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746Y1 -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46Y1
KR200181746Y1 KR2019970024812U KR19970024812U KR200181746Y1 KR 200181746 Y1 KR200181746 Y1 KR 200181746Y1 KR 2019970024812 U KR2019970024812 U KR 2019970024812U KR 19970024812 U KR19970024812 U KR 19970024812U KR 200181746 Y1 KR200181746 Y1 KR 200181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ster
input rod
flow path
opened
rea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457U (ko
Inventor
서영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페달답력을 받는 입력로드의 전방에 장착되는 밸브의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의 압력차로 출력 피스톤에 배력을 작용하는 부스터를 지닌 자동차에서, 상기 밸브는 입력로드의 진행에 따라 후방챔버에 대기압을 형성하도록 개방되는 유로외에 입력로드의 최전방 위치에서만 개방되는 보조유로를 추가로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주행시 급박한 상황에서 급제동을 가하면 부스터가 초기에 충분한 배력을 신속히 형성하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본 고안은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주행시 급박한 상황에서 급제동을 가하면 부스터가 초기에 충분한 배력을 신속히 형성하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Booster for Automobile Brake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장치에는 외부의 힘을 이용하여 페달답력을 증가시키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이하 "부스터"라 칭함)가 사용된다. 부스터의 외력에는 주로 흡기다기관의 흡입부압이나 유압펌프의 유압을 이용한다. 어느 경우에나 마스터 실린더에 배력과 페달답력을 작용하지 않는 릴리스 상태, 배력만 작용하는 부분제동 상태, 배력과 페달답력을 동시에 작용하는 완전제동 상태의 3가지 동작 모드를 지닌다.
흡입부압을 이용하면 배력계수가 작고 부하에 따라 변동되나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고, 유압펌프를 이용하면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큰 배력계수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흡입부압을 이용하는 부스터는, 공기의 유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급제동시 완전제동 모드에 이르는 시간이 비교적 길어 노약자나 여성 운전자는 제대로 그 배력기능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 주행시 급박한 상황에서 급제동을 가하면 부스터가 초기에 충분한 배력을 신속히 형성하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주요부를 부분 확대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력효과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흡입포트, 11a: 전방챔버, 12: 대기포트, 12a: 후방챔버, 13: 다이아프램, 14: 페달링크, 15: 입력로드, 16: 밸브, 16a: 유로, 16b: 보조유로, 17: 출력 피스톤, 18: 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페달답력을 받는 입력로드의 전방에 장착되는 밸브의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의 압력차로 출력 피스톤에 배력을 작용하는 부스터를 지닌 자동차에서, 상기 밸브는 입력로드의 진행에 따라 후방챔버에 대기압을 형성하도록 개방되는 유로외에 입력로드의 최전방 위치에서만 개방되는 보조유로를 추가로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페달링크(14)를 통해 페달답력을 받는 입력로드(15)의 전방에 장착되는 밸브(16)의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전방챔버(11a) 및 후방챔버(12a)의 압력차로 출력 피스톤(17)에 배력을 작용하는 부스터를 지닌 자동차에 적용한다.
참고적으로 부스터는 다이아프램(13)에 의해 전방챔버(11a) 및 후방챔버(12a)로 구분된다. 전방챔버(11a)는 흡입포트(11)를 통해 흡기 다기관에 연결되어 부압을 얻고, 후방챔버(12a)는 대기포트(12) 및 밸브(16)를 통해 대기압을 얻는다. 일단이 다이아프램(13)에 연결되는 출력 피스톤(17)의 전방에는 마스터 실린더(도시 생략)가 장착된다.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달링크(14)에 페달답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밸브(16)가 후퇴되어 유로(16a)가 닫힌다. 이 상태는 릴리스 모드로서 전방챔버(11a)와 후방챔버(12a)가 모두 부압을 받도록 연통되어 배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밸브(16)는 입력로드(15)의 진행에 따라 후방챔버(12a)에 대기압을 형성하도록 개방되는 유로(16a)외에 입력로드(15)의 최전방 위치에서만 개방되는 보조유로(16b)를 추가로 지닌다. 보조유로(16b)의 작용은 도2의 (a) 및 (b)를 통해 명확해진다.
도 2의 (a)는 부분제동 모드로서 입력로드(15)가 전진하면서 유로(16a)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전방챔버(11a)는 부압이 후방챔버(12a)는 대기압이 형성되어 압력차에 의한 배력이 발생되고, 출력 피스톤(17)은 마스터 실린더를 가압하여 부분제동에 들어간다.
도 2의 (b)는 완전제동 모드로서 입력로드(15)가 순간적으로 스프링(18)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최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보조유로(16b)도 개방된다.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후방챔버(12a)에 대기압이 형성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급제동이 실현된다. 도시에는 없으나 완전제동 모드에서는 입력로드(15) 및 출력 피스톤(17)이 접촉하여 페달답력도 부가된다. 이후 입력로드(15)가 스프링(18)의 반력으로 약간 후퇴하여도 유로(16a)는 개방되어 있고 입력로드(15)와 출력 피스톤(17)의 접촉은 유지되므로 배력의 크기에는 변함이 없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력효과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표가 도시된다. 도표에서 A는 종래의 경우이고 B는 본 고안의 경우인데, 도표의 절곡점은 완전제동 상태로 되는 순간을 의미한다. 완전제동에 도달하는 부스터의 입력(즉, 페달답력)을 비교하면 본 고안의 경우가 작다.
이에 따라 급제동에 필요한 부스터 출력이 종래보다 빠른 시간내에 형성되므로 여성이나 노인 운전자가 위급한 상황에서 적은 힘으로도 급제동을 작동시킬 수 있다. 완전제동 직후 도표 A 및 B는 나란히 진행하므로 부스터 출력은 동일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는 자동차 주행시 급박한 상황에서 급제동을 가하면 부스터가 초기에 충분한 배력을 신속히 형성하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페달답력을 받는 입력로드의 전방에 장착되는 밸브의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의 압력차로 출력 피스톤에 배력을 작용하는 부스터를 지닌 자동차에서,
    상기 밸브는 입력로드의 진행에 따라 후방챔버에 대기압을 형성하도록 개방되는 유로외에 입력로드의 최전방 위치에서만 개방되는 보조유로를 추가로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KR2019970024812U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KR200181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12U KR200181746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12U KR200181746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57U KR19990011457U (ko) 1999-03-25
KR200181746Y1 true KR200181746Y1 (ko) 2000-06-01

Family

ID=1950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812U KR200181746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57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7522A1 (en) Braking system having vacuum booster whose boosting ratio is lowered at fixed transition point at which wheel cylinder pressure increase is initiated
JP4718006B2 (ja) 自動車用のブレーキ力昇圧装置
CN202966284U (zh) 一种单膜片式真空助力器
JP2001106052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200181746Y1 (ko)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KR100356856B1 (ko) 비상제동기능을 갖는 차량의 브레이크시스템
JP5716901B2 (ja) 気圧式倍力装置
US4468926A (en) Vehicle brake booster
JP2618672B2 (ja) ブレーキ液圧の増圧装置
US6076351A (en) Power braking system with improved hydraulic reaction
KR100250252B1 (ko) 배큠 서보 브레이크 배력장치
KR0131413Y1 (ko)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KR100250124B1 (ko) 차량용 제동 장치의 부스터
JPH0751413Y2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装置
KR0115625Y1 (ko) 자동차 브레이크 안전장치
JPH0939775A (ja) 車両の液圧ブレーキ装置
KR200173864Y1 (ko) 자동차 제동장치 부스터식과 기계식 겸용의 구조
KR19990050616A (ko) 후방 진공 연결포트가 구비된 부스터
JPH1191546A (ja) ブレーキ装置
US20020060112A1 (en) Hydraulic brake device
JPH0986372A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H0340683Y2 (ko)
KR20040033888A (ko) 차량용 제동장치의 브레이크페달과 브레이크부스터의연결구조
JP2002002478A (ja) ブレーキ増圧マスタシリンダ
KR20050118394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