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164Y1 -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164Y1
KR200290164Y1 KR2019970033277U KR19970033277U KR200290164Y1 KR 200290164 Y1 KR200290164 Y1 KR 200290164Y1 KR 2019970033277 U KR2019970033277 U KR 2019970033277U KR 19970033277 U KR19970033277 U KR 19970033277U KR 200290164 Y1 KR200290164 Y1 KR 200290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hydraulic cylinder
corrugated pipe
surround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879U (ko
Inventor
이강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코
Priority to KR2019970033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1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8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로릭 실린더를 감싸고 있는 몸체(110)와,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120) 내주면으로 형성된 푸시 로드(140)와, 상기 몸체(110)의 끝단과 결합되어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는 주름관(13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120)를 감싸고 있는 몸체(110) 끝단에 고정부(113)와 돌출된 경사면(115)이 수개 형성되어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고정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서 종래 보다 매우 용이하게 주름관을 고정부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되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로릭 실린더를 감싸는 몸체의 끝단 원주면에 고정부 쪽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주름관의 몸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고정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대형화되고 고속화되어 큰 클러치의 단속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클러치 페달의 답력은 같아도 단속력 수배로 증대시키기 위해서 고속주행의 차량이나 큰 차량을 적은 답력으로 확실히 클러치를 단속시켜 운전자의 노력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안전성을 높힌 클러치의 배력장치가 승용차 및 화물차, 버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클러치의 단속력을 증가시키는 원리는 하이드로닉 실린더 피스톤과는 별도로 파워 피스톤을 설치하고 여기에 진공과 대기압과의 차압을 가하거나 압축공기를 가하거나 하여 작동하는 힘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는 클러치의 배력장치는 클러치 페달과 클러치의 사이에 장치되어 에어 밸브 및 진공 밸브의 개폐를 클러치 페달에 의해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작동하는 것이 특징인데 상기 클러치 페달의 답력은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클러치 배력장치→릴레이 밸브와 하이드로닉 실린더→릴레이 밸브의 작동으로 압축공기 공급의 순서로 전달되는 외에 파워 실린더의 A, B실에 생기는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는 파워 피스톤의 힘이 이것에 가해져 클러치 단속력이 배가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클러치의 배력장치에는 압축공기식 클러치의 배력장치이고 이 압축공기식 클러치의 배력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들은 진공식 클러치의 배력장치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압축공기식 클러치의 배력장치(50)에 대한 특징적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겠다.
먼저 몸체(10) 하부 내주면으로 하이드로릭 실린더(Hydraulic Cylinder: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하이드로릭 실린더(20)가 형성된 몸체(10)의 끝단에 수축이 자유로운 주름관(60)이 결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2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전후진 하는 푸시 로드(Push Rod:30)가 주름관(6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몸체(10)의 일측에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한 파워 피스톤(4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의 주름관 구조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로 압축공기를 만들어, 압축공기압을 파워 피스톤의 왼쪽 챔버(A)로 끌어들여 배력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제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클러치용 배력장치의 몸체에 주름관을 조립할 때 작업자가 직각으로 이루어진 몸체에 주름관을 억지로 벌리고 잡아당겨서 끼우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제품을 생산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어려워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이드로릭 실린더를 감싸는 몸체의 끝단 원주면에 고정부 쪽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여 주름관의 억지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종래 보다 원활하게 주름관을 고정부에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덜어 주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는 하이드로릭 실린더를 감싸고 있는 몸체와,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 내주면으로 형성된 푸시 로드와, 상기 몸체의 끝단과 결합되어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를 감싸고 있는 몸체 끝단에 고정부와 돌출된 경사면이 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부분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이 장착된 클러치의 배력장치의 사용상태 부분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단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00 : 클러치의 배력장치 110 : 몸체
113 : 고정부 115 : 경사면
120 : 하이드로릭 실린더 130 : 주름관
140 : 푸시 로드 150 : 돌출 지지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장착된 클러치의 배력장치의 사용상태 부분 측단면도로서 클러치 페달의 답력은 같아도 상기 클러치의 단속력을 수배로 증대시켜 큰 구동력이 전달되는 대형 차량에서도 적은 답력으로 확실한 클러치의 단속을 시켜 운전자의 노력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안전성을 높이는 클러치의 제동배력장치(100)는 하이드로릭 실린더(120)를 감싸고 있는 몸체(110)에 에어 밸브의 개폐를 클러치 페달에 의해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가 발생시킨 유압으로 배력장치가 응답하도록 각종의 부품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하이드로릭 실린더(120) 내주면으로는 클러치 페달의 답력으로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배력장치에 의해서 배력된 힘이 하이드로닉 피스톤에 전달되어 이 힘을 푸시로드(140)에 전달되게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끝단 외주면에는 돌출된 고정부(113)가 형성되어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는 주름관(130)이 푸시 로드(14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고정부(113)는 주름관(13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움푹 패인 결합홈 형성되어 있고 그 끝단에는 돌출된 경사면을 구비한 리브(115)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단면도로서 기본적인 구성들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겠다.
먼저 하이드로릭 실린더(120)를 감싸고 있는 몸체(110) 끝단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150)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주름관(130)이 삽입되는 고정부(113) 쪽으로 일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구비한 리브(115)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이하 다른 실시예도 같음)은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주름관의 몸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주름관을 고정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서 종래에 없었던 경사면으로 인해 매우 용이하게 주름관을 고정부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주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이드로릭 실린더를 감싸는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고정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서 종래 보다 매우 용이하게 주름관을 고정부에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되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하이드로릭 실린더를 감싸고 있는 몸체(110)와,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120) 내주면으로 형성된 푸시 로드(140)와, 상기 몸체(110)의 끝단과 결합되어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는 주름관(13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120)를 감싸고 있는 몸체(110) 끝단에 고정부(113)와 돌출된 경사면을 구비한 리브(115)가 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릭 실린더(120)를 감싸고 있는 몸체(110) 끝단에 고정부(113)와 수개의 경사면을 구비한 리브(115)를 갖는 돌출된 돌출지지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KR2019970033277U 1997-11-21 1997-11-21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KR200290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277U KR200290164Y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277U KR200290164Y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879U KR19990019879U (ko) 1999-06-15
KR200290164Y1 true KR200290164Y1 (ko) 2003-02-19

Family

ID=4939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277U KR200290164Y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1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879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1803B2 (ja) 気圧式倍力装置
KR200290164Y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배력장치
JP4411031B2 (ja) 空気式ブレーキブースター及びこのようなブースターに取り付けられたマスターシリンダを備えたシステム
US4416191A (en) Vacuum booster device
US20230133986A1 (en) Brake Actuating Device
JP4392494B2 (ja) ブレーキ作動装置
KR200252534Y1 (ko) 클립 내장형 진공 호스
KR101029135B1 (ko) 브레이크 부스터
JPH0143343Y2 (ko)
KR200298858Y1 (ko) 자동차용제동배력장치의주름관구조
KR101143876B1 (ko) 브레이크 부스터용 시일
US20030209139A1 (en) Tandem vacuum booster with extensible bellow air sleeve
KR0115999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KR0130693Y1 (ko) 브레이크 부스터의 리테이너및 시일 조합체
KR200181746Y1 (ko)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JPH11247814A (ja) 止め輪組付け構造
US20040035287A1 (en) Brake booster for motor vehicle
KR19980060646U (ko) 자동차용 진공배력장치의 진공콘넥트
JPH0618130U (ja) 気圧式倍力装置
JP2004262268A (ja) 負圧倍力装置
KR20070077321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bas
KR19980013587U (ko) 브레이크 부스터의 파워피스톤 결합구조
KR19980055470U (ko) 진공배력장치의 다이어프렘고정용 리테이너
KR19990030032U (ko) 재동배력장치용 가이드밸브바디 고정구조
KR19990016827A (ko) 부스터의 스터드 볼트 고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