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723B1 - 문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23B1
KR100695723B1 KR1020050007385A KR20050007385A KR100695723B1 KR 100695723 B1 KR100695723 B1 KR 100695723B1 KR 1020050007385 A KR1020050007385 A KR 1020050007385A KR 20050007385 A KR20050007385 A KR 20050007385A KR 100695723 B1 KR100695723 B1 KR 10069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rame
core member
door
chassi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563A (ko
Inventor
권혁율
Original Assignee
권혁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율 filed Critical 권혁율
Priority to KR102005000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7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간편하고 변형이 없으며, 정밀도가 우수하여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립이 이루어지는 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내측에 하니콤코아와 무늬목의 결합체인 코아부재를 섀시프레임으로 상,하,좌,우로부터 외측으로부터 감싸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측으로서 상기 코아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엔 무늬목 형태 및 합성수지캡 형태의 표면마감재를 결합 설치하며, 필요시 상기 코아부재의 표면엔 별도의 마감재와 숯내장체를 설치하여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하고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의 단순화에 의하여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문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장식미의 향상과 공기정화, 탈취 살균, 음이온 발생, 방부, 유해전자파 차단 기능 등 실내의 쾌적한 환경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문, 코아부재, 섀시프레임, 표면마감재, 숯내장체

Description

문{Door}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례로서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3은 도2의 정면도,
도4는 도3의 상부 좌우방향 단면도로서 일부 생략한 확대도,
도5는 도3의 하부 좌우방향 단면도로서 일부 생략한 확대도,
도6은 도3의 상하방향 단면도로서 일부 생략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측 코아부재, 3: 외측 섀시프레임,
7: 표면마감재, 9: 오토시일,
10: 하니콤코아, 12: 무늬목부재,
14: 별도 마감재, 16: 숯내장체,
30: 좌우프레임. 40: 상부프레임,
50: 하부프레임, 70: 전후마감재,
74: 측면마감재, 78: 상부마감재
본 발명은 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간편하고 변형이 없으며, 정밀도가 우수하여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립이 이루어지는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있어서 실내에 사용되고 있는 문은 목재를 이용하여 이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공장에서 제작된 문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재문은 공장에서 제작시에 접착제와 태커(Tacker)를 사용하여 여러 구성부품을 조립 고정하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태커자국이 남게 되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문은 조립후에도 도장 및 건조 등의 여러 과정을 거쳐 조립완성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여러 규격에 따라 일일이 생산하여야만 하므로 제품의 표준화가 어렵고 숙련공만이 제작이나 현장의 설치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품질관리가 어려운 취약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장재료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시공후 일정기간 동안에는 새집증후군이라 일컬어지는 실내환경상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는 일부 요인이 되기도 한다.
더우기, 문의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소재인 목재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특성상 문의 제작과정에서나 기공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자체의 건조가 이루어지면서 문이 전체적으로 휘거나 뒤틀어지는 변형 현상이 발생하여 하자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하지 못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문을 이루게 되는 골조 역할을 수행하는 프레임은 목재가 아닌 섀시를 사용하여 시공 이후 사용 중에 변형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마감재는 목재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그대로 살리도록 하여 심미감을 발휘하여 실내분위기를 유지 내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을 이루게 되는 구성부품을 서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타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서로 조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외부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배제시키고, 사전에 규격에 맞는 구성부품을 준비하였다가 주문 사양에 맞추어 곧바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형태로 구성하여 문 자체의 제작이나 현장의 설치작업이 보다 손쉽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품질관리면에서 항상 고품질의 일정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도 충분하게 부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내측 코아부재를 외측 섀시프레임으로 상,하,좌,우로부터 외측으로부터 감싸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섀시프레임의 외측으로서 상기 코아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엔 표면마감재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문에 있어서, 상기 섀시프레임은 일체형으로서 압출 성형이 이루어지고 좌우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서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프레임은 내측의 구획공간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 및 결합수용부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내측의 구획공간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 및 결합수용부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측의 구획공간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 및 상,하 결합수용부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는 각각 다수의 결합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마감재는 전후마감재, 측면마감재 및 상부마감재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전후마감재 및 상기 측면마감재는 무늬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서 내측에 다수의 결합요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와 서로 억지끼워맞춤하여 서로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프레임과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내측 결합수용부엔 내측코아부재를 끼워 고정 결합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 결합수용부엔 상부마감재를 결합하여 마감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측 결합수용부엔 오토시일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문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대하여 보다 상세 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 코아부재(1)를 외측 섀시프레임(3)으로 상,하,좌,우로부터 외측으로부터 감싸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섀시프레임(3)의 외측으로서 상기 코아부재(1)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엔 표면마감재(7)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코아부재(1)는 하니콤코아(10)와 무늬목부재(12)의 결합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섀시프레임(3)은 일체형으로서 압출 성형이 이루어지고 이는 좌우프레임(30,30)과 상부프레임(40) 및 하부프레임(50)으로 구분되고 서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프레임(30,30)은 내측의 구획공간(32)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34) 및 결합수용부(36)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40)은 내측의 구획공간(42)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44) 및 결합수용부(46,48)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50)은 내측의 구획공간(52)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54) 및 상,하 결합수용부(56,58)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34,44,54)는 각각 다수의 결합턱(35,45,5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마감재(7)는 전후마감재(70), 측면마감재(74) 및 상부마감재(78)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전후마감재(70) 및 상기 측면마감재(74)는 무늬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34,44,54)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서 내측에 다수의 결합요부(72,76)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34,44,54)와 서로 억지끼워맞춤하여 서로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프레임(30)과 상기 상,하부프레 임(40,50)의 내측 결합수용부(36,46,56)엔 내측코아부재(1)를 끼워 고정 결합하고 상기 상부프레임(40)의 외측 결합수용부(48)엔 상부마감재(78)를 끼워 고정결합하여 마감하며 상기 하부프레임(50)의 외측 결합수용부(58)엔 오토시일(9)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필요시에 상기 코아부재(1)의 표면엔 별도의 마감재(14)와 숯내장체(16)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숯내장체(16)는 상기 내측코아부재(1)중 일부를 비워 설치공간부(18)를 형성하고 이 설치공간부(18)에 숯이 내장된 자루 형태의 숯부재(20)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외측으로 다수의 통공(24)이 형성된 외측 수지마감판재(22,22)를 결합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문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우선, 조립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구성되는 요소로서 규격에 맞도록 하니콤코아(10)와 무늬목부재(12)를 서로 접합하여 내측코아부재(1)를 준비하되, 필요한 경우에 내측코아부재(1)의 외측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14)를 준비하고, 상기 하니콤코아(10)의 일측에는 설치공간부(18)를 형성하고 여기에 수용 설치하기 위한 숯부재(20)와 수지마감판재(22,22)를 각각 준비한다.
또한, 그 이외의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외측 섀시프레임(3)으로서 좌우프레임(30), 상부프레임(40) 및 하부프레임(50)을 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별도로 준비하고, 표면마감재(7)인 전후마감재(70), 측면마감재(74), 상부마감재(78) 및 오토시일(9)을 각각 준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문을 조립하여 제작하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는 미리 필요한 규격에 맞게 준비해 놓은 상태이므로 이들 구성요소를 서로 순서에 따라 조립 고정하면 되는데, 바람직한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측코아부재(1)의 경우 하니콤코아(10)의 양측에 무늬목부재(12,12)를 접합하여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내측코아부재(1)의 외측에서 이를 감싸는 형태로 외측 섀시프레임(3)을 결합하여 고정 설치하되, 좌우프레임(30) 및 상,하부프레임(40,5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결합수용부(36,46,56)에 상기 내측코아부재(1)가 끼워 결합된 상태로 서로 고정 설치한다.
이때, 숯내장체(16)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측코아부재(1)의 적절한 위치에 미리 설치공간부(18)를 마련하고, 이 설치공간부(18)에 숯부재(20)를 넣고 양측으로부터 수지마감부재(22,22)를 설치하여 숯내장체(16)을 설치하며, 상기 수지마감판재(22,22)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4)에 의하여 외기와 접촉되면서 숯의 다양한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외측 섀시프레임(3)의 외측에 표면마감재(7)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좌우프레임(30)의 전후방향 및 측방 표면에는 전후마감재(70) 및 측면마감재(74)를 각각 고정 결합하여 설치하고 상,하부프레임(40,50)의 전후방향 표면에는 전후마감재(70)를 각각 고정 결합하여 설치하되, 좌우프레임(3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34)를 이용하여 전후마감재(70)의 결합요부(72)와 측면마감재(74)의 결합요부(76)를 서로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고 상,하부프레임(40,5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44,55)를 이용하여 전후마감재(70)를 서로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결합돌기(34,44,54)에 형성된 톱니 형태인 다수의 결합턱(35,45,55)에 의하여 서로 빠지거나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프레임(40)의 결합수용부(48)엔 별도로 마련된 수지캡 형태의 상부마감재(78)을 결합하여 마감처리하고, 하부프레임(50)의 결합수용부(58)엔 오토시일(9)을 설치한다.
물론, 내측코아부재(1)의 외측에 장식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감처리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마감재(14)를 이용하여 이를 무늬목부재(12)의외측에 접합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문은 문을 이루게 되는 골조 역할을 수행하는 외측 섀시프레임(3)은 목재가 아닌 섀시를 사용하면서 내측에는 별도의 코아부재(1)와 결합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공 이후 사용 중에 변형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표면마감재(7)로서 전후마감재(70), 측면마감재(74) 및 상부마감재(78)를 포함하여 필용한 경우 별도의 마감재(14)를 사용하므로 목재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상응되는 심미감을 발휘하여 실내분위기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을 이루게 되는 구성부품을 서로 끼우거나 접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타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서로 조립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외부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배제시킬 수 있으며, 이러 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부품을 사전에 규격에 맞는 표준화된 부품 형태로 준비하였다가 주문 사양에 맞추어 곧바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문 자체의 제작이나 현장의 설치작업이 보다 손쉽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품질관리면에서도 항상 일정한 고품질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도 충분하게 부응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구성부품의 특성상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하고 조립이나 시공작업의 단순화에 의하여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문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장식미의 향상과 함께 숯내장체(16)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공기정화, 탈취 살균, 음이온 발생, 방부, 유해전자파 차단 기능 등 실내의 쾌적한 환경이 확보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내측 코아부재(1)를 외측 섀시프레임(3)으로 상,하,좌,우로부터 외측으로부터 감싸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섀시프레임(3)의 외측으로서 상기 코아부재(1)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엔 표면마감재(7)를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문에 있어서,
    상기 섀시프레임(3)은 일체형으로서 좌우프레임(30,30)과 상부프레임(40) 및 하부프레임(50)으로 구분되고 서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프레임(30,30)은 내측의 구획공간(32)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34) 및 결합수용부(36)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40)은 내측의 구획공간(42)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44) 및 결합수용부(46,48)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50)은 내측의 구획공간(52)과 외측의 다수 결합돌기(54) 및 상,하 결합수용부(56,58)를 각각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34,44,54)는 각각 다수의 결합턱(35,45,5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마감재(7)는 전후마감재(70), 측면마감재(74) 및 상부마감재(78)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전후마감재(70) 및 상기 측면마감재(74)는 무늬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34,44,54)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서 내측에 다수의 결합요부(72,76)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34,44,54)와 서로 억지끼워맞춤하여 서로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프레임(30)과 상기 상,하부프레임(40,50)의 내측 결합수용부(36,46,56)엔 내측코아부재(1)를 끼워 고정 결합하고 상기 상부프레임(40)의 외측 결합수용부(48)엔 상부마감재(78)를 끼워 고정 결합하여 마감하며 상기 하부프레임(50)의 외측 결합수용부(58)엔 오토시일(9)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50007385A 2005-01-27 2005-01-27 KR10069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385A KR100695723B1 (ko) 2005-01-27 2005-01-2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385A KR100695723B1 (ko) 2005-01-27 2005-01-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480U Division KR200382768Y1 (ko) 2005-01-27 2005-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563A KR20060086563A (ko) 2006-08-01
KR100695723B1 true KR100695723B1 (ko) 2007-03-15

Family

ID=3717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385A KR100695723B1 (ko) 2005-01-27 2005-01-27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246A (zh) * 2014-12-02 2015-03-11 浙江上臣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柜门的门扇插片拼接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167A (ko) * 2000-03-31 2001-11-03 우에시마 세이스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KR20020083758A (ko) * 2001-04-30 2002-1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30060515A (ko) * 2002-01-09 2003-07-16 이종현 Tv방송의 문자송출기능과 셋톱박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tv방영물의 정보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167A (ko) * 2000-03-31 2001-11-03 우에시마 세이스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KR20020083758A (ko) * 2001-04-30 2002-1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30060515A (ko) * 2002-01-09 2003-07-16 이종현 Tv방송의 문자송출기능과 셋톱박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tv방영물의 정보제공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951670000
2002837580000
200360515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563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723B1 (ko)
US20110036036A1 (en) Door facing alignment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door
KR200382768Y1 (ko)
WO2007141805A3 (en)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ildenafil citrate
KR200478900Y1 (ko) 현관용 목재 도어
KR200228995Y1 (ko) 가구용 몰딩부재
KR200458953Y1 (ko) 조립식 경량칸막이
JP2004132040A (ja) 断熱ドア
KR101492412B1 (ko)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구조체
CN205663059U (zh) 一种新型节能建筑墙体
JP6012939B2 (ja) 扉の製造方法
JPH07197742A (ja) ストアフロント
JP3457571B2 (ja) サッシ窓
KR100622544B1 (ko)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JP3073123B2 (ja) サッシ枠一体化粧材
JP2010018963A (ja) 間仕切り用格子構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施工方法
KR200458954Y1 (ko) 조립식 경량칸막이
JP2019078094A (ja) 建具
KR200272154Y1 (ko) 창문틀
CA3114828C (en) Door panel
KR101058235B1 (ko) 복합패널
KR20170017319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KR200375913Y1 (ko) 셔터용 하단 마감부재
KR200287652Y1 (ko) 결합 구조의 문틀
JP2009287253A (ja) 装飾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