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745B1 -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 Google Patents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745B1
KR100699745B1 KR1020017006287A KR20017006287A KR100699745B1 KR 100699745 B1 KR100699745 B1 KR 100699745B1 KR 1020017006287 A KR1020017006287 A KR 1020017006287A KR 20017006287 A KR20017006287 A KR 20017006287A KR 100699745 B1 KR100699745 B1 KR 10069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growth
metal precipitate
precipitat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291A (ko
Inventor
에릭슨올라
암스트롱레빌웨인
시바타게이
스가야스오
해그잔앤더스
파리아니로날드리
베일리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미쯔이 긴조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코퍼 리파이너리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미쯔이 긴조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코퍼 리파이너리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01010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25C7/08Separating of deposited metals from the cath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4/00Chemistry: electrical and wave energy
    • Y10S204/07Current distribution within the bath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전해정련 또는 금속전해채취와 같은 전해공정에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모판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로서, 처리될 음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전해공정동안에 모판표면상에 성장한 금속석출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박리하는 부재 및 박리된 금속석출물을 지지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석출물 (4) 을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두개의 분리된 조각으로 파손하기 위하여 금속석출물 (4) 이 음극 (1, 21, 31, 41, 51) 모판으로 기울여질 때 힌지된 부재로 사용되며 금속석출물 (4) 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생성하는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이 음극 (1, 21, 31, 41, 51) 모판에 제공된다.
금속석출물, 금속전해정련, 금속전해채취, 전해공정, 음극, 모판

Description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DEVICE FOR SEPARATING METAL DEPOSIT FROM A CATHODE}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금속전해정련 (metal electrorefining) 또는 금속전해채취 (metal electrowinning) 와 같은 전해공정에 있어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모판 (mother plate) 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구리, 아연 및 니켈과 같은 많은 금속들의 정련은 생산금속 (metal to be produced) 으로부터 유해한 불순물을 분리하는 전해공정을 포함한다. 이 전해공정에서 생산되는 금속은 전류에 의하여 음극에 모인다. 통상적으로 전해공정은, 황산을 포함하는 전해액으로 채워지고 내부에 수개의 도전성 판상 (plate-like) 양극 및 음극이 교대하여 배치되어 있는 탱크 내에서 수행된다. 양극 및 음극의 상부 에지에는, 이들을 전력회로에 연결하고 탱크에지에 매다는 자루 또는 손잡이가 제공된다. 생산금속은 전해정련공정 내의 가용성 양극 또는 선행공정단계에서의 전해액 내에 용해된 상태로서 전해공정에 도입되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양극이 전해채취공정에서 불용성이다.
전해공정에서 사용되는 음극은 생산을 원하는 금속을 재료로 하여 생산되는데, 이 경우에는 석출물을 원래의 음극판으로부터 벗겨낼 필요가 없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 음극, 즉 전해탱크 내에 잠겨질 모판은 생산금속이 아닌 다른 어떤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모판의 재료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 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생산금속이 석출물의 형태로 모판의 표면 상에 모이는데, 이것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모판으로부터 제거된다.
전류에 의하여, 전해공정에서 생산되는 금속은 모판의 모든 도전성 표면 상에 석출물의 형태로 축적된다. 즉, 모판이 완전 도전성이라면, 생산금속은 전해액 내에 잠겨진 모판의 모든 부분을 균일한 석출의 형태로 덮는다. 모판의 표면으로부터 생산금속 석출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생산금속이 모판의 좁은 에지에 석출물을 축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모판의 에지는 부도전성 (non-conductive) 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모판의 에지를 부도전성으로 만드는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상기 에지를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질로 만들어진 에지 스트립 (edge strip) 으로 덮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연 스트립 (에지 스트립) 은 단면 모양이 홈의 모양인 플라스틱 형태이며, 모판의 에지에 압착되고, 형태변형, 모판을 관통하는 리벳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 때문에 제위치를 유지한다. 에지 스트립에 보호구(protection) 가 없다면, 벗김에 의해 모판으로부터 석출물이 제거될 때, 행어바(hanger bar) 가 설치되는 에지의 반대쪽 에지에 위치하는 에지 스트립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행어바가 설치되는 에지의 반대쪽의 에지 상의 플라스틱 에지 스트립 대신에 두개의 분리된 석출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왁스 (wax) 가 부도전성 재료로서 사용되거나, 석출물이 모판의 하부 주위에 균일하게 성장하도록 허용되어 단일 석출물을 생산한다. 상기 왁스의 문제점은, 왁스는 석출물의 분리전에 모판 및 석출물로부터 씻겨지고 상기 분리 후에 모판에 다시 발라져야 한다는 것과, 어떤 왁스는 씻은 후에도 석출물에 남아있어 생산금속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단일 석출물의 문제점은, 모판으로부터 석출물을 분리하는 과정 중에 석출물을 다루는 것이 보다 복잡하고, 단일 석출물은 어떤 최종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점의 일부를 제거하고, 행어바가 설치되는 에지의 반대쪽의 모판 에지의 주변 또는 그 에지 상의 석출물의 성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가함으로써 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금속석출물을 모판으로부터 분리하는 새롭고 발전성 있는 기구를 획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신규성은 하기의 청구범위에서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구 내에서 처리될 음극은 모판의 한 에지에 설치되는 행어바 및 판상의 모판을 포함한다. 음극 모판은, 에지 또는 행어바가 설치되는 에지의 반대쪽 에지의 주위에, 금속석출물의 성장을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성장영향수단 (growth affecting means) 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면 모판 에지 주위 또는 에지 내의 홈이거나, 상기 모판이 금속전해정련 또는 금속전해채취 공정 내의 각각의 양극보다 길게 만들어지고, 그 부가적 영역에서의 석출속도는 감소하며 금속석출물의 성장은 느려진다. 상기 금속석출물의 성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향받는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석출물을 제거하는 공정 중 또는 그 후에, 상기 금속석출물은 두개의 분리된 조각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성장영향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판 표면 상의 금속석출물의 본질적으로 균일한 성장을 방지하는데, 이는 금속석출물이 휘어질 때 상기 금속석출물이 상기 성장영향수단의 위치 상에서 파괴되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금속석출물의 성장의 변화는, 성장영향수단으로 사용될 홈이 상기 금속석출물의 결정립 조직 (grain structure) 이 변화하도록 하고 금속석출물의 그 부분 상의 휘어짐성질이 변화하도록 형성되는가에 의존한다. 상기 성장영향수단은, 상기 홈이 모판의 판상 부분의 표면에서 가장 넓도록 하는, 예를 들어 벽들 (walls) 이 서로 예각을 이루는 웨지형상의 홈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홈은 모판에 기계가공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금속 프로파일이 상기 홈의 벽들 중 하나이고 상기 모판 그자체가 다른 하나가 되도록, 금속 프로파일 (profile) 을 모판에 부착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홈이 모판 내에 생성되고 이 홈은 열악한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충전된다. 이 홈은 좁게 만들어져서, 충전재료가 영향을 미치는 영역에 걸쳐 금속석출물이 성장할 수 있으나, 금속석출물이 충전재료의 표면을 따라 성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금속석출물이 모판 표면에서보다 충전재료의 표면에서 늦게 성장하고, 금속석출물은 더 얇으며, 그러므로 금속석출물이 박리공정 (releasing process) 에 있을 때 휘어짐이 용이하다.
상기 성장영향수단은 모판 상에 금속석출물 성장 불규칙영역을 생성하는데, 이 불규칙영역은, 금속전해정련 또는 금속전해채취 공정에서 모판 상에 생성되는 금속석출물이 분리기구에 의해서 모판으로부터 제거될 때, 힌지된 (hinged) 부재로서 유리하게 사용된다. 힌지할 때, 금속석출물의 음극 모판에 대한 경사각은 유리하게는 60 도 내지 150 도이며,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90 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석출물은 모판표면으로부터 모판에 대한 직각위치까지 성장영향수단 상에 힌지된다. 또한, 금속석출물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금속석출물을 성장영향수단에 힌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음극의 양면으로부터의 금속석출물은 동시에 처리된다. 그러나, 금속석출물을 별도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리될 음극은 본질적으로 수직인 위치로 지지된다. 처리될 음극의 양면 상의 금속석출물은, 먼저 행어바가 설치되는 에지로부터 출발하여 부분적으로 박리 (release) 된다. 그후 이 부분적으로 박리된 금속석출물은 지지부재 또는 상기 기구의 파지 (gripping) 부재와 접촉할 때까지 기울여진다. 이 지지위치에서, 상기 금속석출물은 상기 기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재로 파지되고, 이 파지부재는 금속석출물을 기울이는 데 사용되어, 상기 금속석출물은 유리하게는 최종적으로 본질적으로 수평인 위치에 있게된다. 상기 금속석출물을 본질적으로 수평인 위치로 기울일 때, 금속석출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극 모판과 접촉하게 된다. 이 기울임 단계 중에, 모판의 성장영향수단은 힌지된 부재로 사용되어, 상기 금속석출물은 이 성장영향수단에 의하여 성장이 영향을 받는 영역 주위에서 기울여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금속석출물로부터 두개의 분리된 조각을 생산하기 위하여, 파지부재가 구비된 본질적으로 수평인 금속석출물은, 분리위치로 이동되고, 파지부재로 그 끝을 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성장영향영역 (growth affected area) 을 따라 파손된다. 상기 분리가 완료된 때에, 파지부재는 금속석출물을 박리하고 새로운 음극의 금속석출물의 처리를 위하여 복귀한다. 상기 금속석출물이 분리위치로 기울여지고 별도의 파손스테이션 내에서 파지부재에 의하여 박리한 후에 상기 파손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금속석출물의 두 분리된 부분으로의 분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파손은 다른 분리수단에 의하여 금속석출물의 끝을 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금속석출물은 금속석출물의 기울임 단계에서 파지부재를 상하운동시킴으로써 모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상기 성장영향수단은 힌지된 부재로서 사용된다. 이 상하운동 중에, 상기 금속석출물은 상기 성장영향수단 주위의 모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본 발명의 분리기구에서, 처리될 음극은 본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에서 지지되고 상기 음극은 금속석출물이 제거되는 전체 시간동안 그 본질적인 위치를 유지한다. 금속석출물을 본질적으로 수평인 위치로 기울이는데 사용되는 파지부재는 가이드부재 (guide member) 를 따라 이동한다. 프레임부재 (frame member) 에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기구의 프레임부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일실시형태에서, 금속석출물을 모판으로부터 최종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는, 유리하게는 파지부재의 가이드부재와 같은 프레임부재에 설치된다. 가이드부재 및 분리부재가 이들 각각의 다른 프레임부재를 가지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유리하게는 원호 (arc) 의 형상을 하여, 그 원호의 중심이 금속 석출물의 양면을 연결하는 선과 같은 축을 가져서, 성장이 영향받는 영역 주위로 금속석출물이 기울어지게 된다. 금속석출물의 본질적인 위치에서, 상기 분리기구는 파지부재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성장이 영향을 받는 영역을 따라 금속석출물이 파손되게 유발하고, 두개의 분리된 조각을 생성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하운동 중 또는 그 전에, 음극 모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된 금속석출물로부터 들림제거 (lifted away) 될 수 있다. 모판의 들림은 금속석출물의 상하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금속석출물의 박리 중에는 상기 모판이 행어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구의 작동을 위하여, 작동의 여러 다른 단계에서 움직일 부재의 바람직한 운동은 공압적, 수압적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제어 유니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실시형태의 A - A 의 방향에서 나타낸 부분측면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기구에서 사용되는 음극의 실시형태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기구에서 사용되는 음극의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기구에서 사용되는 음극의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기구에서 사용되는 음극의 또다른 실시형태의 측면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기구에서 사용되는 음극의 또다른 실시형태의 측면개략도이다.
[실시예]
도 1 및 도 2 에서, 음극 (1) 의 양면 5 및 6 으로부터의 금속석출물 (4) 이 본질적으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구에서 처리되는 음극 (1) 이 두개의 별도 장치 2 및 3 사이에 위치된다. 금속석출물 (4) 은 먼저, 모판의 행어바 (8) 가 설치되는 모판 (7) 의 에지로부터 시작하여, (도시되지 않음) 박리부재에 의하여 음극 (1) 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된다. 이 박리힘 (releasing force) 에 의하여 금속석출물 (4) 은 점선으로 도시된 지지위치로 기울어진다. 이 지지위치에서, 금속석출물 (4) 은 공압실린더 (10) 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지지부재 (9) 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위치에서, 금속석출물 (4) 의 본질적으로 평행한 에지 12 및 13 상에 파지부재 (11) 에 의하여 금속석출물 (4) 이 파지되는데, 상기 에지는 모판 (7) 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된다.
금속석출물 (4) 이 파지부재 (11) 에 의하여 파지되는 때, 지지부재 (9) 는 지지위치로부터 휴면위치 (rest position) 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금속석출물 (4) 은 파지부재 (11) 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이 파지부재 (11) 는 가이드부재 (14) 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음극 (1) 으로부터 금속석출물 (4) 을 더욱 더 박리하기 위하여, 금속석출물 (4) 뿐만 아니라 파지부재 (11) 도 수압실린더 (21) 에 의하여 가이드부재 (14) 를 따라서 이동된다. 가이드부재 (14) 는 프레임부재 (15) 상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 (14) 의 운동 중에, 금속석출물 (4) 이 음극 (1) 의 성장영향수단 (16) 주위로 동시에 기울여지게 된다. 가이드부재 (14) 는 프레임부재 (15) 상에 설치되어, 음극의 성장영향수단 (16) 및 파지부재 (11) 사이의 거리가 지지부재 (9) 에 의하여 생성되는 지지위치로부터 금속석출물 (4) 의 본질적으로 수평인 위치 (17) 까지 일정하게 본질적으로 유지된다.
파지부재 (11) 및 성장영향수단 (16) 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수평인 위치 (17) 로 금속석출물 (4) 을 기울인 후에, 금속석출물 (4) 이 분리부재 (18) 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금속석출물 (4) 은 음극 (1) 으로부터 완전히 박리된다. 분리부재 (18) 는 프레임부재 (15) 상에 설치된다. 프레임부재 (15) 는, 금속석출물 (4) 이 분리부재 (18) 의 분리작업 중에 파지부재 (11) 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기구의 메인 프레임 (main frame) (19) 에 피봇 (20) 방식으로 설치된다. 음극 (1) 으로부터 금속석출물 (4) 을 분리한 후에, 파지부재 (11) 는 개방되고 금속석출물 (4) 은 향후 처리단계로 이송된다. 상기 파지부재 (11) 는 분리를 위한 새로운 금속석출물을 수취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재 (14) 에 의하여 회송된다
도 1 및 도 2 의 실시형태에서, 파지부재 (11) 는 상하운동을 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이 운동 중에, 상기 금속석출물 (4) 은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상에 힌지되고, 상기 금속석출물 (4) 은 성장방지위치 (the location of the growth preventing) (16) 상에서 두 부분으로 파손된다. 그 다음에, 상기 파지부재 (11) 는 본질적으로 수평인 위치 (17) 로 기울여지고, 상기 금속석출물 (4) 은 박리되며 향후 처리로 이송된다.
도 3 에 있어서, 행어바 (22) 는 모판 (21) 의 판상부분 (23) 에 부착된다. 서로 예각을 이루는 벽들을 구비한 홈 (24) 은, 행어바 (22) 가 부착되는 에지의 반대쪽의 에지 (25) 내에 생성된다. 상기 홈 (24) 은 (도시되지 않음) 금속석출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금속석출물이 기울여질 때 힌지로서 사용되는 결정립 조직을 제공한다.
도 4 에서, 모판 (31) 의 판상부분 (32) 에는 도구 (33) 가 제공되는데, 상기 도구 (33) 는, 모판 (31) 의 행어바 (35) 가 부착되는 에지의 반대쪽에 있는 에지 (34) 에 부착된다. 상기 도구 (33) 는 그 표면 상에서 모판 (31) 의 판상 부분 (32) 의 표면에 본질적으로 수렴한다. 상기 도구 (33) 에는, 서로 예각을 이루는 벽들을 구비하고 성장영향부재로 사용되는 홈 (36) 이 있다.
도 5 의 실시형태는, 도 5 의 도구 (37) 는 한 조각이 아닌 두 조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의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도 6 의 실시형태에서는, 모판 (41) 의 판상부분 (42) 에는 모판 (31) 의 행어바 (45) 가 부착되는 에지의 반대쪽에 있는 에지 (44) 의 주위에 성장영향수단 (43) 이 제공된다. 상기 성장영향수단 (43) 은 모판 (41) 의 판상부분 (42) 의 표면에 부착되어, 성장영향수단 (43) 의 일측 벽은 판상부분 (42) 의 표면과 예각을 이룬다.
도 7 에서, 모판 (51) 의 판상부분 (52) 에는 전기적 부도전성 물질 (54) 이 충전된 홈 (53) 이 제공된다. 상기 홈 (53) 은 성장영향수단인데, 이 홈 (53) 위로 금속석출물이 성장할 수 있다.

Claims (12)

  1. 처리될 음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전해공정동안에 모판표면 상에 성장한 금속석출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박리하는 부재, 상기 금속석출물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생성하는 성장영향수단이 제공된 음극 모판 및 박리된 금속석출물을 지지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금속전해정련 또는 금속전해채취와 같은 전해공정에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모판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에 있어서,
    서로 예각을 이루고 있는 벽을 구비하여 상기 음극 (1, 21, 31, 41, 51) 모판의 표면에서 가장 넓은 홈인, 금속석출물 (4) 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생성하는 성장영향수단(16, 24, 36, 43, 53) 이, 음극 (1, 21, 31, 41, 51) 모판의 에지 주위 또는 그 에지 상에 있으며, 금속석출물 (4) 을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두개의 분리된 조각으로 파손하기 위하여 금속석출물 (4) 이 음극 (1, 21, 31, 41, 51) 모판으로 기울여질 때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이 힌지된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2. 처리될 음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전해공정동안에 모판표면 상에 성장한 금속석출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박리하는 부재, 상기 금속석출물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생성하는 성장영향수단이 제공된 음극 모판 및 박리된 금속석출물을 지지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금속전해정련 또는 금속전해채취와 같은 전해공정에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모판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은, 행거바가 설치되는 에지 단부와 반대쪽의 음극 (1, 21, 31, 41, 51) 의 모판 에지의 주위 또는 그 에지 (25, 34, 44) 위에서 전해공정으로 사용되는 전류밀도에 기초하며,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은, 금속석출물 (4) 을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두개의 분리된 조각으로 파손하기 위하여 금속석출물 (4) 이 음극 (1, 21, 31, 41, 51) 모판으로 기울여질 때 힌지된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이, 전해공정 내에서의 음극 및 각각의 양극 사이의 길이차이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에 의하여 생성되는 금속석출물 (4) 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분리하기 위한 금속석출물 (4) 의 기울임 각도가, 음극 (1, 21, 31, 41, 51) 모판에 대하여 60 도 내지 150 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에 의하여 생성되는 금속석출물 (4) 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분리하기 위한 금속석출물 (4) 의 기울임 각도가, 음극 (1, 21, 31, 41, 51) 모판에 대하여 90 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에 의하여 생성되는 금속석출물 (4) 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석출물 (4) 을 상하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에 의하여 생성되는 금속석출물 (4) 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금속석출물 (4) 을 두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파손하기 위하여, 금속석출물 (4) 의 파지부재 (11) 들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영향수단 (16, 24, 36, 43, 53) 에 의하여 생성되는 금속석출물 (4) 의 성장 불규칙영역을 따라 금속석출물 (4) 을 두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파손하기 위하여, 금속석출물 (4) 이, 금속석출물 (4) 을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별개의 파손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석출물 (4) 의 상하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운동 전에 상기 음극 (1, 21, 31, 41, 51) 모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된 금속석출물 (4) 로부터 들림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석출물 (4) 의 상하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운동 중에 상기 음극 (1, 21, 31, 41, 51) 모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된 금속석출물 (4) 로부터 들림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11. 삭제
  12. 삭제
KR1020017006287A 1998-11-27 1999-11-26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KR100699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82569 1998-11-27
FI982569A FI982569A (fi) 1998-11-27 1998-11-27 Laite metallisaostuman erottamiseksi katodil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91A KR20010105291A (ko) 2001-11-28
KR100699745B1 true KR100699745B1 (ko) 2007-03-27

Family

ID=855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287A KR100699745B1 (ko) 1998-11-27 1999-11-26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632333B1 (ko)
EP (1) EP1137824B1 (ko)
JP (1) JP4712973B2 (ko)
KR (1) KR100699745B1 (ko)
CN (1) CN1188549C (ko)
AT (1) ATE292202T1 (ko)
AU (1) AU768007B2 (ko)
BG (1) BG64323B1 (ko)
BR (1) BR9915749A (ko)
CA (1) CA2351378C (ko)
DE (1) DE69924520T2 (ko)
EA (1) EA003575B1 (ko)
ES (1) ES2241341T3 (ko)
FI (1) FI982569A (ko)
PE (1) PE20001256A1 (ko)
PL (1) PL191583B1 (ko)
WO (1) WO2000032846A1 (ko)
ZA (1) ZA2001038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106699A0 (en) * 1999-06-18 1999-07-08 Copper Refineries Pty Ltd Cathode plate
AUPQ106799A0 (en) 1999-06-18 1999-07-08 Copper Refinerie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deposition of metal
DE10260144A1 (de)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handlung von Gegenständen mit wenigstens einem Behandlungsmittel in einem Haushaltgerät sowie Haushaltgerät sowie Verpackung sowie Dosiergerät
DE102004008813B3 (de) * 2004-02-20 2005-12-01 Outokumpu Oyj Verfahren und Anlage zum elektrochemischen Abscheiden von Kupfer
FI116572B (fi) * 2004-08-27 2005-12-30 Outokumpu Oy Laite ja menetelmä metallilevyjen käsittelemiseksi
JP4267014B2 (ja) * 2006-09-29 2009-05-27 日鉱金属株式会社 電着金属の剥取装置
JP4343969B2 (ja) * 2007-03-29 2009-10-14 日鉱金属株式会社 銅電解精製法の停電時対策
EP2141265A1 (en) * 2008-07-04 2010-01-06 Technic One S.A.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electrodeposited metal layer from a cathode plate
FI121238B (fi) * 2008-10-01 2010-08-31 Outotec Oyj Kestokatodi
US8607837B2 (en) 2009-02-06 2013-12-17 Xstrata Technology Pty Ltd. Apparatus for stripping metal from a cathode plate
KR101455326B1 (ko) * 2013-06-19 2014-10-27 세일정기 (주)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CN103469257A (zh) * 2013-09-04 2013-12-25 胡雷 一种方便电解阴极金属板剥板的扣件及其使用方法
JP6306932B2 (ja) * 2014-04-23 2018-04-04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電着銅の剥ぎ取り方法
US20210324529A1 (en) * 2018-08-21 2021-10-21 Glencore Technology Pty Limited Stripping of metal from cathodes
EP4321652A1 (fr) * 2022-08-11 2024-02-14 John Cockerill SA Dispositif d'extraction d'un metal depose electrolytiquement sur une catho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40624A3 (de) * 1976-02-26 1980-03-19 Dietmar Schab Mutterblech mit kanten-und flaechenisolation zur herstellung vonstarterblech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0624C (ko)
JPS4995201U (ko) * 1972-12-08 1974-08-16
FI50717C (fi) * 1973-05-17 1976-06-10 Outokumpu Oy Menetelmä ja laite elektrolyyttisesti saostetun metallilevyn, varsinki n kupari-, nikkeli- tai sinkkilevyn irrottamiseksi katodilta
LU71072A1 (ko) * 1974-10-08 1976-08-19
JPS5912753B2 (ja) * 1976-05-20 1984-03-2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1枚の母板から複数の電着金属片をうる方法
LU82691A1 (fr) 1980-08-06 1982-05-10 Metallurgie Hoboken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separer un depot electrolytique des deux faces d'une cathode
US4447307A (en) * 1982-12-15 1984-05-08 Davis Larry A Electrowinning cell having partially shielded anodes
GB2196989B (en) * 1986-11-04 1990-07-04 Mim Techn Marketing Ltd A method of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copper from a cathode
AU594208B2 (en) 1986-11-04 1990-03-01 Mount Isa Mines Limited A method of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copper from a cathode
JPH0684552B2 (ja) * 1990-11-08 1994-10-26 ファルコンブリッジ リミテッド 陰極から電着金属シートを剥離する方法及び装置
JPH09228090A (ja) * 1996-02-21 1997-09-02 Nikko Kinzoku Kk 湿式電解採取または電解精製用陰極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40624A3 (de) * 1976-02-26 1980-03-19 Dietmar Schab Mutterblech mit kanten-und flaechenisolation zur herstellung vonstarterble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68007B2 (en) 2003-11-27
EA003575B1 (ru) 2003-06-26
PL191583B1 (pl) 2006-06-30
US6632333B1 (en) 2003-10-14
PE20001256A1 (es) 2000-12-04
CN1188549C (zh) 2005-02-09
BG64323B1 (bg) 2004-09-30
DE69924520T2 (de) 2005-09-01
ES2241341T3 (es) 2005-10-16
WO2000032846A1 (en) 2000-06-08
AU1563200A (en) 2000-06-19
FI982569A0 (fi) 1998-11-27
JP4712973B2 (ja) 2011-06-29
DE69924520D1 (de) 2005-05-04
BR9915749A (pt) 2001-08-28
EP1137824B1 (en) 2005-03-30
PL348727A1 (en) 2002-06-03
EA200100595A1 (ru) 2001-12-24
CN1329680A (zh) 2002-01-02
FI982569A (fi) 2000-05-28
CA2351378C (en) 2007-06-05
CA2351378A1 (en) 2000-06-08
BG105520A (en) 2002-06-28
KR20010105291A (ko) 2001-11-28
JP2002531697A (ja) 2002-09-24
EP1137824A1 (en) 2001-10-04
ZA200103840B (en) 2002-01-16
ATE292202T1 (de)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745B1 (ko)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CA1317907C (en) Method of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copper from a cathode
CA2586149C (en) Modular system for improving electro-metallurgical processes
US20020074224A1 (en) Device for lifting the anode frame of an electrolysis cell for the production of aluminum
EA009482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ластин
JP2008081825A (ja) 電着金属の剥取装置
BG65285B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отстраняване на отлагане, създаденопри електролитно рафиниране или електролитно добиване
JP4098470B2 (ja) マザープレート用ホルダ
JP3000390B2 (ja) 電解精製における電着物の剥離装置
JPS60502258A (ja) 電気冶金的方法用の電極
GB2196989A (en)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copper
JPH08176877A (ja) 金属の連続電解方法および連続電解装置
MXPA00001391A (en) Holder for a mother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