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467B1 - 슬라이드 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467B1
KR100606467B1 KR1020040035902A KR20040035902A KR100606467B1 KR 100606467 B1 KR100606467 B1 KR 100606467B1 KR 1020040035902 A KR1020040035902 A KR 1020040035902A KR 20040035902 A KR20040035902 A KR 20040035902A KR 100606467 B1 KR100606467 B1 KR 10060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liding
injection molding
slide phone
lubr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931A (ko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4003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46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슬라이드 폰의 두께를 줄이면서 원활한 구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드 폰이 개시된다. 슬라이드 폰은 메인 파트, 슬라이딩 파트, 힌지 파트 및 윤활 사출성형부를 포함한다. 힌지 파트는 메인 파트 및 슬라이딩 파트의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파트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및 제1 힌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파트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한다. 윤활 사출성형부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제외한 별도의 힌지 파트가 필요 없으므로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윤활 사출성형부가 힌지 파트의 접하는 부분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므로 원활한 힌지 구동을 할 수 있다.
윤활 사출성형부, 인서트 사출 성형, 탄성부재, 프레스 가공

Description

슬라이드 폰{SLIDE PHONE}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 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 및 윤활 사출성형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제1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부 및 제1 윤활 코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제2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제2 힌지부 및 제2 윤활 코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탄성부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 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메인 파트 112:슬라이딩 파트
120:제1 힌지부 130:제2 힌지부
140:윤활 사출성형부 150:탄성부재
본 발명은 슬라이드 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전화기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전화기를 작동 시키거나 전화기의 키 입력부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 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이 여러 분야의 제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전화기에 있어서도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이 여러 분야의 제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라 함은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포함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 스마트폰 및 기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휴대용 전화기는 휴대를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것이 선호되고 있으며, 디자인이 특별한 것이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요즘 출시되고 있는 핸드폰을 보면,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은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무게 가 가볍고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들은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플립 방식, 폴더 방식(folder-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립 방식의 핸드폰은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동일한 몸체에 형성하고, 하단에 힌지로 연결된 커버를 이용하여 키 입력부를 보호하거나 전화를 수신하는 방식의 핸드폰이다.
폴더 방식의 핸드폰은 2개의 폴더 파트를 힌지로 연결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형성하는 방식의 핸드폰이다. 폴더 방식의 핸드폰은 2개의 폴더를 닫아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폴더를 열어 전화를 수신하거나 키 입력을 통해 목적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2개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슬라이딩 파트에 각각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게 하는 방식의 핸드폰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는 핸드폰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 입력부가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핸드폰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 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드 폰(10)은 메인 파트(main part; 20) 및 슬라이딩 파트(sliding part; 30)를 포함한다. 메인 파트(20)의 후면에는 배터리(2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정면 하단부에는 키 입력부(24)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안테나(26)가 제공된다.
메인 파트(20)의 정면에는 슬라이딩 파트(3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라이딩 파트(30)의 정면에는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LCD)창(32), 메뉴키(34), 통화기 등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파트(30)를 위로 이동 시켜 후방에 가려진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동을 통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끊을 수도 있다.
슬라이드 폰(10)은 LCD창(32)이 전면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파트(30)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전화 내용 및 기타 정보를 직접 읽을 수 있으며, 메뉴키(34)의 조작을 통해 통화 이외의 다른 기능들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파트(30) 정면 면적의 대부분을 LCD창(32)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LCD창(32)을 넓게 사용할 수가 있다.
메인 파트(20) 및 슬라이딩 파트(30) 사이에는 슬라이드 트랙(미도시)이 개재된다. 슬라이드 트랙(30)은 일반적으로 가이드 레일, 고정블럭 및 탄성 걸림부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은 슬라이딩 파트(30)에 고정되고, 고정블럭은 메인 파트(20)에 고정된다. 고정블럭이 가이드 레일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파트(30)는 메인 파트(20)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슬라이드 폰의 경우 대체로 슬라이딩 파트(30)가 메인 파트(20) 상에서 수없 이 이동하기 때문에, 양 파트(20, 30)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트랙은 견고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 양 파트(20, 30)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트랙은 금속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슬라이드 트랙을 구성하는 부품 자체가 크기가 작고, 메인 파트(20) 및 슬라이딩 파트(30)를 틈새 없이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품 생산에 있어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며, 그만큼 정밀한 부품 생산을 위한 제조 단가도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금속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트랙은 각 부품의 표면이 상대적으로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서 양 파트 간의 이동이 방해를 받아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금속 간의 접촉이 사용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슬라이드 감이 고급스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트랙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제작되는 각 부품은 일정한 오차 범위를 가지며, 계획된 오차 범위가 작을수록 제품의 제조단가는 현저하게 상승하게 된다. 메인 파트(20) 및 슬라이딩 파트(30)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트랙은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치수 정밀도를 요구하여 제작이 까다롭고, 치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어려운 제조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작 원가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하는 부분에서 기계적으로 마찰이 발생하므로 슬라이드 폰의 잦은 개폐는 재료를 마모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마모는 슬라이딩 트랙에서 부품들을 헐겁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슬라이드 폰의 힌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간단한 공정으로도 높은 치수 정밀도를 얻을 수 있으며, 양호한 슬라이드 감을 얻을 수 있고, 잦은 개폐 사용에도 부품의 마모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슬라이드 폰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힌지 구동이 원활하여 동작 감촉을 향상시키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폰의 제작 시 치수 정밀도를 높여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폰의 개폐 시 접촉 부분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파트를 끝까지 밀어 주지 않아도 소정의 거리 이상만 밀어주면 나머지 거리를 스스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폰은 메인 파트, 슬라이딩 파트, 힌지 파트 및 윤활 사출성형부를 구비한다. 힌지 파트는 메인 파트 및 슬라이딩 파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파트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및 제1 힌지부와 대응하여 슬라이딩 파트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한다. 윤활 사출성형부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가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이 일어나는 부분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코팅되며,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윤활 사출성형부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 방법을 통해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파트는 철 또는 기타 프레스 소재, 다이 캐스팅으로 제작된 아연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비철금속 류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윤활 사출성형부의 재질은 내마모성이 좋고 윤활성이 뛰어난 아세탈 수지(POM:Polyoxymethylene) 또는 불소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파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원하는 모양의 인서트 워크에 아세탈 수지(POM:Polyoxymethylene) 또는 불소 수지와 같은 사출물을 인서트하여 원하는 사출물의 형태를 만들고 사출물과 힌지 파트를 일체화하여 이중 재질의 복합 부품을 만든다. 따라서 이중 사출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재질이 완전히 밀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재질의 장점만을 살릴 수 있다. 그리고 윤활 사출성형부를 구성하는 아세탈 수지(POM:Polyoxymethylene) 또는 불소 수지 등은 고유의 윤활성 오일을 함유하고 있어 마찰 시 마모가 없고 윤활성이 좋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윤활 사출성형부로 사용되기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윤활성이 뛰어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종래에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시 힌지 파트의 부품 간에 마찰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마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슬라이드 폰이 개폐되는 것을 방해하였다. 또한, 마찰에 의한 방해와 함께, 슬라이드 폰의 개폐에서 부품 간의 불안정한 접촉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슬라이딩의 동작 감촉이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슬라이드 폰은 힌지 파트의 슬라이딩이 일어나는 부분에 윤활 재질로 구성된 윤활 사출성형부를 인서트하여 부분적으로 사출하는 이중 사출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국부적으로 필요한 부분에만 본 재질과 다른 재질을 사출하여 본 재질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윤활 사출성형부를 힌지 파트 간에 접하는 표면에 국부적 또는 전체적으로 인서트 사출하여 힌지 파트간에 마찰계수를 줄여 상호간에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윤활 사출성형부에 의해 힌지 파트간에 슬라이딩 구동이 원활하여 종래의 슬라이드 폰의 개폐에서 부품 간의 불안정한 접촉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좋지 못한 슬라이딩의 동작 감촉과는 달리 불안정한 접촉 없이 부드럽게 슬라이드 폰의 개폐가 일어나므로 슬라이딩 동작 감촉을 매우 좋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윤활 사출성형부는 내마모성이 큰 재질을 사용하므로 슬라이딩 하는 부분에 마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폰을 개폐할 때 힌지 파트간에 헐거워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사용되는 사출 가공 방법으로 생산되는 힌지는 치수에 일정한 오차를 갖고 있어 원래 계획된 수치와 오차범위 안에서 제작된다. 그러나 다른 가공 방식과는 상대적으로 치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프레스 가공 방식은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폰의 제조 원가가 높아지고 복잡한 형상을 제조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는 이중 사출 성형 방법을 응용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프레스 방식으로 제작된 금속의 힌지 파트는 메인 파트와 슬라이딩 파트에 연결된 2개의 힌지부가 서로 연결하여 슬라이딩 구동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힌지 파트를 필요치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드 폰의 두께를 종전의 복잡한 힌지 구조의 슬라이드 폰 보다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힌지 파트에 인서트(insert) 성형을 하여 수지의 성형용이성, 가소성 등과 금속의 강도, 내열성 등을 조합시켜 상호 보완해 튼튼하면서도 정교한 부품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수지는 성형이 용이하므로 부품의 치수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시간 및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힌지 파트 및 윤활 사출성형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폰은 메인 파트(110), 슬라이딩 파트(112), 힌지 파트(115), 윤활 사출성형부(14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메인 파트(110)는 키 입력부(110a) 및 마이크(110b) 등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파트(112)는 디스플레이 화면(112a) 및 스피커(112b) 등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메인 파트 또는 슬라이딩 파트에 배터리, 추가 기능 버튼, 이어폰 잭, 영상 모듈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슬라이드 폰을 구성하는 2개의 본체 파트에서 하나는 메인 파트로,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 파트로 정의하고 있지만, 그러한 정의는 각 본체 파트의 내부 구성 및 휴대폰 기능에 특별하게 구속되지 않으며, 메인 파트와 슬라이딩 파트의 일반적인 구성 및 기능 역시 도 1에 도시된 슬 라이드 폰 또는 종래의 다른 슬라이드 폰을 참조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가 있다.
힌지 파트(115)는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를 포함한다. 제1 힌지부(120)는 메인 파트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제2 힌지부(130)와 접한다. 제1 힌지부(120)는 제1 힌지판(122), 연결 힌지판(124) 및 가이드 플랜지부(126)를 포함한다. 제1 힌지판(122)은 제1 힌지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1 힌지판(122)의 외면이 메인 파트에 연결되어 제1 힌지부(120)가 메인 파트와 연동하게 된다. 연결 힌지판(124)은 제1 힌지판(122)의 양 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1 힌지판(122)의 내면에 접하여 2겹으로 형성된다. 연결 힌지판(124)과 제1 힌지판(122)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가이드 플랜지부(126)는 연결 힌지판(124)과 일체로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ㄱ―자 모양의 가이드 플랜지부(126)는 가이드홈(132)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홈에 끼울 수 있는 어떤 돌출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제2 힌지부(130)는 양 측부에 제2 윤활 코팅(144)이 사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 힌지부(130)와 고정되므로 제2 힌지부(130)와 제2 윤활 코팅(144)사이에 대칭을 이루며 종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가이드홈(132)을 형성한다.
윤활 사출성형부(140)는 잦은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윤활 사출성형부(140)로 테프론(Teflon)을 이용한다. 하지만, 윤활 사출성형부는 아세탈 수지(POM:Polyoxymethylene) 또는 기타 불소 수지 등과 같이 내마모성이 좋고 윤활성이 뛰어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윤활 사출성형부는 제 1 윤활 코팅(142) 및 제2 윤활 코팅(144)을 포함한다. 제1 윤활 코팅(142)은 제1 힌지부(120)의 양단부, 즉 연결 힌지판(124)과 가이드 플랜지부(126)의 표면을 덮는다. 제2 윤활 코팅(144)은 제2 힌지부의 양단부에 종 방향으로 가이드홈(132)을 만들면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가 접하는 면을 따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제1 토션 스프링(152) 및 제2 토션 스프링(154)을 포함한다. 제1 토션 스프링(152) 과 제2 토션 스프링(154)은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소정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130)에 각각 방향이 다른 척력을 제공한다. 제1 토션 스프링(152) 과 제2 토션 스프링(154)은 개폐되는 방향에 나란히 위치하여 슬라이드 폰의 개폐를 돕는다. 제1 토션 스프링(152)은 원형부(156), 고정부(158) 및 결속나사(159)를 포함한다. 원형부(156)는 제1 토션 스프링(152)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 힌지부(120)의 내면에 위치하고 결속나사(159)에 의해 연결된다. 고정부(158)는 제1 토션 스프링(152)의 타단에 형성되어 제2 힌지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부(158)는 제2 힌지부(13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힌지부(12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부(158)가 제2 힌지부(13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며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 간에 이탈하는 것을 막고, 전환점 이후에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된다. 결속나사(159)는 제1 힌지부(120)의 내면에 부착되고 원형부(156)를 고정시키며, 원형부(156)가 결속나사(159)의 원심을 따라 공 회전하면서 제1 토션 스프링(152)의 위치 변화를 돕는다. 제2 토션 스프링(154)은 제1 토션 스프링(152)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제1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부 및 제1 윤활 코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힌지부(120)는 제1 힌지판(122), 연결 힌지판(124) 및 가이드 플랜지부(126)를 포함한다. 제1 힌지부(120)의 재질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다이 캐스팅(casting) 아연 또는 다이 캐스팅(casting)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프레스 소재, 기타 플라스틱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힌지판(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홀(127)은 원형부가 제1 연결홀(127)의 위치에서 결속나사와 연결된다. 연결 힌지판(124)의 내부에는 여러 개의 관통홀(128,128a)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128)은 제1 힌지부(120)와 메인 바디가 연결되도록 한다. 나머지 홀(128a)들은 제1 힌지부(120)에 제1 윤활 코팅(142)을 할 때에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1 윤활 코팅(142)이 나머지 관통홀(128a)의 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윤활 사출성형부(140)가 슬라이딩을 위해 양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1 힌지부(120)와 완전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힘을 가한 방향으로 제1 힌지부(120) 및 제1 윤활 코팅(142)이 분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관통홀(128a)의 개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윤활 코팅(142)은 이중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 힌지판(124)의 외부로부터 가이드 플랜지부(126)를 완전히 덮으면서 종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힌지판(122)의 양 측부에 서로 마주하는 돌출된 부위가 형성된다. 이것은 제2 힌지부(130)와 접하는 부분으로써 슬라이드 폰의 개폐 시 마모가 자주 발생하여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중 사출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마모에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제1 윤활 코팅(142)은 제1 힌지부(120)의 위치하는 관통홀(128)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128)이 형성되어 제1 힌지부(120)가 메인 바디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제2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제2 힌지부 및 제2 윤활 코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힌지부(130)는 슬라이딩 파트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파트를 연결한다. 제2 힌지부(130)는 제1 힌지부(12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하는 것을 돕는다. 제2 힌지부(130)의 양 측부에는 ㄴ―자 모양으로 굴곡져 있다. 제2 윤활 코팅(144) 역시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며, 제2 힌지부(130)의 양측부의 표면을 덮으면서 ㄷ―자 모양의 가이드홈(132)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제1 힌지부(120)의 가이드 플랜지부(126)의 돌출된 부분과 제2 힌지부(130)의 가이드홈(132)이 요철과 같이 접하여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제2 힌지부(130)의 양 측부에는 여러 개의 관통홀(134,134a)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134)은 제2 힌지부(130)와 탄성부재가 연결되도록 한다. 나머지 홀(134a)들은 제2 힌지부(130)에 제2 윤활 코팅(144)을 할 때에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2 윤활 코팅(144)이 나머지 관통홀(134a)의 내부에 채워져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나머지 홀의 내부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윤활 사출성형부에 좌우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도 윤활 사출성형부가 돌기를 포함하면서 고정되어 더 큰 힘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윤활 사출성형부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탄성부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폰의 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토션 스프링(152)의 원형부(156)는 제1 힌지부(1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고정부(158)는 제2 힌지부(13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토션 스프링(154)의 원형부(156)는 제1 힌지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제2 토션 스프링(154)의 고정부(158)는 제2 힌지부(130)의 측면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폰을 아래에서 위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 파트가 최초 상태로부터 전환점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154)의 양단은 각각 위치가 근접하게 된다(①). 이때 슬라이드 폰을 위로 더 올리면 최대 변형 지점을 통과하게 되고,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152,154)의 양단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력이 발생하여 진행 방향으로 서로 밀어내게 되므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152,154)의 자체 척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폰은 제1 힌지부(120)와 제2 힌지부(130)에 슬라이딩이 일어나는 부분에 윤활 재질로 구성된 제1 윤활 코팅(142) 및 제2 윤활 코팅(144)을 인서트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드는 이중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가이드 홈과 가이드 플랜지부의 형태로 제작하여 서로 슬라이딩이 잘 발생할 수 있도록 구동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딩 동작 감촉을 매우 좋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반 자동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폰의 경우, 윤활 코팅에 의해 제1 및 제2 힌지부(120, 130)는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윤활 사출성형부(140)는 내마모성이 큰 재질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하는 부분에 마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폰을 개폐할 때 힌지 파트간에 헐거워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부(120)와 제2 힌지부(130)에 인서트(insert) 성형을 하여 제1 윤활 코팅(142) 및 제2 윤활 코팅(144)을 하여 금속 및 수지의 장점을 극대화 시킨다. 그리고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가 절곡된 형태이므로 별도의 힌지 파트가 필요치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구동을 하는 최소의 힌지 파트만이 이용되므로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슬라이드 구동이 원활한 슬라이드 폰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성형이 용이하여 치수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 및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폰의 개폐에 있어서, 50프로의 행정거리를 수동으로 나머지 50프로의 행정거리를 자동으로 동작하므로 편리하게 개폐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을 끝까지 밀지 않아도 소정의 거리 이상만 밀어주면 나머지 거리를 스스로 이동하므로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 파트(115)를 구성하는 제1 힌지부(120) 및 제2 힌지부(130)는 금속 판재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조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파트 및 슬라이딩 파트를 연결하는 힌지 파트는 종래에 금속으로 제조되고 있는 다양한 힌지 형태로 제조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폰은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 외의 부품이 필요 없으므로 슬라이드 폰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가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이 일어나는 부분에 윤활 사출성형부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인서트 사출하여 서로 다른 재질을 완전하게 고정시켜 슬라이드 폰의 개폐 시 슬라이딩 구동이 원활하고 동작감촉이 탁월하다.
또한, 슬라이드 폰의 힌지 부분을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수치 정밀도를 높여 불량률을 줄이고 제조 원가도 저렴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윤활 사출성형부가 슬라이딩 하는 부분에 마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폰을 개폐할 때 힌지 파트간에 헐거워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파트를 끝까지 밀어 주지 않아도 소정의 거리 이상만 밀어주면 나머지 거리를 스스로 이동하므로 핸드폰의 개폐가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메인 파트;
    상기 메인 파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파트;
    상기 메인 파트 및 상기 슬라이딩 파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파트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파트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힌지 파트; 및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를 이루는 윤활 사출성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사출성형부는 내마모성이 좋고 윤활성이 뛰어난 아세탈 수지(POM:Polyoxymethylene) 또는 불소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파트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윤활 사출성형부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 방법을 통해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파트는 철, 아연, 알루미늄, 주석, 구리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5. 제4항에 있어서,
    아연, 알루미늄, 주석, 구리 또는 마그네슘으로 구성된 상기 힌지 파트를 다이 캐스팅 방법에 의해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양 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가이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양 측부에는 상기 윤활 사출성형부가 대칭을 이루며 종 방향으로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상기 가이드 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중앙부에 형성된 제1 힌지판; 및
    상기 제1 힌지판의 양 측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힌지판의 내면에 접하여 2중의 힌지판을 형성하는 연결 힌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는 상기 연결 힌지판에 일체로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 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힌지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사출성형부는 제1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윤활 코팅 및 제2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윤활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소정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에 각각 방향이 다른 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개의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힌지부가 부착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상기 메인 파트에 대해 일부 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전환점을 통과하면, 상기 척력 방향의 전환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 파트가 나머지 거리만큼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 토션 스프링 및 제2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전환점에서 최대 변형 지점을 통과하며, 상기 최대 변형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방향이 다른 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제1 힌지부에 결속되는 원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2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원형부를 상기 제2 힌지부에 연결하여 결속시키는 결속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폰.
KR1020040035902A 2004-05-20 2004-05-20 슬라이드 폰 KR10060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902A KR100606467B1 (ko) 2004-05-20 2004-05-20 슬라이드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902A KR100606467B1 (ko) 2004-05-20 2004-05-20 슬라이드 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931A KR20050110931A (ko) 2005-11-24
KR100606467B1 true KR100606467B1 (ko) 2006-08-01

Family

ID=3728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902A KR100606467B1 (ko) 2004-05-20 2004-05-20 슬라이드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093B1 (ko) * 2005-12-21 2007-07-27 주식회사 팬택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KR100619184B1 (ko) * 2006-04-07 2006-09-06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EP2005603B1 (en) * 2006-04-07 2012-06-13 Shell-Line Co., Ltd. Slide type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789830B1 (ko) * 2006-04-2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931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5318B2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EP1075125A2 (en) Slide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unit
US7417865B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100071159A1 (en) Hinge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US8855728B2 (en) Mobile equipment and sliding structure therefor
EP1915824B1 (en) Slidable portable device
US20110130178A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090279234A1 (en) Sliding Hing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liding Hin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iding Hinge Device
KR20060104540A (ko) 플라스틱을 이용한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US20100134962A1 (en) Slide mechanism and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922819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1733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06467B1 (ko) 슬라이드 폰
US804603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587773B1 (ko) 곡면 슬라이드 폰
WO2008018735A1 (en) Phone
CN101621118B (zh) 电池盖卡锁结构
EP1783986B1 (en) Sliding module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080209683A1 (en) Sliding Hing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liding Hin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iding Hinge Device
KR100603933B1 (ko) 슬림형 슬라이드 폰
KR100609467B1 (ko) 슬라이드 폰
KR101634811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유닛의 가이드 장치
KR100679109B1 (ko)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21337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개인휴대단말기 및 힌지장치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