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383B1 - 코일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방수 코팅용 신규 결합제 배합물 - Google Patents

코일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방수 코팅용 신규 결합제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383B1
KR100699383B1 KR1020027009616A KR20027009616A KR100699383B1 KR 100699383 B1 KR100699383 B1 KR 100699383B1 KR 1020027009616 A KR1020027009616 A KR 1020027009616A KR 20027009616 A KR20027009616 A KR 20027009616A KR 100699383 B1 KR100699383 B1 KR 10069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acid
component
mole
ko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213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밤프레히트
크리스티안 퓌쎌
카를-루드비히 노블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2007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9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in combination with polycarboxylic acids and/or polyhydroxy compounds which are at least trifunction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4Of cross-linked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에 대해 안정하고, 실외 기후 조건에 대해 극히 내성이 있는 코팅을 형성하기에 적합하고 그의 결합제가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및(또는)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제 성분 및 선택된 구조 요소의 특정 폴리올 성분을 포함하는 신규 액체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임의의 내열성 지지체 상에 내후성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신규 코팅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내후성 코팅,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Description

코일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방수 코팅용 신규 결합제 배합물{NOVEL BONDING AGENT COMBINATION FOR WATER-PROOF COATINGS THAT ARE PRODUCED BY COIL COATING}
본 발명은 뛰어난 외부 내후성을 가진 코팅 형성에 적합하며, 그의 결합제가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및(또는)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제 성분 및 선택된 단위의 특정 폴리올 성분을 포함하는 새로운 액상의 저장 안정성 코팅 조성물 및 임의의 원하는 내열성 지지체 상의 내후성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차단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가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한 일액형 가열건조 래커 (stoving lacquer) 및 폴리우레탄 래커에서의 그의 용도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Kunststoff-Handbuch [Plastics Handbook], volume VII, Polyurethane [Polyurethanes], Carl Hanser-Verlag Munich (1966), pages 11-13, 21 이하 참조).
그러한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히드록시-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요건들이 있다:
1) 가능한 최단 시간의 가열건조에 의한 낮은 분해 온도.
2) 가열건조 및 단시간의 과도-가열건조 시에 전혀 황색화되지 않거나 또는 약간만 황색화됨.
3) 일액형 래커의 적절한 저장 안정성.
4) 독물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분해 생성물의 분해가 없음.
이 요건들은 예를 들어 DE-A 2 550 15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히드록시-폴리에스테르 및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한 특정 가열건조 결합제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DE-A 2 550 156호의 가열건조 결합제가 기계 부품, 차체 또는 운송 콘테이너와 같은 산업용 제품의 보호 중에 표면 영역에서 쇼크 및 충격 응력에 노출되는 코팅의 생산에 사용될 수가 없다는 것은 DE-A 3 046 409호로부터 알 수 있다.
DE-A 3 046 409호의 가열건조 결합제가 내쇼크성 및 내충격성 코팅을 제공하긴 하지만, 그것은 기후에 대한 안정성의 일반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 그러므로, 그것은 차체, 외관 요소 등과 같은 극한 기후 영향에 노출되고 기계적 성질에 대해 고도의 요건이 부과되며 휘발유와 같은 용제에 대한 노출 가능성이 있는 코팅 표면에 또한 적합하지 않다.
히드록시-폴리에스테르 및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기재로 한 일액형 가열건조 결합제는 부적절하게도 가열건조 과정 후에야 내용제성 및 내후성에 대해 부과되는 요건을 만족시키지만, 알맞은 경도/탄성 비 및 양호한 부착력에 의해 구별되는 래커 막을 제공한다. 그러한 결합제 배합물은 DE-A 2 621 657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자동 코일 코팅의 기술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이제까지의 상기한 가열건조 결합제는 착색된 상태에서 래커 막이 비교적 장시간 동안 황색화 및 균열 없이 래커 막 표면의 고광택도를 갖고 단파장 UV 광을 견딜 정도로 극히 높은 내후성이 코팅에 요구되는 의도된 용도에서 가열건조 래커로서 부적합함을 EP-A 494 442호에서 알 수 있다. UV 내성의 상당한 개선은 금속에 대한 양호한 부착력 및 양호한 내마모성과 함께 고도의 경도 및 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균열 및 황색화 없이 또한 광안정화제의 첨가 없이 비교적 장시간 동안 단파장 UV 광에 대한 노출을 견디는 래커 막이 얻어지는, EP-A 494 442호에 따른 가열건조 래커링에 의해 밝혀졌다.
단파장 UV 광에 대한 집중적인 노출에 의한 래커링에 대한 시험이 래커의 실질적인 내후성에 대해 정확한 예측을 하는데 반드시 적합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래커 분야에서 알려진 사실이다. UV 장치에 의한 그러한 가속된 실험실 시험은 때로는 사실상의 현실적인 조건 하에서의 (예를 들면, 플로리다에서의) 장기간 시험과 연관이 없으므로 그것은 그러한 실험실 시험에서 양호한 내후성 결과를 나타내는 래커가 실상에서, 따라서 EP-A 494 442호에 따른 래커링에서 더 불량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한 내용제성 및 내약품성 이외에 수년에 걸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이, 예를 들면 외관 상에 요구되는 분야에서 자동 코일 코팅에 의해 래커링된 금속 시트의 사용은 중요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기계적 성질, 예를 들면 경도, 탄성 및 내마모성에 대해 고도의 성질이 요구된다.
놀랍게도, 공지된 유형의 경화제 성분 및 특정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기재로 하는, 아래에 좀 더 상세히 설명되는 코팅 조성물이 금속에 대한 양호한 부착력 및 양호한 내마모성과 함께 균형있는 경도 및 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UV 광에 대한 노출에 의한 이 래커의 가속된 내후성 시험에서 불량한 내후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지속적인 수년의 실제적인 시험에서 그러한 래커 시스템의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특별히 높은 외부 내후성을 극히 높은 광택 보유도의 형태로 나타내는 래커 막을 제공한다는 것이 현재 밝혀졌다.
본 발명은 실온에서의 저장에 대해 안정하고, 결합제 혼합물, 유기 용제 및 임의로 래커 기술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보조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결합제가
A) 성분 A) 및 B)의 합계를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의, 1종 이상의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및(또는) 1종 이상의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가교 성분 및
B) 성분 A) 및 B)의 합계를 기준으로 98 내지 70 중량%의, 히드록실-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성분
의 혼합물이고, 성분 B)가 500 내지 10,000 g/mol의 평균 수-평균 분자량 Mn, 20 내지 50 ㎎ KOH/g의 히드록실가 및 0.5 내지 30 ㎎ KOH/g의 산가를 가지며, 그 성분 B)가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0 내지 80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0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0.1 내지 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9.9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3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5 내지 75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0 내지 40 몰%,
b3) 아디프산 0.1 내지 20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34.9 몰%를 포함하는 47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임의의 원하는 내열성 지지체 상에 열의 영향 하에 경화될 수 있는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이 코팅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의 결합제는 가교 성분 A) 2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성분 B) 98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97 내지 75 중량%를 포함하며, 명시된 백분율은 합이 100이 된다.
가교 성분 A)는 1종 이상의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및(또는) 1종 이상의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또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 생성물은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적합한 멜라민 수지는 에테르화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에테르화되거나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포화된 모노알코올로 완전히 에테르화된 통상의 모든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이다 [예를 들면, FR-A 943 411호 또는 D.H. Solomon, The Chemistry of Organic Film Formers, 235- 240,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67 참조]. 그러나, 멜라민 수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면 문헌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Houben-Weyl), vol. 14/2, part 2, 4th ed.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63, 319 이후 참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가교 아미노플라스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본 발명에 따른 래커링에 요구되는 극한 내후성 때문에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덜 적합하다. 오히려, 내광 견뢰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시클로헥산-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2,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등 및 그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비우레트, 알로파네이트 또는 우레탄 기 및 우레트디온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및(또는)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구조를 갖도록 그로부터 제조된 화학적 변형물도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의 가역적인 차단 후에 가교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함유하는 그러한 기재 화합물은 특허 명세서 EP-A 0 003 505호, DE-A 1101 394호, US-A 3 358 010호, US-A 3 903 127호, US-A 4 324 879호, US-A 4 288 586호, DE-A 3 100 262호, DE-A 3 100 263호, DE-A 3 033 860호 및 DE-A 3 144 672호에 기재되어 있다.
가역적으로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완전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예를 들면 ε-카프로락탐, 아세톤 옥심, 부타논 옥심, 시클로헥사논 옥심, 3,5-디메틸 피라졸, 1,2,4-트리아졸 디에틸 말로네이트 및 디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와 같은 차단제와 반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ε-카프로락탐 또는 부타논 옥심에 의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차단 반응은 예를 들면 DE-A 3 004 87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10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의 양의 촉매, 예를 들면 유기주석 화합물 또는 특정 4차 아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는 본원에서 유리하다.
말론산 에스테르 또는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와의 차단 반응은 염기성 촉매, 예를 들면 소듐 페놀레이트, 소듐 메틸레이트 또는 다른 알칼리 금속 알콜레이트의 도움으로 공지된 방법 (DE-A 2 342 603 또는 2 550 156 참조)으로 수행된다. 다른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예를 들면 소듐 말로네이트도 또한 가능하다. 촉매는 반응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의 양으로 이용된다. 디알킬 말로네이트의 이용량은 이소시아네이트 당량 당 1 몰 이상이어야 하지만, 5 내지 20% 과량의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근본적으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40 내지 90%가 차단된 형태로 존재하도록 정의 A)에 해당하지만 차단되지 않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부분적으로만 차단하고, 그후에 부분적으로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성분 B)로서 적합한 유형의 폴리올을 반응시킬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 A) 및 B)의 제조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30% 이하가 여전히 유리 형태로 존재하도록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개개의 성분을 혼합하고 또한 차단되지 않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을 부분적으로 차단시키고 그후에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히드록실기의 일부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진행되는 부가 반응 후에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히드록실 기의 당량 비가 본 발명의 필수적인 범위인 0.6:1 내지 2:1 내에 드는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과잉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B)의 혼합물이 존재하도록 하는 양으로 성분 B)로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한 경우에, 성분 A)는 언급된 부분적으로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사이의 상기 반응 생성물을 포함할 것이다.
차단 반응은 용제 없이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대해 불활성인 용제 또는 용제 혼합물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가능한 용제는 다음과 같다: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글리콜 아세테이트, 에틸글리콜 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및 숙신산의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디에틸 에스테르; 케톤,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메틸 아밀 케톤; 방향족, 예를 들면 톨루엔 및 크실렌, 및 래커 화학업계에서 통상적인 고비점 탄화수소 혼합물.
상기한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제 대신에, 가소 제, 예를 들면 시판되는 인산 에스테르, 프탈산 에스테르 또는 술폰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성분 A)로서 이용될 수 있는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면 DE-A 2 342 603호, 2 436 872호, 2 550 156호, 2 612 783호, 2 612 784호 또는 2 612 785호에 기재되어 있다.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의 혼합물도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에서 성분 A)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의 성분 B)는 <5, 바람직하게는 <4, 특히 바람직하게는 <3의 불균질성 H = (Mw/Mn) - 1,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6,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2 ㎎ KOH/g의 히드록실가 및 0.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 KOH/g의 산가를 갖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하여 5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8,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6,000,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4,500의 평균 수-평균 분자량 Mn을 가진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그것은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0 내지 80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0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0.1 내지 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9.9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3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5 내지 75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0 내지 40 몰%,
b3) 아디프산 0.1 내지 20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34.9 몰%를 포함하는 47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a) 및 b), a1) 내지 a4) 및 b1) 내지 b4)의 명시된 백분율은 합이 100이 된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촉매의 도움으로 크게 촉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폴리에스테르 B)는 바람직하게는 166 내지 300의 분자량을 가진 티탄 및(또는) 주석 함유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2 내지 78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2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1 내지 4.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5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2.5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7 내지 73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2 내지 38 몰%,
b3) 아디프산 2 내지 18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29 몰%를 포함하는 47.5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에스테르화 생성물이다. a) 및 b), a1) 내지 a4) 및 b1) 내지 b4)의 명시된 백분율은 합이 100이 된다.
폴리에스테르 B)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66 내지 300의 분자량을 가진 주석 함유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4 내지 76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4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2 내지 4.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0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2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8 내지 72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4 내지 36 몰%,
b3) 아디프산 4 내지 16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24 몰%를 포함하는 48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에스테르화 생성물이다. a) 및 b), a1) 내지 a4) 및 b1) 내지 b4)의 명시된 백분율은 합이 100이 된다.
폴리에스테르 B)는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의 분자량을 가진 주석 함유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a) a1) 네오펜틸글리콜 66 내지 74 몰%,
a2) 1,6-헥산디올 24 내지 28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2.5 내지 4.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7.5 몰%를 포함하는 51 내지 52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60 내지 70 몰%,
b2)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20 내지 30 몰%,
b3) 아디프산 5 내지 15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15 몰%를 포함하는 48 내지 49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에스테르화 생성물이다. a) 및 b), a1) 내지 a4) 및 b1) 내지 b4)의 명시된 백분율은 합이 100이 된다.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문헌 ("Ullmanns Encyc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Ullmanns Encyclopa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erlag Chemie Weinheim, 4th edition (1980), volume 19, pages 61 et seq. or H. Wagner and H.F. Sarx, "Lackkunstharze [Lacquer Synthetic Resins]", Carl Hanser Verlag, Munich (1971), 86-152 페이지)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공지된 바대로 제조된다.
에스테르화는 80 내지 260 ℃,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40 ℃, 특히 바람직 하게는 160 내지 220 ℃의 에스테르화 온도에서 166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의 분자량의 티탄 및(또는) 주석 함유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필요한 값의 히드록실가 및 산가가 얻어질 때 까지 수행된다. 축합 반응 후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차단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적합한 용제에 용해된다.
성분 A)로서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독점적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에 존재하는 결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A) 및 폴리에스테르 성분 B)는 특히 양의 비가 0.6: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0.8:1 내지 1.5:1, 특히 바람직하게는 0.9:1 내지 1.3:1의 히드록실기에 대한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 비에 해당하도록 혼합된다. 성분들의 혼합은 차단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히드록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온도 미만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또한 이들 필수 결합제 성분 A) 및 B) 이외에 보조 물질 및 첨가제 또는 추가의 결합제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래커 기술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B)의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다른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예를 들면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즉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유형의 래커 용제에 가용성인 히드록시 관능성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른 올레핀계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그러한 단량체의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러 나, B)의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그러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에 존재하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히드록실 당량% 이하의 양으로 최적으로 사용된다. 그러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이 동시 사용되는 경우, 가교 성분 A)의 양은 물론 위에 언급된 한계 내에서 그에 맞게 증가되어야 하며, 특히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성분 A)로서 동시 사용된다면, 그의 양은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대 히드록실기의 당량 비가 0.6:1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B)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폴리올의 동시 사용은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
본원에서의 추가의 보조 물질 및 첨가제는 75 ℃ 이상의 비점 또는 75 ℃ 이상의 비등 범위를 갖는 통상의 용제이다. 이용되는 용제의 비점 또는 비등 범위의 상한은 특정 가열건조 조건에 따라 좌우된다. 가열건조 온도가 높을 수록, 사용될 용제의 비점도 또한 더 높아야 한다. 가능한 용제는, 예를 들면 다음 성분: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테트랄린 및 쿠멘 및 좁은 비등 범위를 가진 방향족 성분의 기술 등급 혼합물, 예를 들면 솔베소 (Solvesso)(등록상표) 100, 150 및 200 (Esso 제품); 케톤, 예를 들면 메틸 이소부틸 케톤, 디이소부틸 케톤, 이소포론 및 시클로헥사논 및 에스테르, 예를 들면 n-헥실 아세테이트, 에틸글리콜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또는 그러한 용제의 혼합물이다.
용제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A)의 제조 중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B)의 제조 중에 또한 어떠한 원하는 후기 시점에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에 임의로 존재하는 추가의 보조 물질 및 첨가제는 예를 들면 예로서 이미 언급된 유형의 가소제, 분산제, 증점제, 안료, 충전제, 유동 보조제, 광 안정화제, UV 흡수제 또는 가교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아미노플라스트 결합제의 경화는 산의 첨가에 의해 촉진된다. 매우 낮은 산가를 가진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된다면, 산 촉매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경화는 성분 A) 및 B)의 합계를 기준으로 0.5 중량%의 p-톨루엔술폰산 첨가 시에 크게 촉진된다.
이후에 산가를 증가시키고 이런 식으로 또한 추가의 산 촉매의 첨가 없이 가열건조 온도를 낮추기 위해 및(또는) 가열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낮은 산가의 폴리에스테르에, 그 폴리에스테르를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5 중량%의, 상대적으로 산인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예를 들면 말레산 무수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실온에서 액체이고 저장 안정성 혼합물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의 첨가에 의해 가공성 래커로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기재로 한 래커를 사용하여 코팅을 형성하기 위해, 이들은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분무, 침지, 색분리 (flooding)에 의해 또는 롤러 또는 닥터 블레이드의 도움으로 임의의 원하는 내열성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기재로 한 래커는 금속, 플라스틱, 목재 또는 유리 상의 코팅의 형성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기재로 한 래커는 자동 코일 래커링 공정에 의해 코팅되고 차체, 기계 및 가정 기기용 하우징, 라이닝 시트, 드럼 또는 콘테이너로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및 강철 코일 상의 코팅의 형성에 특히 적합하다. 코팅될 지지체에는 코팅 전에 적합한 프라이머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에서,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의 양은 약 5 내지 50 ㎛의 건조층 두께가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당히 더 두꺼운 층을 생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기재로 한 래커의 경화는 용도에 따라서 9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400 ℃의 온도 범위에서, 45 내지 0.25 분,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0.50 분의 시간 내에 일어난다. 경화된 코팅은 뛰어난 래커 성질을 가지며, 특히 특정 기후 조건에서의 아주 양호한 외부 내후성이 특히 강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표면 보호는 다음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모든 %는 중량%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
에틸렌 글리콜 345 g, 네오펜틸글리콜 951 g, 헥산-1,6-디올 648 g, 트리메틸올프로판 93 g, 프탈산 무수물 732 g 및 파스캐트 (Fascat) (등록상표) 41001) 0.45 g을 교반기, 칼럼이 있는 증류 브릿지 및 질소 유입관이 장치된 5 리터 교반 탱크에 칭량 첨가하고, 125 ℃로 가열하였다. 가열 주기 동안에, 단일 탱크 부피 의 질소/시간을 통과시켰다. 125 ℃에서, 이소프탈산 2,016 g 및 아디프산 321 g을 첨가하고, 질소 흐름을 탱크 부피/시간의 2배로 증가시키고 오버헤드 온도를 최대 105 ℃로 제한하며 혼합물을 220 ℃로 가열하였다. 이 절차 중에, 대부분의 반응수를 분리하고, 바닥 온도는 끝으로 가면서 220 ℃에 도달하였다. ≤3 ㎎ KOH/g의 산가가 될 때 까지 220 ℃에서 축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2 ㎎ KOH/g의 산가 및 35 ㎎ KOH/g의 OH가를 가진 중축합 생성물 약 4,500 g이 형성되었다. 솔베소 (Solvesso) (등록상표) 1502) 3부 및 DBE-에스터 (Ester)3) 1부의 용제 혼합물 1,800 g을 이 수지 2,700 g에 교반시키며 첨가하였다. 60 중량%의 고형분, 1.2 ㎎ KOH/g의 산가 및 회전 점도계 (Haake사 (Rotovisko RV 20)의 제품)로 23 ℃에서 측정된 3,661 mPas의 점도를 가진 용액이 형성되었다.
1) Elf Atochem Deutschland GmbH, Dusseldorf
2) Esso AG, Cologne
3) Lemro GmbH, Grevenbroich
실시예 2 (본 발명)
에틸렌 글리콜 345 g, 네오펜틸글리콜 1,098 g, 헥산-1,6-디올 486 g, 트리메틸올프로판 93 g, 이소프탈산 2,025 g, 프탈산 무수물 735 g 및 아디프산 321 g을 파스캐트 (등록상표) 4100 0.45 g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조건 하에서 중축합 반응시켰다. 솔베소 (등록상표) 150 / DBE-에스터 (3:1) 중의 결과 수지 용 액은 60.6 %의 고형분, 5,648 mPas의 점도, 0.8 ㎎ KOH/g의 산가 및 20.2 ㎎ KOH/g의 OH가를 가졌다.
실시예 3 (본 발명)
네오펜틸글리콜 1,392 g, 헥산-1,6-디올 588 g, 트리메틸올프로판 85 g, 이소프탈산 1,857 g, 프탈산 무수물 674 g 및 아디프산 294 g을 파스캐트 (등록상표) 4100 0.45 g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조건 하에서 ≤5 ㎎ KOH/g의 산가까지만 중축합 반응시켰다. 솔베소 (등록상표) 100 중의 결과 수지 용액은 60.4 %의 고형분, 1,644 mPas의 점도, 2.3 ㎎ KOH/g의 산가 및 23 ㎎ KOH/g의 OH가를 가졌다.
실시예 4 (본 발명)
네오펜틸글리콜 1,671 g 및 프탈산 무수물 729 g을 실시예 1에 따른 반응 탱크에서 1 탱크 부피의 질소/시간을 통과시키면서 150 ℃로 가열하고, OH가가 <635 ㎎ KOH/g이 될 때 까지 150 ℃에서 교반시켰다. 그후에, 헥산-1,6-디올 462 g, 트리메틸올프로판 87 g, 이소프탈산 1,926 g, 아디프산 306 g 및 파스캐트 (등록상표) 4100 0.45 g을 첨가하고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 ㎎ KOH/g의 산가까지 중축합 반응시켰다. 1.3 ㎎ KOH/g의 산가 및 21.5 ㎎ KOH/g의 OH가를 가진 중축합 생성물 약 4,500 g이 형성되었다. 솔베소 (등록상표) 150 3부 및 DBE-에스터 (Ester) 1부의 용제 혼합물 1,800 g을 이 수지 2,700 g에 교반시키며 첨가하였다. 62.4 중량%의 고형분 및 8,175 mPas의 점도를 가진 용액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5 (본 발명)
네오펜틸글리콜 1,456 g, 헥산-1,6-디올 615 g, 트리메틸올프로판 88 g, 이 소프탈산 1,917 g, 프탈산 무수물 696 g 및 아디프산 303 g을 파스캐트 (등록상표) 4100 0.45 g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조건 하에서 중축합 반응시켰다. 솔베소 (등록상표) 150 / DBE-에스터 (3:1) 중의 결과 수지 용액은 59.5 %의 고형분, 3,000 mPas의 점도, 1.1 ㎎ KOH/g의 산가 및 21 ㎎ KOH/g의 OH가를 가졌다.
실시예 6 (본 발명)
실시예 5와 유사한 중축합 생성물이 제조되었지만, 촉매를 사용하지 않았다. 59.3 %의 고형분, 3,140 mPas의 점도, 1.2 ㎎ KOH/g의 산가 및 21 ㎎ KOH/g의 OH가를 가진 수지 용액이 형성되었다. 필요한 산가를 얻을 때 까지의 축합 시간은 실시예 5에서 보다 3배 더 길었다.
실시예 7 (비교)
프로필렌 글리콜 88 g, 네오펜틸글리콜 1,693 g, 트리메틸올프로판 425 g, 이소프탈산 1,965 g 및 아디프산 1,002 g을 실시예 1에 따른 조건 하에서 촉매 없이 ≤5 ㎎ KOH/g의 산가까지 중축합 반응시켰다. 4.3 ㎎ KOH/g의 산가 및 130 ㎎ KOH/g의 OH가를 가진 중축합 생성물 약 4,500 g이 형성되었다. 솔베소 (등록상표) 1004) 9부 및 이소부탄올 1부의 용제 혼합물 1,575 g을 이 수지 2,925 g에 첨가하였다. 65.4 중량%의 고형분 및 2,700 mPas의 점도를 가진 용액이 형성되었다.
4) Esso AG, Cologne
실시예 8 (비교)
에틸렌 글리콜 351 g, 네오펜틸글리콜 614 g, 헥산-1,6-디올 964 g, 트리메 틸올프로판 88 g, 이소프탈산 2,215 g 및 프탈산 무수물 852 g을 실시예 1에 따른 조건 하에서 촉매 없이 ≤3 ㎎ KOH/g의 산가까지 중축합 반응시켰다. 솔베소 (등록상표) 150 / DBE-에스터 (3:1) 중의 결과 수지 용액은 59.6 %의 고형분, 7,700 mPas의 점도, 1.8 ㎎ KOH/g의 산가 및 16 ㎎ KOH/g의 OH가를 가졌다.
실시예 9 (용도)
이 실시예는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7 및 8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기재로 한 즉시 사용가능한 래커의 제조, 그의 이용 및 결과 래커 막의 시험을 기재한다.
일반적인 래커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백색 래커를 제조하고, 이를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7 및 8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각종 첨가제 및 백색 안료와 함께 준비하였다. 차단된, 내광견뢰성의 래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NCO/OH 비가 약 1:1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의 삼량체화에 의해 제조되고 부타논 옥심으로 차단된 이소시아누레이트 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솔베소 (등록상표) 100 중의 75% 용액을 그 용액의 NCO 함량을 11.1%로 하여 차단된 래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하였다.
고상 수지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총 고형분)를 기준으로 하여 다음 함량의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구성 성분 중량% 고형분 기준 고형분
촉매로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5), 솔베소 (등록상표) 200 중의 10% 1.0
셀룰로오스 (등록상표) 아세토부티레이트 CAB 531-16), 솔베소 (등록상표) 200/부틸디글리콜 (2:1) 중의 10% 2.4
유동제로서 아크로날 4 F7), 솔베소 (등록상표) 200 중의 50% 2.4
이산화 티탄 (금홍석 타입; 트로녹스 (Tronox) (등록상표) R-KB-48))을 고상 결합제 함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1의 비로 첨가하고 모든 성분을 비드 밀 상에서 함께 균질화하였다.
5) Oxydo GmbH, Emmerich
6) Krahn Chemie, Hamburg
7) BASF AG, Ludwigshafen
8) Kerr Mc Gee, Leverkusen
형성된 백색 래커를 4 ㎜ DIN 컵 (DIN 53 211)에서 솔베소 (등록상표) 200을 첨가하여 약 70초의 유동 점도로 희석하고, 미리 프라임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 (68 ㎜ x 1,590 ㎜) 알로딘 (Alodine)(등록상표) 1200 (Henkel-Technimetal Cologne사 제품의 금속 시트) 상에서 약 40-50 ㎛의 습윤 막 층 두께로 연신시키고, 300 ℃의 오븐 온도 (약 232-241 ℃ 평균 물체 온도)에서 55 내지 60초 동안 순환 공기 가열건조 오븐에서 가열건조시키고 미지근한 물로 즉시 냉각시켰다. 부크홀츠 경도 (DIN 53 153, *ECCA.T 12), 20° 및 60° 각도에서의 가아드너 광택 (DIN 67 530, *ECCA.T 2), 백색도 (DIN 6174, *ECCA.T 3), MEK 와이핑 시험에 의한 내용제성 (*NCCA 표준 II-15, 2 ㎏ 부하), 격자 시험 (cross-hatch test) 및 6 ㎜ 압입에 의한 부착력 (DIN 53 151, *ECCA.T 6), 충격 시험 (DIN 55 669, *ECCA.T 5), 탄성 (*NCCA 표준 II-19에 따른 T-굴곡 시험) 및 내마모성 (DIN 53 754; 500 사이클, 500 g 부하, CS-10 스톤)을 측정하였다.
*ECCA = 유럽 코일 코팅 협회
*NCCA = 국제 코일 코팅 협회 (USA)
표 2에 기록된 값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7 및 8을 기재로 한 코팅의 래커 성질
실시예 1 2 3 4 5 6 7 8
층 두께, ㎛ 21 20 23 21 21 20 21 20
가아드너 광택, 60°/20° 93/86 95/88 99/92 92/85 98/90 85/79 79/63 99/75
플로리다에서 36개월 후의 광택, 60° 90 91 96 89 94 83 51 95
플로리다에서 48개월 후의 광택, 60° 84 86 89 83 88 77 36 69
버거 (Berger) 백색 값 91.2 91.5 93.0 88.3 92.1 87.3 89.2 87.0
과도 가열건조 후의 백색 값, >254 ℃ 87.3 84.7 90.2 85.4 90.3 83.7 80.4 81.1
MEK 와이핑 시험, 이중 스트록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미세경화/회수 ㎛ 6.8/4.8 6.3/4.6 6.9/6.2 6.4/4.7 6.8/6.0 6.3/6.0 6.0/4.5 6.2/4.9
6 ㎜ 에릭슨 (Erichsen) 익스텐션 후의 부착력 0 0 0 0 0 0 0 1
충격 시험, inch/lb 80 80 80 80 80 80 60 60
T-굴곡 시험 부착력 T0 T0 T0 T1 T0 T0 T1 T1
T-굴곡 시험 탄성 T0 T0 T0 T1 T0 T0 T1 T1
1) 0 = 최상 값 (매우 양호한 부착력), 5 = 가장 불량한 값 (불량한 부착력, 칩핑)

표 2에 따른 래커 시험의 결과는 단단하게 부착된 내용제성 코팅이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7 및 8을 기재로 한 래커로 코일 코팅 조건 하에서 생산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과도 가열건조 후에도 출발 광택 및 백색 값은 모든 코팅에 대해 양호 내지는 아주 양호하였다. 코팅의 막 경도는 비교할 만한 수준이다. 실시예 8을 기재로 한 코팅은 약간 부족한 부착력을 나타낸다. 충격 시험에서, 실시예 1 내지 6을 기재로 한 코팅은 실시예 7 및 8을 기재로 한 코팅에 비해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실시예 7 및 8을 기재로 한 코팅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6을 기재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결정적인 이점은 플로리다에서의 4년의 외부 내후성 시험으로 연구된 아주 뛰어난 외부 내후성이다. 실시예 1 내지 6의 본 발명에 따른 래커를 기재로 한 코팅은 4년 동안의 내후성 시험 후에 광택이 약간만 손실된 반면, 실시예 7 및 8을 기재로 한 코팅은 광택이 상당히 더 크게 손실되어야 한다는 것이 여기서 분명하게 입증된다. 실시예 8을 기재로 한 코팅의 광택 손실은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래커를 기재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에 비해 36개월 동안의 내후성 시험 후에는 아주 극히 낮지만, 48개월 동안의 내후성 시험 후에는 상당히 높다는 것이 여기서 밝혀졌다. 또한, 주석 촉매와 함께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한 코팅이 실시예 6으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한 코팅 보다 더 양호한 광택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예측할 수 없었으며 아주 놀라운 것이다.

Claims (9)

  1. 실온에서의 저장에 대해 안정하고, 결합제 혼합물, 유기 용제 및 임의로 래커 기술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보조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결합제가
    A) 성분 A) 및 B)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의, 1종 이상의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및(또는) 1종 이상의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가교 성분 및
    B) 성분 A) 및 B)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98 중량%의,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성분
    의 혼합물이며, 성분 B)가 500 내지 10,000 g/mol의 평균 수-평균 분자량 Mn, 20 내지 50 ㎎ KOH/g의 히드록실가 및 0.5 내지 30 ㎎ KOH/g의 산가를 가지며, 그 성분 B)가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0 내지 80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0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0.1 내지 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9.9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3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5 내지 75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0 내지 40 몰%,
    b3) 아디프산 0.1 내지 20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34.9 몰%를 포함하는 47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며,
    A)와 B), 및 a)와 b)에 대해 명시된 백분율은 각 경우에 합이 100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가 <5의 불균질성 H [= (Mw/Mn) - 1], 20 내지 50 ㎎ KOH/g의 히드록실가 및 0.5 내지 30 ㎎ KOH/g의 산가를 갖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하여 500 내지 10,000의 평균 수-평균 분자량 Mn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성분이며, 그 성분 B)가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0 내지 80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0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0.1 내지 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9.9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3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5 내지 75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0 내지 40 몰%,
    b3) 아디프산 0.1 내지 20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34.9 몰%를 포함하는 47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며,
    a) 및 b)에 대해 명시된 백분율은 각 경우에 합이 100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성분 B)가 <4의 불균질성 H [= Mw/Mn - 1], 25 내지 46 ㎎ KOH/g의 히드록실가 및 0.5 내지 20 ㎎ KOH/g의 산가를 갖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하여 1,000 내지 8,000의 평균 수-평균 분자량 Mn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성분이며, 그 성분 B)가 166 내지 300의 분자량을 가진 티탄 및(또는) 주석 함유 촉매를 사용하여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2 내지 78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2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1 내지 4.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5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2.5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7 내지 73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2 내지 38 몰%,
    b3) 아디프산 2 내지 18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29 몰%를 포함하는 47.5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며,
    a) 및 b)에 대해 명시된 백분율은 각 경우에 합이 100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가 <3의 불균질성 H [= (Mw/Mn) - 1], 30 내지 42 ㎎ KOH/g의 히드록실가 및 0.5 내지 10 ㎎ KOH/g의 산가를 갖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하여 2,000 내지 6,000의 평균 수-평균 분자량 Mn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성분이며, 그 성분 B)가 166 내지 300의 분자량을 가진 주석 함유 촉매를 사용하여
    a) a1) 네오펜틸글리콜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64 내지 76 몰%,
    a2)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24 내지 30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2 내지 4.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10 몰%를 포함하는 50.5 내지 52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58 내지 72 몰%,
    b2)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14 내지 36 몰%,
    b3) 아디프산 4 내지 16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24 몰%를 포함하는 48 내지 49.5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며,
    a) 및 b)에 대해 명시된 백분율은 각 경우에 합이 100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가 <3의 불균질성 H [= (Mw/Mn) - 1], 30 내지 42 ㎎ KOH/g의 히드록실가 및 0.5 내지 10 ㎎ KOH/g의 산가를 갖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하여 3,000 내지 4,500의 평균 수-평균 분자량 Mn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성분이며, 그 성분 B)가 200 내지 250의 분자량을 가진 주석 함유 촉매를 사용하여
    a) a1) 네오펜틸글리콜 66 내지 74 몰%,
    a2) 1,6-헥산디올 24 내지 28 몰%,
    a3) 트리메틸올프로판 2.5 내지 4.5 몰% 및
    a4) a1) 내지 a3)과는 상이한 다른 알코올 0 내지 7.5 몰%를 포함하는 51 내지 52 몰%의 폴리올 성분과
    b) b1) 이소프탈산 60 내지 70 몰%,
    b2)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 20 내지 30 몰%,
    b3) 아디프산 5 내지 15 몰% 및
    b4) b1) 내지 b3)과는 상이한 다른 카르복실산 0 내지 15 몰%를 포함하는 48 내지 49 몰%의 폴리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며,
    a) 및 b)에 대해 명시된 백분율은 각 경우에 합이 100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교 성분 A)가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코팅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교 성분 A)가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코팅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임의의 원하는 내열성 지지체 상에 열의 영향 하에 경화될 수 있는 코팅.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코일 코팅 과정에서 금속 물체 상에 열의 영향 하에 경화될 수 있는 코팅.
KR1020027009616A 2000-01-27 2001-01-17 코일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방수 코팅용 신규 결합제 배합물 KR100699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3319A DE10003319A1 (de) 2000-01-27 2000-01-27 Neue Bindemittelkombinationen für wetterbeständige Coil-Coating-Beschichtungen
DE10003319.9 200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213A KR20020074213A (ko) 2002-09-28
KR100699383B1 true KR100699383B1 (ko) 2007-03-26

Family

ID=762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616A KR100699383B1 (ko) 2000-01-27 2001-01-17 코일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방수 코팅용 신규 결합제 배합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680358B2 (ko)
EP (1) EP1268597B1 (ko)
JP (1) JP2003523467A (ko)
KR (1) KR100699383B1 (ko)
CN (1) CN1239552C (ko)
AT (1) ATE298770T1 (ko)
AU (1) AU2001225170A1 (ko)
BR (1) BR0107843B1 (ko)
CA (1) CA2397956C (ko)
DE (2) DE10003319A1 (ko)
ES (1) ES2244578T3 (ko)
HK (1) HK1053664A1 (ko)
MX (1) MXPA02007288A (ko)
WO (1) WO2001055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00256B2 (en) * 2003-01-11 2011-04-28 Anton Andre Sohn Gmbh Method for coating metallic surfaces,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s produced in said manner
ATE414751T1 (de) * 2003-03-20 2008-12-15 Cytec Surface Specialties Sa Heisshärtbare pulverzusammensetzungen für lacke
DE102004026904A1 (de) 2004-06-01 2005-12-22 Basf Ag Hochfunktionelle, hoch- oder hyperverzweigte Polyester sowi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20060094858A1 (en) * 2004-10-28 2006-05-04 Turner Sam R Novel co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at low temperatures
CN100358957C (zh) * 2005-04-26 2008-01-02 上海振华造漆厂 一种卷材用聚氨酯底漆
US20060276599A1 (en) * 2005-06-05 2006-12-07 Dewitt Julie A Weatherstrip coating
US7763323B2 (en) * 2005-09-06 2010-07-27 Valspar Sourcing, Inc. Cross-linked polyester protective coatings
CN100513500C (zh) * 2007-04-09 2009-07-15 周树东 一种自固化聚氨酯绝缘漆及其制备方法
CH700916B1 (de) * 2007-07-17 2010-11-15 Geobrugg Ag Verbauungsvorrichtung für fliessende Gewässer.
EP2586839B2 (en) 2011-10-27 2017-06-21 King Saud University A method for coating a coil of metal
JP6496723B2 (ja) * 2013-10-16 2019-04-03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ティ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BASF Coatings GmbH 水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該コーティング組成物を用いたトップコートの生産
JP2015193835A (ja) * 2014-03-28 2015-11-0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缶用塗料
EP3075801A1 (en) 2015-04-03 2016-10-05 Holland Novochem Technical Coatings B.V. Coating composition
PL3211049T3 (pl) 2015-04-03 2022-01-10 Holland Novochem Technical Coatings B.V. Kompozycja powlekająca
EP3628710A1 (en) 2018-09-26 2020-04-01 Holland Novochem Technical Coatings B.V. Coating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204A (en) 1995-03-14 1998-04-14 Degussa Aktiengesellschaft Heat-curable coating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0156C2 (de) 1975-11-07 1983-12-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cyanatgemischen mit blockierten Isocyanatgruppen und ihre Verwendung in Polyuretan-Einbrennlacken
DE2621657C3 (de) 1976-05-15 1984-02-16 Bayer Ag, 5090 Leverkusen Überzugsmittel zur Herstellung von Coil-Coat-Beschichtungen
US4205115A (en) 1978-04-19 1980-05-27 Ppg Industries, Inc. Polyester coating composition
DE3046409A1 (de) 1980-12-10 1982-07-15 Bayer Ag, 5090 Leverkusen Beschichtungsmittel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eberzuegen
DE3337394A1 (de) 1983-10-14 1985-05-02 Herberts Gmbh, 5600 Wuppertal Steinschlagschutzschicht-lack,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DE3918510A1 (de) 1989-06-07 1990-12-13 Basf Lacke & Farb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einschlagbestaendigen beschichtungen
DE4100204A1 (de) 1991-01-05 1992-07-09 Bayer Ag Beschichtungsmittel und sein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en
JPH08165442A (ja) * 1994-12-15 1996-06-25 Kansai Paint Co Ltd 屋外での汚れ防止性に優れた塗膜を形成できる塗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204A (en) 1995-03-14 1998-04-14 Degussa Aktiengesellschaft Heat-curable coat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9552C (zh) 2006-02-01
BR0107843B1 (pt) 2010-11-16
AU2001225170A1 (en) 2001-08-07
US20030023025A1 (en) 2003-01-30
US6680358B2 (en) 2004-01-20
DE50106632D1 (de) 2005-08-04
EP1268597A1 (de) 2003-01-02
WO2001055239A1 (de) 2001-08-02
KR20020074213A (ko) 2002-09-28
MXPA02007288A (es) 2002-12-09
BR0107843A (pt) 2002-10-22
ES2244578T3 (es) 2005-12-16
EP1268597B1 (de) 2005-06-29
DE10003319A1 (de) 2001-08-02
JP2003523467A (ja) 2003-08-05
CN1396934A (zh) 2003-02-12
ATE298770T1 (de) 2005-07-15
CA2397956A1 (en) 2001-08-02
CA2397956C (en) 2009-10-20
HK1053664A1 (en) 200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553B1 (ko) 폴리에스테르폴리올및2성분계폴리우레탄코팅조성물중의결합제성분으로서의그의용도
KR100699383B1 (ko) 코일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방수 코팅용 신규 결합제 배합물
US6992133B2 (en) Low VOC, coat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impact resistance based upon nonlinear, low-molecular weight polyester polyol resins
US20040242741A1 (en) High-solids binder combinations for scratch-resistant topcoats
US6458898B1 (en) Two-component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ster polyols as a binder component
US5260138A (en) Coating composition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coatings
US6184332B1 (en) Polyester polyols and their use as the polyol component in two-component polyurethane paints
JP3318459B2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二成分型ポリウレタンラッカー及び塗膜
US5319056A (en) Polyester polyols and their use in two-component polyurethane lacquers
US4798859A (en) Polyhydroxyl compounds containing ester and ether groups as reactive diluents
US4894430A (en) New polyester polyols and their use as polyol component in two-component polyurethane lacquers
US6863863B2 (en) Coating composition,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in the production of textured coated surfaces
US7462680B2 (en) Binder combinations for highly resistant plastic paints
CA1245670A (en) High-solids polyester coating composition
JPH07316498A (ja) 塗料組成物、およびプレコート鋼板の製造方法
JP3602644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H0573156B2 (ko)
JPH07316497A (ja) 塗料組成物及びプレコート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