 이용된다. 그에 따라서 도 2a와 같이 체내에서 땀이나 수분(14)이 발생되면, 도 2b와 같이 피부와 접촉되는 기모면(12)이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흡수하고, 모세관 현상으로 기모면(12)에 흡수된 수분은 저지(Jersey)면 즉 표면(10)으로 이동된다. 이는 표면(10)이 에어커버링사를 이용함으로써 내부에 충분한 흡수 공간(용량)을 갖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모면(12) 보다 높은 흡습률을 갖는다.
그 결과, 도 2c와 같이 표면(10)으로 땀이나 수분(14)이 빠져나가며, 수분을 흡수한 원단은 수분을 표면(10)으로 골고루 분산시켜 흡한속건성의 기능을 갖게 되고, 내면을 이루는 기모면(12)은 수분(14)을 함유하지 않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에 이용되는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는 단사섬도가 30~40데니어인 스판덱스사와 전체섬도가 75~100데니어인 Polyester 이형단면사를 공기 교락으로 혼섬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한 제조 특성에 의하여 에어커버링사로 제조한 원사는 스판덱스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내포된 필라멘트(filament)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 공간이 이형 단면사의 표면적 이외에 다른 공기층 즉 수분을 흡수하여 수용하는 공간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역학적 관계에 의하여 기모면(12)보다 표면(10)은 더 높은 흡수율을 갖는다.
에어커버링사는 사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열착을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필라멘트다발을 개섬하고 동시에 완전하게 스판덱스사와 폴리에스터사를 혼합하여 교락시키는 인터레이스 방법으로 혼섬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는 화학섬유류가 가지고 있는 벌키(bulky)성 외에 풍만감을 가지며, 스판덱스사에 의한 스트레치에 의하여 후공정에서 잠재수축력에 따른 배가된 풍만감을 가질 수 있고, 항상 수축하려는 스판덱스사의 복원력에 의하여 편직된 루프(Loop)와 루프(Loop)사이의 틈이 막혀서 방풍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수분이 없을 때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은 도 3과 같이 수분 또는 내부 공기가 피부 쪽에서 외부로 상기한 도 2a 내지 도 2c의 메카니즘에 의하여 발산되고, 외풍이 차단되는 방풍효과를 갖는다.
에어커버링사는 스판덱스사(spandex)사와 폴리에스터(polyester)사를 피드시켜 130 정도의 교락수 이하 바람직하게는 80~120 정도의 교락수를 주고, 폴리에스터사와 같은 화학섬유사는 공급 롤러의 회전 속도를 송출 롤러보다 약간의 오버 피드를 주어 벌키성과 태를 향상시키며, 스판덱스(Spandex)사는 늘어나는 장력을 조절하여 화학섬유사 대비 10%이상 15% 이하의 혼용률을 가지도록 하고, 공기압은 250~450kg/cm 정도로 사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스판덱스(spandex)사의 제조사, 제조 환경(예로써, 온도, 습도 등), 또는 인터레이스 노즐 형태에 따라 에어커버링사의 특성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에어커버링사는 공기압, 공기유량, 원사 이동 속도, 및 인터레이스 노즐 내로 피드되는 피드율을 요소로 조절하여 상기 필라멘트와 인터레이스를 가변시키면서 다양한 특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벨로아(Velour)는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를 편직에 이용되는 바닥사(Ground Loop)로 하고, 이종의 원사(Pile)를 동시에 급사하여 파일(Pile)이 수평적인 편직 구조에서 일면으로 돌출된 조직을 가지며, 이때 파일의 돌출되는 높이는 1.2-2.9mm 범위로 결정될 수 있고, 용도와 기능에 따라 싱커(Sinker)를 교환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벨로아(Velour)는 샤링을 적용한 테리(Terry) 또는 파일(Pile)을 샤링(shearing)한 제품이 거론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벨로아는 Terry 편직이 아닌 Velour 조직에 한정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는 기모 전에는 도 4a의 구조를 가지며, 기모 후에는 도 4b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4a의 벨로아는 편직 구조와 파일루프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먼저, 편직 구조는 수평적 구조로서 일반적인 싱글 니팅(Single knitting)과 같은 구조를 이룸에 따라 그라운드 루프(Ground loop)(100)들이 행열을 갖도록 일정하게 배치되면서 이들 간은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편직 구조에 파일에 연결되는 파일 루프(Pile loop)(110)는 편침과 싱커(Sinker)의 작용으로 각 그라운드 루프(Ground loop)(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리를 이루며 편직 구조에 포함된다.
즉, 도 4a와 같이 그라운드 루프(Ground loop)(100)가 파일 루프(Pile Loop)(110)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며, 파일루프(110)는 감싸는 그라운드 루프(Ground Loop)(100)와 매듭을 이루는 다른 그라운드 루프와 동일하게 매듭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한 매듭과 그라운드 루프의 조임력 및 원사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Pile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는 파일의 수평적 구조인 파일루프(110)와 수직적 구조가 연결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파일루프(110)의 단부 110a와 단부 110b는 양측으로 벌어지는 파일과 연결된다. 그리고, 단부 110a와 단부 110b에는 기모 후 플리스(110c)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벨로아(Velour)는 루프(Loop)사와 파일(Pile)사가 같이 편직되어서 밀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저지(Jersey)면 즉 파일이 형성된 이면에 파일 루프가 미세하게 그라운드 루프 사이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돌출된 파일 루프는 자그마한 긁힘에도 파일(Pile)사가 뽑혀져 나오는 스내깅(Snagging) 현상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에서, 저지면을 이루는데 이용되는 스판덱스(Spandex)사와 혼섬된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는 스판덱스사의 고유한 특성인 수축력에 의하여 미세하게 그라운드 루프 사이로 돌출되는 파일 루프를 감추는 1차 분리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는 기모에 의하여 파일이 당겨지게 되는데, 그에 따라 저지(Jersey)면의 그라운드 루프(Ground loop)와 같이 편직된 바닥에 보이는 파일 루프는 상기 기모에 의하여 파일쪽으로 당겨지고, 결과적으로 미세하게 그라운드 루프와 수평적으로 유사한 위치에 있던 파일루프가 그라운드 루프에 의하여 감춰져서 표면에 드러나지 않게 되는 2차 분리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 4a와 같은 벨로아 구조로 편직된 원단은 기모 및 샤링되고, 기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벨로아는 도 4a 상태(1차적 분리 작용 상태)에서 도 4b 상태(2차적 분리 작용 상태)로 조직이 변형되며, 2차적 분리 작용에 의하여 고리가 조밀하게 되면서 그라운드 루프가 표면을 이루고, 파일 루프는 그라운드 루프 아래에 숨겨진다.
결국, 도 4a와 같이 편직되어 그라운드 루프와 동일한 수평적 위치를 일부 갖는 파일의 고리는 기모에 의하여 당겨지며, 결과적으로 도 4b와 같이 파일 루프가 편직 구조에서 내측으로 이탈된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파일 루프는 편직 구조에 숨겨져서 표면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도 5a는 도 4a에 대응되는 표면의 조직을 예시한 도면이다.
파일의 관점에서 형상의 변화는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도 6a는 편직된 상태이며, 도 6b는 기모를 위하여 당겨져서 플리스가 형성된 상태이고, 도 6c는 후처리 과정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파일 루프가 복원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편직된 상태의 파일 루프는 도 4a에 대응되어 고리의 길이가 A와 같고 고리의 폭은 B와 같다. 이 상태에서 기모가 이루어지면, 도 6b와 같이 파일의 고리는 길이가 A1으로 줄어들고 폭도 B1으로 줄어든다. 이때 기모에 의해서 파일이 당겨지기 때문에 수평적인 리사이징(resizing) 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형상 변경이 발생된다.
즉, 도 6 a에서 파일 루프는 "H" 정도의 단차를 가지면서 그라운드 루프 사이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지만, 기모에 의해서 도 6b와 같이 파일 루프에서 "H"로 표시된 단차만큼 당겨져서 그라운드 루프 사이에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진다. 즉, 2차적 분리(그라운드 루프와 파일 루프 간의 수직적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 6b의 파일 루프는 도 6a와 대비하여 각각 A2 및 B2 만큼 길이와 폭이 당김에 의하여 줄어든다. 이때 줄어든 길이는 파일의 높이로 반영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기모가 이루어지고 후처리 공정인 염색, 수세, 텐타(Tenter)를 거치면, 조여진 상태의 파일의 고리는 자연적 복원 현상에 의하여 도 6c와 같이 A3 및 B3로 변형된다. 따라서, A3과 B3의 값은 후처리의 TENTER가공에 따라 A와 B 값보다도 커질 수 도 있다.
상술한 앞뒤면의 구조가 전혀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는 벨로아 편직에서 상술한 1차적 분리가 발생된다. 그리고 스판덱스(spandex)사와 폴리에스터(Polyester)사가 혼섬된 에어커버링사는 스판덱스사의 수축력에 의하여 루프의 원사가 교차하여 눌려지는 부분을 제외하면 필라멘트(Filament) 다발이 넓게 퍼져 각 루프(Loop)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본 발명에 따른 벨로아는 기모 전에 전처리 공정이 수행되며, 기모를 위해서는 원단의 파일이 균일한 높이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어야 균일한 기모의 형성이 가능하며, 염색시 균일한 염색이 가능하다.
상기한 기모와 파일의 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한 전처리로써는 염색과 텐터(Tenter)가 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처리를 위한 염색은 염색제 투입 없이 단순 열처리(Boiled off, B/O)를 포함하여 의미한다.
전처리로서 염색을 고려한 경우는 1. 전처리(B/O) 2. 기모가공 3. setting(180도 이상) 4.다잉(Dyeing) 5. 텐터 가공(final tenter)의 순으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처리로서 텐터 가공을 고려한 경우는 1. 전처리(저열 고속 상태의 프리세팅(pre-setting) 2. 기모 3. 열가공(180~190도 생지폭의 1.3배이상 over feed 30%이상) 4. 염색 5.파이널 세팅(final setting(170도 정도)) 순으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최종 염색성은 전처리 공정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폴리에스터에서 열고정은 더욱 중요하다. 그러므로, 원단은 전처리와 염색을 위하여 염색기에 투입될 때 터닝(뒤집기) 하여 Pile부분이 겉으로 드러나게 투입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파일이 꺽이지 않도록 원단이 투입되고, 전처리와 염색은 90~100도의 온도환경에서 기모유연제를 2~3%욕중에 넣고 30~60분 정도 진행되며, 전처리와 염색이 종료되면 원단은 파일이 꺾이지 않도록 일방향으로 핀 텐터(Pin tenter)에서 160~180도의 온도환경에서 건조되며, 건조폭은 인그레이(ingrey)폭에서 20% 이상으로 세팅되고, 열풍은 약하게 하여 열가공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온도 세팅은 각 원사의 종류에 따라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세팅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기모에 있어서 기모기계의 종류 및 침포의 종류 등이 기모 형태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특히, 기모는 침포의 바늘이 구부러진 부분까지의 길이와 형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복식 기모기를 이용하는 경우, 털 눕힘 롤러 바늘이 기모 바늘보다 짧아한다. 그에 따라 파일(Pile)이 털눕힘 바늘에 눌려 편포 바깥 쪽으로 빠져나가 기모 후 생기는 스내깅(Snag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모가 과도하여 침포 바늘이 침투되기 어려운 경우, 샤링을 하여 기모 공정으로 길어진 파일(pile) 부분을 잘라내고 기모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샤링의 높이는 파일(Pile)의 높이(싱커높이) + 침포의 당김으로 길어진 파일(Pile)의 당겨진 파일(Pile) 높이를 합한 높이로 샤링 공정이 되어야 스내깅(Snagging)이 생기지 않을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한속건성의 특성을 갖는 에어커버링사를 원사로 이용하여 벨루어가 편직되고, 편직 구조 및 기모 방법이 개선됨에 따라 의류용으로 이용할 경우 외면의 편직 구조가 매끈하고 강하면서 신축성이 있고, 내면의 기모에 의하여 보온성이 제공되며, 피부의 땀과 수분이 기모면을 통하여 바닥면으로 빠르게 흡습됨으로써 항상 양호한 착용감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벨로아 조직으로 편직되되 일면은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Air covering Single Jersey) 조직을 가지며, 이면은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루프가 고정된 파일이 기모된 플리스 조직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은 원사로써 75데니아~100데이아의 폴리에스터 이형단면사와 30데니아~ 40데니아의 스판덱스사를 인터레이스(Interlace) 방법으로 혼섬한 에어커버링(Air-covering)사가 편직되며, 상기 편직으로 형성된 제 1 루프에 상기 파일의 루프가 감싸지면서 인접한 다른 한 쌍의 제 2 루프들과 매듭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버링사의 상기 스판덱스사는 상기 폴리에스터 이형단면사를 포함하는 화학섬유사 대비 10% 내지 15%의 혼용률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은 상기 에어커버링사에 의한 그라운드 루프에 상기 파일이 연결된 파일 루프가 포함된 편직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파일 루프는 상기 그라운드 루프의 수축력 및 기모 공정의 당겨짐에 의하여 상기 그라운드 루프에 의하여 감춰짐으로써 표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항균성, 방염성, 또는 대전방지성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갖는 파일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는 자연 섬유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7. 일면은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Air covering Single Jersey) 조직을 가지며, 이면은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루프가 고정된 파일이 기모된 플리스 조직을 갖도록 벨로아 조직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상기 편직된 원단에 형성된 상기 파일을 균일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처리가 이루어진 파일을 기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기모가 이루어진 원단에 대한 열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포함되어 표면을 이루는 그라운드 루프가 자체 신축력에 의하여 상기 기모에 연결된 파일 루프를 상기 표면에서 1 차적으로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기모에 의하여 상기 파일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파일에 연결된 파일 루프는 상기 에어커버링 싱글 저지 조직에 포함되어 표면을 이루는 그라운드 루프와 2차적으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전처리로서 염색 또는 150도 내지 160도 범위의 저열 처리 텐터(Tenter)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로서 염색제 투입 없이 단순 열처리(Boiled off)가 수행되며, 상기 제 4 단계의 후처리로서 setting(180도 이상), 다잉(Dyeing), 및 텐터가공(final tenter)이 순차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로서 염색제 투입 없이 단순 열처리(Boiled off)가 수행되는 것이 전처리 염색 공정에 해당하며, 상기 전처리 염색은 90~100도의 환경에서 기모유연제를 2~3%욕중에 넣고 30~60분 정도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로서 텐터 가공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 4 단계의 후처리로서 180~190도 범위의 열가공, 염색 및 파이널 세팅(final setting)이 순차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후처리로 수행되는 상기 열가공은 생지폭의 1.3배이상, 오버피드(over feed) 30%이상의 환경에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상기 기모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경우, 샤링을 수행하여 길어진 파일 부분을 잘라내고 상기 기모를 실시하되, 상기 샤링의 높이는 파일(Pile)의 높이(싱커높이) + 침포의 당김으로 길어진 파일(Pile)의 당겨진 파일(Pile) 높이를 합한 높이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아 제조 방법.
KR1020050055107A 2005-06-24 2005-06-24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KR10070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107A KR100700209B1 (ko) 2005-06-24 2005-06-24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107A KR100700209B1 (ko) 2005-06-24 2005-06-24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261A KR20060135261A (ko) 2006-12-29
KR100700209B1 true KR100700209B1 (ko) 2007-03-27

Family

ID=3781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107A KR100700209B1 (ko) 2005-06-24 2005-06-24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2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0649A (zh) * 2015-08-14 2015-12-30 大津编物(无锡)有限公司 一种高厚实感涤纶拉舍尔毛毯的生产工艺
WO2018117362A1 (ko) * 2016-12-21 2018-06-28 전금희 싱글원단의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싱글원단
CN109072508A (zh) * 2016-05-02 2018-12-21 全锦姬 单面面料的织造方法及由其织造的单面面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446B1 (ko) * 2007-11-16 2009-10-21 (주)유비티 코리아 이중표면구조의 천연광물 함유 다기능성 원단
KR100891447B1 (ko) * 2008-03-24 2009-04-01 주식회사 신창무역 극세사 경편조직으로 이루어진 고감성 양면 니트 및 그 제조 방법과 그 제조 장치
CN108950832B (zh) * 2018-09-21 2024-02-23 无锡红豆纺织服装有限公司 一种发热红豆绒面料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353A (ja) * 1994-09-28 1996-04-16 Unitika Ltd 高伸縮性パイル編地
KR20010092187A (ko) * 2000-03-21 2001-10-24 임대식 파일직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1912A (ko) * 2000-05-18 2002-01-09 윤수근 신축성이 우수한 이중 경편직물
KR20030038050A (ko) * 2001-11-08 2003-05-16 박래원 벨벳직물
KR20040075214A (ko) * 2003-02-20 2004-08-27 제일모직주식회사 보푸라기 방지 원단 제조방법
KR20050022786A (ko) * 2003-08-30 2005-03-08 주식회사 코오롱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경편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353A (ja) * 1994-09-28 1996-04-16 Unitika Ltd 高伸縮性パイル編地
KR20010092187A (ko) * 2000-03-21 2001-10-24 임대식 파일직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1912A (ko) * 2000-05-18 2002-01-09 윤수근 신축성이 우수한 이중 경편직물
KR20030038050A (ko) * 2001-11-08 2003-05-16 박래원 벨벳직물
KR20040075214A (ko) * 2003-02-20 2004-08-27 제일모직주식회사 보푸라기 방지 원단 제조방법
KR20050022786A (ko) * 2003-08-30 2005-03-08 주식회사 코오롱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경편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0649A (zh) * 2015-08-14 2015-12-30 大津编物(无锡)有限公司 一种高厚实感涤纶拉舍尔毛毯的生产工艺
CN109072508A (zh) * 2016-05-02 2018-12-21 全锦姬 单面面料的织造方法及由其织造的单面面料
WO2018117362A1 (ko) * 2016-12-21 2018-06-28 전금희 싱글원단의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싱글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261A (ko) 200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6025B2 (en) Dual function absorbing and cooling textile
CN105986348B (zh) 包括包芯纱的纺织结构体及其有关制造方法
TWI351928B (en) Article of apparel
KR100700209B1 (ko)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CN109790661B (zh) 经编织物
JP2013019069A (ja) 自動車内装用織編布帛
JP6371620B2 (ja) 清涼性に優れる緯編地
JP2008179913A (ja) 断熱衣料用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25278A (ja) 複合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繊維構造物
JP2019199678A (ja) プレーティング及びインレイによる編物
TWI630296B (zh) Woven bristle elastic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81954B1 (ko)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JP4475011B2 (ja) 肌着用編地
CN208164447U (zh) 一种经编鞋面复合织物
KR100571357B1 (ko) 리브 편직 원단
JP4798519B2 (ja) 身体支持装置品表面材
CN216838415U (zh) 一种新型抗菌针织面料
JP3245832U (ja) ポリプロピレン弾性編地および同編地を含む衣類
KR102268026B1 (ko) 연약한 피부에 적합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215360260U (zh) 一种多功能针织运动材料
CN216885558U (zh) 一种舒适型针织面料
JP6681637B1 (ja) 布地及び布製品
CN209775752U (zh) 一种尺寸稳定性好的粗针面料
JPH0772381B2 (ja) 毛皮調立毛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38939A (ko) 기능성 니트웨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