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740B1 -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 Google Patents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740B1
KR100693740B1 KR20060014306A KR20060014306A KR100693740B1 KR 100693740 B1 KR100693740 B1 KR 100693740B1 KR 20060014306 A KR20060014306 A KR 20060014306A KR 20060014306 A KR20060014306 A KR 20060014306A KR 100693740 B1 KR100693740 B1 KR 10069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ead
latch
support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267A (ko
Inventor
고이치 가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9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01K97/11Supports for rods with automatic hoo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고, 로크장치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리드(4)가 본체(3)에 대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회동 전환되는 경우에 적용되고, 리드 폐쇄상태에서 리드측의 스트라이커(5)를 본체측의 메인래치로 걸어 고정하고, 이 걸림을 해제했을 때에 리드(4)를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고, 추가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상기 스트라이커 등에 걸어맞춰지는 보조래치(6)로 저지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으로 본체(3)와 상기 리드(4)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통해 해제레버(2)를 조작함으로써 보조래치(6)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리드(4)를 개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로크장치(1)의 걸어맞춤 해제기구로서, 해제레버(2)에 부착되어, 리드 폐쇄상태에서 전체 치수를 탄지력에 대항해서 수축하고 있고, 리드가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연동해서 탄지력에 의해 전체 치수를 연장하고, 이 연장에 의해 본체(3)와 리드(4) 사이의 틈을 통한 해제 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 조작유닛(7)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ENGAGEMENT RELEASING MECHANISM OF LOCKING DEVICE}
도 1은 발명의 요부인 조작유닛의 축소 작동을 나타낸 모식 단면도
도 2는 상기 조작유닛의 돌출 작동을 나타낸 모식 단면도
도 3은 상기 조작유닛을 분해한 개략 구성도
도 4는 상기 조작유닛과 캠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조작유닛 및 캠의 변형예를 도 4에 대응해서 나타낸 도면
도 6은 발명의 대상인 로크장치의 사용예로서 특허문헌 1의 구성을 나타낸 배치도
도 7은 도 6의 로크장치를 도 6의 2-2선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4-4선 단면으로 나타낸 로크장치의 작동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로크장치 2 - 해제레버(2a는 단부, 2b는 부착구멍)
3 - 차체패널(발명의 본체에 상당)
4 - 리드 5 - 스트라이커
6 - 보조래치 7 - 조작유닛
10 - 지지체(10a, 10b는 전후실, 12는 돌부, 13은 가이드 홈)
15 - 가동체(16은 전후 홈, 17은 장착구멍)
18 - 핀 19 - 스프링부재
20 - 회전부재 21 - 캠
26 - 캠체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10026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5-171849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회동식 리드(본네트나 후드라고도 함)를 걸어 고정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리드측의 스트라이커에 대응해서 본체측에 설치된 메인래치와 함께 보조래치를 가진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대상인 로크장치는, 특허문헌 1이나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구조이다. 도 6∼도 8은 그 일례로서 특허문헌 1의 것을 나타내어 있다. 우선, 도 6에 있 어서, 자동차(차량)(10)는, 차체 프레임(11)과, 운전석(12)과, 리드(본네트)(13)와, 프런트 보디(14)를 구비하고 있다. 리드(13)(22는 아우터 플레이트, 23은 이너 플레이트, 24는 충전재)는, 스트라이커(27)(31은 본체, 32는 부착용 판부재)를 돌출설치하고 있는 본체(15)와, 본체(15)를 프런트 보디(14)에 스트라이커(27)를 통해 걸어 고정하는 로크장치(16)와, 운전석(12)측에 설치된 원격조작용 오프너 레버(17)와, 오프너 레버(17)와 로크장치(16)를 접속하고 있는 케이블(18)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도 6의 2-2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로크장치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로크장치(16)는, 라디에이터 서포트(21)에 베이스판(33)을 볼트(34)로 고정하고, 베이스판(33)에 캐치수단(35)을 부착하고, 이 캐치수단(35)이 스트라이커(27)에 맞물려서 걸어 고정한다. 즉, 캐치수단(35)은, 베이스판(33)에 형성되어 스트라이커(27)를 수납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홈과, 베이스판(33)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로킹레버(43) 및 이 로킹레버(43)에 걸어맞춰지는 래치(본 발명에서 말하는 메인래치에 상당)(44)와, 래치(4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홈(61) 및 로킹레버용 걸림부(62) 및 리프트부(63)와, 베이스판(33)과 래치(44) 사이에 배치된 인장스프링(46)과, 래치(44)의 걸림 해제상태에서 스트라이커(27)에 걸어맞춰지는 세이프티 래치(본 발명에서 말하는 보조래치에 상당)(4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킹레버(43)에는 걸림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세이프티 래치(45)에는 해제레버(37)(41은 손가락 걸기용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로크장치(16)에서는, 리드(13)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스트라이커(27)가 베이스판(33)의 슬라이드 홈에 들어간 상태로 래치(44)에 의해 걸어 고정되어 있다. 이 걸림은, 차실내의 오프너 레버(17)를 잡아당기면, 도 8a와 같이, 로킹레버(43)가 케이블(18)을 통해 ②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져서, 걸림부(56)가 래치(44)의 걸림부(62)에서 멀어진다. 그럼으로써, 래치(44)는, 인장스프링(46)의 탄지력으로 ③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하여, 도 8b와 같이 걸림 홈(61)이 스트라이커 본체(31)와의 맞물림을 해제, 즉 스트라이커에 대해 걸림을 해제함과 아울러, 리프트부(63)에 의해 스트라이커 본체(31)를 밀어올리고(리프트기구), 또한 베이스판(33)의 스토퍼(53)에 닿아 멈춘다. 스트라이커 본체(31)는, 래치(44)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도 상방으로의 이동이 세이프티 래치(45)에 의해 저지된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리드(13)가 도 7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올려져서, 차체패널측과의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틈을 통해 끼워넣은 손가락으로 해제레버(37)(부호 41의 손가락 걸기용 부재)를 조작한다. 세이프티 래치(45)는, 해제레버(37)가 손가락 조작에 의해 탄지력에 대항해서 수평 방향으로 눌리면, 스트라이커 본체(31)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걸어맞춤 해제상태로 된다. 따라서, 리드(13)는 완전개방상태까지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로크장치(16)에서는, 리드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 리드(13)가 도 7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올려진 상태에서, 차체패널측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에 손가락을 끼워넣어 해제레버(37)를 손으로 더듬어 확인하고 나서, 해제레 버(37)를 누름 조작해야만 해서, 조작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손이 더럽혀진다고 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는, 해제레버(37)가 리드(13)측과 간섭하지 않도록 수납부를 구획하고 있는 패널 주연에서 약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조작자가 허리를 굽혀야만, 패널측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여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사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드가 본체에 대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회동 전환되는 경우에 적용되고, 리드 폐쇄상태에서 리드측의 스트라이커를 상기 본체측의 메인래치로 걸어 고정하고, 이 걸림을 해제했을 때에 상기 리드를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고, 추가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상기 스트라이커 등에 걸어맞춰지는 보조래치로 저지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으로 상기 본체와 상기 리드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해제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보조래치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리드를 개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로서, 상기 해제레버에 부착되어, 리드 폐쇄상태에서 전체 치수를 탄지력에 대항해서 수축하고 있고, 상기 리드가 상기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연동해서 탄지력에 의해 전체 치수를 자동적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상기 리드 사이의 틈을 통한 해제 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조작유닛은, 해제레버에 부설되어 있고, 리드가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연동해서 탄지력에 의해 전체 치수를 자동적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해제레버의 조작부분을 실효적으로 길게 하고, 그럼으로써 손가락에 의한 누름 조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보조래치는, 예를 들면, 세이프티 래치나 세이프티 후크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고,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스트라이커에 걸어맞춰지는 구성, 특허문헌 2와 같이 리드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 이외의 고정 개소(걸림판 등)에 걸어맞춰지는 구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용도예로서는, 본체가 자동차의 수납부이고, 리드가 그 수납부를 개폐하는 본네트나 후드이다. 단, 용도는 그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첫째,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해제레버에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넣어져 있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상기 지지체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동체가 상기 리드측에 설치되어 있는 캠을 통해 리드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상기 지지체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성이다(청구항 2).
둘째, 상기 가동체는, 상기 지지체내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딩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된 핀을 가지고, 상기 핀을 상기 지지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셋째, 상기 캠은, 상기 핀 또는 이 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부재에 압접하여 상기 가동체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이다(청구항 4).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이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발명의 요부인 조작유닛의 작동을 나타내고, 도 3은 조작유닛의 분해도, 도 4는 조작유닛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체 구조 및 요부를 기술한 후, 작동과 변형예에 대해서 언급한다.
(전체 구조)
발명의 대상인 로크장치(1)는, 특허문헌 1이나 2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서는 해제레버(2)를 제외하고 블럭으로 나타냈는데, 다음과 같은 구조이면 된다. 즉, 로크장치(1)는, 리드(4)가 차체패널(3)의 대응부에 대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회동 전환되는 경우에 사용되고, 리드(4)측에 설치되는 대략 U자형의 스트라이커(5)에 대응해서 차체패널(3)측의 대응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리드 폐쇄상태에서 리드(4)측의 스트라이커(5)를 메인래치로 걸어 고정하고, 이 걸림을 종래 기술에서 기술한 차실내의 오프너 레버를 잡아당겨서 해제하였을 때에, 메인래치의 리프트기구에 의해 리드(4)를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은, 리드(4)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을 스트라이커(5) 등에 걸어맞추는 보조래치(6)로 저지한다. 이 보조래치(6)는, 특허문헌 1의 세이프티 래치, 특허문헌 2의 세이프티 후크와 마찬가지로 해제레버(2)에 일체화되어 있다. 보 조래치(6)의 걸어맞춤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4)의 회동으로 차체패널(3)과 리드(4)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통해 해제레버(2)를 조작하여 해제된다. 이 걸어맞춤 해제에 의해 리드(4)는 개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1)의 걸어맞춤 해제기구는, 보조래치(6)의 걸어맞춤을 해제레버(2)를 통해 조작하는 기구로서, 종래에 비해 다음의 구조가 상이하다. 즉, 이 걸어맞춤 해제기구에서는, 해제레버(2)에 부착되어 리드 폐쇄상태에서 전체 치수를 탄지력에 대항해서 수축하고 있고, 리드(4)가 상기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연동해서 탄지력에 의해 전체 치수를 자동적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에 의해 차체패널(3)과 리드(4) 사이의 틈(t)을 통한 해제 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 조작유닛(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리드(4) 및 차체패널(3)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상, 리드(4)는, 아우터 플레이트 및 이너 플레이트 등으로 형상이 만들어지고, 자유단측의 내면에 스트라이커(5)가 부착부재(8) 등을 통해 돌출설치되어 있다. 차체패널(3)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룸을 구획하고 있고, 로크장치(1)가 엔진 룸내의 골재에 대해 고착된 상태에서, 리드(4)측과 간섭하지 않도록 구획벽 중 최전방의 상면 가장자리부에서 위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들은 종래와 동일하다.
(요부 구조)
조작유닛(7)은, 상기한 해제레버(2)의 단부(2a)에 버클(9)에 의해 부착되는 지지체(10)와, 지지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넣어져 있는 가동체(15)와, 가동체 (15)를 지지체(10)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19)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체(15)가 리드(4)측에 부착되는 캠(21)을 통해 리드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스프링부재(19)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지지체(10)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성이다.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지지체(10)는, 개략 케이스형상을 하고, 내부에 있으며 전후 대략 중간에 형성된 벽(11)(도 2를 참조)에 의해 전실(10a)과 후실(10b)로 구획되어 있다. 전실(10a)은, 전단을 개구하고 있고, 양 내면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부(12)와, 양 측벽을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13)과, 벽(11)에서 앞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지지축(11a)(도 2를 참조)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돌부(12)는 전실(10a)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홈(13)은 전실(10a)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축(11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형상의 스프링부재(19)를 지지한다. 또한, 가이드 돌부(12)와 가이드 홈(13)은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다. 후실(10b)은, 상면에서 아래를 향해 개방 형성된 구멍으로서, 양 측벽을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부착구멍(1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후실(10b)에는, 해제레버(2)의 단부(2a)가 위에서 끼워넣어진다. 또한, 이 단부(2a)에는 각 부착구멍(14)에 대응한 관통구멍(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10)는, 해제레버(2)에 대해 단부(2a)를 후실(10b)에 위에서 끼워넣은 후, 부착구멍(14) 및 관통구멍(2b)에 삽입 통과되는 버클(9)에 의해 고정된다.
가동체(15)는, 지지체(10)의 전실(10a)에 거의 출몰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한 대응하는 가이드 돌부(12)와 끼워맞춰지는 전후 홈(16)과, 후상측에 형성되며 양측을 관통하고 있는 장착구멍(17)과, 후단면에서 앞쪽을 향해 형성된 오목부(15a)(도 2를 참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체(15)는, 전실(10a)에 대해 가이드 돌부(12)와 전후 홈(16)을 끼워맞춘 상태로 배치된 후, 핀(18)이 한쪽 가이드 홈(13), 장착구멍(17), 다른 쪽 가이드 홈(13)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가이드 홈(13)을 따라서 전후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는, 스프링부 재(19)가 뒷부분을 지지축(11a)에 지지하고, 앞부분을 오목부(15a)에 수납한 상태에서 벽(11)과 가동체(15) 사이에 넣어진다. 따라서, 조립상태에서는, 가동체(15)가 스프링부재(19)의 탄지력에 의해 앞쪽으로 슬라이딩되고, 핀(18)이 가이드 홈(13)의 전단으로 규제될 때까지 전실(10a)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핀(18)은, 장착구멍(17)에 압입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한쪽 가이드 홈(13)에서 바깥으로 돌출한 부분에 피벗팅된 롤러 등의 회전부재(20)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캠(21)은, 후단면(22)이 회전부재(20)에 닿는 작동면에 설정됨과 아울러, 측면에 돌출형성된 부착부(2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캠(21)은, 리드(4)의 대응부에 대해 브래킷(24) 등을 통해 부착된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브래킷(24)의 하단측이 부착부(23)에 버클(25)을 통해 고정되고, 브래킷(24)의 상단측이 리드(4)의 대응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단, 이 부착 구조는 임의로 설계된다.
(요부 작동)
이상의 조작유닛(7)의 작동을 기술한다. 도 1의 실선은, 리드(4)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개방방향에서 폐쇄방향으로 회동되어 차체패널(3)의 엔진 룸을 완전히 덮고, 스트라이커(5)를 로크장치(1)를 구성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래치에 의해 걸어 고정한 리드 폐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유닛(7)은, 리드(4)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캠(21)이 핀(18)의 회전부재(20)에 닿은 후, 회전부재(20)를 후단면(22)의 작동면에 의해 후방으로 압압하고, 이 압압에 의해 핀(18)이 스프링부재(19)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가동체(15)와 함께 가이드 홈(13)을 따라서 지지체(10)내에 슬라이딩되고, 그럼으로써 전체 치수가 최소 치수로 되어 있다. 도 2는 리드(4)를 개방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종래와 마찬가지로 차실내의 오프너 레버를 잡아당겨서, 메인래치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로크장치(1)의 메인래치가 스트라이커(5)에 대해 걸림을 해제하면, 도시하지 않은 리프트기구에 의해 리드(4)를 스트라이커(5)를 통해 소정 치수만큼 밀어 올리고, 또한, 추가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스트라이커(5) 등에 걸어맞춰지는 보조래치(6)에 의해 저지된다(세부 사항은 4페이지 19행∼5페이지 15행을 참조).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리드(4)가 도 2에 나타낸 위치까지 밀어올려지고, 차체패널측과의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틈(t)이 형성된다. 틈(t)의 형성 과정에 있어서, 조작유닛(7)은, 캠(21)이 리드(4)의 밀어올림에 의해 상승되는 것에 연동해서, 캠 후단면(22)의 작동면의 형상에 의해, 또한 스프링부재(19)의 탄지력에 의해 가동체(15)가 핀(18) 및 회전부재(20)를 통해 가이드 홈(13)의 전방(도 2의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 그 결과, 가동체(15)는, 지지체(10)의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고, 그럼으로써 틈(t)을 통해 손가락을 끼워넣어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도 5는 상기 조작유닛을 변경한 일례를 도 4에 대응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도 1∼도 4와 작용적으로 동일한 부재 및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변경된 점만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한 캠 및 핀이 변경되어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캠체(26)가 상기한 캠(21)을 부착판(24)에 대해 2개 평행하게 아래에 형성하고, 또한 캠(21)과 캠(21) 사이는 지지체(10)가 수납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핀(18)은, 양단부(18a, 18a)가 대응하는 가이드 홈(13)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각 캠(21)이 대응하는 단부(18a, 18a)에 각각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가동체측의 핀(18)을 캠체(25)의 각 캠(21)에 의해 양측에서 누르기 때문에, 핀(18)에 대한 부하를 분산하여 핀의 변형 등을 막거나 가동체(15)의 슬라이딩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요건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2에 예로 든 자동차의 리드(본네트나 후드)를 걸거나 해제하는 로크장치에 적용하면, 메인래치의 걸림을 해제하고, 리드가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연동해서, 조작유닛 이 탄지력에 의해 전체 치수를 자동적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해제레버의 조작부분을 실효적으로 길게 하여, 손가락에 의한 누름 조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리드를 완전개방할 때의 조작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적용 장치나 리드의 사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조작유닛이 지지체와 가동체 및 스프링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또한 가동체가 리드측에 설치되어 있는 캠을 통하여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기존의 해제레버에도 적용하기 쉬워 비교적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지지체의 가이드 홈의 길이에 의해 가동체의 슬라이딩 거리를 규제하거나, 가이드 홈과 핀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가동체의 안정된 슬라이딩을 유지하거나, 청구항 4의 구성을 채택하기 쉽게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가동체를 양호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럼으로써 가동체의 작동 특성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리드가 본체에 대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회동 전환되는 경우에 적용되고, 리드 폐쇄상태에서 리드측의 스트라이커를 상기 본체측의 메인래치로 걸어 고정하고, 이 걸림을 해제했을 때에 상기 리드를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고, 추가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을 상기 스트라이커 등에 걸어맞춰지는 보조래치로 저지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으로 상기 본체와 상기 리드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해제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보조래치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리드를 개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로서,
    상기 해제레버에 부착되어, 리드 폐쇄상태에서 전체 치수를 탄지력에 대항해서 수축하고 있고, 상기 리드가 상기 소정 치수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연동해서 탄지력에 의해 전체 치수를 자동적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상기 리드 사이의 틈을 통한 해제 조작을 하기 쉽게 하도록 상기 해제레버에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넣어져 있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상기 지지체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동체가 상기 리드측에 설치되어 있는 캠을 통해 리드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상기 지지체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상기 지지체내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딩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된 핀을 가지고, 상기 핀을 상기 지지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있는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핀 또는 이 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부재에 압접하여 상기 가동체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슬라이딩시키는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KR20060014306A 2005-02-14 2006-02-14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KR100693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5987A JP2006219942A (ja) 2005-02-14 2005-02-14 ロック装置の係合解除機構
JPJP-P-2005-00035987 2005-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267A KR20060091267A (ko) 2006-08-18
KR100693740B1 true KR100693740B1 (ko) 2007-03-12

Family

ID=3698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4306A KR100693740B1 (ko) 2005-02-14 2006-02-14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219942A (ko)
KR (1) KR1006937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99A (ko) * 1993-09-17 1995-04-19 미야무라 신페이 차량 도어 로크장치의 어린이용 로크기구
KR20050108689A (ko) * 2004-05-13 2005-11-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954U (ja) * 1981-08-06 1983-02-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ボンネツトロツク装置
JPS6094558U (ja) * 1983-12-02 1985-06-2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フ−ドロツク装置
JPS63138376U (ko) * 1987-03-05 1988-09-1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99A (ko) * 1993-09-17 1995-04-19 미야무라 신페이 차량 도어 로크장치의 어린이용 로크기구
KR20050108689A (ko) * 2004-05-13 2005-11-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267A (ko) 2006-08-18
JP2006219942A (ja)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549B2 (en)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JP5681832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EP3653425B1 (en) Lid device for vehicle
JP2022508880A (ja) 自動車用ラッチ、特に電気的に操作可能な自動車用ラッチ
EP3396090B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CN111332119A (zh) 加油口门开启装置组件
JP2006283415A (ja) ロック構造
KR100693740B1 (ko) 로크장치의 걸어맞춤 해제기구
JP6826697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ー
JP3896028B2 (ja) 開閉ロック装置
JP2005120681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5009301A (ja) ロック装置
JP2005188242A (ja) ロック装置
KR102042029B1 (ko) 차량의 포브 키
KR20100134474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4601533B2 (ja) ロック機構
JP5043713B2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JP6020059B2 (ja) 車両用副開閉体のラッチ切替装置
WO2024111369A1 (ja) 開閉体ロック装置
JP6089299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7166896B2 (ja) リッドのロック機構
JP6912439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のケーブル組付構造
JP6886373B2 (ja) ロック装置
KR0177460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JP5062024B2 (ja) グラブ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