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626B1 -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626B1
KR100694626B1 KR1020057020485A KR20057020485A KR100694626B1 KR 100694626 B1 KR100694626 B1 KR 100694626B1 KR 1020057020485 A KR1020057020485 A KR 1020057020485A KR 20057020485 A KR20057020485 A KR 20057020485A KR 100694626 B1 KR100694626 B1 KR 10069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image
profile
camera device
f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596A (ko
Inventor
아르토 키이스키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1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computer file, document page or paper sheet, e.g. a fax cov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2Image capture parameters, e.g. resolution, illumination conditions, orientation of the image captur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30)가 소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녹화하는데 사용되며, 이미지 자료는 후속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들로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 내에서 동작하는 방법, 시스템, 카메라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의 이미지 처리 작업을 위하여, 카메라 장치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이 제공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되거나 링크되어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녹화되었음을 식별한다. 본 발명은 상이한 환경에서 녹화된 이미지들의 식별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이미지 파일들을 자동 동작에 종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Imaging profile in digital imaging}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30)가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자료(material)를 녹화하기 위해 소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사용되고, 상기 이미지 자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로서 더욱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imaging environment)에 적용되는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에 사용되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자료를 녹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자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더욱 저장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녹화하기 위한 수단 및 자신의 메모리 내에 상기 이미지 자료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로서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30)와,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자료를 녹화하는데 카메라 장치(30)가 이용되고, 이미지 자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로서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에서의 사진술을 합리화(rationalization)하는데 관련된다.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디지털 형식으로 녹화하는 카메라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장치들이 점점 일반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이미지 처리 동작의 처리량이 상당한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카메라 폰(phone)과 같은 카메라 장치들이 도입됨에 따라서 더욱 증가되는데, 이러한 카메라 폰들에서는 이미지 처리 설비들이 이미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가능 장비들과 함께 결합된다.
이에 따라서 저장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처리될 디지털 이미지들의 양이 상당히 증가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이 아무런 특정한 방식으로도 명칭이 부여되지 않은 채로 방치된 수십 또는 수백 개 까지의 이미지들을 그의/그녀의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 폰에 그저 저장하고 있는 상황이 발생되게 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예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들은 예를 들어 image1.jpg, image2.jpg, 등과 같은 방식으로 단지 진행 숫자에 따라서 해당 파일들에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명명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특정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난해한 작업이며, 특히,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들이 사전에 방대한 양의 이미지들이 이미 저장되어 있던 컴퓨터 또는 서버에 업로딩된 경우에는 더욱 난해하다. 모든 이미지 파일들이 동일한 디렉토리 내에 저장되는 사진 관리 시스템(photo managing system)들에서는, 동일한 명칭, 즉, 동일한 진행 숫자를 가지는 신규한 파일들이 의도하지도 않은 채 사전에 동일한 명 칭을 가지는 파일들에 덮어 씌워지는 위험 역시 존재한다. 더 나아가, 상이한 이미지 처리 세션들로부터 유래된 이미지들은 단지 파일 명칭들에 기반해서는 상호 분리될 수 없다. 종래 기술에서는, 사진들을 그들의 번호, 날짜 또는 형식 중 하나에 의하여 상이한 디렉토리에 분류하는 사진 관리 시스템들도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사진 및 디렉토리 모두가 일반 명칭들(directory1, directory2, photo1, photo2, 등과 같은 일반 명칭)을 가진다. 전술된 바와 같은 무작위 방식으로 이미지들을 상이한 디렉토리에 분류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특정한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되거나 특정한 객체를 표시하는 정확한 이미지들을 검색하는 동작을 더욱 지연시키거나 더욱 난해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기술에서, 해당 이미지에 관련되고 더욱 특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위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해당 이미지 파일에 자동으로 첨부하는 카메라 장치도 역시 공개되었다. 이러한 특정한 정보의 예를 들면, 이미지 처리에 사용된 카메라 타입, 해당 이미지 파일의 형식, 저장소 크기, 픽셀 해상도, 또는 이미지 처리 작업이 수행된 날짜 및 해당 시점 등이 있다. 메타 데이터는 이미지 처리 시점에 사용된 카메라의 세팅들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정보의 예를 들면, 셔터 속도, 플래시 모드, 또는 줌 광학기의 세팅들이 있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해당 이미지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되거나 다른 사용자의 장치로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와 함께 송신될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에 후속하여 전달된다.
그러나, 소정의 이미지 처리체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더욱 상세히 식 별하기 위하여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미지들을 촬영한 후 이미지 파일들을 수동으로 하나씩 명명하거나, 및/또는 적합한 방식으로 명명된 수 개의 디렉토리들 각각에 수동으로 이미지 파일들을 분류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며, 특히 카메라 폰 또는 이와 같은 휴대용 장치를 사용하여 이동중일 경우에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는 특히 그러하다.
다음과 같은 장치들도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에서는 이미지들이 촬영된 이후에 자동으로 상이한 디렉토리들에 분류된다.
일본 공개 특허 JP 11262030A 호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에 대한 키워드가 인식되는데, 상기 키워드는 이미지 내의 실제 객체와 함께 형성되는 기준 테이블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키워드에 기반하여, 메모리 카드 내에 저장된 이미지들은 컴퓨터 내의 상이한 키워드에 따라서 자동으로 디렉토리들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사전-정렬된 이미지 처리 세션들에만 적합한데, 이러한 세션에서는 이미지 처리 동작이 이미지들 또는 이와 같은 것들의 전문적인 문서화 작업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1144921:n 호는 이미지 파일들이 유래하는 메모리 수단(메모리 카드)에 따라 상이한 디렉토리들에 저장되는 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가 한 명인 경우에, 일본 공개 특허 제 2001144921:n 호에 개시된 방법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려면 한 디지털 카메라 내에 수 개의 메모리 카드들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서로 다른 메모리 카드들은 상이한 목적들을 위하여 예약된다. 그러므 로, 메모리 카드로부터 이미지들이 다운로드되면, 상이한 카드에 저장된 파일들은 자동적으로 상이한 디렉토리에 저장되게 된다.
미국 특허 제 6,507,363호는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의 이미지 파일들에 해당 이미지가 촬영된 개별 카메라의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가 보충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미지들은 해당 카메라 내의 상이한 수 개의 디렉토리 내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미국 특허 제 6,507,363호의 실시예에서도, 그들의 이미지 콘텐츠(이미지들에 의하여 표시되는 객체)에 관해서 볼때는, 동일한 개별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은 서로 용이하게 구별되기 어렵고, 더 상세히 분류되기 어려운데, 예를 들어, 해당 이미지 파일들은 이미지 처리 세션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분류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이미지들의 저장 동작 뿐만 아니라 저장된 이미지들이 사용되는 동작도 상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성이 있는 장치를 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개별 이미지들을 용이하게 식별하고 특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처리의 객체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들은 자동 명명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미지들은 예를 들어 서버로 추가적으로 송신될 경우에, 해당 이미지 처리 세션에 따른 상이한 폴더 내에 이미지들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될 때 각각의 개별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명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접근 권한을 정의하고 해당 이미지 파일들을 자동 동작에 종속되도록(subject)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자(identifier)들을 이미지 파일에 첨부시키거나 이러한 식별자들을 이미지 파일에 링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주위적으로,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의 이미지 처리를 위하여,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imaging profile)이 카메라 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되어 이미지 파일들이 이미지 처리 세션 내에 저장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순차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주위적으로,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의 녹화 동작을 위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을 카메라 장치(30)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은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수단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시킴으로써, 이미지 파일들이 이미지 처리 세션 내에 저장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주위적으로,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의 이미지 처리를 위하여,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카메라 장치 내에서 생성하거나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카메라 장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은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수단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함으로써, 이미지 파일들이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저장되는 중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주위적으로, 이미지 처리 세션을 위하여,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생성하도록 구현되고,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은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되어 이미지 파일들이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저장되는 중인 것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요점은, 상이한 이미지 처리 세션들에 대한 상이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이 사전에 카메라 장치 내에 생성된다는 사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 내의 사용을 위하여 주어진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은 촬영된 사진들의 이미지 파일들을 자동으로 명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에 정의된 방법으로 명명 작업이 수행되고 및/또는 이미지 파일들에는 이미지 식별자가 첨부 또는 링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첨부될 수 있는 상기 이미지식별자는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정의된 데이터 또는 파라미터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아이템들의 전형적인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이미지 파일이 다운로드될 때 다운로드된 이미지 파일들이 기본적으로 저장되거나 전달되는 목적지 지점(target location)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목적지 지점은 특정 서버 내의 특정 파일 디렉토리이거나,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의 전화 번호이거나,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르는 IP 주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식별자는 다른 사용자들의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접근권에 관련된 정보 및 해당 이미지 파일이 자동적으로 종속되는 다른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사항은 해당 이미지 처리 세션에 따르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에서 사진 촬영(또는 비디오 녹화) 동작을 수행함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지 파일들을 차후에 식별 및 관리하는 것이 현저히 용이하도록 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필요할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들이 종속되는 동작들을 자동화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해당 목적에 적합한 파라미터들이 상기 이미지 식별자 내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서,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파일들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인터넷 에서의 페이지 형태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들 내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은 무선 커넥션 또는 케이블 커넥션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서도 상기 카메라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을 상기 카메라 장치 내에서 생성 및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카메라 장치가 무선 송신 커넥션을 탑재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이라면(즉, 카메라 폰과 같은 이동국이라면),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들로서 송신될 수도 있다. 필요할 경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은 한 이동국으로부터 다른 이동국으로 송신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두 개의 카메라 폰들 사이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가 이동국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국의 다른 사용 가능한 프로파일 펑션들(profile function)을 이용함으로써 전체 또는 부분으로서 생성된다. 현재 사용되는 이동국에서, 이와 같은 프로파일 펑션들은 상대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알람 톤(묵음, 회의중, 외출중, 등과 같은 알람 톤들)과 같은 이미지의 특정 모드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드의 세팅 및 데이터는 자동으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식별자들 내에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국 내에 저장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프로파일 펑션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이들은 상기 프로파일들을 선택하도록 의도되는 동일한 키/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될 가장 중요한 장점은, 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와 같은 것으로 업링크 방향으로 이미지 파일들이 송신될 때, 본 발명에 따르는 이미지 식별자들은 해당 송신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대하여 어떠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관련된다. 이러한 사실에 힘입어, 송신 직후에 해당 이미지들을 예를 들어, 인터넷 페이지들 상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는 이미지들은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들의 주소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소정의 방법을 통하여 배포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식 장치에서의 이미지 처리법(mobile imaging)을 완벽하게 지원하며, 각 상황에 따라서 이미지들을 처리 하고 및/또는 더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및 본 발명에 따르는 장점들은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선택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원리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에서 구현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페이지의 형태로 구현된 웹 어플리케이션(10)이 사용자에 의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11)을 제도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11)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후속하여 이동식 카메라 장치(30)의 메모리로 전달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들은 무선 데이터 송신 커넥션(20)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단일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예를 들면, 파일 명칭, 목적지 지점, 접근 권한 데이터(access right data), 및 다양한 처리 명령어 (procedual instruction)들이 있다.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카메라 장치(30)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 동작을 개시하면, 그/그녀는 해당 이미지 처리 세션에 적합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을 카메라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선택한다. 카메라 장치(30)의 특성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은 카메라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장치(30) 자체도 해당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을 편집하고 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30)의 펑션들만을 이용함으로써 완전히 신규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10) 내에 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30) 내에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들을 생성하는 과정은, 해당 목적에 따라서 설계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카메라 장치(30)가 디지털 이미지들(40)을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들은 현재 사용중인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 파일들을 참조함으로써 카메라 장치(30)의 메모리 내에 이미지 파일들의 형태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미지 파일들을 참조한다는 것은 해당 이미지 파일들이 들어,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의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어 파일 명칭과 같은 특정 파라미터에 따라서 명명된다는 것 및/또는 소정 이미지식별자가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되거나 링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미지 식별자는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정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식별자는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단일 이미지 파일에 첨부되거나, 해당 이미지식별자 및 해당 이미지 파일을 함께 링크시킴으로써 다른 방식으로 첨부될 수도 있다.
이미지 파일들이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파일 명칭에 따라서 명명되면(또는 해당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명명되면), 이미지 파일들의 명칭들은 예를 들어 상기 파일 명칭 및 진행 숫자(running number)의 조합의 형태로서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수 개의 이미지들을 촬영하기 위하여 동일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진행 숫자에 의하여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미지 식별자는 처리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이미지 파일들은 이러한 처리 명령어들에 따라서 카메라 장치(30) 내에서 당장 수행되는 자동 동작들에 종속되거나 및/또는 이미지 파일들이 예를 들어 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달되는 경우 추후 수행되는 동작들에 종속된다.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미지 식별자 내에 포함된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이미지 파일들이 업링크 방향에서 카메라 장치(30)로부터 업로드될 때,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기본적으로(by default) 전달/저장될 목적지 지점일 수 있다. 목적지 지점은 예를 들어, 특정 서버 내의 특정 파일 디렉토리일 수 있고,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의 전화 번호일 수 있고,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르는 IP 주소일 수 있고, 또는 전자 우편 주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들은 한 카메라 폰에서 다른 카메라 폰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미지 식별자는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들이 다른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목적지 지점으로 전달되는 상황에서는, 다른 사용자들의 해당 이미지 파일들에 대한 접근 권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정의되는 방식으로 명명되고 및/또는 이미지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들은 전달 수단(50)에 의하여 이동식 카메라 장치(30)로부터 업링크 방향에서 웹 어플리케이션(70)으로 더 전달될 수 있다. 카메라 폰의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전달 수단(50)은 무선 데이터 송신 커넥션(60)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신(60)은 공지된 바와 같은 다른 모든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예를 들면, 통신 커넥션(60)은 병렬 또는 직렬 데이터 송신에 기반한 케이블 커넥션(cabled connection)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식별자들은 메모리의 형태로 상기 이미지 파일에 첨부되거나, 공지된 바와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하여 첨부되어, 이미지들이 촬영될 때 해당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파일과 링크시킨다. 후속하여 카메라 장치(30)로부터 이미지 파일들을 송신하면,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위 이미지 업로드 패키지(image upload package) 내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에 첨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웹 어플리케이션(70)이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이미지 식별자 내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동 동작들에 종속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된 바에 첨가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들에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에 관련된 특정 동작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들을 인터넷 페이지에 인쇄하기 위하여, 이미지들은 작은 픽셀 크기로 리샘플링(re-sampled)될 수 있으며, 리샘플링된 이미지들은 더 적은 저장 공간을 차지하고 신속히 다운로드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들을 미리보기 하기 위한 더 작은 아이콘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지 식별자들의 처리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휘도(luminosity), 콘트라스트, 또는 그레이 레벨 또는 컬러 색상 레벨의 개수 등의 변환 동작 등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 웹 어플리케이션(10) 내에 정의될 때에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실제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들의 목적지 지점, 접근 권한 데이터, 및 이미지 파일들에 관련된 처리 명령어들과 같은 파라미터들)은 카메라 장치(30)에 전혀 전달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 장치 내의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은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촬영된 상태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명명 또는 식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이미지 파일들이 카메라 장치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70)으로 전달될 때, 이미지 프로파일들의 상기 파라미터들은 검색되고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이미지 파일들과 링크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이미지 파일들이 서버 또는 이와 같은 것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에 포함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우선 사용된다.
이하, 몇 가지 예시적인 상황 및 어플리케이션들이 제공될 것인데, 이들을 통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여 획득될 장점들이 실무적으로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Imaging profile "Party"
사용자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카메라 장치로서 카메라 폰을 직접 사용함으로써, "Party"라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정의하고 이 프로파일이 상기 카메라 폰의 메모리 내에 이용 가능하도록 존재하도록 한다. 해당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에서, 그/그녀는 주어진 인터넷 디렉토리의 주소를 이미지 파일들을 위한 목적지 지점으로서 결정한다. 어떤 파티에 참석할 때, 그/그녀는 사진 촬영을 시작하기 이전에 그/그녀의 카메라 폰 내의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활성화시킨다. 카메라 폰으로부터 이미지 파일들을 무선으로 인터넷 서버로 전달할 때, 이미지 파일들은 자동으로 정확한 목적지 지점까지 도착하게 된다(예를 들어, Party1.jpg, Party2.jpg 등과 같은 파일 명칭을 가질 경우, ...\Party 라는 디렉토리에 전달된다). 그리고, 도달된 디렉토리에서 이미지 파일들은 즉시 사용자의 친구들에게 보여지거나 그들이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원할 경우, 사용자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설정할 때 이미 상기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는 모임을 더 자세히 정의할 수도 있고, 상기 모임이 해당 디렉토리 내의 이미지 파일들에 수행할 수 있는 동작들에 대한 접근 권한도 정의할 수 있다.
Imaging profile "Sales object A"
한 부동산 에이전트가 그/그녀가 판매하도록 위임받은 집 A를 점검하고자 한다. 출발하기 이전에, 그/그녀는 무선 데이터 송신 커넥션을 탑재하는 그/그녀의 카메라 장치 내에 소정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이미지 파일들의 목적지 지점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그/그녀가 거실, 주방, 침실, 욕실 뿐만 아니라 판매 대상인 객체의 정면 및 후면 마당의 사진까지도 촬영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도록 하는 메모(reminder)를 정의할 수 있다. 그/그녀는 상기 판매 객체에 관련된 모든 다른 데이터를 상이한 파라미터로서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에 첨부할 수 있다.
판매할 집에 도착하면, 그/그녀는 그/그녀가 카메라 장치에서 사용하려고 선택될 때마다 그/그녀의 기억을 확인시키는 해당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에 따라서 모든 사진들을 촬영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경우 카메라 장치의 펑션에는, 주어진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그 사진들이 한 장 씩 촬영될 때마다 해당 프로파일 내에 저장되는 것을 재암시하는 방식으로 저장된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펑션이 포함된다. 더 나아가, 더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기억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설정된 사진들에 추가하여 몇 개의 여분의 사진들을 더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들을 무선으로 소정 인터넷 서버 내의 목적지 지점으로 전달할 때, 판매 객체 A의 사진들 뿐만 아니라 해당 판매 객체의 모든 다른 데이터로서 해당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내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즉시 그의/그녀의 고객들에게 이용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들은 ...\SalesobjectA 이란 디렉토리 내에 livingroom.jpg, kitchen.jpg 등과 같은 명칭으로 저장된다.
동일한 상황에서, 상기 부동산 에이전트는 다른 판매 객체들도 방문할 수 있 고, 개별 판매 객체에 대하여 특별히 설정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이에 따른 개별 객체에서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파일들이 정확한 목적지 지점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이러한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부동산 에이전트가 수 개의 판매 객체에 대한 방문 여행을 마치는 시점에서 모든 이미지 파일들을 동시에 업로드하는 경우에도 정확히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사진을 촬영하는 동작 및 해당 이미지들을 사용 및 유용하는 동작을 특히 모두 훨씬 용이하게 하고 더욱 다양하게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특정 상황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은 촬영된 환경 또는 해당 이미지 파일들의 후속 관리 동작에 관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보충되는데, 이러한 정보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제공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링크된다. 이와 같은 장점을 통하여,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들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후속하여 자동 동작들에 종속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통하여, 이미지들은 그들의 이미지 콘텐트(이미지 처리 세션)에 따라서 자동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특히 이동식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는 상이한 세션들에서 촬영된(또는 상이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이 자동으로 그들의 정확한 소정 목적지 지점들 내에 분류되도록 하고, 이미지 파일들의 접근 권한들을 소정 방식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들의 일부는 해당 웹 내의 모든 인터넷 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즉시 설정될 수 있는 반면에, 어떤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특정 모임만 볼 수 있도록 허용될 수 있고, 어떤 이미지들은 원할 경우 완벽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관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이 자동으로 카메라 폰과 같은 카메라장치로부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 우편 주소들 또는 다른 카메라 폰과 같은 장치로 후속하여 자동 송신되도록 하는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에 기반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전술된 바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 기반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 장치는 촬영 설비를 갖춘 멀티미디어 폰이거나, 카메라 폰이거나, 또는 촬영 성비에 추가하여 이동국 설비를 포함하는 소위 개인용 디지털 장치(PDA)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송신 커넥션을 탑재한 카메라 장치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USB) 또는 상응하는 케이블 데이터 송신 버스를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미지들이 메모리 카드 또는 이와 같은 것들을 이용하여 저장 및 전달되는 카메라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은 카메라 장치 자체 내에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해당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에 따르는 이미지 식별자들은 이미지 파일들과 함께 해당 메모리 카드 내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단지 정지 이미지들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에만 한정 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동영상(즉, 비디오 이미지)을 디지털 형식으로 녹화하는 카메라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는 이미지 식별자를 탑재한 이미지 자료(material)는, 예를 들어 해당 이미지 식별자들이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첨부되는 방식으로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어 사용되는 이미지 형식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해당 이미지 자료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컬러 시스템, 픽셀의 정보량, 또는 파일 형식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정지 화상 및 동영상을 녹화하는 이미지 장치에서,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들을 용이하게 분류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3)

  1. 소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카메라 장치(30)가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자료(material)를 녹화하기 위한 사용되고, 상기 이미지 자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로서 더욱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imaging environment)에 적용되는 이미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의 이미지 처리를 위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imaging profile, 31)이 상기 카메라 장치에 제공되는 단계로서,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은 상기 카메라 장치(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펑션 프로파일(function profile)을 이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되는 단계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되어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 내에서 녹화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은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명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은 메타 데이터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 식별자(image identifier)에 의하여 보충되고,
    상기 이미지 식별자들은,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은 상기 카메라 장치(30)로부터 더욱 전달되고,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미지 식별자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자동적으로 종속(subjected)되어야 하는 동작(operation)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은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미지 식별자에 의하여 지시되는 목적지 지점(target location)에 저장되거나, 목적지 지점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6.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에 사용되며, 소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자료를 녹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자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더욱 저장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의 녹화 동작을 위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을 상기 카메라 장치(30)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은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은 상기 카메라 장치(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펑션 프로파일을 이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되는 수단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 내에서 녹화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에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상기 카메라 장치(3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10)을 상기 카메라 장치 외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카메라 장치(30) 자체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 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을 명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에 메타 데이터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 식별자를 첨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식별자는,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미지 식별자에 포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자동적으로 종속되어야 하는 동작(operation)들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이미 지 식별자에 의하여 지시되는 목적지 지점에 저장하거나, 목적지 지점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13.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무선 데이터 송신 커넥션(data transmission connection)이 탑재된 이동식 장치이며,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14.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외부 컴퓨터, 서버, 인터넷 웹 어플리케이션, 이동식 장치, 또는 다른 카메라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커넥션 내에 구현되어,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전달 또는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15. 소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녹화하기 위한 수단 및 자신의 메모리 내에 상기 이미지 자료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로서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30)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의 이미지 처리를 위하여,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을 상기 카메라 장치(30) 내에서 상기 카메라 장치(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펑션 프로파일을 이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하거나,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을 상기 카메라 장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은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수단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녹화되는 중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3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 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을 명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30).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상기 이미지 파일에 메타 데이터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 식별자를 첨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식별자는,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30).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상기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 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30)로부터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을 외부 컴퓨터, 서버, 인터넷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이동식 장치, 또는 다른 카메라 장치로 더욱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3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무선 통신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3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카메라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30).
  21. 소정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자료를 녹화하는데 카메라 장치(30)가 이용되고, 이미지 자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파일로서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환경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을 위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을 상기 카메라 장치(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펑션 프로파일을 이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하도록 구현되고,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31)은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이미지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데이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첨부 또는 링크되어 상기 이미지 파일들이 상기 이미지 처리 세션에서 녹화되는 중인 것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 장치(30)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 장치 외부(10)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7020485A 2003-04-30 2004-04-22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KR100694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0657A FI115364B (fi) 2003-04-30 2003-04-30 Kuvausprofiili digitaalisessa kuvauksessa
FI20030657 2003-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596A KR20060017596A (ko) 2006-02-24
KR100694626B1 true KR100694626B1 (ko) 2007-03-13

Family

ID=856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485A KR100694626B1 (ko) 2003-04-30 2004-04-22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01904A1 (ko)
EP (1) EP1618497A1 (ko)
JP (1) JP4624983B2 (ko)
KR (1) KR100694626B1 (ko)
CN (1) CN1781104A (ko)
FI (1) FI115364B (ko)
WO (1) WO2004097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4784B2 (en) * 2005-05-19 2013-0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nally initialized profile driven data transfer and propagation
US8644702B1 (en) 2005-12-28 2014-02-04 Xi Processing L.L.C.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users upon the occurrence of an event
JP4981438B2 (ja) * 2006-12-26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793702B2 (en) * 2007-10-23 2014-07-29 Adobe Systems Incorporated Take and share indicator
US8745255B2 (en) * 2009-02-24 2014-06-03 Microsoft Corporation Configura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 at capture
US8910083B2 (en) * 2009-11-10 2014-12-09 Blackberry Limited Multi-source picture view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154605B2 (en) 2010-04-23 2015-10-0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ting data to a plurality of accounts
CA2737829C (en) 2010-04-23 2015-06-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from a plurality of feed sources
EP2395718A1 (en) * 2010-04-23 2011-12-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posting a graphic identifier to a plurality of servers
US9852769B2 (en) * 2013-05-20 2017-12-26 Intel Corporation Elastic cloud video editing and multimedia search
HUE064415T2 (hu) * 2014-10-24 2024-03-28 Beezbutt Pty Ltd Kameraalkalmazás
WO2017084046A1 (zh) * 2015-11-18 2017-05-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射方法、信号接收方法及相关设备与系统
US20190080282A1 (en) * 2017-09-13 2019-03-14 Viatap, Inc. Mobile inspection and reporting system
US11470162B2 (en) * 2021-01-30 2022-10-11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Intelligent configuration of personal endpoi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413A (en) * 1988-05-16 1994-06-0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FI92782C (fi) * 1993-02-09 1994-12-27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puhelimien asetusten ryhmittely
WO1997030375A1 (en) * 1996-02-13 1997-08-21 Obsidian Im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amera through external means
US5986701A (en) * 1996-09-26 1999-11-16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of grouping related images captured with a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US5861918A (en) * 1997-01-08 1999-01-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removable memory in a digital camera
JP3392316B2 (ja) * 1997-02-27 2003-03-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インデクス付与型映像撮影装置
JP3880745B2 (ja) * 1999-04-13 2007-02-14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60009283T2 (de) * 1999-06-02 2005-03-10 Eastman Kodak Co. Anpassung einer digitalbildübertragung
US7019778B1 (en) * 1999-06-02 2006-03-28 Eastman Kodak Company Customizing a digital camera
JP3629166B2 (ja) * 1999-06-24 2005-03-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フラッシュを内蔵したカメラの制御装置
US7154538B1 (en) * 1999-11-15 2006-12-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upload system, storage medium, and image upload server
US7082227B1 (en) * 1999-11-24 2006-07-25 Baum Daniel R Producing printed images having personalized features
JP4679685B2 (ja) * 2000-01-28 2011-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構図補助フレーム選択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7327387B2 (en) * 2000-02-21 2008-02-05 Fujifilm Corporation Image pick-up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a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US6760065B1 (en) * 2000-03-24 2004-07-06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table of contents
US7117519B1 (en) * 2000-07-26 2006-10-03 Fotomedia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ctions to be taken by a server when uploading images
US20020065844A1 (en) * 2000-11-30 2002-05-30 Rich Robinson Metadata internet platform for enabling customization of tags in digital images
JP2002207621A (ja) * 2001-01-12 2002-07-26 Minolta Co Ltd データ通信端末、カメラ、および記録媒体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023565A (ja) * 2001-07-09 2003-01-24 Mazda Motor Corp 撮像方法、携帯撮像装置、車両用制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44499B2 (ja) * 2001-07-13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編集方法
US7616261B2 (en) * 2001-12-19 2009-11-10 Kyocera Corporation Folding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4066794B2 (ja) * 2001-12-28 2008-03-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データ記憶方法、画像データ記憶・再生方法及び撮像装置
US7146179B2 (en) * 2002-03-26 2006-12-05 Parulski Kenneth A Portable imaging device employing geographic information to facilitate image access and viewing
AU2003299638A1 (en) * 2002-12-16 2004-07-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xed mode personal communication
US20040114044A1 (en) * 2002-12-16 2004-06-17 Mamoto Corporation Digital camera with keyboard and wireless modem
US7302279B2 (en) * 2002-12-18 2007-11-27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and information items for use therein
US20040126038A1 (en) * 2002-12-31 2004-07-01 France Telecom Research And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annotation and retrieval of remote digital content
BRPI0418857A (pt) * 2004-05-14 2007-11-20 Nokia Corp método, sistema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para controlar ao menos uma função do aparelh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8497A1 (en) 2006-01-25
WO2004097674A1 (en) 2004-11-11
JP4624983B2 (ja) 2011-02-02
FI115364B (fi) 2005-04-15
FI20030657A0 (fi) 2003-04-30
CN1781104A (zh) 2006-05-31
US20050001904A1 (en) 2005-01-06
JP2006524946A (ja) 2006-11-02
KR20060017596A (ko) 2006-02-24
FI20030657A (fi) 200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1288B2 (ja) デジタル写真を電子ドキュメントにリン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694626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이미지 처리 프로파일
US8069092B2 (en) Method system of software for publishing images on a publicly available website and for ordering of goods or services
US200300789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sharing based on faces in an image
WO2007113462A1 (en) Content processing
JP2003271602A (ja) 画像管理システム
JP4680937B2 (ja) メタ情報メディアファイルの共有
JP4073841B2 (ja) 電子メール・サーバ
US7595914B2 (en) Portable photo scanner with task assigner
JP2003271529A (ja) 提案文書回覧システム、提案文書回覧方法、その管理サーバ、提案者端末、閲覧者端末および記録媒体
KR100874312B1 (ko) 단말기 상에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10412455B2 (en) Image management device
US7646408B2 (en) Image data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JP2006195636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JPWO2009048050A1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
JP200135892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US20040218046A1 (en) Digital camera performing image transmission and method thereof
KR101963298B1 (ko) 사진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기기 및 그 사진관리방법
WO2016084208A1 (ja) 画像ファイル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処理プログラム
US20090100064A1 (e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systems for automating distribution of digital media
JP2002189723A (ja) デジタルフォト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3274103A (ja) 写真配信システム
JP2003244601A (ja) サーバー、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2002278876A (ja) 情報編集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編集サービス提供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U1804102A (en) An image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