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385B1 - 지중매설관로 - Google Patents

지중매설관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385B1
KR100694385B1 KR1019990059124A KR19990059124A KR100694385B1 KR 100694385 B1 KR100694385 B1 KR 100694385B1 KR 1019990059124 A KR1019990059124 A KR 1019990059124A KR 19990059124 A KR19990059124 A KR 19990059124A KR 100694385 B1 KR100694385 B1 KR 10069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rooves
groove
pip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440A (ko
Inventor
후루카와유
코자와사토시
야노쇼죠
니시야마히데미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881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3671B2/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각각이 상부면에 홈(21)을 가진 복수의 하부쪽 블록(11)을, 그 홈(21)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직렬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하부쪽 블록(11)의 열에 걸쳐지는 파형부가 관(15)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하도록 부설하고, 그 위에, 하부면에 홈을 가진 상부쪽 블록을 다수, 그 홈이 상기 파형부기관의 상부에 덮어지게 끝면을 대치시켜서 직렬로 배치한 지중매설관로로서, 상기 파형부가 관(15)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파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지중매설관로{UNDERGROUND PIPELINE}
도 1은 종래의 지중매설관로를 표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표시한 종래의 지중매설관로를 지중에 매설한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지중매설관로의 하부쪽 블록 및 상부쪽 블록을 표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나선파형부가 플라스틱관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나선파형부가 플라스틱관을 지중에 매설했을 경우의 문제점을 표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종래지중매설관로의 접속부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표시한 블록을 사용해서 구성된 다공(多孔)관로를 표시한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지중매설관로를 표시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지중매설관로에 사용되는 파형부가 플라스틱관의 접속부를 표시한 도면
도 10은 도중에 소직경독립파형부를 가진 파형부가 플라스틱관을 표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의 접속부를 표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의 접속부를 표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하는 블록을 표시한 사시도
도 14A는 도 13에 표시한 블록을 사용해서 구성한 다공관로를 표시한 단면도
도 14B는 도 13에 표시한 블록을 사용해서 구성한 다공관로를 표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 사시도
도 16A∼도 16C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 사시도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A 및 도 18B에 표시한 블록을 포갠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표시한 블록을 포갠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3: 블록 11a, 11b, 13a, 13b: 끝부분
15: 파형부가플라스틱관 15b, 15c: 독립파형부분
17: 관통하는 볼트 19: 네트
21, 25: 홈 20: 틈새
23, 27: 볼트구멍 29: 매설토사
30: 매설홈 33: 오목부
본 발명은, 케이블이나 전선을 보호하여, 수납하고, 지중에 부설하기 위한 지중매설관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케이블이나 전력케이블 등의 관로를 지중에 매설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동일 장소에 부설하는 관로의 개수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여러줄 다단식으로 부설하는 경우가 증가해가고 있다. 이와 같은 부설을 행하는 경우에, 썩알맞는 지중매설관로로서, 본출원인은 앞서, 일본국 특개평 9-105479호 공보에 기재의 것을 제안하였다.
즉, 도 1은, 앞서 제안된 지중매설관로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그 2-2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하부쪽 블록과 상부쪽 블록의 짜맞춤을 끄집어 내 어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1∼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에 복수개의 평행한 홈(21)을 가진 하부쪽 블록(11)이 다수, 그 홈(21)이 연속하도록 단부면을 맞대어서 직렬로 연속해서 배치되고, 이 다수의 하부쪽블록(11)에 걸쳐서, 나선파형 부가된 플라스틱관(15)가, 그 둘레절반부분이 상기 홈(21)에 수용되도록 부설되어 있다. 또, 그위에, 하부면에 복수개의 평행한 홈(25)를 가진 상부쪽블록(13)이 다수, 그 홈(25)가 상기 파형부가된 플라스틱관(15)의 둘레절반부분에 덮이도록 끝면을 맞대어서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하에 짜맞춤된 하부쪽 블록(11) 및 상부쪽블록(13)은, 다단으로 포개지고, 하부쪽블록(11)의 볼트구멍(23) 및 상부쪽 블록(13)의 볼트구멍(27)에, 과통하는 볼트(17)을 통하게해서, 너트(19)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지중매설관로를 짜서 이루어진 후에, 매설홈(30)에 매설토사(29)가 투입된다.
이와 같은 지중매설관로에서는, 흙압력 등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해, 통상,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관의 하부쪽 블록(11)과 관의 상부쪽블록(13)을 갈짓자배치가 되도록(하부쪽 블록의 이은자리와 상부쪽 블록의 이은자리가 블록의 길이의 1/2만큼 어긋나도록)포갬으로써, 관로전체로서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지중매설관로를 사용함으로써, 다수개의 파형부가된 플라스틱관(15)를 콤펙트하게 매설할 수 있어, 여러즐 다단식부설임에도 불구하고, 일괄되묻기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에 손상을 발생하기 어 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예를 들면 도로규제 등이 필요하게 되는 시가지에 있어서는, 하루단위로 굴삭, 배관, 되묻기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하루의 공사는 단거리로 종료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수m의 길이로 내부관을 절단하고, 다음날의 시공시에는, 부설완료된 파형부가된 플라스틱관(15)와 신설하는 파형부가된 플라스틱관(15)를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접속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나선형상으로 파형부가 된 플라스틱관을 사용하는 방법이 채택되었다. 즉,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에 그 나선파형부(15a)의 형상에 맞는 플라스틱제의 슬리브(1)을 비틀어넣고, 그 위에 슬리브(1) 끝부분과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틈새를 시일하는 방수를 위한 고무제의 실링테이프(2), 방수를 위한 보호테이프(3)(예를 들면 발코테이프(상품명)), 및 보호테이프(3)의 끝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PVC접착테이프(4)를 감으므로써,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지중매설관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제 1의 문제)
부설루트의 곡선부에 있어서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부쪽 블록(11) 및 상부쪽 블록(13)을 루트의 구부러짐에 맞추어서, 구부러짐의 외부쪽에 틈새(20)을 형성하면서 굴삭구내에 배치하고,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하부쪽 블록(11) 및 상부쪽 블록(13)의 구내에 수용해서 부설해가는 방법이 채택된다.
이와 같은 관로가 부설된 근처에 비가 내리고, 또는 지하수가 솟아나면, 틈새(20)으로부터 주변의 매설토사가 지하수등과 함께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와 하부쪽 블록(11) 및 상부쪽 블록(13)의 사이에 파고들어가 버린다. 종래는, 나선형상의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선파부분(15a)의 골짜기를 따라 블록(11)과 블록(13)의 내부로까지 토사가 파고들어가며, 그 유입량이 많으면, 지중매설관로주변의 지중에 공동이 생기고, 도로의 함몰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틈새(20)에 모르타르 등을 채운 다음에 매설하는 시공방법을 사용하는 일도 있으나,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제 2의 문제)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에 나선파부분(15a)의 형상에 맞는 슬리브(1)을 비틀어넣고, 테이프처리를 해서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끼리를 접속하면, 그 접속부가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외경보다도 커지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은 다공관로의 경우, 관은 치수가 길다고해도 길이가 유한이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어딘가에 관의 접속개소가 발생한다. 관의 접속개소는 관보다 외경이 커지기 때문에, 관의 접속개소에서는, 블록에 당해 접속개소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사이즈의 외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를 현장에서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종래는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은 블록이 사용되고 있었다. 즉, 이 블록(11),(13)은, 상대방블록과의 대햐면에 관의 둘레절반을 수 용하는 홈(21),(25)를 복수개 평행으로 형성하고, 각홈(21),(25)의 양끝에 관의 접속개소의 길이의 절반의 둘레절반분을 수용하는 오목부(33)을 형성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한 블록(11),(13)을 사용해서 구성된 다공관로를 표시한다.
도 6에 표시한 블록(11),(13)을 갈짓자배치로 포개면, 하부의 블록(11)과 상부의 블록(13)에서는 오목부(33)의 위치가 어긋나버리기 때문에, 관(15)의 접속개소(35)를 수용하는 공간여유를 만들 수 없다. 이 때문에, 관의 접속개소(35)에서는, 상부쪽의 블록(13)을 절반길이로 절단하고,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절반의 길이의 블록(13A),(13A)를 좌우교환해서, 오목부(33)을 맞대게해서 포개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관의 접속개소(35)에서, 하부쪽의 블록의 이은자리와 상부쪽의 블록의 이은자리가 일치하고(도 7의 A부분), 갈짓자배치가 흐트러져 버리기 때문에, 그 부분의 강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서 저하하고, 내진성이나 전단(剪斷)특성을 보다 한층더 향상시키는 위에서 장해가 되어 있었다.
또, 공사현장에서는, 관의 접속개소에서 블록을 절반으로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에 요하는 공구나 시간이 증가한다. 또, 종래의 블록은, 블록의 양끝에 내경이 큰 오목부분이 인접되어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와 오목부의 사이의 두께가 얇아지고, 다른 부분에 비해서 양끝부분의 압축강도가 낮다고 하는 불만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매설관로의 구부러짐 부분에 있어서, 토사가 용이하 게 블록내에 파고들어가기가 어렵고, 따라서 도로함몰의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한 지중매설관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의 접속개소에서도 갈짓자배치가 흐트러지지 않고, 블록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블록양끝부분의 압축강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관로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이 상부면에 홈을 가진 복수개의 하부쪽의 블록을, 그 홈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하부쪽 블록의 열에 걸치는 파형부가 관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하도록 부설하고, 그위에, 하부면에 홈을 가진 상부쪽블록을 다수, 그 홈이 상기 파형부가관의 상부에 덮어지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한 지중매설관로로서, 상기 파형부가관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이 상부면에 홈을 가진 복수의 하부쪽블록을, 그 홈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하부쪽 블록의 열에 걸처지는 제 1의 파형부가관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부설하고, 그 위에, 하부면 및 상부면에 각각 홈을 가진 중간블록을 다수, 하부면의 홈이 상기 제 1의 파형부가관의 상부에 덮이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중간블록의 열에 걸쳐지는 제 2의 파형부가관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부설하고, 그 위에, 하부면에 홈을 가진 상부쪽 블록을 다수, 그 홈이 상기 제 2의 파형 부가관의 상부에 덮이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한 지중매설관로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파형부가관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지중매설관로의 특징은, 상하블록사이의 틈새에 배치되고, 상하블록에 의해 지지된 관로로서, 바깥둘레에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 부분이 번갈아 형성된 파형부가 관을 사용한 부분에 있다. 이 관의 외부면은, 길이방향의 단면이 파형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란, 각산부분, 골짜기부분이 바깥둘레에 번갈아 링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인접하는 산부분끼리가 그 사이에 골짜기부분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골짜기부분끼리가 산부분을 개재해서, 상호간분리되어 있고, 나선형상과 같이 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고 있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지중매설관로에 의하면, 파형부가관의 산부분외경을 하부쪽블록 및 상부쪽블록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상틈의 내경에 거의 동등하게 함으로써, 산부분이 하부쪽블록 및 상부쪽 블록의 홈내면에 전체둘레에 걸쳐서 대략 접하도록 된다.
따라서, 지중매설관로의 그 부러짐부분에 있어서, 인접하는 하부쪽 블록사이 및 상부쪽 블록사이에 틈새가 발생해서, 매설토사가 그 틈새로부터 하부쪽블록내 및 상부쪽 블록내에 파고들어갈려고해도, 토사의 진입은 하부쪽블록 및 상부쪽 블록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파형부가관의 산부분에서 저지되고, 하부쪽블록 및 상부쪽블록의 내부에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또, 파형부가관의 끝부분에, 산부분외경이 하부쪽블록 및 상부쪽 블록의 홈내경보다도 작은 소직경부분을 형성하고, 2개의 파형부가 관의 소직경부분끼리를, 예를 들면 슬리브를 사용해서 접속함으로써, 이 접속부의 외형을 하부쪽 블록 및 상부쪽 블록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상 틈의 내경과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이 접속부를 하부쪽블록 및 상부쪽블록의 홈내부에 작업성있게 수용할 수 있고, 또, 외부상처를 받는 일도 없어진다.
또, 이와 같이, 파형부가관의 끝부분에 소직경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를 수용하기 위한 접속개소수용부를 상부쪽블록 및 하부쪽블록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지중매설관로에 있어서, 상부쪽블록과 하부쪽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쪽 블록의 홈과 하부쪽 블록의 홈에는,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개소수용부는, 상부쪽블록과 하부쪽블록중의 한쪽블록의 한끝으로부터, 다른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1/2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각 복수의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쪽 블록의 각각의 홈과 하부쪽 블록의 각가의 홈에는,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부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중의, 한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는, 상부쪽블록과 하부쪽블록중의 한쪽블록의 한끝으로부터, 다른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1/2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다른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는, 상부쪽블록과 하부쪽블록중의 한쪽블록의 다른끝으로부터, 다른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1/2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각 복수의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쪽 블록의 각각의 홈과 하부쪽 블록의 각각의 홈에는,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부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중의, 한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와, 다른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는,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중의 한쪽블록의 한끝으로부터, 다른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1/2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쪽의 접속개소수용부는,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블록의 길이의 1/2의 거리 어긋나게해서 배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블록의 길이의 n분의 1만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부쪽 블록의 홈과 하부쪽 블록의 홈에는,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개소수용부는,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중의 한쪽블록의 한끝으로부터, 다른 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2n분의 1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위치관계를 가진 접속개소를 구비한 상하블록이라면, 관의 상하 에 맞포개서 갈짓자배치로 함으로써, 상하블록의 접속개소수용부의 위치가 일치하고, 관의 접속개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여러가지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중매설관로의 조립에 대해서, 종래의 기술의 설명에 사용한 도 1∼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그 조립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1) 먼저, 지면에 굴착한 매설홈(30)의 바닥에, 윗면에 복수개의 평행한 홈(21)을 가진 하부쪽블록(11)을 다수를, 그홈(21)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직렬로 배치한다. 이때, 하부쪽블록(11)은 서로의 끝면이 가능한한 접근하도록, 가능하면 접하도록 배치한다.
2) 이어서, 이들 다수의 하부쪽블록(11)의 열에 걸치도록, 홈(21)내에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부설한다.
3) 이어서, 상기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위에, 하부면에 복수개의 평행한 홈(25)를 가진 상부쪽 블록(13)(길이는 하부쪽블록(11)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을, 그 끝면이 대치하는 위치가 하부쪽 블록(11)의 끝면이 대치하는 위치로부터 어긋나도록, 바람직하게는 관로방향으로 하부쪽 블록(11)의 길이의 절반의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배치한다. 이렇게하여, 1단째의 관로를 조립한다. 이때, 상부쪽 블록(13)도, 하부쪽블록(11)과 마찬가지로, 서로의 끝면이 가능한한 근접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맞대어서 배치한다.
4) 상기한 1단째의 관로위에,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2단째의 관로를 조립해서, 겹쳐 쌓게한다. 그리고, 각블록(11),(13)에 형성한 볼트구멍(23),(27)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볼트(17)을 넣고, 너트(19)로 고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중매설관로의 특징은, 도 8A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가, 바깥둘레에 블록(11),(13)의 홈(21),(25)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형상공간의 내경과 거의 동등한 외경의 다수의 산부분을 가지는 독립파형부(15b)를 가지고, 파형부가플라스틱관(15)가 독립파형부(15b)의 산부분에서 홈(21),(25)의 내벽에 거의 전체원둘레에 걸쳐서 접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독립파형부(15b)의 산부분과 홈(21),(25)의 내벽의 사이의 간격이, 둘레방향으로 평균 5㎜정도였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외형은, 나선형상이 아니고, 다수의 독립된 산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중매설관로의 구부러진 부분에 있어서는, 도 8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하부쪽 블록(11),(11)사이에 틈새(20)이 생기고 있다(상부쪽 블록(13),(13)사이도 마찬가지임). 그러나, 매설토사가 틈새(20)으로부터 하부쪽 블록(11), 상부쪽 블록(13)내에 파고들려고해도,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가 독립파형부분(15b)의 산부분에서 블록(11),(13)의 홈(21),(25)의 내벽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토사의 진입은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하부쪽블록(11), 상부쪽블록(13)의 끝부분에 가까운 독립파형부(15b)의 산부분에서 저지되고, 하부쪽 블록(11), 상부쪽 블록(13)의 내부에 파고들어가는 일은 없다.
다음에,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접속부에 대해서, 도 9A, 도 9B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접속부의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는, 도 9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끝부분의 독립파형부(소직경부)(15c)의 산부분외경이 하부쪽 블록(11), 상부쪽 블록(13)의 홈(21),(25)의 내경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끝부분을 제외한 독립파형부분(15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산부분외경이 홈(21),(2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는, 슬리브(42)를 개재해서 접속된다.
접속부의 조립은 이하의 수순에 의해 행한다. 즉,
1) 먼저, 파형부가플라스틱관(15)의 독립파형부분(15c)의 바깥둘레의 골짜기부분에 고무패킹(41)을 장착한다.
2) 이어서, 원통형상의 슬리브(42)의 한쪽끝(도 9A에서는 우측단)의 내부에 독립파형부분(15c)를 밀어넣고, 패킹(41)장착부분이 슬리브(42)내에 들어가고,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끝부분이 슬리브(42)중앙에 형성된 잘록한 부분(42b)에 맞닿게 한다.
3) 그후, 슬리브(42)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한 끝부분(42a)와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독립파형부분(15c)에 걸쳐서, 플라스틱제의 C자형상의 빠짐방지용의 링(43)을 끼워넣는다. 링(43)은 C자형상이기 때문에, 측방으로 부터 용이하게 장착가능하다. 또, 도 9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링(43)은 단면이 대략
Figure 111999542409341-pat00001
자모양을 하고 있고, 우측끝쪽부분(43a)는 독립파형부분(15c)의 골짜기부분에 끼워넣어지며, 반대쪽의 좌측끝쪽부분(43b)는 슬리브(42)의 볼록형상링을 이루는 끝부분(42a)를 걸쳐서 끼워넣어져 있다.
4) 다음에, 슬리브(42)의 다른끝(도 9B에서는, 좌측단)에도 마찬가지로, 접속해야할 반대쪽의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패킹(41)이 장착된 독립파형부(15c)를 삽입하고, 빠짐방지용의 링(43)을 끼워넣고, 접속부로한다.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된 접속부에서는, 링(43)은 슬리브(42)가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속부는 양쪽의 끝부분에 장착한 패킹(41),(41)에 의해 방수가 도모된다.
상기 접속부는, 슬리브(42)와 링(43)으로 이루어진 이음매의 외경이 블록(11),(13)의 홈(21),(25)의 내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하부쪽블록(11), 상부쪽 블록(13)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또, 토사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는, 외경이 작은 소직경독립파형부분(15c)가 양끝에만 있어도 되고,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독립파형부분(15b)의 사이에 소망하는 간격으로 소직경독립파형부분(15c)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 10에 표시한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망하는 길이(예를 들면, 하루의 굴삭량이 한정되는 시가지에서의 시공에 있어서는, 하루의 굴삭거리와 동일한 1∼10수m의 길이)가되도록, 독립파형부분(15c)에서 절단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독립파형부분(15b),(15c)의 치수(예를 들면 피치나폭, 파형높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내면은 파형형상으로도 되고, 평활해도 된다. 또한, 독립파형부분(15b)와 (15c)의 내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의 접속부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2에 관한 매설관로가 실시형태 1에 관한 매설관로와 다른점은, 인접하는 블록(11),(11)(또는 (13),(13))의 끝부분이 짜맞추어져 있는 점이다. 즉, 블록(11),(13)의 한끝부분(11a),(13a)는 외형이 높이, 폭 다같이 다른 부분보다도 작은 네모로 되어 있고, 다른 끝부분(11b),(13b)는, 상기 한끝부분(11a),(13a)를 안쪽에 넣어서, 여유를 가지고 짜맞춤되도록, 안쪽면이 확대된 블록(11),(13)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Figure 111999542409341-pat00002
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본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서는, 상하의 블록(11),(13)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수용하는 공간은, 전체길이에 걸쳐서 동일형상 및 동일사이즈로 되어 있고,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접속하는 이음매는 그 공간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로서 도 10에 표시한 것이 사용되어 있고, 이음매로서는 도 9B에 표시한 슬리브(42)와 링(43)으로 이루어진 이음매가 사용되어 있다.
이 이음매는, 그 최대외경이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독립파형부분(15b)의 최대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소직경독립파형부 분(15c)의 부분에서 양쪽의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는 슬리브(42)를 개재해서 접속되고 있다. 다른 부분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서는, 인접하는 블록(11),(13)의 끝부분(11a),(13a)와 (11b),(13b)가 짜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설루트가 구부러져 있어도, 인접하는 블록(11),(11),(13),(13)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블록(11),(13)과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의 사이에 토사가 유입하는 것을 보다 고도로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이 관로에서는, 접속을 위하여 작은 소직경독립파형부분(15c)를 형성한 관(15)를 사용하였으므로, 관(15),(15)의 접속개소에서도 관(15)의 최대직경부분이하의 외경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부쪽블록(13), 하부쪽 블록(11)에 형성하고 있었던 관접속개소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33)을 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 관의 접속개소(35)의 부분에서도 블록(11),(13)의 갈짓자배치가 흐트러지는 일은 없어지고, 고강도의 다공관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블록(11),(13)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시간의 단축, 노력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이 작용효과는, 관이 나선파형부가관의 경우에도 주효하는 것이다.
또, 하부쪽블록(11)과 상부쪽블록(13)의 홈(21),(25)의 일부에 접속부가 수용하게 되는 직경확대부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접속부가 직경확대부분의 위 치에 부합하도록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절단할 필요가 없어지며,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 3)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하는 블록을 표시한다. 이 블록은, 도 10에 표시한 관(15)와 같은 소직경독립파형부분(15c)가 형성되고 있지 않는 관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 블록은, 상부쪽 블록으로서도 하부쪽블록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블록(11),(13)에는, 상대방블록과의 대향면에 관의 둘레절반부분을 수용하는 홈(21),(25)가 2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홈(21),(25)에는 길이방향의 도중에 관의 접속개소의 둘레절반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33)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홈(21),(25)의 오목부(33)은, 블록(11),(13)의 한끝으로부터 블록(11),(13)의 길이 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의 홈(21),(25)의 오목부(33)은, 블록(11),(13)의 다른끝으로부터 블록(11),(13)의 길이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오목부(33)과 다른쪽의 오목부(33)은 블록(11),(13)의 길이방향으로 블록(11),(13)의 길이L의 1/2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도 14A, 도 14B는, 도 13의 블록(11),(13)을 사용해서 구성된 다공관로이다. 도 14A는 단면도, 도 14B는, 상부쪽의 블록(13)을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다공관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조립된다. 먼저, 다수의 블록(11)을 홈(21)을 위를 향해서 서로의 끝부분이 근접하도록 또는 맞닿도록해서 배열하고, 홈(21)을 따라 독립홈의 파형부가 플라스틱관(15)를 부설한다. 관(15)의 접속개소(35)는, 어느한쪽의 블록(11)의 오목부(33)에 수용한다. 도 14B는 이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그후, 이 위에 다수의 블록(13)을, 홈(25)를 밑으로 향해서 하부의 블록(11)에 대해서 블록의 길이 L의 1/2만큼 어긋나게해서 갈짓자배치가 되도록 포개나간다. 상하의 블록(11),(13)은 도시생략의 통과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해서 일체화한다.
이와 같이, 도 14A에 표시한 블록(11),(13)을 사용하면, 관의 접속개소(35)의 부분에서도 블록(11),(13)의 갈짓자배치가 흐트러지는 일이 없으므로, 고강도의 다공관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블록(11),(13)을 절단할 필요가 없음으로, 시공시간의 단축, 노력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 홈(21),(25)의 도중에 오목부(33)을 형성함으로써, 블록(11),(13)의 양끝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할 수 있음으로, 블록의 압축강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홈(21),(25)의 오목부(33),(33)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고, 오목부(33),(33)에 의해 두께가 감소하는 개소가 분산되고 있음으로, 이에 의해서도 블록의 강도가 향상한다.
또한, 이와 같은 작용효과는, 관이 나선파형부가관의 경우에도 주효된다.
(실시형태 4)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다. 이 블록(11)은, 상대방 블록과의 대향면에 3개의 홈(21)이 평행하게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홈(21)에는 길이방향의 도중에 관의 접속개소를 수용하는 오목부(3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홈(21)의 오목부(33)은, 블록(11)의 한끝으로부터 블록(11)의 길이 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쪽의 홈(21)의 오목부(33)은, 블록(11)의 다른끝으로부터 블록(11)의 길이 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블록(11)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3의 것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끝부분에 가까운 오목부(33)과 다른쪽의 끝부분에 가까운 오목부(33)는, 블록(11)의 길이방향으로 블록(11)의 길이 L의 1/2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이 블록(11)을 사용하면, 실시형태 3에 관한 블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록의 길이 L의 1/2만큼 어긋나게해서 맞포갬으로써, 3개의 관을 포함하는 다공관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블록(11)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된다.
(실시형태 5)
도 16A∼도 16C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다. 이 블록(51)은, 상하양면에 3개의 홈(52)가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홈(52)에는 길이방향의 도중에 관의 접속개소를 수용하는 오목부(5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홈(52)의 오목부(53)은, 상부면에서는 블록(51)의 한끝B로부터 블록(51)의 길이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서는 블록(51)의 다른끝(B끝의 반대쪽)으로부터 블록(51)의 길이 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양쪽의 홈(52)의 오목부(53)은, 상부면에서는 블록(51)의 다른끝(B끝의 반대쪽)으로부터 블록(51)의 길이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서는 블록(51)의 한끝 B로부터 블록(51)의 길이L의 1/4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3)의 배치를 상기와 같이 하면, 블록(51)의 두께방향으로 오목부(53)이 포개지지 않게됨으로, 블록(51)의 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이 블록(51)은 실시형태 4에 관한 블록과 짜맞추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4의 블록을 밑으로 배열하고, 그 홈을 따라 3개의 관을 부설하고, 그 위에 본실시형태에 관한 블록(51)을 블록의 길이L의 1/2만큼 어긋나게해서 갈짓자배치로 포개고, 그 상부면의 홈을 따라 3개의 관을 부설하고, 그위에 실시형태 4에 관한 블록을 블록의 길이L의 1/2만큼 어긋나게해서 갈짓자배치로 포개면, 6개의 관을 포함하는 다공관로를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 11을 실시형태 4에 관한 블록사이에 2단겹침을 하면, 9개의 관을 포함하는 다공관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블록(51)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된다.
(실시형태 6)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다. 이 블록(11)은, 홈(21)이 1개형성된 것이고, 오목부(33)은 블록(11)의 한끝으로부터 블록(11)의 길이 L의 1/4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블록(11)도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블록의 길이L의 1/2만큼 어긋나게해서 갈짓자배치로 포 갬으로써,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된다.
(실시형태 7)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다. 실시형태 3∼6에 관한 상하의 블록은, 상대방블록과 포개지는 길이가 한쪽끝도 다른쪽끝도 동일한 경우(블록의 길이L의 1/2)이지만, 이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11)은, 상대방블록과 포개지는 길이가 한쪽끝에서 블록의 길이L의 1/3, 다른쪽끝에서 블록의 길이L의 2/3가 되는 경우이다.
이 블록(11)에는, 상대방블록과의 대향면에 관의 둘레절반부분을 수용하는 홈(21)이 2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홈(21)에는 깊이방향의 도중에 관의 접속개소의 둘레절반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33)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홈(21)의 오목부(33)은, 하부쪽블록(11)의 한끝으로부터 상부쪽블록(13)이 포개지는 길이L/3의 절반, 즉 L/6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의 홈(21)의 오목부(33)은, 하부쪽블록(11)의 다른끝으로부터 상부쪽블록이 포개지는 길이 2L/3의 절반, 즉, L/3의 부분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위치에 형성된, 블록의 한쪽의 끝부분에 가까운 오목부(33)과 다른쪽의 끝부분에 가까운 오목부(33)은, 상기 실시형태 3∼6과 마찬가지로, 블록(11)의 길이방향으로 블록(11)의 길이L의 1/2의 거리만큼 떨어져있다.
이들 블록(11),(13)은, 도 19A 및 도 19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포개진다. 먼저, 블록(11)을 홈(21)을 위를 향해서 배열하고, 홈(21)을 따라 관(도시생략)을 부설한다. 관의 접속개소는 어느한쪽의 블록(11)의 오목부(33)에 수용한다. 그 후, 이 위에 블록(13)을, 홈(25)를 밑을 향해서, 하부의 블록(11)에 대해서 한쪽끝에서 블록의 길이 L의 1/3(다른쪽 끝에서 블록의 길이L의 2/3)만큼 어긋나게해서, 오목부(33)이 하부의 블록(11)과 일치하도록 포개나간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도, 상하부의 블록(11),(13)의 이음매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남으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8)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설관로에 사용되는 블록을 표시한다. 이 블록(11)은, 홈(21)이 1개이며, 오목부(33)이 블록(11)의 한끝으로부터 블록의 길이L의 1/2n(n은 오목부(33)을 블록(31)의 한끝으로부터 떨어져서 형성할 수 있는 범위이며, 2이상의 임의의 수)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 블록(11)과, 이와 마찬가지의 홈(25)를 가진 블록(13)을, 도 2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3)의 위치가 반대쪽에 오도록, 즉, 블록(11)에서는 오목부(33)이 좌측에 오도록 배치하고, 블록(13)에서는 오목부(33)이 우측에 오도록해서, 블록의 길이L의 1/n만큼 어긋나게해서 포개므로써, 상하의 블록(11),(13)의 오목부(33)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도, 상하의 블록(11),(13)의 이음매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므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부러짐 부분에 있어서, 인접하는 하부쪽 블록사이 및 상부쪽 블록사이에 틈새가 생겨도, 토사의 진입은 하부쪽 블록 및 상부쪽 블록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파형부가관의 독립파형산부분에서 저지되며, 그것이 내부에 들어가기 어렵게되어, 부설후의 도로함몰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고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파형부가관의 접속부는 하부쪽블록 및 상부쪽 블록의 구내의 어디라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설의 작업성이 향상한다고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관의 접속개소에서도 갈짓자 배치를 흐트리는 일없이 (상하의 블록에서 블록의 이음매를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해서)관로를 조립할 수 있음으로, 전체길이에 걸쳐서 강도가 높은, 내진성, 전단특성에 뛰어난 관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관의 접속개소에서 블록을 절단할 필요가 없음으로, 시공시간의 단축, 노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블록의 양끝부분의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강도가 높아짐으로, 이 면으로부터도 강고한 관로를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각각이 상부면에 홈을 가진 복수의 하부쪽 블록을, 그 홈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하부쪽 블록의 열에 걸쳐지는 파형부가관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부설하고, 그 위에, 하부면에 홈을 가진 상부쪽 블록을 다수, 그 홈이 상기 파형부가관의 상부에 덮어지게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한 지중매설관로로서, 상기 파형부가관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지중매설관로이고, 또한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쪽 블록의 홈과 하부쪽 블록의 홈에는, 상기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개소수용부는,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 중의 한 쪽의 블록의 한끝으로부터, 다른 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1/2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
  6. 각각이 상부면에 홈을 가진 복수의 하부쪽 블록을, 그 홈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하부쪽 블록의 열에 걸쳐지는 파형부가관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부설하고, 그 위에, 하부면에 홈을 가진 상부쪽 블록을 다수, 그 홈이 상기 파형부가관의 상부에 덮어지게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한 지중매설관로로서, 상기 파형부가관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지중매설관로이고, 또한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각 복수의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쪽 블록의 각각의 홈과 하부쪽 블록의 각각의 홈에는, 상기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 중의, 한 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는,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 중의 한 쪽의 블록의 한끝으로부터, 다른 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1/2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다른 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는,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중의 한 쪽의 블록의 다른끝으로부터, 다른 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1/2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
  7. 각각이 상부면에 홈을 가진 복수의 하부쪽 블록을, 그 홈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하부쪽 블록의 열에 걸쳐지는 파형부가관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부설하고, 그 위에, 하부면에 홈을 가진 상부쪽 블록을 다수, 그 홈이 상기 파형부가관의 상부에 덮어지게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한 지중매설관로로서, 상기 파형부가관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지중매설관로이고, 또한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각 복수의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쪽 블록의 각각의 홈과 하부쪽블록의 각각의 홈에는, 상기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 중의, 한 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와, 다른 쪽의 홈에 형성된 접속개소수용부와는, 상기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블록의 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거리를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
  8. 각각이 상부면에 홈을 가진 복수의 하부쪽 블록을, 그 홈이 연속하도록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하부쪽 블록의 열에 걸쳐지는 파형부가관을, 그 하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도록 부설하고, 그 위에, 하부면에 홈을 가진 상부쪽 블록을 다수, 그 홈이 상기 파형부가관의 상부에 덮어지게 끝면을 대치시켜서 배치한 지중매설관로로서, 상기 파형부가관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지중매설관로이고, 또한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은 동일형상인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블록의 길이의 n분의 1만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쪽 블록의 홈과 하부쪽 블록의 홈에는, 상기 파형부가관의 접속개소의 각각 둘레절반분을 수용하는 접속개소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개소수용부는, 상기 상부쪽 블록과 하부쪽 블록 중의 한 쪽의 블록의 한끝으로부터, 다른 쪽의 블록이 포개지는 길이의 2분의 1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
  9. 삭제
  10. 제 5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형부가관은, 소정의 간격으로 소직경독립파형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
  11. 제 5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중매설관로에 사용하는 파형부가관으로서, 상기 파형부가관의 바깥둘레에는, 독립된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지중매설관로가 아니고, 복수의 산부분과 골짜기부분이 나선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파형부가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로.
KR1019990059124A 1999-05-19 1999-12-18 지중매설관로 KR100694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881999A JP4443671B2 (ja) 1998-07-03 1999-05-19 管路用管台及びそれを用いた管路組立方法
JP1999-138819 1999-05-19
JP14888499 1999-05-27
JP1999-148884 1999-05-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378A Division KR100675457B1 (ko) 1999-05-19 2006-08-31 지중매설관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440A KR20000075440A (ko) 2000-12-15
KR100694385B1 true KR100694385B1 (ko) 2007-03-12

Family

ID=376282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124A KR100694385B1 (ko) 1999-05-19 1999-12-18 지중매설관로
KR1020060083378A KR100675457B1 (ko) 1999-05-19 2006-08-31 지중매설관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378A KR100675457B1 (ko) 1999-05-19 2006-08-31 지중매설관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6943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435A (ja) * 1997-05-21 1998-12-04 Torii Kasei Kk 可撓性パイプの埋設方法
JPH1122883A (ja) * 1997-07-04 1999-01-26 Toyo Tire & Rubber Co Ltd 推進管の撓み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435A (ja) * 1997-05-21 1998-12-04 Torii Kasei Kk 可撓性パイプの埋設方法
JPH1122883A (ja) * 1997-07-04 1999-01-26 Toyo Tire & Rubber Co Ltd 推進管の撓み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570A (ko) 2006-10-18
KR100675457B1 (ko) 2007-01-29
KR20000075440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106981A2 (en) Exterior installation of armored fiber optic cable
JP3066731B2 (ja) 暗渠管
JP3287770B2 (ja) 地中埋設管路
KR100694385B1 (ko) 지중매설관로
US11959240B2 (en) Ditch and canal liner assembly
KR20040028118A (ko) 지하 차수벽 구조물 및 공법
JPH08168153A (ja) 電線用管路
JP4142297B2 (ja) 地中埋設管路
CN113417297A (zh) 一种基坑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194962Y1 (ko) 파형관용 스페이셔
JP4279294B2 (ja) 地中埋設管路の布設方法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JP2002303380A (ja) 地中埋設管路
KR101062490B1 (ko) 고압케이블용 파이프의 외압 보강 구조
JP2001041351A (ja) 地中埋設管路
KR100522572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서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JP6567350B2 (ja) 熱交換パイプ付き既製杭
JP2000146026A (ja) 地中埋設管路
JP2002303381A (ja) 地中埋設管路
JP4413354B2 (ja) 多孔管路及びそれに用いる波付け管
JP4224758B2 (ja) 地中埋設管とその埋設方法
JPH0250351B2 (ko)
KR200277254Y1 (ko)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100421462B1 (ko) 도로 공사용 u형 배수로관
KR20010005463A (ko) 통신선로용 다공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