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13Y1 -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13Y1
KR0131413Y1 KR2019960020676U KR19960020676U KR0131413Y1 KR 0131413 Y1 KR0131413 Y1 KR 0131413Y1 KR 2019960020676 U KR2019960020676 U KR 2019960020676U KR 19960020676 U KR19960020676 U KR 19960020676U KR 0131413 Y1 KR0131413 Y1 KR 0131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device
master cylinder
vacuum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784U (ko
Inventor
심종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20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413Y1/ko
Publication of KR980007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페달(2)과 마스터실린더(4) 사이에 흡기다기관의 진공을 이용한 배력장치(6)가 연결 설치되는 일체식 진공 제동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력장치(6)가 연결된 마스터실린더(4)의 타단에 또 하나의 배력장치(20)를 더 설치하되, 상기 마스터실린더(4)의 피스톤(18)으로부터 작동축(18a)을 연장하고, 이 작동축(18a)의 단부를 상기 배력장치(20)의 밸브플런저(22)와 연결시켜 두개의 배력장치(6,20)가 연동되도록 하여, 브레이크페달(2)을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밟더라도 동일하거나 보다 향상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운전자의 노력을 한층 더 경감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보다 안전성 있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기다기관의 진공력을 이용한 마스터실린더 일체형 제동배력장치에 있어서, 마스터실린더의 후단에 배력장치를 하나더 구비하여 이를 마스터실린더와 연결함으로써 제동력을 향상시킨 자동차 진공 제동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는 흡기다기관의 진공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을 수배로 증대시켜 고속주행의 차량이나 중량이 큰 차량을 적은 답력으로 확실히 제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마스터실린더에 연결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진공 제동배력장치는 흡기다기관의 부압 또는 대기압을 도입하는 배력장치가 마스터실린더와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과, 본 고안과 관련이 있는 마스터실린더와 일체로 된 일체형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상기한 일체형 배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로서, 일체형 배력장치는 브레이크페달(2)과 마스터실린더(4) 사이에 배력장치(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 배력장치(6)에는 흡기다기관의 진공이 작용하는 파이프(8)가 연결되며, 브레이크페달(2)을 밟으면 이 배력장치(6)와 마스터실린더(4)의 작용으로 유압이 전,후륜의 휘일실린더(9,9a)를 작동시켜 제동된다.
이와 같은 진공 제동배력장치는 자동차 특히 가솔린 자동차에서는 일반화 되어 있는 공지의 기술로서 그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는 바, 그 작동관계만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브레이크페달(2)의 답력은 작동로드(10)에 작용하고, 이 작동로드(10)의 힘은 배력장치(6)의 밸브플런저(12), 리액션디스크(14), 푸시로드(16) 및 마스터실린더(4)의 피스톤(18)의 순서로 전달되며, 그외에 다이아프램(20)의 양측 쳄버(A,B)에 흡기다기관의 진공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이 및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한 힘이 다이아프램(20)에 작용하여 브레이크(2) 답력이 배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 제동배력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노력을 경감시킴과 아울러 제동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장치이나, 특히 여성운전자나 다리가 불편한 사람에게 있어서는 이와 같은 배력장치를 통해서도 양호한 제동력을 발생시키기에는 부담스러운 점이 있었으며, 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바, 더욱 작은 힘으로도 확실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배력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작은 브레이크페달 답력으로도 보다 큰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브레이크페달과 마스터실린더 사이에 흡기다기관의 진공을 이용한 배력장치가 연결 설치되는 일체식 진공 제동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력장치가 연결된 마스터실린더의 타단에 또하나의 배력장치를 더 설치하되, 상기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으로부터 작동축을 연장하고, 이 작동축의 단부를 상기 배력장치의 밸브플런저와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여 두개의 배력장치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제동력을 한층 더 배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자동차의 진공 제동 배력장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 제동배력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브레이크페달 4 : 마스터실린더
6,20 : 배력장치 18 : 피스톤
22 : 밸브플런저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 제동배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본 고안의 진공 제동배력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2) 및 이의 작동로드(10)와 마스터실린더(4) 사이에 배력장치(6)가 설치된 공지의 진공 제동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4)의 단부에 상기 배력장치(6)와 동일한 또하나의 배력장치(2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즉, 마스터실린더(4)의 피스톤(18)의 단부로부터 작동축(18a)을 연장하고, 이 작동축(8a)의 단부를 상기 배력장치(20)의 밸브플런저(22)와 연결시켜 구성한다.
본 고안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페달(2)을 밟으면, 이의 답력은 배력장치(6)에서 배가되어 마스터실린더(4)의 피스톤(18)을 작동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마스터실린더(4)의 피스톤(18) 단부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배력장치(20)의 밸브플런저(2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배력장치(20)도 앞의 배력장치(6)와 같이 흡기다기관의 진공력으로 연동되어, 그 힘이 피스톤(18)을 더욱 당기게 되므로 피스톤(18)의 작동력을 더욱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을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 밟더라도 동일하거나 보다 향상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되어 운전자의 노력을 한층 더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성 있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브레이크페달(2)과 마스터실린더(4) 사이에 흡기다기관의 진공을 이용한 배력장치(6)가 연결 설치되는 일체식 진공 제동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력장치(6)가 연결된 마스터실린더(4)의 타단에 또 하나의 배력장치(20)를 더 설치하되, 상기 마스터실린더(4)의 피스톤(18)으로부터 작동축(18a)을 연장하고, 이 작동축(18a)의 단부를 상기 배력장치(20)의 밸브플런저(22)와 연결시켜 두개의 배력장치(6,20)가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KR2019960020676U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KR0131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76U KR0131413Y1 (ko)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76U KR0131413Y1 (ko)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784U KR980007784U (ko) 1998-04-30
KR0131413Y1 true KR0131413Y1 (ko) 1999-06-01

Family

ID=1946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676U KR0131413Y1 (ko)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4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784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800B2 (en) Control system for hydraulic braking system
EP0827887A3 (en)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US4787685A (en) Slip-controlled brake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including vacuum power generator assembly used both as brake power booster and as modulator
SE8402830D0 (sv) Hydraulisk bromskraftforsterkare
CN202966284U (zh) 一种单膜片式真空助力器
KR0131413Y1 (ko)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JP5716901B2 (ja) 気圧式倍力装置
US3503210A (en) Hydraulic cylinder assembly
KR0111712Y1 (ko) 자동차의 진공식 주차브레이크 장치
US6527349B2 (en) Hydraulic brake device
US3766736A (en) Master cylinder for power and no-power actuation
KR200181746Y1 (ko) 자동차 브레이크용 부스터
JPS5836754A (ja) 真空倍力装置
KR100250124B1 (ko) 차량용 제동 장치의 부스터
KR0134888Y1 (ko) 자동차의 탠덤 마스터 실린더 구조
JPS6219474Y2 (ko)
KR19980072652A (ko)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KR100639486B1 (ko) 이중 배력 타입 부스터를 갖춘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0192262B1 (ko) 페달과 부스터 병렬배치형 브레이크의 부스터 작동장치
KR940000678Y1 (ko) 싱글 에어 오버 하이드로릭 브레이크 시스템
CN201245148Y (zh) 一种橡胶式复合倍力比真空助力器
KR20050118394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JPS60261774A (ja) 車両におけるブレ−キ作動装置およびクラツチ作動装置の配設構造
KR19990008663A (ko) 부스터의 스터드 볼트 고정방법
JPS5970252A (ja) 教習車用ブレ−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