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466B1 -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 Google Patents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466B1
KR100694466B1 KR1020010085643A KR20010085643A KR100694466B1 KR 100694466 B1 KR100694466 B1 KR 100694466B1 KR 1020010085643 A KR1020010085643 A KR 1020010085643A KR 20010085643 A KR20010085643 A KR 20010085643A KR 100694466 B1 KR100694466 B1 KR 10069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erminal
transistor
source
operationa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619A (ko
Inventor
이성권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4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characterised by reference voltage circuitry, e.g. soft start, remote shutdow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5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integrated circuits, e.g. step down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는 면적을 작게 차지하면서도 공정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 상기 전압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전류원에 다른 한 단자가 연결되며, 또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되고, 공정 및 온도 정보를 검출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동일한 크기의 전류를 복사하는 피드백 전류 생성부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온도특성, 공정특성, 정전류, 정전압

Description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BIAS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CURRENT}
도 1은 종래의 바이어스 전류 피드백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 교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백-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내의 전압원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내의 전류원의 회로도,
도 7a~7d는 본 발명의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에 의해 나타난 결과에 관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 전압원
420 : 전류원
430 : 제1 트랜지스터
440 : 피드백 전류 생성부
본 발명은 바이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 변화나 공정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전류를 공급해 줄 수 있는 바이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상 바이어스 회로 기법으로는 바이어스 전류 피드백(Bias current feedback), 자동 교정 체계(Self calibrating scheme) 및 자동 조정 문턱 전압 체계(Self adjusting VTH scheme)가 있다.
도 1에 의한 바이어스 전류 피드백 방법은 출력 버퍼의 구동 능력이 원하는 정도가 될 때까지 출력 버퍼 트랜지스터의 유효폭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구현이 용이한 대신, 저항의 변화가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의한 자동 교정 방법은 바이어스 전류가 원하는 레벨이 될 때까지 클럭을 이용해 전자 펌프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별도의 클럭이 쓰이기 때문에 스위칭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어스 전류 떨림(fluctuation)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자펌프의 출력단에 큰 커패시터를 장착하게 되어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에 의한 백-바이어스(Back-Bias 또는 Self adjusting VTH scheme) 기법은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를 감지하여 음 전압 전하 펌프를 이용해 문턱 전압(VTH)을 낮추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당히 좋은 효과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문턱 전압을 한 방향으로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쌍방향으로 제어해야 하는 시점에서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면적을 작게 차지하면서도 공정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는,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 상기 전압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전류원에 다른 한 단자가 연결되며, 또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되고, 공정 및 온도 정보를 검출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동일한 크기의 전류를 복사하는 피드백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본 발명의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는, 전압원(410), 전류원(420), 제1 트랜지스터(430) 및 피드백 전류 생성부(440)를 포함하고 있다.
전압원(410)은 후술하는 제1 트랜지스터(430)의 게이트 단자에 일정한 전압(Vc)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류원(420)은 후술하는 제1 트랜지스터(430)의 드레인 단자에 일정한 전류(Ic)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트랜지스터(430)는 NMOS 트랜지스터로서, 드레인 단자는 상기 전류원(420)에 연결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피드백 전류 생성부에 연결되어 전류(I2)를 공급하고,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전압원(410)에 연결되어 인가된 전압에 의해 드레인 단자에서 소스 단자로 전류(I1)가 도통하도록 하며, 이로써 공정 및 온도 정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소스 단자는 접지되는데, MOS 트랜지스터의 특성상 상기 소스 및 드레인 단자는 대칭적이다.
또한, 피드백 전류 생성부(440)는 전류 미러(Current mirror)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430)로부터 공급받은 전류(I2)와 동일한 크기의 전류(I0)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원(410)은,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관하여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서로 베이스 단자가 접속되고 또한 접지된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 단자는 제2 저항(R2)의 한쪽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 단자 및 상기 제2 저항(R2)의 다른 한쪽이 각각 비반전, 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Vc에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1 연산 증폭기(A1)를 포함하며, 한편은 상기 제1 연산 증폭기(A1)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값이 궤환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연산 증폭기(A)의 비반전, 반전 단자에 연결된 제1 저항(R1) 및 제3 저항(R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를 구현한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밴드 갭 회로는 BJT의 밴드갭 전압 특성 및 절대 온도 비례 특성을 갖는 전압을 생성해서 온도 변화를 상쇄시키는 구조이다. 이 회로의 생성 전압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온도에 반비례하는 전압 특성을 갖는 VEB1(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베이스 전압)에 대해 절대 온도에 비례하는 절대 온도 비례 성분의 합으로 온도에 대해 일정한 전압을 생성한다.
Figure 112001034745761-pat00001

또한, 상기 전류원(4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Vc)를 반전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430)의 소스 단자 출력을 비반전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430)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 단자가 연결된 연산 증폭기(A2)를 포함하고, 제 4 저항(R4)의 한쪽은 접지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상기 제1 트랜지스터(430)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며, 이로써 상기 제1 트랜지스터(430)의 드레인 단자에 정전류(Ic)가 흐르게 한다.
도 6은 정전압원과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정전류원으로 정전압원으로는 밴드 갭 레퍼런스의 전압(Vc)를 사용한 후, 연산 증폭기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가상 접지인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 전압이 반전 단자 전압인 Vc와 같게 만든 후에 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생성하는 구조로 아래 수학식 2의 원리를 따른다.
Ic = Vc/R4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다. 우선 공정 및 온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역할을 하는 제1 트랜지스터(430)에 일정한 전압(Vc)을 가하면 도 7a와 같이 공정 및 온도에 따라 전류(I1)가 결정된다. 이 전류를 정전류원(Ic)에서 빼준 결과가 도 7b에서와 같이 전류(I0)로 나타난다. 그 결과 공정과 온도에 대하여 보상이 된 전류 특성을 볼 수 있다. 먼저, 온도가 증가할수록 제1 트랜지스터(430)의 전류(I1)가 감소하는 것이 전류(I0)처럼 온도 증가에 대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또한, 공정이 느린 방향일 때 오히려 전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7c 및 7d는 HSPICE를 이용하여 모의 실험하였을 때 나타난 특성을 그래프로 출력한 것이다. 전류원(420)을 통해 나온 전류(Ic)는 공정과 온도에 따라 600㎂±5% 정도의 작은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밴드 갭 전압을 통해 바이어스된 전류(I1)는 공정과 온도에 따라 150~460㎂로 변하며, 빠른 공정(ff)과 낮은 온도일수록 큰 전류를 생성한다. 전류 미러에 흐르는 전류(I0)는 정전류(Ic)에서 바이어스된 전류(I1)를 뺀 전류량을 나타낸 것으로, 공정과 온도에 따른 변화를 반전시킨 형태이다. 170~440㎂의 전류가 출력되었으며, 빠른 공정(ff)과 낮은 온도에서 가장 작은 170㎂의 전류가 출력되도록 하고, 느린 공정(ss)과 높은 온도에서 가장 큰 전류 440㎂가 흐르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회로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바이어스 회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아주 간단한 구조로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기술에 있어서의 복잡함과 넓은 면적을 요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
    상기 전압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전류원에 다른 한 단자가 연결되며, 또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되고, 공정 및 온도 정보를 검출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동일한 크기의 전류를 복제하는 피드백 전류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은,
    베이스 단자 및 컬렉터 단자는 접지된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베이스 단자는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는 접지된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한쪽이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에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에 한쪽이 연결된 제2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다른 한쪽에 출력값이 궤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의 다른 한쪽이 반전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 자가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정전압에 연결된 제1 연산증폭기; 및
    상기 제1 연산증폭기의 출력에서 출력값이 궤환되도록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제1 연산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연결된 제 3 저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반전 단자로 정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2 연산 증폭기; 및
    한쪽은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로 동시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접지된 제 4 저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류 생성부는 전류 미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반전 단자로 정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2 연산 증폭기; 및
    한쪽은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로 동시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접지된 제 4 저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6. 제 2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류 생성부는 전류 미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KR1020010085643A 2001-12-27 2001-12-27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KR10069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643A KR100694466B1 (ko) 2001-12-27 2001-12-27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643A KR100694466B1 (ko) 2001-12-27 2001-12-27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619A KR20030055619A (ko) 2003-07-04
KR100694466B1 true KR100694466B1 (ko) 2007-03-12

Family

ID=3221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643A KR100694466B1 (ko) 2001-12-27 2001-12-27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706B1 (ko) * 2008-07-04 2010-08-12 김창근 디스플레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1616A (ja) * 1985-04-05 1986-10-15 Fuji Electric Co Ltd 定電流回路
JPH08102627A (ja) * 1994-10-03 1996-04-16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
US5557194A (en) * 1993-12-27 1996-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Reference current generator
JP2000075942A (ja) * 1998-08-27 2000-03-14 Mitsumi Electric Co Ltd オフセット電圧トリミング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1616A (ja) * 1985-04-05 1986-10-15 Fuji Electric Co Ltd 定電流回路
US5557194A (en) * 1993-12-27 1996-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Reference current generator
JPH08102627A (ja) * 1994-10-03 1996-04-16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2000075942A (ja) * 1998-08-27 2000-03-14 Mitsumi Electric Co Ltd オフセット電圧トリミング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619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93248A (ja) フィードバック制御低電圧電流シンク/ソース
KR20020072041A (ko) 기준전압 발생회로
KR100248169B1 (ko) 기판 바이어스전압 발생기용 조정회로
KR960009158A (ko) 기준전압 발생회로
JPH06138965A (ja) 集積回路用基準電圧発生回路
US7042205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or with supply voltage and temperature immunity
KR100694466B1 (ko) 전류 보상 바이어스 회로
KR101173482B1 (ko) 온도보상형 발진기
KR19990007180A (ko) 데이터 판정 회로 및 데이터 판정 방법
KR100760145B1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및 기준 전류 발생 회로
KR100253289B1 (ko) 기준전압 발생기
US5864230A (en) Variation-compensated bias current generator
KR100607164B1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KR20080003048A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KR100410633B1 (ko) 정전류 발생회로
JPH11134051A (ja) 基準電圧回路
KR0150196B1 (ko) BiCMOS 기준 전압 발생기
TW202046044A (zh) 參考電壓產生裝置
KR0143575B1 (ko) 기준전압 발생 회로
KR100452176B1 (ko) 전류원-숏회로
KR100415545B1 (ko) 기준전류생성회로
KR2003009129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원 전압 발생회로
KR100267765B1 (ko) 바이어스보상회로
KR20180068453A (ko) 저전력 밴드갭 기준전압 및 기준전류 동시 발생 회로
JP2647208B2 (ja) A級プッシュプル出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