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542A - 슬라이드 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542A
KR20040027542A KR1020040008804A KR20040008804A KR20040027542A KR 20040027542 A KR20040027542 A KR 20040027542A KR 1020040008804 A KR1020040008804 A KR 1020040008804A KR 20040008804 A KR20040008804 A KR 20040008804A KR 20040027542 A KR20040027542 A KR 2004002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late
bent
slide phone
sli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467B1 (ko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4000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Abstract

힌지 파트를 줄여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는 슬라이드 폰을 개시한다. 슬라이드 폰은 메인 파트, 메인 파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파트 및 상기 메인 파트 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파트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파트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힌지 파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양 측에 대칭을 이루며 종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힌지부는 양 측단부가 복수개의 절곡선을 매개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힌지 파트를 구성하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된 형태로 제조되어 힌지 파트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종래의 힌지 파트에 비해 그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또한, 공정 횟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공정 시간이 짧아 대량생산에도 유리하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폰{SLIDE PHONE}
본 발명은 슬라이드 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전화기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전화기를 작동 시키거나 키 입력부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 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이 여러 분야의 제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전화기에 있어서도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이 여러 분야의 제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라 함은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포함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휴대용 전화기는 휴대를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것이 선호되고 있으며, 디자인이 특별한 것이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경향이다. 따라서, 요즘 출시되고 있는 핸드폰을 참조할 때, 핸드폰에 관해서 외부적으로 작고 얇은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들은 일반적으로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플립 방식, 폴더 방식(folder-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립 방식의 핸드폰은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동일한 몸체에 형성하고, 하단에 힌지로 연결된 커버를 이용하여 키 입력부를 보호하거나 전화를 수신하는 방식의 핸드폰이다.
폴더 방식의 핸드폰은 2개의 폴더 파트를 힌지로 연결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형성하는 방식의 핸드폰이다. 폴더 방식의 핸드폰은 2개의 폴더를 닫아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폴더를 열어 전화를 수신하거나 키 입력을 통해 목적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2개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슬라이딩 파트에 각각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의 핸드폰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는 핸드폰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 입력부가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핸드폰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 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드 폰(10)은 메인 파트(main part; 20) 및 슬라이딩 파트(sliding part; 30)를 포함한다. 메인 파트(20)의 후면에는 배터리(2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정면 하단부에는 키 입력부(24)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안테나(26)가 제공된다.
메인 파트(20)의 정면에는 슬라이딩 파트(3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라이딩 파트(30)의 정면에는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LCD)창(32), 메뉴키(34), 통화기 등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파트(30)를 위로 이동 시켜 후방에 가려진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동을 통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끊을 수도 있다.
슬라이드 폰(10)은 LCD창(32)이 전면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파트(30)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전화 내용 및 기타 정보를 직접 읽을 수 있으며, 메뉴키(34)의 조작을 통해 통화 이외의 다른 기능들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파트(30) 정면 면적의 대부분을 LCD창(32)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LCD창(32)을 넓게 사용할 수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힌지 자체의 두께가 어느 정도 있어서, 슬라이드 폰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폰의 두게를 얇게 만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힌지를 더 얇게 만드는 것이 있으며, 실제로도 이러한 노력을 통해 더욱 더 슬림화된 슬라이드 폰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슬라이드 폰에서 메인 파트와 슬라이딩 파트를 연결하는 힌지 파트의 대부분은 일정한 금형에서 사출 가공 방법에 의해서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사출 가공에 의하면 제조되는 재료의 표면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생산되는 힌지의 치수도 일정한 오차를 갖고 있어 상대적으로 정밀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사출 가공물에서의 치수 편차는 힌지 파트를 얇게 제조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각 부품이 오차를 감안하여 일정 치수 이상으로 제조되고 있어 슬라이드 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는 사출 가공으로 제작된 복수개의 힌지 케이스, 레일, 레일 안내부 등을 포함하고, 각 부품들이 나사 등에 의해서 조립되기 때문에 하나의 힌지 파트를 제조하기 위해 많은 횟수의 공정이 필요하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폰(10)을 열기 위해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파트(30)를 직접 끝까지 밀어서 이동시키고, 걸림돌기 등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의 양단에서 슬라이딩 파트(30)가 고정시켜야 하며, 상기 고정을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슬라이드 폰(10)에서 슬라이딩 파트(30)를 사용자가 직접 끝까지 밀어야 하고, 슬라이딩 파트(30)의 고정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주위의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 슬라이딩 파트(30)가 순간적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슬라이드 폰이 닫혀서 전화가 끊어지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메인 파트및 슬라이딩 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힌지 파트의 두께를 줄여서 더 얇은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부품을 포함하여 힌지 파트의 두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정 및 용접의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구조 또한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의 구동이 원활한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파트를 끝까지 밀어 주지 않아도 소정의 거리 이상만 밀어주면 나머지 거리를 스스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파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의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 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슬라이드 폰의 슬라이딩 파트가 전환점을 통과하기 이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슬라이드 폰의 슬라이딩 파트가 전환점을 통과한 이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힌지파트 110:본체
120,220,330: 제1 힌지부 130,230,330:제2 힌지부
140,240,340: 탄성부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폰은 메인 파트, 슬라이딩 파트 및 힌지 파트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 파트는 메인 파트 및 슬라이딩 파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파트에 장착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파트에 장착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힌지부 간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서 슬라이딩 파트가 메인 파트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상기 제2 힌지부는 양 측에 대칭을 이루며 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부는 제2 힌지부의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양 측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부가 절곡선을 매개로 부분적으로 1회 이상 절곡되어 단부가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되고, 가이드홈으로 안내된 단부가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가이드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 및 제2 힌지부 간의 이동을 안내한다.
종래의 슬라이드 폰에서 레일과 레일 가이드는 제작하는 데 있어서, 일정한 형태의 금형에 재료를 찍어내는 사출가공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폰에서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절곡시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가공과 같이 금형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형상의 힌지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힌지부의 치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작된 힌지파트보다 두께를 더 얇게 줄일 수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파트는 판상의 힌지부를 프레스 가공을 강압하여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종래의 슬라이드 폰 보다 표면이 깨끗하게 생산되고, 표면의 평탄도를 일정한 수치로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파트의 치수를 일정하게 관리하기가 쉬워지고 그러므로 힌지 제작에 있어서 치수 편차를 줄일 수 있고, 힌지의 구동에 있어서도 원활한 구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판재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힌지보다 훨씬 얇은 두께로 힌지 파트를 구성할 수 있으며, 프레스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강압하므로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두께 또한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힌지 파트는 복수개의 힌지 케이스, 레일, 레일 안내부등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제조공정도 복잡하고 그만큼 불량 부품의 발생 비율이 높지만, 본 발명에 따른 힌지 파트는 구성 부품 및 공정/용접 횟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하고 불량 부품의 발생 비율이 적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힌지부는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 제1 힌지판, 제2 힌지판, 제3 힌지판 및 가이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제1 힌지판은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2 힌지판이 제1 힌지판의 양 측단에 제1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2 힌지판이 제1 힌지판의 양단에서 내면으로 반전하면서 절곡되고, 제3 힌지판이 제2 힌지판과 제2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2 힌지부를 향해 절곡된다. 가이드 플랜지부가 제3 힌지판의 단부에서 제3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양 측의 가이드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플랜지부는 가이드홈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및 제2 힌지부 간의 미끄러짐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힌지부는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 제1 힌지판, 제2 힌지판 및 가이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제1 힌지판은 제1 힌지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2 힌지판은 제1 힌지판과 제1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1 절곡선을 따라 제2 힌지판이 제2 힌지부를 향해 절곡된다. 가이드 플랜지부는 제2 힌지판과 제2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2 절곡선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안쪽으로 절곡되어 제2 힌지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힌지부는 여러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어떤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힌지 파트를 형성할 때에 종래의 선행기술들은 레일과 레일 가이드를 상호 결속 또는 부착해야 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힌지부는 레일 또는 레일가이드를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프레스 가공을 통해 원하는 형상의 부품을 일체로 구성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더 얇은 슬라이딩 핸드폰을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슬라이드 폰에서 힌지 파트는 2쌍의 레일 및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레일 및 레일 가이드에서는 최소 2지점에서 마찰이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슬라이드 폰에서는 총 4개 지점에서 마찰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힌지부에서는 동일 조건 하에서 2개 지점에서만 마찰이 발생하여 더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가 있다.
제1 및 제2 힌지부는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힌지 파트의 상호 부품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와 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하는 것이 간단하고 두께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소정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에 각각 방향이 다른 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개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부가 부착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상기 메인 파트에 대해 일부 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전환점을 통과하면, 탄성부재에 의한 척력 방향이 전환되어 슬라이딩 파트가 나머지 거리만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100)은 메인 파트, 슬라이딩 파트, 힌지 파트(110)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파트와 슬라이딩 파트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메인 파트와 슬라이딩 파트의 내부 구성과 기능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힌지 파트(110)는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를 포함하고, 제1 힌지부(120)와 제2 힌지부(130)가 연결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힌지부(130)는 연결판(132)과 레일 가이드판(134)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파트와 연결된 제1 힌지부(120)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와 연결된 제2 힌지부(130)는 연결판(132)과 레일 가이드판(134)에 의해서 제공되는 가이드홈(136)에 가이드 플랜지부(127)가 요철과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슬라이드 핸드폰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파트 상부에 연결된 제2 힌지부(130)는연결판(132)과 레일 가이드판(134)을 포함한다. 연결판(132)은 슬라이딩 파트 저면에 부착되고, 연결판(132) 저면에는 레일 가이드판(134)이 부착되어 양 단부에 가이드홈(136)이 제공되고, 상기 제1 힌지부(120)가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가이드홈(136)으로 연결되어 제2 힌지부(130)와 연결되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140)는 토션 스프링(142) 및 결속나사(144)를 포함하며, 토션 스프링(142)의 일단이 가이드홈(136)에 고정되며, 결속나사(144)는 제1 힌지부(120)에 결속되어 토션 스프링(142)이 제1 힌지부(120)와 연결된다. 탄성부재(140)는 제1 힌지부(120) 및 가이드홈(136) 사이에 고정되어 소정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에 각각 방향이 다른 척력을 제공하는 한 개의 토션 스프링(142)을 포함한다.
제2 힌지부(130)가 부착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상기 메인 파트에 대해 일부 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전환점을 통과하기 이전에는 제1 척력이 제1 힌지부(120)에 대해 슬라이딩 파트를 아래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발생하여 열리지 않지만, 상기 전환점에서 최대 변형 지점을 통과하면 상기 최대 변형 지점을 기준으로 제1 척력과 방향이 다른 제2 척력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나머지 거리만큼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토션 스프링(142)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형태는 탄성부재(140)의 접촉부위가 4 부분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40)의 접촉부위가 2부분만이 형성되어 구성 부품 및 공정/용접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해 진다.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는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파트와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선행기술과 같이 나사나 볼트로 메인 파트와 힌지 파트를 고정시키는 것과 구별되며 상기 메인 파트와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가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부착되므로 더욱 얇게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힌지부(120)는 상기 메인 파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파트와 제2 힌지부(130)를 연결한다. 제 1 힌지부(120)는 제1 힌지판(121), 제2 힌지판(123) 및 제3 힌지판(125)으로 구성된다. 제1 힌지판(121)은 제1 힌지부(12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파트와 연결된다. 제2 힌지판(123)은 제1 힌지판(121)과 제1 절곡선(122)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3 힌지판(125)은 제2 힌지판(123)과 제2 절곡선(124)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3 힌지판(125)은 제3 절곡선(126)을 매개로 가이드 플랜지부(127)와 연결된다. 처음에 제2 절곡선(124)을 매개로 하여 아래를 향하여 절곡하여 제3 힌지판(125)과 가이드 플랜지부(127)가 아래를 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 플랜지부(127)를 제3 절곡선(126)을 매개로 하여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제1 힌지판(121)과 수평하게 절곡시킨다. 그리고 제1 절곡선(122)을 매개로 제1 힌지판(121)내면으로반전하도록 절곡시키면 제1 힌지판(121)상에 제2 힌지판(123)이 밀착되며, 제3 힌지판(125)이 제1 힌지판(121)에 직립하게 되고, 제1 힌지판(121)과 부착되지 않은 일단에 가이드 플랜지부(127)가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힌지부(130)는 제1 힌지부(120)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파트와 연결되어 제1 힌지부(120)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를 연결한다. 제2 힌지부(130)는 연결판(132)과 레일 가이드판(134)을 포함한다. 연결판(132)은 상기 슬라이딩 파트 하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파트와 연결된다. 레일 가이드판(134)은 연결판(132) 하부에 평면으로 부착된다. 레일 가이드판(134)의 양단은 처음에 제1 절곡선(134a)을 매개로 아래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제2 절곡선(134b)을 매개로 좌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양 측단부가 계단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런 형상을 가진 레일 가이드판(134)을 연결판(132)과 평면으로 부착한다. 따라서 레일 가이드판(134)과 연결판(132)이 부착된 제2 힌지부(130)는 양단에 가이드홈(136)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홈(136)은 종래의 선행기술의 레일 가이드 역할을 하며 레일 방향을 안내한다.
따라서 제1 힌지부(120)와 제2 힌지부(130)는 구조를 절곡선을 매개로 절곡하여 변경하고 판상을 이용하여 종래의 레일과 레일 가이드 역할을 대체하므로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 가공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폰은 메인 파트와 슬라이딩 파트를 연결하는 힌지의 대부분이 어떤 형태를 제조하여야 하므로 사출 가공을 통하여 생산됐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판재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강압하여 재료의 형태를 만드는 프레스 가공으로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슬라이드 폰 보다 표면이 깨끗하게 생산되므로 평탄도를 어느 일정한 수치로 유지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파트의 치수를 일정하게 관리하기가 쉬워진다. 그러므로 힌지 제작에 있어서 치수 편차를 줄일 수 있고, 힌지의 구동에 있어서도 원활한 구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여 강압하므로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힌지 파트가 줄고 공정/용접 횟수도 줄므로 제작되는 데 있어서도 편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힌지부(120)는 판상의 측단부가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부(127)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힌지부(130)는 한 개의 판 또는 다수의 판을 이용하여 가이드홈(1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최초 상태에서 벗어나 전환점을 통과하기 이전까지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파트를 상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딩 파트를 밀 때 양단에 제공되는 가이드홈(136)에 장착된 가이드 플랜지부(127)가 함께 움직인다. 토션 스프링(142)의 양단은 가이드홈(136) 및 제1 힌지부(120)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힌지부(120)에 고정된 일단은 원위치에 고정된 반면 가이드홈(136)에 장착된 타단은 가이드홈(136)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파트의 이동 과정 및 위치에 따라 토션 스프링(142)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최초 상태로부터 전환점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서, 토션 스프링(142)의 양단은 좁게 근접하게 된다. 이 때, 토션 스프링(142)의 양단 사이에는 하방을 향하는 제1 척력이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최대 변형 지점을 통과한 가이드홈(136) 및 제1 힌지부(120)는 제2 척력이 발생하는 데 제2 척력은 제1 척력에 비해 방향이 반대이므로 가이드홈(136)과 힌지부(120)를 서로 밀어낸다. 그러므로 제2 척력에 의해서 슬라이딩 파트는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토션 스프링을 제1 힌지부와 가이드홈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단면도이다.
도 8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200)은 메인 파트, 슬라이딩 파트, 제1 힌지부(220), 제2 힌지부(230) 및 탄성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파트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는 도 1이 참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파트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의 구성과 기능은 도 1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파트 상부에 위치한 제1 힌지부(220)는 제1 힌지판(221), 제2 힌지판(223) 및 가이드 플랜지부(227)로 구성된다. 제1 힌지판(221)은 제1 힌지부(220)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파트와 평면으로 접한다. 제2 힌지판(223)은 제1 힌지판(221)의 양 측단에 제1 절곡선(222)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1힌지판(221)의 내면으로 절곡된다. 가이드 플랜지부(227)는 제2 힌지판(223)과 제2 절곡선(224)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2 힌지부(230)를 향하여 절곡되어 가이드홈(236)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제2 힌지부(230)는 제1 힌지부(220)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파트와 연결되어 제1 힌지부(220)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연결된다. 제2 힌지부(230)는 연결판(232)과 레일 가이드판(234)을 포함한다. 연결판(232)은 상기 슬라이딩 파트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파트와 연결된다. 레일 가이드판(234)은 연결판(232) 하부에 평면으로 부착되며, 이때도 역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레일 가이드판(234)의 양단은 처음에 제1 절곡선(234a)을 매개로 아래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제2 절곡선(234b)을 매개로 좌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양 측단부가 계단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런 형상을 가진 레일 가이드판(234)을 연결판(232)과 평면으로 부착한다. 따라서 레일 가이드판(234)과 연결판(232)이 부착된 제2 힌지부(230)는 양단에 가이드홈(236)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홈(236)은 레일 가이드 역할을 하며 레일 방향을 안내한다. 따라서 제2 힌지부(230)는 공정을 줄어 들어 제작되는 데 편리하고 또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에서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폰(100)에 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3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단면도이다.
도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300)은 메인 파트, 슬라이딩 파트, 제1 힌지부(320), 제2 힌지부(330) 및 탄성부재(3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파트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는 도 1이 참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파트와 상기 슬라이딩 파트의 구성과 기능은 도 1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제1 힌지부(320)는 상기 메인 파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파트와 제2 힌지부(330)를 연결하게 된다. 제 1 힌지부(320)는 제1 힌지판(321), 제2 힌지판(323) 및 제3 힌지판(325)으로 구성된다. 제1 힌지판(321)은 제1 힌지부(32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파트와 연결된다. 제2 힌지판(323)은 제1 힌지판(321)과 제1 절곡선(322)을 매개로 연결된다. 제3 힌지판(325)은 제2 힌지판(323)과 제2 절곡선(324)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3 절곡선(326)을 매개로 가이드 플랜지부(327)와 연결된다. 처음에 제2 절곡선(324)을 매개로 하여 아래를 향하여 절곡하여 제3 힌지판(325)이 아래로 절곡시킨다. 그리고 제3 절곡선(324)을 매개로 하여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제1 힌지판(321)과 수평하게 절곡시킨다. 그리고 제1 절곡선(322)을 매개로 제1 힌지판(321)내면으로 반전하도록 절곡시키면 제1 힌지판(321)상에 제2 힌지판(323)이 밀착되며, 제3 힌지판(325)이 제1 힌지판(321)에 직립하게 되고, 제 1 힌지판(321)과 부착되지 않은 일단에 가이드 플랜지부(327)가 바깥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힌지부(330)는 절곡선을 매개로 하여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ㄷ-자 모양의 가이드홈(332)을 제공하게 되어 가이드 플랜지부(327)와 연결하여 가이드홈(332)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파트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힌지부(330)가 하나의 판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슬라이드 폰의 두께는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개의 판상을 부착시키는 공정과 용접횟수가 생략되므로 제조하는 데 편의성을 갖는다. 제3 실시예에서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폰(100)에 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폰은 메인 파트와 슬라이드 파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힌지 파트의 두께를 줄여서 더 얇은 슬라이드 폰이 제공될 수 있고, 부품의 치수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고, 힌지 파트의 두께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가 있고, 힌지의 구동이 원활한 슬라이드 폰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파트를 끝까지 밀어 주지 않아도 소정의 거리 이상만 밀어주면 나머지 거리를 스스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할 수가 있고, 슬라이딩 파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의 슬라이드 폰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메인 파트;
    상기 메인 파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파트; 및
    상기 메인 파트 및 상기 슬라이딩 파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파트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파트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힌지 파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양 측에 대칭을 이루며 종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힌지부는 양 측단부가 복수개의 절곡선을 매개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중앙부에 형성된 제1 힌지판;
    상기 제1 힌지판의 양 측단에 제1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힌지판의 내면으로 반전하도록 절곡된 제2 힌지판; 및
    상기 제2 힌지판과 제2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힌지부를 향해 절곡된 제3 힌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상기 제3 힌지판과 제3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중앙부에 형성된 제1 힌지판; 및
    상기 제1 힌지판의 양측에 제1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절곡선을 따라 상기 제2 힌지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절곡되는 제2 힌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제2 절곡선을 매개로 상기 제2 힌지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절곡선을 따라 상기 제1 힌지판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파트 하부에 형성된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 하부에 평면으로 부착되며, 양 측단부가 계단 모양으로 절곡된 레일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가이드판이 상기 연결판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2 힌지부 양 측단부에 대칭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중앙부에 형성된 제1 힌지판;
    상기 제1 힌지판의 양 측단에 제1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힌지판의 내면으로 반전하도록 절곡된 제2 힌지판; 및
    상기 제2 힌지판과 제2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힌지부를 향해 절곡된 제3 힌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제3 절곡선을 매개로 상기 제3 힌지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절곡선을 따라 상기 제1 힌지판 외부를 향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절곡선을 매개로 하여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ㄷ-자 모양의 상기 가이드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인 파트 및 상기 슬라이딩 파트와 각각 레이저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소정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에 각각 방향이 다른 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개의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힌지부가 부착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상기 메인 파트에 대해 일부 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전환점을 통과하면, 상기 척력 방향의 전환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나머지 거리만큼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환점에서 최대 변형 지점을 통과하며, 상기 최대 변형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방향이 다른 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 사이에 결속된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을 상기 제2 힌지부에 연결하여 결속시키는 결속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KR1020040008804A 2004-02-10 2004-02-10 슬라이드 폰 KR100609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04A KR100609467B1 (ko) 2004-02-10 2004-02-10 슬라이드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04A KR100609467B1 (ko) 2004-02-10 2004-02-10 슬라이드 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542A true KR20040027542A (ko) 2004-04-01
KR100609467B1 KR100609467B1 (ko) 2006-08-08

Family

ID=3732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804A KR100609467B1 (ko) 2004-02-10 2004-02-10 슬라이드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4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00B1 (ko) * 2004-10-14 2006-07-24 (주)쉘-라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0844B1 (ko) * 2005-09-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프피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95213B1 (ko) * 2005-05-23 2007-03-14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장치
KR100728934B1 (ko) * 2005-08-09 2007-06-15 (주)쉘-라인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742877B1 (ko) * 2004-10-13 2007-07-2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는 휴대정보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165Y1 (ko) * 2003-01-03 2003-03-19 주식회사 하이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77B1 (ko) * 2004-10-13 2007-07-2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는 휴대정보단말
US7747297B2 (en) 2004-10-13 2010-06-29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 Co.,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slide mechanism
KR100603000B1 (ko) * 2004-10-14 2006-07-24 (주)쉘-라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5213B1 (ko) * 2005-05-23 2007-03-14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장치
KR100728934B1 (ko) * 2005-08-09 2007-06-15 (주)쉘-라인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690844B1 (ko) * 2005-09-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프피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467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102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07351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57600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US7925318B2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7417865B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62869B1 (ko) 단말기
US8046035B2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ush protrusion
US8594754B2 (en) Electronic device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733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87773B1 (ko) 곡면 슬라이드 폰
KR100609467B1 (ko) 슬라이드 폰
KR100681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US7529573B2 (en) Slide apparatus of slide-type portable terminal
KR100603933B1 (ko) 슬림형 슬라이드 폰
KR20070036862A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587774B1 (ko) 부채형 슬라이드 폰
KR100606467B1 (ko) 슬라이드 폰
KR100679109B1 (ko)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8247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714230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5335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603000B1 (ko)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