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934B1 -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934B1
KR100728934B1 KR1020050072672A KR20050072672A KR100728934B1 KR 100728934 B1 KR100728934 B1 KR 100728934B1 KR 1020050072672 A KR1020050072672 A KR 1020050072672A KR 20050072672 A KR20050072672 A KR 20050072672A KR 100728934 B1 KR100728934 B1 KR 10072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hinge
binding
hole
slide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224A (ko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5007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9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결속부가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제1 슬라이드 힌지부와 결속되어 상기 제2 파트의 이동을 안내하며, 결속구 홀이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를 포함한다. 결속구 홀에는 스프링 홀이 형성되는 윤활성 결속구가 제공되며, 결속부 및 윤활성 결속구에는 토션 스프링의 양단이 결속된다. 따라서, 윤활성 결속구에 결속되어 회전하는 토션 스프링과의 소음, 마찰 및 마찰에 의한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좋은 슬라이드 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힌지부, 윤활성 결속구, 제1 토션 스프링

Description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SLIDE HINGE DEVICE INCLUDING LUBRICATION BINDER}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윤활성 결속구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의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개인휴대단말기 220:제2 슬라이드 힌지부
120:제1 파트 222:결속구 홀
210:제1 슬라이드 힌지부 230:윤활성 결속구
211:가이드 프레임 241:제1 토션 스프링
212:슬라이드 가이드 242:제2 토션 스프링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각 단말기 본체 간에 서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방식, 폴더 방식(folder-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은 2개의 슬라이딩 몸체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슬라이딩 몸체 각각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은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슬라이딩 몸체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 입력부가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딩 몸체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슬라이딩 몸체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휴대폰도 있다.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은 상하로 겹쳐지는 슬라이딩 몸체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몸체 사이에는 양 몸체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가 개재되어 슬라이딩 몸체를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상호 간의 슬라이드 이동(sliding)을 보조할 수 있 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의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5364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딩 장치(100)는 가이드레일부재(110), 가이드레일부재(110) 상에서 활주하는 슬라이드부재(120), 슬라이드부재(120)의 활주를 돕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130, 140)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판재(112)의 양측 가장자리 근처의 대략 가운데 부근의 서로 약간 빗겨서 위치한 곳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며, 이 홀에 제1 토션스프링(130)의 한 쪽 팔(132a)과 제2 토션스프링(140)의 한 쪽 팔(142a)이 선회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130, 140)을 이용한 슬라이드 힌지장치(100)는 슬라이딩 몸체를 활주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130, 140)의 결속부분에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130, 140)과 슬라이딩 몸체와 마찰을 일으켜 분진 및 소음을 일으키며 슬라이드 감이 좋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토션 스프링 및 슬라이드 힌지부의 결속이 안정적이고, 좋은 슬라이드 감을 가지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션 스프링과 슬라이드 힌지부 간의 결속 부분을 보완하여 토션 스프링과 슬라이드 힌지부 간의 마찰에 의한 분진 및 소음을 최소화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제1 파트 및 제2 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를 구비한다.
제1 파트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는 제1 파트의 슬라이드 방향을 기준으로 한쪽에 치우쳐서 형성되는 제1 결속부가 형성되며, 제1 결속부와 제1 파트의 슬라이드 방향을 기준으로 한쪽으로 치우치되 제1 결속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 결속부가 형성된다
제2 파트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와 결속되어 상기 제2 파트의 이동을 안내하며, 결속구 홀이 형성되며, 결속구 홀에는 윤활성 결속구가 결속되어 고정되며, 윤활성 결속구에는 제1 스프링 홀 및 제2 스프링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션 스프링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제1 결속부 및 제1 스프링 홀에 각각 결속되고, 제2 토션 스프링도 역시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제2 결속부 및 제2 스프링 홀에 각각 결속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파트의 슬라이드 이동 시 토션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인접하게 위치하여 결속되고,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양단이 제1, 제2 결속부 및 제1, 제2 스프링 홀에 의해서 결속되기 때문에 스프링과 주변 요소 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정된 슬라이드 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는 종래와 같이 회전 홀(도 1의 112a 또는 112b 참조)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 홀에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단부가 바로 삽입되어 결속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도 토션 스프링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부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에 형성된 리벳 홀 및 리벳 홀에 스프링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리벳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단부는 각각 둥글게 말려 리벳에 결속되고,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이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 힌지부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에 형성되는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먼저 제1 결속부를 제1 슬라이드 힌지부에 형성하고, 제2 결속부를 제1 파트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제1 결속부와 동일한 측에서 서로 인접하게 일렬로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슬라이드 힌지부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와 결속되어 제2 파트의 이동을 안내하며, 토션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가 서로 분리되어 양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드 힌지부의 제1 및 제2 결속부는 상하로 일렬로 배치되고, 제1 결속부에 대응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제3 결속부 좌측 단부에, 제2 결속부에 대응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제4 결속부는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션 스프링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상기 제1 결속부 및 제3 결속부에 각각 결속되며, 제2 토션 스프링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상기 제2 결속부 및 제4 결속부에 각각 결속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 간의 교차 구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제3 결속부 및 제4 결속부는 먼저, 제2 슬라이드 힌지부에 제1 결속구 홀을 형성하고 제1결속구 홀에 스프링 홀을 포함하는 윤활성 결속구로 제공되는 제3 결속부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에 제2 결속구 홀을 형성하고 제2 결속구 홀에 스프링 홀을 포함하는 윤활성 결속구로 제공되는 제4 결속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hphone System),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 및 GPS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100)는 제1 파트(120), 제2 파트(110)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200)를 포함한다. 제1 파트(120)는 키 입력부에 대응한 센서부를 포함하고 후면 등에는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10)는 그 후면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포함한다. 제1 파트(120) 및 제2 파트(110)는 슬라이드 힌지장치(200)을 이용하여 서로 결속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일정한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 몸체는 상술한 범용의 개인휴대단말기로서,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을 포함하는 내외 부품 및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20) 및 제2 파트(110)는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단말기 케이스, 키 패드,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배터리,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부 구성 및 부품 배치는 제조자 및 추가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가 있다.
제1 파트(120) 및 제2 파트(110) 사이에는 슬라이드 힌지장치(200)가 개재된다. 슬라이드 힌지장치(200)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제2 슬라이드 힌지부 (220)를 포함한다. 제2 파트(110) 및 제1 파트(120)는 그 사이에 개재된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 간의 이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100)에서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는 제1 파트(120)의 전면에 부착되고,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는 제2 파트(110)의 후면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를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를 이용한 결합이 사용되며,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에도 나사 결합을 위한 스크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는 슬라이드 가이드(212) 및 가이드 프레임(211)을 포함하며, 2개의 슬라이드 가이드(212)가 양쪽에 배치되어 가이드 프레임(2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12)에는 가이드 바(224)를 위한 가이드 홈(21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217)은 원통형 형상으로 슬라이드 가이드(2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바(224)는 가이드 홈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제2 파트(110)에 장착되는 레일 플레이트(221), 레일 플레이트(221)의 측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바(224)를 포함한다. 레일 플레이트(221)의 상단부는 좌우로 연장되어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의 위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가이드 바(224)의 일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파트(120)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는 제1 파트(120)의 슬라이드 방향을 기준으로 한쪽에 치우쳐서 형성되는 제1 리벳 홀(213)이 형성되며, 제1 리벳 홀(213)과 제1 파트(120)의 슬라이드 방향을 기준으로 한쪽으로 치우치되 제1 리벳 홀(213)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 리벳 홀(2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리벳 홀(213) 및 제2 리벳 홀(214)에 제1 리벳(215) 및 제2 리벳(216)이 각각 더 제공되어, 제1 토션 스프링(241)의 단부는 둥글게 말려 제1 리벳(215)에 결속되고, 따라서, 제1 토션 스프링(241)이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벳(215)과 제1 리벳 홀(213)은 제1 결속부(218)을 형성하며, 제1 결속부(218)는 정면에서 볼 때 왼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2 토션 스프링(242)의 단부는 둥글게 말려 제2 리벳(216)에 결속되어, 제2 토션 스프링(242)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한다. 여기서 제2 리벳(216)과 제2 리벳 홀(214)은 제2 결속부(219)을 형성하며, 제2 결속부(219)는 정면에서 볼 때 왼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제공되고, 이는 제1 결속부(218)와 동일한 쪽이라 할 수 있다.
삭제
제2 파트(110)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와 결속되어 상기 제2 파트(110)의 이동을 안내하며, 결속구 홀(222)이 형성된다.
결속구 홀(222)에는 윤활성 결속구(230)가 결속되어 고정되며, 윤활성 결속구(230)에는 제1 리벳 홀(213)에 대응하는 제1 토션 스프링(241)의 타단이 결속되는 제1 스프링 홀(233)이 형성되며, 그와 인접하게 제2 리벳 홀(214)에 대응하는 제2 토션 스프링(242)의 타단이 결속되는 제2 스프링 홀(234)이 형성된다.
제1 토션 스프링(241)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제1 결속부(218) 및 제1 스프링 홀(233)에 각각 결속되며, 제2 토션 스프링(242)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제2 결속부(219) 및 제2 스프링 홀(234)에 각각 결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는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1, 242)은 중앙의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1, 242) 각각의 코일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따라서 두 개의 토션 스프링(241, 242)가 대략 마름모 꼴의 형상을 이루며 변화하며, 코일부가 주변 요소에 의해 걸리거나 진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는 윤활성 결속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윤활성 결속구(230)는 낮은 기둥 또는 평판 형태로 제공되며, 일측으로 단(238)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윤활성 결속구(230) 둥근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의 상측면, 상측면과 대향하는 하측면 및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에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측면에는 돌출 구조물(237)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과 마찰하는 마찰면을 최소한으로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성 결속구(230)의 측면부는 단(238)을 이루어 형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링 홀에 제1 리벳(215)이 더 제공된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211)에 형성된 제1 리벳 홀(213)에 제1 리벳(215)이 삽입되고, 제1 리벳 홀(213)에 삽입된 제1 리벳(215) 주위로 제1 토션 스프링(241)의 일단이 고리 형상으로 감겨져 고정된다. 제1 파트(120) 및 제2 파트(11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제1 토션 스프링(241)은 뒤틀림을 반복하게 되며, 제1 토션 스프링(241)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2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220) 사이에서 상하로 유동 할 수 있다. 제1 토션 스프링(241)이 상하로 유동하게 되면 주변 부품들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으며, 주변 부품에 걸려 슬라이드 힌지부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고, 토션 스프링의 단부가 기존의 회전 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벳(215)은 제1 리벳 홀(213)에 고정되기 대문에, 스프링 단부가 제1 결속부(218)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부가 리벳 및 리벳 홀을 이용하여 구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결속부가 슬라이드 힌지부에 형성된 회전 홀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또는 Z-자 형상으로 절곡된 스프링의 단부(132a, 142a 참조)가 회전 홀(112a, 112b 참조)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속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리벳 및 리벳 홀을 이용하면 적은 소음 및 안정된 회전 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 6 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속구 홀에 윤활성 결속구가 장착된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레일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결속구 홀(222)에 윤활성 결속구(230)가 장착된다. 윤활성 결속구(230)에는 제1 스프링 홀(233) 및 제2 스프링 홀(234)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 홀(233)에는 제1 토션 스프링(241)의 일단부가 결속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스프링 홀(234)에는 제2 토션 스프링(242)일단부가 결속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윤활성 결속구(230)는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으로 형성되어 제1 토션 스프링(241) 및 제2 토션 스프링(242)의 회전에 의한 마찰로 인한 분진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힌지장치(300)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는 레일 플레이트(321), 레일 플레이트(321)의 측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바(324)를 포함한다. 레일 플레이트(321)의 상단부는 좌우로 연장되어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의 위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가이드 바(324)의 일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는 슬라이드 가이드(312) 및 가이드 프레임(311)을 포함하며, 2개의 슬라이드 가이드(312)가 양쪽에 배치되어 가이드 프레임(3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312)에는 가이드 바(324)를 위한 가이드 홈(31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317)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가이드(3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바(324)는 가이드 홈(317)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에는 제1 리벳 홀(313) 및 제2 리벳 홀(314)이 형성된다. 제1 리벳 홀(313)이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에 형성되고, 제2 리벳 홀(314)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제1 리벳 홀(313)과 상하로 인접하게 일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리벳 홀(313) 및 제2 리벳 홀(314)이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중앙부에 형성되고 있지만, 리벳 홀들이 반드시 정중앙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벳 홀(313) 및 제2 리벳 홀(314)에 제1 리벳(315) 및 제2 리벳(316)이 각각 더 제공되어 제1 결속부(318) 및 제2 결속부(319)를 제공한다. 제1 토션 스프링(341)의 단부는 둥글게 말려 제1 리벳(315)에 결속되어, 제1 토션 스프링(341)이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제2 토션 스프링(342)의 단부는 둥글게 말려 제2 리벳(316)에 결속되고, 제2 토션 스프링(342)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제1 토션 스프링(341)의 단부가 제1 리벳(315)에 의해 결속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정된 슬라이드 감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에는 S-자 또는 Z-자 형상으로 절곡된 스프링 단부가 회전 홀과 마찰을 일으켜 소음 또는 분진 등을 발생한 경우가 있다.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와 결속되며, 좌측 단부에는 제1 결속구 홀(323)이 형성되며, 우측 단부에는 제2 결속구 홀(322)이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에서는 서로 반대측 단에 인접하도록 제1 결속구 홀(323) 및 제2 결속구 홀(32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결속구 홀(323)에는 제1 토션 스프링(341)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분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제1 윤활성 결속구(333)가 결속되어 고정되며, 제1 윤활성 결속구(333)는 제1 리벳 홀(313)에 대응하는 제1 스프링 홀(334)을 포함한다. 제2 결속구 홀(322)에는 제2 토션 스프링(342)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분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제2 윤활성 결속구(331)가 결속되어 고정되며, 제2 윤활성 결속구(331)에는 제2 리벳 홀(314)에 대응하는 제2 스프링 홀(3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윤활성 결속구(333) 및 제1 결속구 홀(323)이 하나의 제3 결속부(338)를 형성하며, 제2 윤활성 결속구(331) 및 제2 결속구 홀(322)이 하나의 제4 결속부(339)를 형성한다.
제1 토션 스프링(341)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 사이에 개재되며, 그 양단이 제1 결속부(318) 및 제1 스프링 홀(334)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다. 제2 토션 스프링(342)도 역시 제1 슬라이드 힌지부(310)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320) 사이에 개재되며, 그 양단이 제2 결속부(319) 및 제2 스프링 홀(332)에 각각 결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슬라이드 힌지부의 스프링 홀에 제공되는 리벳에 의해서 토션 스프링과 슬라이드 힌지부가 안정적으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가 결속되는 결속부에 윤활성 결속구를 제공하여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과 슬라이드 힌지부 간의 마찰에 의한 분진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 보다 좋은 슬라이드 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힌지부의 스프링 홀에 제공되는 리벳 및 윤활성 결속구에 의해서 토션 스프링과 슬라이드 힌지부가 안정적으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상호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슬라이드 방향을 기준으로 한쪽에 치우쳐서 형성되는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1 파트의 슬라이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결속부와 동일하게 상기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제2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에 장착되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
    상기 제1 슬라이드 힌지부와 결속되어 상기 제2 파트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제1 및 2 결속부에 대향하여 상기 다른 쪽에 치우쳐 형성되는 결속구 홀을 포함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상기 결속구 홀에 결속되어 고정되며, 제1 스프링 홀 및 제2 스프링 홀을 포함하는 윤활성 결속구;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1 스프링 홀에 각각 결속되는 제1 토션 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상기 제2 결속부 및 상기 제2 스프링 홀에 각각 결속되는 제2 토션 스프링;
    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성 결속구는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은 중앙의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는 회전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단부는 상기 회전 홀에 결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이 상기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부에 형성된 리벳 홀 및 상기 리벳 홀에 체결된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및 상기 제2 토션 스프링의 단부는 둥글게 말려 상기 리벳에 결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성 결속구는 상측면, 상기 상측면과 대향하는 하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에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면은 돌출 구조물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과 마찰하는 마찰면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성 결속구의 측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8.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상호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1 결속부와 인접하게 형성된 제2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속부는 상기 제2 파트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
    상기 제1 슬라이드 힌지부와 결속되어 상기 제2 파트의 이동을 안내하며, 좌측 단부에는 제3 결속부가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제4 결속부가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상기 제1 결속부 및 제3 결속부에 각각 결속되는 제1 토션 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며, 양단이 상기 제2 결속부 및 제4 결속부에 각각 결속되는 제2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3 결속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 힌지부에 제1 결속구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결속구 홀에 제1 스프링 홀을 포함하는 제1 윤활성 결속구를로 제공되며,
    상기 제4 결속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 힌지부에 제2 결속구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결속구 홀에 제2 스프링 홀을 포함하는 제2 윤활성 결속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는 회전 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홀에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단부가 결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이 상기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부에 형성된 리벳 홀 및 상기 리벳 홀에 체결된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단부는 둥글게 말려 상기 리벳에 결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제1 슬라이드 힌지부 및 제2 슬라이드 힌지부의 이격된 틈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는 제1 슬라이드 힌지부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2. 삭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윤활성 결속구는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20050072672A 2005-08-09 2005-08-09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72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72A KR100728934B1 (ko) 2005-08-09 2005-08-09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72A KR100728934B1 (ko) 2005-08-09 2005-08-09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224A KR20070018224A (ko) 2007-02-14
KR100728934B1 true KR100728934B1 (ko) 2007-06-15

Family

ID=4163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672A KR100728934B1 (ko) 2005-08-09 2005-08-09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05B1 (ko) * 2007-07-30 2008-01-29 (주)쉘-라인 슬라이드 힌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42A (ko) * 2004-02-10 2004-04-01 (주)쉘-라인 슬라이드 폰
KR100453644B1 (ko) 2004-04-09 2004-10-21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42A (ko) * 2004-02-10 2004-04-01 (주)쉘-라인 슬라이드 폰
KR100453644B1 (ko) 2004-04-09 2004-10-21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224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2006008223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US7945299B2 (en) Multiple torsion spring an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EP2257032B1 (en) Electronic device
US7761124B2 (en) Sliding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28934B1 (ko)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70119253A (ko) 슬라이딩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EP1734725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KR100606466B1 (ko)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696317B1 (ko)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200408470Y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그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사용하는개인휴대단말기
KR101089238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395857Y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70002598A (ko)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100891459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996404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01676A (ko)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20110078094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927966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
KR101090762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688297B1 (ko) 슬라이드 방식 및 폴더 방식을 구현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200391862Y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81899A (ko)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20090013144A (ko) 슬라이딩 장치
KR100716758B1 (ko)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