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544B1 -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544B1
KR100622544B1 KR1020050077177A KR20050077177A KR100622544B1 KR 100622544 B1 KR100622544 B1 KR 100622544B1 KR 1020050077177 A KR1020050077177 A KR 1020050077177A KR 20050077177 A KR20050077177 A KR 20050077177A KR 100622544 B1 KR100622544 B1 KR 10062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sh
assembly
chassis
tempered glass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용
Original Assignee
문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246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225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용 filed Critical 문수용
Priority to KR102005007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5Glaz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투광 및 투시용 측벽으로 시공되는 강화유리벽에 있어서, 특히 샷시를 내부 샷시와 외부 샷시로 분할 형성하되, 내부 샷시는 일체화된 마감부재를 측면으로부터 일시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외부 샷시에 의해서는 상기 내부 샷시 및 마감부재를 동시에 고정되게 함은 물론 글라스패널의 틈새가 다양한 형태로 노출되게 함으로서,
샷시 조립체의 용이한 조립성과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도, 샷시 조립체의 외부 샷시 만을 도장 및 열처리하면 되는 것이므로 그 제작원가가 크게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샷시의 노출부분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더욱 뛰어난 외장적 특징을 갖게 한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샷시, 강화유리벽, 계지돌조, 마감부재, 도장, 외부샷시, 틈새마감구

Description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Sash assembly for supporting tempered gla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를 이용한 강화유리벽의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의 결합과정도로서,
도 3a는 마감부재와 내부샷시의 결합과정도
도 3b는 외부샷시의 결합과정도
도 3c는 결합상태의 샷시조립체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를 이용한 강화유리벽의 시공상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의 타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크리트 벽체 2 : 마감부재
3,3' : 글라스패널 4 : 결합돌조
5 : 밀착홈조
10 : 내부샷시 11 : 계지돌조
12 : 지지판 13 : 연결홈조
20 : 외부샷시 21 : 걸림돌조
22 : 압지편 23 : 틈새마감구
24 : 고정요홈조 25 : 삽입홈
26 : 확장부 27 : 지지구
28 : 계지구 29 : 노출구
30 : 치합돌기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투광 및 투시용 측벽으로 시공되는 강화유리벽에 있어서, 그 강화유리벽의 글라스패널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샷시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샷시조립체의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여 경제적 효과가 뛰어나게 하면서도, 글라스패널의 사이로 노출되는 부분을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어 그 활용도 및 외장적 특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각종 건축물의 전면부를 글라스패널에 의한 강화유리벽으로 시공하는 예가 빈번하고, 이러한 강화유리벽은 투광성이 뛰어나 실내 공간의 조도를 향상시켜 불필요한 조명등의 사용을 제한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취하게 하면서도,
답답한 실내공간으로부터 탈피하여 실외를 조망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깨끗하고 시원한 느낌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강화유리벽을 대중음식점이나 커피숍 등에 적용하는 경우 실외에서도 실내의 분위기나 인테리어 등을 관측하거나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한 선택을 가능케 하면서도, 깨끗하고 청결한 이미지를 갖게 함으로서 보다 높은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강화유리벽에 사용되는 글라스패널은 일반 판유리가 아니라, 고강도의 내구성은 물론 내부식성, 내산성, 내화학성, 방음 및 방수, 단열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벽체와 비교하여도 구조적 특성에 전혀 손색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글라스패널을 이용하여 강화유리벽을 시공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글라스패널은 생산할 수 있는 크기에 한계가 뒤따르므로 일정한 폭을 갖는 글라스패널을 연속하여 부착 고정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글라스패널 지지구로는 압출 성형 된 알루미늄재 샷시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재 샷시가 실내로 노출됨에 따라 실내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실내로 노출되는 샷시의 측주면에 다양한 무늬 및 질감,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합성수지의 마감부재를 부착 형성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샷시조립체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압출 성형된 샷시의 측면에 합성수지의 마감부재를 부착 형성하는 것이므로, 샷시와 마감부재의 사이에 접착액을 도포한 후 그 마감부재를 샷시에 부착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서 그 작업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지연되는 것이며, 화학약품을 사용하여야 하는 접착제의 특성상 그 접착제에 의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휘산되면서 새집증후군과 같은 질병을 유발케 하는 것이며,
실내를 향하는 샷시의 측면과 전면에 부착되는 마감부재의 틈새는 또다른 조각의 틈새마감구에 의해 틈새를 메우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그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면서도 많은 부품의 소요에 따른 부품관리의 번거로움을 함께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4-87958호와 같이, 글라스패널을 지지 고정키 위한 사이드어셈블리와 미들어셈블리에 있어서, 그 샷시의 노출 측주면에 적어도 2열 이상의 "T"상 돌출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노출 측주면에 부착되는 마감부재의 일측에는 "T"상 요홈조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돌출조와 요홈조의 상호 슬라이딩 계지 결합에 의해 그 샷시와 마감부재가 결합되게 함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갖는 접착제의 사용 없이 샷시와 마감부재의 결합이 가능한 것이며, 그 조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작업을 완성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며, 단일의 규격을 갖는 동일한 마감부재만으로도 모든 샷시의 노출면에 결합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호환성이 뛰어나 생산성 및 부품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마감부재를 압출 성형함에 있어, 그 마감부재의 원료에 분말상의 숯이나 황토 및 나노은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서, 원적외선의 방사는 물론 항균작용 및 탈취작용을 겸하게 함으로서 보다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갖게 하는 강화유리벽의 글라스패널 지지용 샷시조립체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샷시조립체 역시 과도한 제작원가의 소요는 물론 정형화된 디자인 및 일체화된 형태로 압출 생산되므로 동일한 외장적 형태 및 규격을 갖는 제한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샷시조립체에 있어, 그 샷시는 알루미늄재를 압출 생산한 다음 그 표면에 원하는 색상의 도장면을 채색한 상태에서 그 도장면의 수명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일체로 압출 성형된 샷시는 글라스패널의 사이 및 그 글라스패널과 겹쳐지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해당 부분의 채색 및 열처리 가공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노출부분만의 도장 및 열처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작업공정의 특수성 및 부품의 크기에 따른 부분작업의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대부분 그 샷시 전체를 도색 및 열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 도장 및 열처리에 따라 그 과정에서 비교적 많은 시간을 투자 하게 되는 것이며, 그 비용 또한 전체 생산원가의 1/3에 해당하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작된 샷시는 모두 압출 성형되는 일체의 구조물이므로, 필요에 의해 양측 글라스패널의 간격을 보다 넓게 하고 싶거나, 글라스패널의 단부를 마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페이서 또는 몰딩을 부가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원가 상승 및 작업 공정이 추가되는 어려움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다수로 분할된 마감패널을 각각 슬라이딩 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동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샷시를 내부 샷시와 외부 샷시로 분할 형성하되, 내부 샷시는 일체화된 마감부재를 측면으로부터 일시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외부 샷시에 의해서는 상기 내부 샷시 및 마감부재를 동시에 고정되게 함은 물론 글라스패널의 틈새가 다양한 형태로 노출되게 함으로서,
샷시 조립체의 용이한 조립성과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도, 샷시 조립체의 외부 샷시 만을 도장 및 열처리하면 되는 것이므로 그 제작원가가 크게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샷시의 노출부분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더욱 뛰어난 외장적 특징을 갖게 한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를 이용한 강화유리벽의 시공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샷시조립체의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콘크리트 벽체(1)의 내측벽에 일정간격을 갖는 샷시를 수직 입설하고, 그 샷시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마감부재(2)를 형성하며, 상기 샷시의 전면에는 서로 이웃하는 샷시의 사이에 고정되는 글라스패널(3)(3')이 위치하는 공지의 강화유리벽용 샷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샷시를 마감부재(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부샷시(10)와, 상기 마감부재(2)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외부샷시(20)로 분할 형성하고, 별도의 마감부재(2)는 상기 내부샷시(10)의 측주면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단일의 압출 수지체로 형성하되,
상기 내부샷시(10)의 일단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계지돌조(11)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샷시(20)의 일측 중앙에는 서로 대응된 글라스패널(3)(3')의 각 단부가 밀착되는 틈새마감구(23)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샷시(20)는 상기 계지돌조(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걸림돌조(21)에 의해 상기 내부샷시(10)와 체결되게 하고, 상기 마감부재(2)는 일단 내측에 상기 내부샷시(10)의 계지돌조(11) 외측에 계지 결합되는 결합돌조(4)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어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내부샷시(10)의 계지돌조(11)의 내측에는 지지판(12)을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내부샷시(10)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연결홈조(13)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외부샷시(20)의 양측단에는 내부샷시(10)를 향하는 경사상의 압지편(22)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마감부재(2) 양측단에는 대응 경사상의 밀착홈조(5)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샷시(20)의 결합에 의해 마감부재(2)의 양측이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틈새마감구(23)의 일측에는 내부샷시(10)를 향하여 함몰된 고정요홈조(24)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샷시(10)의 내측에는 일체의 지지판(1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고정요홈조(24)와 지지판(12)을 볼트 체결함으로서 내부샷시(10)와 외부샷시(20)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외부샷시(20)의 틈새마감구(23)는,
글라스패널(3)(3')의 두께와 일치되는 간격의 삽입홈(25)을 외부샷시(20)의 일측 전면에 양측으로 절곡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상기 글라스패널(3)(3')의 단부가 은폐되게 한 일정폭의 확장부(26)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외부샷시(2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격 상태의 지지구(27)를 형성하고, 그 지지구(27)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계지구(28)를 갖는 보다 확장폭의 노출구(29)를 별도로 형성하되,
상기 지지구(27)의 내측면과 상기 계지구(28)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경사상 치합돌기(30)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내부샷시(10)와 외부샷시(20)의 틈새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샷시조립체는 목적하고자 하는 위치의 콘트리트 벽체(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벽체(1)의 내측면과 밀접하여 설치되는 양측단의 샷시조립체와,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입설되는 내측의 샷시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샷시조립체는 종래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샷시(10)와 외부샷시(20) 및 마감부재(2)로 각기 분할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내부샷시(10)는 도장이나 열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일 부품인 외부샷시(20) 만을 도장 및 열처리하면 되므로 그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간소화를 통해 제조원가의 절감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샷시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도 3a의 도시와 같이 일측 내부로 대향 돌출된 경사상의 계지돌조(11)를 갖는 내부샷시(10)에 별도의 마감부재(2)를 삽입하여 고정하되,
상기한 마감부재(2)는 종래와 같이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내부샷시(10)의 형상에 따라 "ㄷ"자 상으로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한 내부샷시(10)의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시키면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한 마감부재(2)의 양단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조(4)는 상기 내부샷시(10)의 계지돌조(11) 외측으로 삽입되면서 이들을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는 도 3b의 도시와 같은 것으로서, 이들 내부샷시(10)와 마감부재(2)의 결합 상태에서 그 일측방향으로 별도의 외부샷시(20)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외부샷시(20)의 일측으로는 일체의 걸림돌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걸림돌조(21)를 상기 내부샷시(10)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한 걸림돌조(21)가 그 계지돌조(11)에 탄력적으로 계지되면서 그 외부샷시(2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외부샷시(20)의 양측단에는 상기 내부샷시(10)를 향하여 절곡된 압지편(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압지편(22)은 그 마감부재(2)의 양측 단부에 각기 형성된 경사상의 밀착홈조(5)와 서로 맞닿으면서 그 경사면에 의해 마감부재(2)의 양측을 내측으로 모아지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한 외부샷시(20)의 체결에 의해 그 내부샷시(10) 및 외부샷시(20), 마감부재(2)가 동시에 서로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된다.
또한, 도 3c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결합상태를 갖는 각각의 구성품에 있어, 그 외부샷시(20)의 중앙에 함몰 형성된 고정요홈조(24) 및 상기 내부샷시(1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판(12)에 별도의 고정볼트(도면에는 미도시함)을 체결하여 이들을 서로 나사 체결하면 더욱 견고한 고정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상태의 샷시조립체는 그 마감부재(2)가 다수로 분할되지 않고 단일의 압출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표면이 더욱 매끄럽고 고급스러운 것이며, 샷시의 도장 및 열처리 과정에 있어서도 내부로 은폐되는 내부샷시(10)는 도장 및 열처리를 하지 아니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샷시(20) 만을 도장하면 되므로 도장 및 열처리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절감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샷시조립체는 분할된 글라스패널(3)(3')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기둥으로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한 외부샷시(20)의 외측 중앙에는 돌출상의 틈새마감구(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글라스패널(3)(3')의 양단을 틈새마감구(23)에 밀착하여 실링 처리하면 보다 매끄러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내부샷시(10)의 수직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연결홈조(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연결홈조(13)는 상하로 샷시조립체를 연장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그 샷시조립체의 내측에 별도의 연결부재(도면에는 미도시함)를 삽입한 후 상기 연결홈조(13)의 외측으로부터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홈조(13)에 의해 고정볼트 등의 머리부가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마감부재(2)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외부샷시(20)의 타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외부샷시(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틈새마감구(23)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더욱 뛰어난 외장적 특징 및 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는 상기한 틈새마감 구(23)를 형성함에 있어 양측으로 일정폭의 삽입홈(25)을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는 보다 넓은 폭의 확장부(26)를 형성하여 상기한 글라스패널(3)(3')의 각 단부가 그 삽입홈(25)의 내부로 삽입되게 고정시키면 글라스패널(3)(3')의 단부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더욱 매끄러운 조립 표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글라스패널(3)(3')의 두께가 각기 상이할 경우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외부샷시(20)로부터 분리되는 별도의 노출구(29)를 이용하여 적절한 간격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외부샷시(20)의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구(27)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노출구(29)의 일측으로는 그 지지구(27)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계지구(28)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구(27)와 계지구(28)에 대응 형성된 치합돌기(30)에 의해 그 노출구(29)가 상기 외부샷시(20) 측으로 압입 위치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글라스패널(3)(3')의 삽입상태에서 상기 글라스패널(3)(3')의 표면과 노출구(29)의 내측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노출구(29)를 눌러 압압하면 상기 치합돌기(30)가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노출구(29)가 글라스패널(3)(3') 측으로 압압 계지되면서 그 틈새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보다 다양한 두께의 글라스패널(3)(3')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다양한 형태의 틈새마감구(23) 및 노출구(29) 등은 그 샷시조립체 전체를 교환하거나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외부샷시(10) 만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내부샷시(10)에 체결하여 조립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는, 샷시 조립체의 용이한 조립성과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도, 샷시 조립체의 외부 샷시 만을 도장 및 열처리하면 되는 것이므로 그 제작원가가 크게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샷시의 노출부분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더욱 뛰어난 외장적 특징을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콘크리트 벽체(1)의 내측벽에 일정간격을 갖는 샷시를 수직 입설하고, 그 샷시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마감부재(2)를 형성하며, 상기 샷시의 전면에는 서로 이웃하는 샷시의 사이에 고정되는 글라스패널(3)(3')이 위치하는 공지의 강화유리벽용 샷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샷시를 마감부재(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부샷시(10)와, 상기 마감부재(2)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외부샷시(20)로 각각 분할 형성하고, 별도의 마감부재(2)는 상기 내부샷시(10)의 측주면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단일의 압출 수지체로 형성하되,
    상기 내부샷시(10)의 일단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계지돌조(11)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샷시(20)에는 상기 계지돌조(11)와 대응상의 걸림돌조(21)와 틈새마감구(23)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샷시(20)는 상기 계지돌조(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걸림돌조(21)에 의해 상기 내부샷시(10)와 체결되게 하고, 상기 마감부재(2)는 일단 내측에 상기 내부샷시(10)의 계지돌조(11) 외측에 계지 결합되는 결합돌조(4)를 형성하여 상기 계지돌조(11)의 외측에 서로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샷시(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연결홈조(1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샷시(20)의 양측단에는 내부샷시(10)를 향하는 경사상의 압지편(22)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마감부재(2) 양측단에는 대응 경사상의 밀착홈조(5)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샷시(20)의 결합에 의해 마감부재(2)의 양측이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틈새마감구(23)의 일측에는 내부샷시(10)를 향하여 함몰된 고정요홈조(24)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샷시(10)의 내측에는 일체의 지지판(1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고정요홈조(24)와 지지판(12)을 볼트 체결함으로서 내부샷시(10)와 외부샷시(20)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샷시(20)의 틈새마감구(23)를, 글라스패널(3)(3')의 두께와 일치되는 간격의 삽입홈(25)을 외부샷시(20)의 일측 전면에 양측으로 절곡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상기 글라스패널(3)(3')의 단부가 은폐되게 한 일정폭의 확장부(26)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샷시(20)의 틈새마감구(23)를, 외부샷시(2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격 상태의 지지구(27)를 형성하고, 그 지지구(27)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계지구(28)를 갖는 보다 확장폭의 노출구(29)를 별도로 형성하되,
    상기 지지구(27)의 내측면과 상기 계지구(28)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경사상 치합돌기(30)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내부샷시(10)와 외부샷시(20)의 틈새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KR1020050077177A 2005-08-23 2005-08-23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KR10062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177A KR100622544B1 (ko) 2005-08-23 2005-08-23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177A KR100622544B1 (ko) 2005-08-23 2005-08-23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544B1 true KR100622544B1 (ko) 2006-09-13

Family

ID=3762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177A KR100622544B1 (ko) 2005-08-23 2005-08-23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26B1 (ko) 2012-07-11 2015-01-23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비접착식 복합 창호 프레임 및 복합 창호
KR101566931B1 (ko) * 2013-12-30 2015-11-09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782B1 (ko) * 1995-05-11 1998-12-15 강기식 건축용 알루미늄 샷시
KR200283678Y1 (ko) 2002-04-23 2002-07-27 주부돈 폐 스틸렌폼을 이용한 복합 창틀
KR200293137Y1 (ko)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0373246Y1 (ko) 2004-11-01 2005-01-14 문수용 강화유리벽의 글라스패널 지지용 샷시조립체
KR20050040953A (ko) * 2003-10-29 2005-05-04 정경진 판유리 지지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782B1 (ko) * 1995-05-11 1998-12-15 강기식 건축용 알루미늄 샷시
KR200283678Y1 (ko) 2002-04-23 2002-07-27 주부돈 폐 스틸렌폼을 이용한 복합 창틀
KR200293137Y1 (ko)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050040953A (ko) * 2003-10-29 2005-05-04 정경진 판유리 지지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373246Y1 (ko) 2004-11-01 2005-01-14 문수용 강화유리벽의 글라스패널 지지용 샷시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26B1 (ko) 2012-07-11 2015-01-23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비접착식 복합 창호 프레임 및 복합 창호
KR101566931B1 (ko) * 2013-12-30 2015-11-09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315B2 (en) Prefabricated structure of composite window/door apparatus using different frame materials
KR101713539B1 (ko) 건축용 내장패널
KR100622544B1 (ko)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ES2624005T3 (es) Elemento de sellado para un panel de construcción ligera
KR20110065744A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JP2008513638A (ja) 中実のドアフレームおよびスライドドアアッセンブリ
KR200445778Y1 (ko) 마감부재의 결합성이 향상된 샷시조립체
KR100753474B1 (ko) 복합창호새시
KR102071319B1 (ko)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0476660Y1 (ko) 욕실 천정판넬
US20120031023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100923115B1 (ko) 창호용 프레임과 장식단열재의 개선된 결합구조
KR20100125614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JPS6349482Y2 (ko)
JP4995638B2 (ja) 断熱ドア
KR200475250Y1 (ko) 장식띠를 갖는 샌드위치판넬
KR101297456B1 (ko) 복합형 칸막이 프레임
JP2010275752A (ja) コーナーサッシ窓
KR100623041B1 (ko) 강화유리벽의 글라스패널 지지용 샷시조립체
JPS6115231B2 (ko)
KR102078731B1 (ko) 스텐레스 절곡바를 이용한 원터치 조립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10009173U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200373246Y1 (ko) 강화유리벽의 글라스패널 지지용 샷시조립체
KR200272154Y1 (ko) 창문틀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610

Effective date: 2011030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10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627

Effective date: 2021062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4300;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726

Effective date: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