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404B1 -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404B1
KR100695404B1 KR1020010072615A KR20010072615A KR100695404B1 KR 100695404 B1 KR100695404 B1 KR 100695404B1 KR 1020010072615 A KR1020010072615 A KR 1020010072615A KR 20010072615 A KR20010072615 A KR 20010072615A KR 100695404 B1 KR100695404 B1 KR 10069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rubber pad
bracket
power steering
stee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100A (ko
Inventor
김판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7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4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8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62D5/064Pump driven independently from vehicle engine, e.g. electric driven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bracket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commo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급관을 기어박스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고무패드를 일체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공급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유압이 이동되는 공급관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브라켓을 구비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공급관이 억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설치부의 일측이 상기 공급관의 진입시 확장되고 진입 후 복원되도록 개구부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고무패드, 브라켓, 개구부, 자유단, 강제 압입, 일체형

Description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FEED TUBE FIXING DEVICE OF POWER STEER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공급관 고정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고정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공급관 110:기어박스
111:고정대 120:고무패드
121:설치공 130:브라켓
131:설치부 132:개구부
135:연장부 136:고정공
137:고정볼트
본 발명은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이 이동되는 공급관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차량이나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차량에서는 스티어링장치와 연결된 타이어의 접지저항이 크기 때문에 이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큰 스티어링 조작력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유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 등으로 배력장치를 추가하여, 작은 스티어링 조작력으로도 동작가능하고, 신속한 스티어링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이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다.
이중에 유압펌프를 장착한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제어밸브와, 이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으로 인해 그 내부의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 기능을 갖춘 기어박스를 구비하여 마련된다.
한편, 유압펌프와 유압제어밸브 및 기어박스의 사이에는 유압이 공급되는 측과 유압이 복귀되는 측으로 각각 공급관이 마련되고, 이 공급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기어박스의 외부에는 공급관 고정장치가 마련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공급관 고정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공급관을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원통형의 설치공(11)이 마련되되, 이 설치공(11)의 각각의 측면으로는 공급관이 진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무패드(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고무패드(10)의 외측에는 고무패드(10)의 외부면과 대응되도록 그 내부면이 장공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금속재의 브라켓(20)이 설치되는데, 이 브라켓(20)은 그 내부에 고무패드(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할 형성된다.
즉, 브라켓(20)의 일측은 내부에 고무패드(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21)에는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 연장부(23)가 형성된다.
또, 연장부(23)에는 고정공(24)과 고정너트(25)를 형성하고, 이 고정공(24)과 고정너트(25)에 고정볼트(26)를 체결한다.
그리고, 브라켓(20)의 타측은 그 사이에 고무패드(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21)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고정부(21)와 분리 형성되는 착탈부(22)로 마련된다.
아울러, 고무패드(10)와 브라켓(20)에는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체결공(27)이 마련되고, 이 체결공(27)에는 체결볼트(28)가 삽입되어 고정부(21)와 착탈부(22)의 사이에 고무패드(10)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는 고무패드를 고정하는 브라켓이 양측으로 분할되어있으므로, 고무패드와 브라켓과의 결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어박스에 고정된 고정부에 고무패드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공급관을 삽입한 후 고정부와 마주하는 측에 착탈부를 설치하고 다시 브라켓과 고무패드에 형성된 체결공의 내부로 볼트를 체결시켜야하므로, 그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관을 기어박스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고무패드를 일체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공급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는, 유압이 이동되는 공급관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브라켓을 구비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공급관이 억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설치부의 일측이 상기 공급관의 진입시 확장되고 진입 후 복원되도록 개구부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고정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이 공급되는 측과 복귀하는 측으로 각각의 공급관(100)이 마련되고, 기어박스(110)의 일측에는 이를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공(미도시)을 가진 고정대(111)가 연장 형성된다.
한편, 이 고정대(111)에는 공급관(100)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길게 연장 설치 되는 공급관(100)의 중간측을 지지해주게 되는데, 이 공급관(100) 고정장치는 유압이 이동되는 공급관(100)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 고무패드(120)와, 이 고무패드(120)를 고정대(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브라켓(130)으로 구비된다.
즉, 고무패드(120)는 유압에 의한 맥동 및 외부 진동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켜줄 수 있도록 연성재질인 고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공급관(100)을 감싸도록 내부에 설치공(121)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고무패드(120)의 일측은 공급관(100)이 측면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는데, 이 개구 형성된 부분은 공급관(100)이 억지 끼워질 수 있도록 이 보다 작은 지름으로 마련되어 공급관(100)이 삽입 후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고무패드(120)는 유압이 공급되는 측과 유압이 복귀되는 측의 공급관(10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두 개가 마련된다.
또한, 고무패드(120)의 외측으로는 이를 고정대(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브라켓(130)이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브라켓(130)은 고무패드(120) 및 공급관(100)의 설치가 용이해지도록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즉,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두 개의 고무패드(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설치부(131)가 두 개 마련되는데, 이 설치부(131)의 각각의 일측면으로는 고무패드(120)의 개구된 부분과 연통될 수 있도록 개구부(132)가 마련된다.
이때, 개구부(132)는 공급관(100)의 진입시 확장되고 진입 후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자유단으로서 마련된다.
아울러, 브라켓(130)의 타측으로는 설치부(131)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35)가 마련되고, 이 연장부(135)에는 고정공(136)이 마련되며, 이 고정공(136)에는 고정볼트(137)가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는, 원통형으로 마련된 브라켓(130)의 설치부(131)에 고무패드(120)를 각각 설치하는데, 이때 설치부(131)의 개구부(132)와 고무패드(120)의 개구 형성된 부분을 서로 연통시켜 브라켓(130)과 고무패드(120)를 조립한다.
그리고, 기어박스(110)의 고정대(111)에 브라켓(130)의 연장부(135)를 배치하고, 연장부(135)에 형성된 고정공(136)과 고정대(111)에 형성된 지지공을 연통시킨 후 그 내부에 고정볼트(137)를 삽입 체결하여 고정대(111)에 고정장치를 장착한다.
또, 유압이 공급되는 측과 유압이 복귀되는 측의 공급관(100)을 브라켓(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고무패드(120)의 설치공(121) 내부로 진입시키는데, 이때 개구부(132)는 탄성적인 자유단으로 마련되어 공급관(100)의 진입시 외측으로 확장되므로, 공급관(100)은 브라켓(130)의 개구부(132)와 고무패드(120)의 내부로 강제 압입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는,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의 내부에 고무패드를 설치하고, 이 고무패드의 내부에 공급관을 강제 압입 설치하게되므로, 그 조립공정이 단순해지고, 이 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유압이 이동되는 공급관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브라켓을 구비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120)는 상기 공급관(100)이 억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고무패드(120)가 설치되는 설치부(131)의 일측이 상기 공급관(100)의 진입시 확장되고 진입 후 복원되도록 개구부(132)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131)는 상기 브라켓(13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고무패드(120)는 상기 설치부(131)에 각각 삽입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KR1020010072615A 2001-11-21 2001-11-21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KR10069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615A KR100695404B1 (ko) 2001-11-21 2001-11-21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615A KR100695404B1 (ko) 2001-11-21 2001-11-21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100A KR20030042100A (ko) 2003-05-28
KR100695404B1 true KR100695404B1 (ko) 2007-03-15

Family

ID=2957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615A KR100695404B1 (ko) 2001-11-21 2001-11-21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9787B (zh) * 2014-12-30 2018-04-06 曼胡默尔滤清器(上海)有限公司 基于单橡胶垫配合多支架的汽车塑料件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4366A (ja) * 1989-04-25 1990-11-21 Kitagawa Kogyo Kk クランプ
JPH069329U (ja) * 1992-07-02 1994-02-04 アラコ株式会社 すべり止め付きクリップ
KR970051510U (ko) * 1996-02-26 1997-09-08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
JPH11165675A (ja) * 1997-12-03 1999-06-22 Honda Motor Co Ltd ワイヤハーネス類の係止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4366A (ja) * 1989-04-25 1990-11-21 Kitagawa Kogyo Kk クランプ
JPH069329U (ja) * 1992-07-02 1994-02-04 アラコ株式会社 すべり止め付きクリップ
KR970051510U (ko) * 1996-02-26 1997-09-08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클립
JPH11165675A (ja) * 1997-12-03 1999-06-22 Honda Motor Co Ltd ワイヤハーネス類の係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100A (ko)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813A (en) Brake actuat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2767613B2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KR100695404B1 (ko)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공급관 고정장치
JP2016175426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3865610B2 (ja) リザーバの取付構造
KR970007736B1 (ko) 파워스티어링용 파이프 체결구조
JP3755728B2 (ja) シリンダチューブに対する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20120093483A (ko) 차량용 부스터 조립체
CN216741905U (zh) 一种用于电动压缩机的减震结构
KR200281978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KR970003524Y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탱크 취부구조
KR200181181Y1 (ko) 차량의 마스터실린더 장착구조
KR200285914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JPH11247814A (ja) 止め輪組付け構造
KR100534357B1 (ko) 차량용 마이크 장착구조
KR0131911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유압호스 설치구조
KR100232469B1 (ko) 파워스티어링용 파이프 체결구조
KR0114488Y1 (ko) 유압식 브레이크 및 클러치장치의 튜브 체결구조
KR0152734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지지장치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960002946Y1 (ko) 전자식 abs 브레이크
KR101013535B1 (ko)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실린더 튜브와 피드튜브의 조립 구조물
KR100392655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용 마운팅 구조
KR200290164Y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KR0115999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