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689B1 - 식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689B1
KR100688689B1 KR1020030066741A KR20030066741A KR100688689B1 KR 100688689 B1 KR100688689 B1 KR 100688689B1 KR 1020030066741 A KR1020030066741 A KR 1020030066741A KR 20030066741 A KR20030066741 A KR 20030066741A KR 100688689 B1 KR100688689 B1 KR 10068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ain body
washing
washing tank
clean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337A (ko
Inventor
신치요시카즈
나카노히로유키
와타나베미치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세정조의 세정기 본체로부터의 인출량을 크게 설정했을 때에 세정조의 후방에 발생하는 간격을 은폐함과 동시에, 세정조의 중량이 증가했을 때에도 세정조를 내부 뚜껑에 간섭시키는 일없이 세정기 본체내로 안내하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세정조(32)의 상면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에 내부 뚜껑(60)의 아래쪽에 이르는 연장 길이로 연장부(57)를 형성한다. 인출한 세정조(32)에 다수의 식기가 수납되어 중량이 증가하여 후단측이 올라가는 상태가 되더라도, 연장부(57)는 세정기 본체(31)내로 밀어 넣어진 세정조(32)를 내부 뚜껑(60)을 따라 안내하기 때문에, 후단부가 내부 뚜껑(60)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57)는 판 형상으로 형성하면 세정조(32)의 후방에 발생하는 간격을 은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정기{DISHWASHER}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세정조의 인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세정조의 내조 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세정조 후면에 배치된 급배수를 위한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4는 식기 세정기의 측면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슬라이드레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슬라이드레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슬라이드레일의 세정기 본체에 대한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슬라이드레일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도 9는 슬라이드레일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슬라이드레일의 슬라이드형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11은 세정조의 측면도,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연장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내부 뚜껑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4는 연장부의 형성 길이를 설명하는 부분측면도,
도 15는 슬라이드레일에 설치된 인입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세정조와 내부 뚜껑과의 간섭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본 발명은 슬라이드 오픈형의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조를 세정기 본체에 수용할 때에, 세정조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내부 뚜껑과 세정조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정조의 세정기 본체로부터의 인출량을 크게 했을 때에 발생하는 세정조와 세정기 본체 사이의 간격을 은폐하는 수단을 마련한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식기류를 수용하여 세정하는 세정조를 세정기 본체로부터 출납하는 슬라이드 오픈형의 식기 세정기의 종래예 중 하나인 일본국 특허 제 3129318호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개구하는 세정조(14)를 세정기 본체(15)의 전면 개구부에서 전방으로 출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세정조(14)의 세정기 본체(15)로부터의 출납은 제 1 슬라이드레일(16)에 볼 베어링 등의 회전체를 거쳐서 제 2 슬라이드레일(17)을 장착한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이루어져 있 다. 제 1 슬라이드레일(16)은 세정기 본체(15)의 양 내측 면에 고정되고, 제 2 슬라이드레일(17)은 세정조(14)의 양 외측 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조(14)를 세정기 본체(15)로부터 인출, 또는 밀어 넣으면, 세정조(14)에 고정된 제 2 슬라이드레일(17)은 제 1 슬라이드레일(16)내를 이동하고, 양 레일 사이에 회전체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세정조(14)는 원활한 이동에 의해서 세정기 본체(15)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
슬라이드 오픈형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세정조(14)가 세정기 본체(15)내에 수용되었을 때, 세정기 본체(15)내의 위쪽에 배치된 내부 뚜껑(11)이 하강하여 세정조(14)의 개구부를 닫아, 세정 노즐(8)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외부로 비산하지 않도록 구성된다(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2001-275916호). 상기 내부 뚜껑(11)은 도시하지 않은 링크기구에 의해서 세정기 본체(15)내에 유지되고,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서 전방 상방 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세정조(14)가 세정기 본체(15)내에 수용될 때, 수용 완료 직전의 밀어 넣기 동작에 의해서 세정조(14)에 마련된 결합 수단에 의해서 내부 뚜껑(11)은 바이어스 수단에 의한 바이어스에 저항하여 링크기구에 의해 하강하여, 세정조(14)의 개구부를 닫는다. 한편, 세정조(14)가 세정기 본체(15)로부터 인출되는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는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내부 뚜껑(11)은 바이어스 수단에 의한 바이어스에 의해 전방측 위쪽으로 이동하여 세정조(14)의 위쪽을 개구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세정조(14)를 세정기 본체(15)로부터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하더라도, 세정조(14)의 내조의 후방 부분은 세정기 본체(15)내에 남는 상태가 되어, 세정조(14)의 후방 부분으로부터의 식기류의 출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세정조(14)로부터 식기류의 출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세정조(14)의 내벽 후면 위쪽 부분이 적어도 세정기 본체(15)의 전방단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세정조(14)를 인출 가능하게 하면, 세정조(14)의 후면과 세정기 본체(15)의 전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한다.
세정기 본체(15)와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위치까지 세정조(14)를 인출하면, 인출된 세정조(14)에 다수의 식기류가 수납되어 중량이 증가했을 때, 세정조(14)의 후단측이 올라가는 상태가 되면, 도 17에 대략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14)를 세정기 본체(15)내로 밀어 넣었을 때, 세정조(14)의 후단 상부가 내부 뚜껑(11)과 간섭하여, 세정조(14)의 후단 상부가 내부 뚜껑(11)에 걸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정조와 내부 뚜껑과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정조의 세정기 본체로부터의 인출량을 크게 했을 때에 발생하는 세정조와 세정기 본체와의 사이의 간격을 은폐하는 수단을 마련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개구하는 대략 상자형체로 형성된 세정기 본체에 대하여, 위쪽으로 개구하는 세정조가 슬라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세정기 본체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출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세정기 본체 내의 위쪽에 상기 세정조를 세정기 본체 내에 수용하는 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하강하고, 수용된 세정조의 위쪽 개구부를 닫는 내부 뚜껑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를 그 내벽 후면의 위쪽 부분이 적어도 세정기 본체의 전방 단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세정조의 상면 후방을 후방 측을 향해서 연장시킨 연장부를 마련하고, 이 연장부는 세정조를 상기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내부 뚜껑 밑에 위치하는 연장 길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정조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연장부는 세정조를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에도, 그 선단부가 내부 뚜껑 밑에 위치하는 길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한 세정조에 다수의 식기류가 수납되어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정조의 후단측이 올라간 상태가 되어, 그 상태로 세정조를 세정기 본체내로 밀어 넣는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연장부가 내부 뚜껑의 하면을 미끄러져, 세정조의 밀어 넣기 동작을 방해하는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특히, 세정조의 인출량을 크게 하면, 중량 증가에 따르는 세정조 후단 측의 상승량도 커지기 때문에, 연장부가 없는 경우에 세정조를 밀어 넣었을 때, 상승한 세정조 후단부가 내부 뚜껑의 측면에 충돌하여 파손시킬 우려가 해소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연장부는 세정조의 상면 후방으로부터 후방 측을 향해서 판 형상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세정조의 인출량을 크게 한 경우에, 세정조의 후 방과 세정기 본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위쪽의 간격을 은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할 만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정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개구하는 세정기 본체(31)내에, 위쪽으로 개구하는 세정조(32)가 수용되고, 세정조(32)는 슬라이드레일(3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세정기 본체(31)로부터 출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정조(32)는 그 내부에 위쪽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 내조(34)의 후면 위쪽 부분 "A"가 적어도 세정기 본체(31)의 전방단 "B" 보다 전방측에 위치할 때까지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기류의 출납과 세정후의 잔재(殘滓) 처리가 용이해지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 세정조(32)는 수지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며 탱크(79)의 전면에 도어 패널(80)이 설치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79)내에 형성된 내조(34)는 위쪽을 향해서 개구 면적이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그 바닥 면에 세정노즐(35), 히터(75), 잔재 필터(76) 등이 배치되고, 그 위쪽에 식기류를 수용하는 식기 바구니(36)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수납된다. 또한, 세정조(32)의 후면에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정노즐(35)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세정 펌프 및 배수 펌프를 겸용하는 전동 펌프(37)와, 내조(34)내로 급배수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조(34)내로 통하는 급수 호스(38) 및 배수 호스(39)는 세정기 본체(31)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호스 홀더(46)에 유지되고, 전후 이동하는 세정조(32)에 따라 호스 홀더(46)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이동하는 세정조(32)에 대한 급수 호스(38) 및 배수 호스(39)의 접속 상태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레일(33)은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기 본체(31)의 양측면의 내면 측에 고정되는 고정레일(41)과, 세정조(32)의 양측면의 외면 측에 고정되는 가동레일(42)과의 사이에, 양 레일에 볼 베어링(47)을 거쳐서 중간레일(43)이 끼워 넣어진 3단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레일(41)에는 그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평면(44a)과, 수평면(44a)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진 연직면(44b)을 마련하여 L의 글자형상 단면으로 형성된 부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레일(33)은 세정기 본체(31)의 양측면의 내측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세정기 본체(31)는 금속판재에 의해서 전면이 개구하는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부착부(44)를 유지하여 슬라이드레일(33)을 임시고정, 또는 가고정하기 위한 수용부(48)와 협지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48) 및 협지부(49)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기 본체(31)의 판면을 돌출 가공하여 상기 부착부(44)의 연직 방향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부(49)내에 부착부(44)의 연직 면(44b) 상단부를 삽입하고, 수용부(48)상에 수평면(44a)을 밀어 넣으면, 슬라이드레일(33)은 세정기 본체(31)의 측면에 가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가고정된 슬라이드레일(33)은 세정기 본체(31)에 형성된 2곳의 고정 구멍으로부터, 그것에 대응하는 부착부(44)에 형성된 2곳의 나사 구멍(50)에 나사(51)를 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동레일(42)에 고정되는 세정조(32)의 탱크(79)에는 그 양측면의 외면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레일(42)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4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세정기 본체(31)에 장착된 슬라이드레일(33)의 가동레일(42)상에 지지부(45)를 탑재하고, 세정조(32)를 가동레일(42)상에서 후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밀어 넣으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5)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끼워 맞춤 돌기(52)는 가동레일(42)의 후방측에 L의 글자형상으로 컷업된 컷업부(53)내에 삽입되고, 지지부(45)의 전방측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54)는 그 선단이 가동레일(42)에 형성된 개구부(55)(도 5참조)로 끼워 넣어져, 슬라이드레일(33)에 대한 세정조(3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세정조(32)는 그 양측면에서 슬라이드레일(33)상에 위치 결정되어 안정적인 탑재 상태가 되지만,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지부(45)의 전방측에 형성된 고정 구멍으로부터 가동레일(42)에 형성된 나사 구멍으로 나사를 결합함으로써, 세정조(32)는 가동레일(42)에 고정된다 (도 8 참조).
슬라이드레일(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3단 구조이며, 세정조(32)를 세정기 본체(31)로부터 인출하면, 세정조(32)가 고정된 가동레일(42)은 중간레일(43)상을 부드럽게 움직이고, 중간레일(43)은 가동레일(42)의 이동에 늦게 고정레일(41)상을 이동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세정조(32)의 세정기 본체(31)로부터의 인출 조작에 따른 가동레일(42) 및 중간레일(43)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10a는 세정조(32)가 세정기 본체(31)내에 수용된 상태, 도 10b는 세정조(32)를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세정조(32)의 인출 조작이 시작되면, 세정조(32)가 고정된 가동레일(42)은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레일(43)상을 이동하기 시작한다. 가동레일(42)의 이동에 따라 가동레일(42)과 중간레일(43) 사이에 개재하는 복수의 볼 베어링(47)을 소정 간격으로 포착하는 리테이너(90, 도 6 참조)가 항상 가동레일(42)과 중간레일(43) 사이에 개재하도록, 중간레일(43)은 가동레일(42)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한 것에 따라 움직여 고정레일(41)상을 이동하기 시작한다. 중간레일(43)과 고정레일(41) 사이에도 가동레일(42)과 같이 복수의 볼 베어링(47)을 소정 간격으로 포착하는 리테이너(90)가 개재되어 있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32)를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하였을 때, 고정레일(41)에는 상기 리테이너(90)의 길이에 상당하는 중간레일(43)의 약 1/2길이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있고, 약 1/2가 고정레일(41)로부터 돌출할 때까지 이동한다. 또한, 가동레일(42)은 그 약 1/2에 중간레일(43)이 끼워 넣어지고, 약 1/2길이가 중간레일(43)로부터 돌출할 때까지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32)의 세정기 본체(31)로부터의 인출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3단 구조의 슬라이드레일(33)에서는 고정레일(41)로 부터 가동레일(42)을 크게 인출한 상태에서도, 양 레일 사이에 중간레일(43)이 존재하기 때문에, 인출된 가동레일(42)에 세정조(32)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슬라이드레일(33)로 세정조(3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세정조(3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내조(34)의 내벽 후면의 상방 부분 "A"가 적어도 세정기 본체(31)의 전방단 "B" 보다 전방측에 위치할 때까지 세정기 본체(31)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되어, 내조(34)의 상방 전체에 차폐물이 없는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식기류의 출납이나 세정후의 잔재 처리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세정조(32)의 인출량을 크게 하면, 세정조(32)의 후방과 세정기 본체(31)의 전방단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32)의 후면에 배치된 전동 펌프(37) 등의 부재가 간극으로부터 외부 노출한다. 특히, 전동 펌프(37)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79)의 후면에 형성한 오목부(74)내에 수납되도록 배치한 경우, 전동 펌프(37)는 외부로 많이 노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보기에도 바람직하지 않고, 아이가 간극을 통해 손이나 금속물을 넣는 것 같은 장난을 했을 때, 전동 펌프(37) 등의 전장품에 닿는 것에 의한 사고나 고장 발생의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정조(32)의 후면의 주위에 후방을 향한 은폐판을 설치하여 극간을 은폐한다.
세정조(32)의 하면 및 양측면의 지지부(45)보다 하측의 부위에는 도 4,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32)의 하면을 피복하는 언더 커버(56, under cover)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언더 커버(56)의 후단측을 도 4에 사선으로 도 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연장한 언더 커버 연장부(56a)를 형성함으로써, 하면 및 양측면의 슬라이드레일(33)보다 아래의 부위를 은폐할 수 있다.
세정조(32)의 양측면의 지지부(45)보다 위의 부위는 도 4,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32)의 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하는 측면 은폐판(58)을 부착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세정조(32)의 후면에 배치된 부재의 외부노출을 은폐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32)의 후면 양측에 후방을 향해서 판 형상으로 연장하는 은폐부를 세정조(32)와 일체적으로 수지 성형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정조(32)의 상부 후방은 도 11,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79)의 상면 후단부를 후방을 향해서 판 형상으로 연장시킨 연장부(57)를 형성함으로써 은폐할 수 있다. 이 연장부(57)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32)를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 연장부(57)의 선단부 "E"가 내부 뚜껑(6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장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뚜껑(60)은 도 13에 모식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기 본체(31)의 상부에 한쪽을 본체측 받침점(93), 다른 쪽을 내부 뚜껑측 받침점(94)으로 하여 마련된 링크기구(62)에 의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프링(63)에 의해서 전방 상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조(32)가 세정기 본체(3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63)의 바이어스에 의해서 파선으로 도시하는 위쪽 위치에 있다. 세정조(32)가 세정기 본체(31)내로 밀어 넣어지고, 탱크(79)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된 가압편(59)에 의해서 내부 뚜껑(60)이 후방측으 로 압출되고, 내부 뚜껑(60)은 스프링(63)의 바이어스에 저항하여 링크기구(62)에 의해서 내부 뚜껑(60)은 전방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수용종단위치로 밀어 넣어진 세정조(32)의 탱크(79)의 개구부에 중앙부위(95)가 끼워 넣어지고, 중앙부위(95)의 주위에 배치된 패킹(78)에 의해서 내조(34)내를 밀폐 상태로 한다.
세정기 본체(31)로부터 인출된 세정조(32)의 내조(34)내에 다수의 식기류가 수용되어 세정조(32)의 중량이 증가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레일(3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세정조(32)는 전방측이 내려가고, 후방측이 올라가는 상태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세정조(32)를 세정기 본체(31)내로 밀어 넣으면, 탱크(79)의 후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57)가 내부 뚜껑(60)의 전단부 "C" 또는 "D"(도 14 참조)에 충돌할 우려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57)는 그 선단부 "E"가 세정조(32)를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에서도 내부 뚜껑(60)의 중앙부위(95)의 전단부 "D" 보다 후방에서 또한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장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57)는 세정기 본체(31)내로 밀어 넣어지는 세정조(32)를 내부 뚜껑(60)의 하면을 따라 안내하여, 수용종단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7)는 세정조(32)의 후방을 은폐할 목적만이라면, 내부 뚜껑(60)의 아래쪽에 도달할 때까지의 연장 길이로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세정조(32)를 내부 뚜껑(60)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의 작용을 겸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부 뚜껑(60)의 아래쪽으로 이르는 연장길이가 필수이다. 또한, 가이드의 작용만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연장부(57a)를 돌출 형성할 수도 있어, 특별히 판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세정조(32)가 세정기 본체(31)내의 수용종단위치로 확실히 밀어 넣어져 있지 않으면, 내부 뚜껑(60)에 의한 내조(34)의 밀폐 상태가 불충분해져, 누수가 발생하거나, 세정조(32)의 수용 상태를 유지하는 핸들 조작이 불완전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세정조(32)를 세정기 본체(31)내의 수용종단위치까지 확실하게 유도하기 위해서, 슬라이드레일(33)에 인입 기구(64)를 설치하여(도5, 도6, 도10a, 도10b 및 도 15 참조), 세정조(32)를 세정기 본체(31)내의 수용종단위치까지 확실하게 밀어 넣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33)을 구성하는 고정레일(41)의 측면에 인입 기구(64)가 장착되고, 인입기구(64)에 설치된 결합편(65)에 결합하는 작동편(66)이 가동레일(42)의 측면에 장착된다. 세정조(32)가 세정기 본체(3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편(66)에 형성된 돌기부(66a)는 상기 결합편(65)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 돌기(65a, 65b)의 사이에 결합하고 있다. 상기 결합편(65)에는 스프링 축(68)의 선단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스프링 축(68)의 다른 쪽 단부측에 스프링 수용통(72)을 마련하여, 그 속에 스프링 축(68)의 다른쪽 단부에 마련한 스프링 수용부(73)로 수용하여 코일 스프링(70)이 끼워 넣어져 있다.
세정조(32)를 세정기 본체(31)로부터 인출하는 조작이 실행되면, 가동레일(42)이 이동하여, 그것에 고정된 작동편(66)에 의해서 결합편(65)이 이동하여, 스프링 축(68)이 잡아당겨져 코일 스프링(70)은 압축된다. 결합편(65)이 미끄럼운동 이동하는 홈을 형성하는 측벽(69)의 한쪽 단부에는 걸림 오목부(71)가 형 성되어 있고, 가동레일(42)의 이동에 의해서 작동편(66)에 결합하여 이동한 결합편(65)의 결합돌기(65a)가 상기 걸림 오목부(71)에 도달했을 때, 결합돌기(65a)는 걸림 오목부(71)내로 들어가 작동편(66)의 돌기부(66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결합돌기(65a)가 걸림 오목부(71)내에 걸림으로써, 코일 스프링(70)은 스프링 수용부(73)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인출된 세정조(32)를 세정기 본체(31)내로 밀어 넣는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가동레일(42)은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작동편(66)이 걸림 오목부(71)에 의해서 걸려있는 결합편(65)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작동편(66)의 돌기부(66a)는 측벽(69)상에 남아 있는 결합돌기(65b)에 결합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결합편(65)의 결합돌기(65a)는 걸림 오목부(71)로부터 빠져나가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걸림의 해제에 의해서 압축된 코일 스프링(70)의 탄성 복귀력은 스프링 축(68)으로부터 결합편(65), 작동편(66)에 미치기 때문에, 가동레일(42)은 세정조(32)에 대한 밀어 넣기 조작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이동하여, 세정조(32)를 세정기 본체(31)내의 수용종단위치까지 밀어 넣을 수 있다.
상기 인입 기구(64)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70)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통(72)을 실린더로 하여, 스프링 축(68)의 선단에 장착된 스프링 수용부(73)에 코일 스프링(70)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작용과 동시에 피스톤의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압축된 코일 스프링(70)이 탄성 복귀할 때, 스프링 수용부(73)에 의해 스프링 수용통(72)내의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댐퍼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32)의 세정기 본체(31)내로의 인입의 종단에 이르러 이동속도가 감소하여, 조 용히 세정조(32)를 수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조의 상면후방으로부터 연장부가 후방을 향해서 연장 형성되고, 연장부는 그 선단부가 세정조를 세정기 본체로부터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에도 내부 뚜껑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장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조의 중량변화에 의해서 후단의 상하위치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세정기 본체로 밀어 넣어진 세정조를 그 후단을 내부 뚜껑에 충돌시키는 일없이 수용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세정조의 세정기 본체로부터의 인출량을 크게 설정한 경우에, 세정조의 후방과 세정기 본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을 은폐하는 은폐판으로서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전방으로 개구하는 상자형체로 형성된 세정기 본체에 대하여, 위쪽으로 개구하는 세정조가 슬라이드레일에 의해서 상기 세정기 본체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출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세정기 본체내의 위쪽에 상기 세정조를 세정기 본체 내에 수용하는 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하강하여, 수용된 세정조의 위쪽 개구부를 닫는 내부 뚜껑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를 그 내벽 후면의 위쪽 부분이 적어도 세정기 본체의 전방단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세정조의 상면후방을 후방측을 향해서 연장시킨 연장부를 설치하고, 이 연장부는 세정조를 상기 인출 종단 위치까지 인출했을 때에, 그 선단부가 상기 내부 뚜껑 밑에 위치하는 연장 길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세정조의 상면 후방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정기.
KR1020030066741A 2002-11-05 2003-09-26 식기 세정기 KR100688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0947 2002-11-05
JP2002320947A JP3974017B2 (ja) 2002-11-05 2002-11-05 食器洗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337A KR20040040337A (ko) 2004-05-12
KR100688689B1 true KR100688689B1 (ko) 2007-02-28

Family

ID=3210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741A KR100688689B1 (ko) 2002-11-05 2003-09-26 식기 세정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58126B2 (ko)
EP (1) EP1417922B1 (ko)
JP (1) JP3974017B2 (ko)
KR (1) KR100688689B1 (ko)
CN (2) CN1259021C (ko)
AT (1) ATE473671T1 (ko)
CA (1) CA2442287C (ko)
DE (1) DE60333335D1 (ko)
ES (1) ES2348713T3 (ko)
TW (1) TWI2344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16Y1 (ko) 2010-06-28 2012-10-18 주식회사 은성산업 출입수단의 수리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 주방용 살균소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0612B2 (en) * 2004-01-09 2010-01-05 Schock Metallwerk Gmbh Device incorporating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is adapted to flow and the use of a drawer guide in such a device
US7862665B2 (en) * 2005-02-09 2011-01-04 Maytag Corporation Pump syste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7775223B2 (en) * 2005-11-29 2010-08-17 Maytag Corporation Flexible utility link for a drawer-type dishwasher
AU2007200593B2 (en) * 2006-02-10 2008-07-10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Extra Width Dishwasher
US7568487B2 (en) * 2006-04-20 2009-08-04 Maytag Corporation Lid mechanis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7624745B2 (en) * 2006-04-20 2009-12-01 Maytag Corporation Drawer-type dishwasher having modular support body
US7731804B2 (en) * 2006-08-09 2010-06-08 Maytag Corporation Lid operating mechanis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EP1929922B1 (en) * 2006-12-06 2010-09-0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US7959742B2 (en) * 2007-07-11 2011-06-14 Whirlpool Corporation Outer support body for a drawer-type dishwasher
TWI421799B (zh) * 2010-06-01 2014-01-01 Panasonic Corp Tableware cleaning machine
US9386904B2 (en) 2010-11-18 2016-07-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movable liquid conduit
DE102013222576A1 (de) 2013-11-06 2015-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CN108634900B (zh) * 2018-05-29 2023-09-0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JP7113171B2 (ja) * 2018-05-30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EP3613325B1 (en) 2018-08-07 2024-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6619A (en) * 1935-05-01 1938-01-25 Gen Electric Washing apparatus
US2661750A (en) * 1951-05-26 1953-12-08 Gen Electric Under-counter dishwasher
US2667400A (en) * 1952-05-09 1954-01-26 Gen Electric Appliance of the drawer type
US2939465A (en) * 1956-07-19 1960-06-07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3068875A (en) * 1959-11-16 1962-12-18 Charles L Lovercheck Appliance door
US3289683A (en) * 1966-06-29 1966-12-06 Betty B Tomlin Rack structure for a dishwashing machine
IT1187638B (it) * 1985-03-13 1987-12-23 Top Srl Macchina lavastoviglie compatta a carica dall'alto da inserimento in mobili
CA2376640C (en) * 1991-12-20 2003-12-09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Dishwasher
DE19700149A1 (de) * 1997-01-06 1998-07-09 Theo Klein Gmbh Spielwarenfabr Modulates Spielküchensystem
NZ314155A (en) * 1997-01-30 1999-07-29 Fisher & Paykel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located in door recess, having open top and being flushed out by overhead nozzle
US6491049B1 (en) * 1998-09-21 2002-12-10 Maytag Corporation Lid construction for drawer dishwasher
US6260565B1 (en) * 1998-09-21 2001-07-17 Maytag Corporation Double dishwasher
JP3417353B2 (ja) 1999-08-16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3275886B2 (ja) 1999-08-27 2002-04-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移動防止方法
JP3129318B1 (ja) 1999-08-27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501069B2 (ja) * 2000-02-18 2004-02-23 松下電工株式会社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3537741B2 (ja) * 2000-07-14 2004-06-14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2065570A (ja) * 2000-08-23 2002-03-05 Rinnai Corp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3537751B2 (ja) * 2000-09-01 2004-06-14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1275916A (ja) 2000-09-04 2001-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JP3540750B2 (ja) * 2001-01-16 2004-07-07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2315715A (ja) 2001-02-16 2002-10-29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3614791B2 (ja) * 2001-04-23 2005-01-26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3310518A (ja) 2002-04-22 2003-11-05 Sanyo Electric Co Ltd 洗浄庫引出式食器洗い機用設置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16Y1 (ko) 2010-06-28 2012-10-18 주식회사 은성산업 출입수단의 수리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 주방용 살균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2893A (en) 2004-08-01
CN2691481Y (zh) 2005-04-13
ATE473671T1 (de) 2010-07-15
US7258126B2 (en) 2007-08-21
KR20040040337A (ko) 2004-05-12
CN1498589A (zh) 2004-05-26
CA2442287A1 (en) 2004-05-05
EP1417922A3 (en) 2006-09-06
ES2348713T3 (es) 2010-12-13
EP1417922A2 (en) 2004-05-12
US20040085006A1 (en) 2004-05-06
TWI234448B (en) 2005-06-21
CN1259021C (zh) 2006-06-14
EP1417922B1 (en) 2010-07-14
JP2004154220A (ja) 2004-06-03
JP3974017B2 (ja) 2007-09-12
CA2442287C (en) 2007-02-13
DE60333335D1 (de)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689B1 (ko) 식기 세정기
KR100560245B1 (ko) 식기 세정기
KR102002419B1 (ko) 식기세척기
JP2004154221A5 (ko)
US9777422B2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JP2004154219A (ja) 食器洗浄機
KR100441020B1 (ko) 식기세척기
JP2004154219A5 (ko)
US20050257813A1 (en) Dishwasher and door locking device for the same
JP4339574B2 (ja) 食器洗浄機
KR100444122B1 (ko) 식기 세정기
CN110694094A (zh) 一种抽屉式消毒柜
EP3067458B1 (en) Detergent box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07144236A (ja) 食器洗浄機
JP4634513B2 (ja) 食器洗浄機
KR200341131Y1 (ko) 서랍형 공구함
JP2007209771A (ja) 食器洗浄機における洗浄槽の組付け方法
CN218852657U (zh) 用于洗碗机的门体结构及洗碗机
CN110344216B (zh) 一种洗衣机洗涤剂投放装置及洗衣机
KR20110013014A (ko)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0707429B1 (ko) 식기 세척기
KR20210014941A (ko) 식기세척기
JPH0649224Y2 (ja) 引き出し装置
KR0180187B1 (ko) 카드 사용기기의 스마트카드 삽입장치
KR20020045813A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