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54Y1 -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54Y1
KR200277254Y1 KR2020020005566U KR20020005566U KR200277254Y1 KR 200277254 Y1 KR200277254 Y1 KR 200277254Y1 KR 2020020005566 U KR2020020005566 U KR 2020020005566U KR 20020005566 U KR20020005566 U KR 20020005566U KR 200277254 Y1 KR200277254 Y1 KR 200277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hollow sphere
pipes
hollow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20005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54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길이로 형성된 배수로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보강 나선관에서 지중 매설하여 장기간 사용할 때 연결부위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공사등에서 오폐수관, 배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관으로 연약지반이나 고하중이 가해지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나선관은 중공구(11)의 양측벽면(12)에 융착대(13)로 일체화시켜 주되 중공구(11)에 경질 발포체(14)로 충진시켜 구성된 나선관을 사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상기 제품들은 지중 매몰하여 사용하는 나선관이 연약지반이나 함몰지역 등에서는 쉽게 파손 및 연결부위의 이탈되는 문제점이 상존하는바 이에 대한 견고성과 외토압 보강이 더 높은 제품의 제공이 요구되는바 상기 설명된 2층구조로 형성된 각층의 중공구(11)(11')에 경질 발포체(14)를 충진시켜서 종래의 중공구(11)(11')의 취약점을 해결하고 또 종래 사용되어온 나선관에서 중공구(11)(11')의 상,하측면(15)(16)으로 융착되는 융착 보강층(가)를 구성하여 주되 연결부위의 외측면을 절곡하여 중간보강층(가) 부위로 고정요홈(24)을 나선관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하고 별도의 연결용 거푸집(25)으로 조립하여주되 투입구(27)에 시멘트 몰탈이나 경질 발포체(26) 등으로 연결부위에 충진하여 주므로서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을 제공하고 누수 방지 역할도 제공므로서 배수로관의 규격이 Φ600m/m 이상의 중,대규격에서도 안정적인 외토압 보강 제품 및 견고성 제공을 위함이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omitted}
본 고안은 배수로관용으로 널리 사용하는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이하 에서는 보강 나선관이라 칭한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 나선관을 지중 매몰시켜 배수로관용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보강 나선관은 제품의 구조상 중공구와 I빔 구조로 구분이 되는바 외토압 하중이나 지역적으로 연약지반이나 간혹 공사 품셈을 정확히 수행하지 않는 공사 지역에서 편중 하중이나 지반 침하등으로 나선권회로 구성된 나선관에서 중공구가 형성된 부위가 취약한 구조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보강 나선관의 사용범위가 넓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중에서 특히 성토되는 지역이나 지하수가 침출되는 지역에서 장마 등으로 지역이 함몰되는 경우 연결부위의 연결구조가 이탈하여 배수관로가 파손되어서 발생하는 지역이 침수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양측벽면으로 서로 나선권회로 일체화시켜 준 중공구에 경질수지대 또는 경질 발포체 또는 보강 수지관 등을 충만 시켜준 제품이 제공되었으며 연결장치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나선관의 연결부위를 연결소켓으로 감아서 조임 볼트 등으로 단단히 조여서 사용하고 있으나 매설 지역의 토양이 함몰하는 경우 종래에 사용하는 연결장치인 접속식 및 나사조임식 등으로 사용된 배수관로의 연결부위의 견고성에는 미흡하는 현실이다
또 상기 제공된 보강 나선관은 3∼6m/m 정도로서 나선관을 길이방향으로 구조를 살펴볼 경우 배수로관이 Φ300m/m 이하인 소형 규격에서는 비교적 외토압 및 연결부위의 견고성 등이 양호하나 Φ600m/m 이상인 중,대 규격에서는 규격의 크기에 비교하여 견고성 및 외토압 보강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므로 보강 나선관의 수요 확대 및 견고성 제공을 위하여 보다 더 고강도 구조의 제품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고안으로서 종래의 나선관에서 중공구와 양측벽면으로 일체화되는 I빔 구조 부위의 고강도의 견고성이 제공되는 부위의 평균화를 위하여 중공구와 양측벽면이나 접합대로 일체화되는 나선관을 2층 및 3층 구조로 동일 나선관 규격의 기존 두께와 동일 두께로 2∼3등분시켜 서로 상.하측면으로 서로 중첩시켜서 기존 동일 규격의 나선관 두께와 동일하게 제공되는 보강 나선관에다 연결부위의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외측면을 절곡하여 보강요홈을 연결부위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거푸집으로 조립한 다음 경질 발포체 및 시멘트 몰탈 등으로 각층의 중공구 및 연결부위에 충진시켜 보강되는 중공구 부위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고안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품으로서 중공구의 양측벽면이 서로 일체화하고 상,하측면이 서로 일체된 2층구조로 구성하되 양측 연결부위에 외측면을 절곡하여 고정요홈이 도시된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연결부위에서 고정요홈을 도시한 부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중공구에 경질 발포체가 적층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4은 도1에서 중공구에 경질수지관이 내착된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5는 도1에서 상,하측면이 일체화된 2층 구조에서 하측면에 중공구의 양측벽면이 일체화된 보강층을 일체화시켜 3층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6(가)(나)는 종래 사용중인 제품으로서 중공구의 양측벽면을 일체로 융착하거나 또는 중공구에 경질 발포체가 충진된 구조에서 연결부위에 고정요홈 및 고정구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7은 도6(나)에서 연결부위의 고정구를 도시한 원주방향으로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8는 도3에서 중공구 사이의 요홈부를 형성하되 외측면을 절개하여 고정대를 구성한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9은 도8에서 중공구에 경질 수지관을 구성하되 연결부위에 고정대의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연결부위에서 고정요홈 부위를 거푸집으로 조립하여서 투입구로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사용되는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11'. 중공구 12. 양측벽면 13. 융착대 14. 경질 발포체
15,15'. 상측면 16,16'. 하측면 17. 경질 수지대
19. 철심관 20. 연결대 21. V형 보강대 22. 외벽면
23. 융착대 24. 고정요홈 24'. 고정구 25. 거푸집
26. 시멘트 몰탈 27. 투입구 29. 외측면 30. 고정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구(11)의 양측벽면(12)이 융착대(13)로 나선권회되어서 일체화된 도6(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나선관(25)에서 중공구(11)의 양측벽면(12)을 일체화로 구성된 나선관에서 도6(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질 발포체(14)를 중공구(11)에 충진시켜 제공된 나선관은 연약지반 등에서 외토압 보강 및 연약지반에서 장마 및 성토지역에서의 불실공사 등으로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경우 종래의 연결부위의 이탈 및 파손을 해결하기에는 더 보강된 요구가 필요하는바 본 고안에서는 하측면(16)에 일체로 중공구(11')의 상측면(15')을 일체로 내착시켜서 융착 보강층(가)를 형성으로서 2층 구조로 구성하되 중공구(11)의 상측면(15)로 형성되는 외측면(29)에서 연결하는 나선관의 연결부위에 서로 연결을 하면서 고정하도록 고정요홈(24)을 형성하여 주어서 구성되는 제품으로 이의 시공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는 나선관의 연결부위에 고정요홈(24)이 조립되도록 거푸집(25)으로 연결하고 투입구(27)로 시멘트 몰탈(26)로 충진하여 고정요홈(24)에 시멘트 몰탈이 삽입되면서 서로 고정하여 주도록 하고 또 고정요홈(24)의 실시예로서는 도1에 도시된 연결부위의 일측에 도시된 고정구(24')를 연결부위의 원주방향에 따라 간헐적으로 외측면(29)를 절곡시켜 형성하여 주어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도1은 본 고안의 부분 사시도로서 중공구(11)의 양측벽면(12)이 융착대(13)로 일체되어 구성되고 하측면(16)에 별도의 중공구(11)의 상측면(15')을 일체로 융착시켜서 융착보강층(가)를 형성하여서 중공구(11)(11')를 2층구조로서 형성하되 연결부위에 고정요홈(24) 및 고정구(24')를 형성하여 주어서 지중 매설하여 연결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외토압 및 연결부위의 견고성을 제공하는 고안이며 여기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11)(11')에 외토압 보강용 경질 발포체(14)로 충진시켜서 구성된 보강 나선관의 사시도이다
이에 대한 단면의 구조로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면이□형의 중공구(11)(11')를 2층구조로서 블럭형으로 형성하되 양측벽면(12)이 서로 중첩되는 격자형 구조 또는 교호상으로 하측면(16)에 양측벽면(12)이 중첩되는 2층 구조로서 제공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고안으로 중공구(11)(11')의 내측면에 경질수지관(18)을 내착하여 주어 구성되는 고안이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공구(11)의 양측벽면(12)을 융착시켜 준 나선관에서 상,하측면(15')(16)을 서로 중첩시켜 제공된 2층 구조의 나선관이며 이에대한 2층 구조의 나선관으로 제공되는 제품에다 각각의 중공구(11)(11')에 경질 발포체(14)를 충진시켜 주어 제공되는 발명에서 연결부위에 연결견고용 고정요홈(24)을 구성하여 제공된 발명이다 이다
이때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ø1000m/m 이상의 대규격의 배수로관에서 종래의 동일 규격인 ø1000m/m 의 배수로관의 두께(T)를 3등분시켜준 중공구(11)(11')를 양측벽면(12)으로 일체화 시켜 준 나선관에서 각각의 나선관(25)의 상,하측면(15')(16)을 서로 내착시켜서 일체로 성형하되 또 별도의 3등분한 1층 두께의 나선관을 중첩시켜서 형성된 3층구조의 중공구(11)(11')(11")에 경질 보강체(14)로 충진시켜 제공하는 나선관에다 외측면의 연결부위를 절곡시켜 시멘트 몰탈(26)로 중진시켜 고정하는 고정요홈(24)을 형성하는 고안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제품인 1층 구조의 나선관에서 동일 두께에 상,하측면(15)(16')의 보강층이 형성되어 주므로서 견고성 및 외토압보강이 제공되면 연약 지반 등에서 내구성 보강과 토압, 윤압에 효과뿐만 아니라 연결부위의 견고성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또 본 고안의 제품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공구(11)(11')에 경질발포체(14)를 충진하여 구성된 나선관에다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질 수지대(17)를 중공구(11)(11')의 내측공간에 충진시켜 주어도 본 고안의 제품이 제공된다
또 본 고안에서 경질 발포체(14) 대신에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질 수지관(18)을 중공구(11)(11')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시켜 주어도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제품이 제공되며 상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 위에서 외측면(29)을 절곡하여 고정요홈(24)를 형성하여 주며 여기에서 고정요홈(24)의 실시예로서는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외측면(29)를 절곡시켜 융착보강층(가)에 일체화하는 고정구(24')를 형성하여 구성된 제품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또 본 고안에서 중공구(11)(11') 및 고정요홈(24)의 실시예로서는도8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대(20)로 형성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중공구(11)의 상측면(15')에 일체하는 단면이 V형 보강대(21)을 중공구(11')의 하측면(16)에 융착하되 연결대(20)에 융착대(23)으로 고정한 나선관에 외벽면(22)을 외접하여주되 연결부위에서 단면이 V형 보강대(21) 부위의 외벽면(22)을 원주방향으로 절개시켜 고정대(30)시켜 주어도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제품이 제공된다
또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8에 도시된 중공구(11)(11')에 경질 수지관(18)을 중공구(11)(11')의 내측면에 일체화 시켜 주어도 본 고안의 보강 나선관이 제공되며 도8에 도시된 단면이 V형 보강대(21) 및 경질 수지대(17)를 간헐적으로 중공구(11)(11')의 내측면에 일체화 시켜주어도 본 발명의 2층 및 3층 구조의 제품이 제공되며 연결부위의 외측면(29)을 절곡시켜 고정대(30)을 형성하여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거푸집(25)으로 연결부위를 조립하여 시멘트 몰탈(26)로 충진하여 지중매설하여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견고성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1층 구조의 나선관에서 중공구에 경질 발포체가 충진된 제품에서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동일 규격의 두께(T)를 2∼3등분으로 분리된 각각의 중공구를 상,하측면으로 중첩시켜 일체화로 융착되는 융착 보강층를 형성하여주어 구성된 고안이며 또 이에대한 보강구조로서 2∼3층 구조로 형성된 각각의 중공구에 경질 발포체 등을 충진시켜 구성된 제품 제공이며 연결부위에서는 고정요홈을 연결부위에 형성하여 거푸집 조립하여 시멘트 몰탈로 충진하여 고정하여 제공으로 지중침하 또는 지역의 편중하중이 가해질경우 취약점으로 부각되는 중공구 및 연결부위의 취약성을 보강하므로 시공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중공구(11)의 양측벽면(12)을 나선권회하여 융착대(13)로 일체화시켜 구성된 나선관에 있어서 동일 두께(T)를 2∼3등분으로 분리하여 중공구(11)(11')의 상,하측면(15')(16)으로 중첩으로 일체시켜 융착 보강층(가)를 1∼2개 형성하되 연결부위에서 외측면(29)을 절곡시켜 고정요홈(24)을 구성한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2∼3층으로 중첩된 중공구(11)(11')의 내측공간에 경질 발포체(14)를 충진시켜주고 연결부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형성하면서 고정구(24')를 구성된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공구(11)(11')에서 양측벽면(12)에 연결대(20) 및 V형 보강대(21)로 형성하되 연결대(20)에 중공구(11)의 상측면(15)으로 일체화 시켜주면서 중공구(11)(11')의 내측공간에 경질 수지대(15)을 삽설하고 연결부위에서 외측면(29)을 절개하여 고정대(30)을 구성한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2020020005566U 2002-02-25 2002-02-25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200277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66U KR200277254Y1 (ko) 2002-02-25 2002-02-25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66U KR200277254Y1 (ko) 2002-02-25 2002-02-25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04A Division KR20030069563A (ko) 2002-02-21 2002-02-21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54Y1 true KR200277254Y1 (ko) 2002-06-01

Family

ID=7311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566U KR200277254Y1 (ko) 2002-02-25 2002-02-25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7254Y1 (ko)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200277296Y1 (ko)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20030069563A (ko)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100358246B1 (ko) 구조용나선관
KR200329561Y1 (ko) 배수로관용거푸집
KR100531446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용 구조 보강 나선관
KR100706195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보강 구조용 상,하수관
KR200294936Y1 (ko) 구조용 보강 나선관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0424040B1 (ko) 고강도 나선관
KR200273130Y1 (ko) 보강나선관
KR100330567B1 (ko) 접합대 부위에 나선형보강대가 형성된 나선관
KR100557287B1 (ko) 도로 및 토목공사에서 초대구경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고강도 나선관
KR100803775B1 (ko) 건축 및 도로의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상하수관용 고강도 나선관
KR200288710Y1 (ko) 구조용 나선관
KR100340346B1 (ko) 고강도피이나선관
KR100730636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상하수관용 나선관
KR200355457Y1 (ko) 콘크리트흄관의연결장치
KR100469938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하수관용 구조 보강 나선관
KR200278083Y1 (ko) Pe나선관의보강장치
KR20030020803A (ko)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100421462B1 (ko) 도로 공사용 u형 배수로관
KR200261398Y1 (ko) 배수로관용 구조보강 나선관
KR100470981B1 (ko) 토목 및 도로매설용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KR100607553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 사용하는 보강 구조용 상하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