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213B1 - 슬라이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213B1
KR100695213B1 KR1020050043240A KR20050043240A KR100695213B1 KR 100695213 B1 KR100695213 B1 KR 100695213B1 KR 1020050043240 A KR1020050043240 A KR 1020050043240A KR 20050043240 A KR20050043240 A KR 20050043240A KR 100695213 B1 KR100695213 B1 KR 100695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liding member
elastic
sliding devic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975A (ko
Inventor
김삼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5004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213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장치는 제 1 부재에 고정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제 2 부재에 고정되며 제 1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제 2 슬라이딩부재와, 일단은 제 1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며 타단은 제 2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위치에 따라 제 2 슬라이딩부재를 제 1 슬라이딩부재의 양단측 중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것으로,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밴딩되되, 평면상에서 밴딩되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슬라이딩장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장치{SLI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장치가 핸드폰에 적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장치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슬라이딩장치 10: 제 1 슬라이딩부재
11: 제 1 설치공 12: 제 1 가이드레일
13: 가이드로드 20: 제 2 슬라이딩부재
21: 제 2 설치공 22: 제 2 가이드레일
23: 가이드홀 30: 탄성부재
31: 탄성부 32: 설치부
M1: 제 1 부재 M2: 제 2 부재
본 발명은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부재가 서로 슬 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장치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설정된 거리만큼 상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써, 슬라이딩 방식의 핸드폰 등에 적용된다.
종래의 슬라이딩장치는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제 2 부재에 설치되며 제 1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제 2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위치에 따라 제 1 슬라이딩부재의 양단 중 어느 일측으로 제 2 슬라이딩부재가 이동하게 하는 토션스프링이 탄성부재로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토션스프링은 철사 등의 금속사를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그 중앙측에 코일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된 탄성부를 갖는데, 이와 같이 코일형상으로 탄성부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탄성부의 두께가 탄성부재의 다른 부위들에 비하여 부분적으로 최소 두 배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토션스프링을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제 2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탄성부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제 2 슬라이딩부재 사이의 간격을 넓게 형성해주어야만 하므로 슬라이딩장치의 두께를 일정 이하로 줄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부재에 고정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제 2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제 2 슬라이딩부재와, 일단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의 양단측 중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밴딩되되, 평면상에서 밴딩되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는 설치부가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설치부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 1 설치공과 제 2 설치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양단에는 서로 맞물려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제 2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서로 반대 방향인 두 방향으로 교대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곡선을 포함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장치(100)는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제 1 부재(M1)에 고정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부재(M2)에 고정설치되며 제 1 슬라이딩부재(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일정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제 2 슬라이딩부재(20)를 포함한다.
제 1 슬라이딩부재(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슬라이딩부재(20)가 일정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소정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슬라이딩부재(20)는 제 1 슬라이딩부재(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면이 제 1 슬라이딩부재(10)의 일면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제 1 슬라이딩부재(10)의 길이범위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장치(1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일정거리 이동한 후에는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설정된 거리만큼 자동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부재 (30)가 구비된다.
탄성부재(30)는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사(金屬絲)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탄성부재(30)의 양단은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31)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이러한 탄성부(31)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성으로 일 평면상에서 밴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탄성부(31)는 서로 반대 방향인 두 방향으로 교대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곡선을 포함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0)가 전체적으로 금속사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 사이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슬라이딩장치(100)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이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만 탄성부재(30)의 탄성부(31)를 형성할 경우 탄성부(31)가 그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으로도 변형되기 쉬우나,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30)는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슬라이딩부재(10)의 후면과 제 2 슬라이딩부재(20)의 전면에 의해 양측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31)가 안정적으로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하며 슬라이딩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서 로 슬라이딩되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30)의 양단 사이가 가까워지면 탄성부(31)가 탄성변형하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31)가 탄성복원되면서 발생하는 복원력으로 제 2 슬라이딩부재(20)를 슬라이딩 되게 하는 것이다.
이 때,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설치공(11)과 제 2 설치공(21)이 제 2 슬라이딩부재(20)의 진퇴이동방향과 직각 방향을 이루는 직선상에 놓일 경우를 기준으로 제 2 설치공(21)이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 탄성부재(30)는 그 탄성복원력으로 제 2 슬라이딩부재(20)를 상측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제 2 설치공(21)이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탄성부재(30)는 그 탄성복원력으로 제 2 슬라이딩부재(2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하게 한다.
이 때, 탄성부재(30)의 양단에는 제 1 슬라이딩부재(10) 및 제 2 슬라이딩부재(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부(32)가 각각 연장형성되며, 제 1 슬라이딩부재(10)및 제 2 슬라이딩부재(20)에는 탄성부재(30)의 양단이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 1 설치공(11) 및 제 2 설치공(2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슬라이딩부재(20)가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탄성부재(30)가 구비되어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에는 두 개의 탄성부재(3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제 1 설치공(11) 및 제 2 설치공(21)이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슬라이딩부재(10)의 양단과 제 2 슬라 이딩부재(20)의 양단에는 서로 맞물려 제 1 슬라이딩부재(10)와 제 2 슬라이딩부재(20)가 소정 범위에서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 1 가이드레일(12)과 제 2 가이드레일(22)이 각각 마련되며, 제 2 슬라이딩부재(20)가 제 1 슬라이딩부재(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슬라이딩부재(10)의 양측에는 제 2 슬라이딩부재(20)의 양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로드(13)가 각각 구비되어 제 2 슬라이딩부재(20)의 양단에는 가이드로드(13)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홀(23)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장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의 탄성부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므로, 탄성부재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장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 1 부재에 고정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제 2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제 2 슬라이딩부재와, 일단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의 양단측 중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밴딩되되, 평면상에서 밴딩되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는 설치부가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설치부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 1 설치공과 제 2 설치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양단에는 서로 맞물려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제 2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서로 반대 방향인 두 방향으로 교대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곡선을 포함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장치.
KR1020050043240A 2005-05-23 2005-05-23 슬라이딩장치 KR100695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40A KR100695213B1 (ko) 2005-05-23 2005-05-23 슬라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40A KR100695213B1 (ko) 2005-05-23 2005-05-23 슬라이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131U Division KR200393211Y1 (ko) 2005-05-27 2005-05-27 슬라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75A KR20060120975A (ko) 2006-11-28
KR100695213B1 true KR100695213B1 (ko) 2007-03-14

Family

ID=377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240A KR100695213B1 (ko) 2005-05-23 2005-05-23 슬라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60B1 (ko) * 2006-05-02 2007-08-23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802430B1 (ko) 2006-11-08 2008-02-12 주식회사 제이튠엔터테인먼트 탄성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부재
KR100904222B1 (ko) * 2007-02-21 2009-06-25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더 모듈 및 힌지 장치
KR100884735B1 (ko) * 2007-10-11 2009-02-19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42A (ko) * 2004-02-10 2004-04-01 (주)쉘-라인 슬라이드 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42A (ko) * 2004-02-10 2004-04-01 (주)쉘-라인 슬라이드 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27542, 10200500955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75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213B1 (ko) 슬라이딩장치
US10806256B1 (en) Slide rail assembly
US20180070724A1 (en) Bracket device
DE102006002909A1 (de) Stromversorgungsvorrichtung
JP2017072242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ブラケット装置
US11375810B2 (en) Connection device
CN107848444A (zh) 车辆用座椅滑动装置
JP2007335672A (ja) シールド構造体
KR200393211Y1 (ko) 슬라이딩장치
JP5065221B2 (ja) 端子配置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用いたカード型装置
JP2006115144A (ja) スライド式電子機器
CN110691719A (zh) 稳定器
CN101908698A (zh) 具有杆件的线束组件
JP3822485B2 (ja) レール取付機構
JP4853766B2 (ja) 電子鍵盤楽器の鍵ガイド構造
JP2012190596A (ja) 端子台装置
US8475047B2 (en) Sliding mechanism
JP5546902B2 (ja) 移動検出装置
JP2016125205A (ja) 車両ドア開閉力調整装置
JP7053975B1 (ja) スライドレール及び電子機器
CN111972885B (zh) 滑轨总成
KR2008001007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JP2019046888A (ja) 壁掛け電子機器
US11153987B2 (en) Connecting assembly and cable management device thereof
JP3164371U (ja) 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