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652A -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652A
KR19980072652A KR1019970007561A KR19970007561A KR19980072652A KR 19980072652 A KR19980072652 A KR 19980072652A KR 1019970007561 A KR1019970007561 A KR 1019970007561A KR 19970007561 A KR19970007561 A KR 19970007561A KR 19980072652 A KR19980072652 A KR 1998007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cylinder
valve
hydraulic pressure
positioning valve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0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652A/ko
Publication of KR1998007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652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전달하는 오퍼레이팅 로드와, 상기한 오퍼레이팅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밸브 플런저, 리액션 디스크, 마스터 실린더 푸시로드, 파워 피스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배력을 발생시키는 파워 실린더와, 상기한 파워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에 파이프를 통하여 분리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앞바퀴의 제동유압 증가비율에 비하여 뒷바퀴의 제동유압의 비율을 작게 제어하는 프로포지셔닝 밸브와, 상기한 프로포지셔닝 밸브에 파이프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 및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프로포지셔닝 밸브와 마스터 실린더가 분리되도록 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배치상 제약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이 발명은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프로포지셔닝 밸브와 마스터 실린더가 분리되도록 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배치상 제약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형화, 고속화함으로써 큰 제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동장치로서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과는 별도로 파워 피스톤을 설치하고 여기에 진공과 대기압과의 차압을 가하거나 압축공기를 가하거나 하여 작동하는 힘을 증대시켜 큰 유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적은 답력만으로도 바퀴의 제동력을 수배로 증대시켜 고속주행의 차량이나 중량이 큰 차량을 확실하게 제동시킬 수 있는 배력식 제동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배력식 제동장치는 가솔린차의 흡기 매니폴드 또는 디젤차의 진공 펌프에서 발생한 부압과 대기압과의 차압을 배력장치내에 설치한 파워 피스톤에 작용시켜 큰 힘을 브레이크에 주는 것으로서, 배력장치를 마스터 실린더와 별도로 설치한 분리형과, 배력장치가 마스터 실린더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일체형이 있다. 상기한 배력장치에는 제동력의 변화나 감속도에 따라 뒷바퀴의 제동력을 자동적으로 변화시키는 포로포지셔닝 밸브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배력식 제동장치 및 프로포지셔닝 밸브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편의상, 일체형 배력식 제동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되지 않은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파이핑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되지 않은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구성은, 오퍼레이팅 로드(10)와, 상기한 오퍼레이팅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밸브 플런저, 리액션 디스크, 마스터 실린더 푸시로드, 파워 피스톤 등을 구비하고 있는 파워 실린더(20)와, 상기한 파워 실린더(20)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30)와,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3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포지셔닝 밸브(40)와,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30)에 파이프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50)와, 상기한 프로포지셔닝 밸브(40)에 연결되어 있는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되지 않은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푸트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을 밟게 되면, 상기한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은 오퍼레이팅 로드(10)를 거쳐서 파워 실린더(20)(밸브 플런저 → 리액션 디스크 → 마스터 실린더 푸시로드)로 전달되고, 다시 마스터 실린더(30)로 전달되어 압력이 발생됨과 동시에, 파워 실린더(20)의 2개의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작동되는 파워 피스톤의 힘이 상기한 전달과정에 가해짐으로써 제동력이 배가된다.
이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3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50)로 전달되어 프론트 타이어를 제동시키고, 또한 프로포지셔닝 밸브(40)로 전달되어 프로포지셔닝 밸브(40)에 의해서 앞바퀴의 제동유압 증가비율에 비하여 뒷바퀴의 제동유압의 비율이 작게 제어됨으로써 뒷바퀴가 록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60)로 전달됨으로써 뒷바퀴가 제동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되어 있지 않은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는,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마스터 실린더와 분리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으로써 차량 설계시에 공간배치상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포지셔닝 밸브와 마스터 실린더가 분리되도록 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배치상 제약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되지 않은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파이핑 구조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파이핑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퍼레이팅 로드 20 : 파워 실린더
30 : 마스터 실린더 40, 70 : 프로포지셔닝 밸브
50 :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 60 :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전달하는 오퍼레이팅 로드와, 상기한 오퍼레이팅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밸브 플런저, 리액션 디스크, 마스터 실린더 푸시로드, 파워 피스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배력을 발생시키는 파워 실린더와, 상기한 파워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에 파이프를 통하여 분리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앞바퀴의 제동유압 증가비율에 비하여 뒷바퀴의 제동유압의 비율을 작게 제어하는 프로포지셔닝 밸브와, 상기한 프로포지셔닝 밸브에 파이프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 및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파이핑 구조도이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되어 잇지 않은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구성은, 오퍼레이팅 로드(10)와, 상기한 오퍼레이팅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밸브 플런저, 리액션 디스크, 마스터 실린더 푸시로드, 파워 피스톤 등을 구비하고 있는 파워 실린더(20)와, 상기한 파워 실린더(20)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30)와,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30)에 파이프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프로포지셔닝 밸브(70)와, 상기한 프로포지셔닝 밸브(70)에 파이프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50) 및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푸트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을 밟게 되면, 상기한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은 오퍼레이팅 로드(10)를 거쳐서 파워 실린더(20)(밸브 플런저 → 리액션 디스크 → 마스터 실린더 푸시로드)로 전달되고, 다시 마스터 실린더(30)로 전달되어 압력이 발생됨과 동시에, 파워 실린더(20)의 2개의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작동되는 파워 피스톤의 힘이 상기한 전달과정에 가해짐으로써 제동력이 배가된다.
이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30)로부터 발생된 유압은 파이프를 통하여 프로포지셔닝 밸브(70)로 전달되고, 프로포지셔닝 밸브(70)에 의해서 앞바퀴의 제동유압 증가비율에 비하여 뒷바퀴의 제동유압의 비율이 작게 제어됨으로써 뒷바퀴가 록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50)와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60)로 전달됨으로써 앞바퀴 및 뒷바퀴가 제동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프로포지셔닝 밸브(70)는 마스터 실린더(30)와 파이프를 통하여 분리되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포지셔닝 밸브와 마스터 실린더가 분리되도록 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배치상 제약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분야에서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전달하는 오퍼레이팅 로드와, 상기한 오퍼레이팅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밸브 플런저, 리액션 디스크, 마스터 실린더 푸시로드, 파워 피스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배력을 발생시키는 파워 실린더와, 상기한 파워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에 파이프를 통하여 분리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앞바퀴의 제동유압 증가비율에 비하여 뒷바퀴의 제동유압의 비율을 작게 제어하는 프로포지셔닝 밸브와, 상기한 프로포지셔닝 밸브에 파이프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타이어 브레이크 및 리어 타이어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KR1019970007561A 1997-03-07 1997-03-07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KR19980072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561A KR19980072652A (ko) 1997-03-07 1997-03-07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561A KR19980072652A (ko) 1997-03-07 1997-03-07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652A true KR19980072652A (ko) 1998-11-05

Family

ID=6598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561A KR19980072652A (ko) 1997-03-07 1997-03-07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6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7887A3 (en)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EP1026059A3 (en) Brak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KR970703878A (ko) 자동차용 잠금 방지 브레이크 장치의 조작 방법(process for operating an anti-lock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JPS59179748U (ja) 自動車用の圧力操作される制動装置
US4643487A (en) Slip-controlled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4750790A (en) Anti-lock hydraulic brake system for vehicles with bypass line and relieving device
JPH0653490B2 (ja) 自動車用ブレーキシステム
KR19980072652A (ko) 프로포지셔닝 밸브가 분리된 차량의 배력식 제동장치
EP0803424A3 (en) Brak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KR100224341B1 (ko)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0111712Y1 (ko) 자동차의 진공식 주차브레이크 장치
KR0131413Y1 (ko) 자동차의 진공 제동배력장치
KR970006022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용 진공력 비상공급장치
JPH05170074A (ja) 制動液圧制御装置
JP3518147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0224423B1 (ko) 자동차 브레이크부스터의 부압배력장치
KR0115625Y1 (ko) 자동차 브레이크 안전장치
JPH05254422A (ja) 車両用制動装置
JP3518146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0250252B1 (ko) 배큠 서보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9990019592U (ko) 차량용 브레이크 작동 유지장치
KR200170691Y1 (ko) 클러치분리형브레이크장치
KR19980061155A (ko) 자동차의 제동배력장치
KR940000678Y1 (ko) 싱글 에어 오버 하이드로릭 브레이크 시스템
KR0173868B1 (ko) 자동차 주행중 시동 '오프'시의 브레이크 유압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