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323B1 - 도로시설물용 지주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323B1
KR100688323B1 KR1020050034337A KR20050034337A KR100688323B1 KR 100688323 B1 KR100688323 B1 KR 100688323B1 KR 1020050034337 A KR1020050034337 A KR 1020050034337A KR 20050034337 A KR20050034337 A KR 20050034337A KR 100688323 B1 KR100688323 B1 KR 100688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ost
elevating
drive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005A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05003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32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12Details
    • F16J9/14Joint-closures
    • F16J9/16Joint-closures obtained by stacking of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26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9Similar sealing structures for mounting on piston and about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지지되는 포스트부와, 지면 아래로 매설되어 상기 포스트부를 지지하는 매설지지부와,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매설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매설지지부는, 상기 매설지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매설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구동바와; 상기 매설지지부의 하단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걸림편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가능하게 마련된 확장걸림부와; 상기 확장걸림부와 상호작용하며, 상승하면서 상기 확장걸림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승강가압부와; 상기 승강구동바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가압부의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사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고, 차량과의 충돌에 따른 지주부의 변형 및 이탈을 줄일 수 있는 도로시설물용 지주가 제공될 수 있다.
지주, 포스트

Description

도로시설물용 지주{post for ro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가 사용된 가이드레일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결합사시도,
도 7a와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가 사용된 시선유도봉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가 사용된 중앙분리대의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면 3 : 지주삽입공
10 : 승강구동바 11 : 숫나사부
13 : 머리부 15 : 회전공구조작부
17 : 확장걸림부 20 : 포스트
21 : 결합부 31 : 안내부
33 : 암나사부 35 : 걸림턱
40 : 확장걸림부 41 : 결합부
43 : 걸림편 45 : 걸림편돌기
50 : 가압부 51 : 회전방지부
53 : 관통홀 60 : 승강부
61 : 암나사부 70 : 승강가압부
80 : 가이드레일 90 : 시선유도봉
100 : 중앙분리대 110 : 핀결합
120 : 리벳결합
본 발명은 도로시설물용 지주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구조가 개선된 도로시설물용 지주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시설물용 지주부는 도로 주변의 지면상의 차선규제봉이나 보차도 경계지주, 중앙분리대, 각종 표지판 기둥, 시선유도설치물의 지주, 가이드레일 지주 등 다양한 도로 교통 시설물에 사용된다.
종래의 도로시설물용 지주는 일체형 막대형상으로 막대의 하단부를 노면에 매설하는 형태로, 노면에 도로시설물용 지주를 설치할 때는 노면에 삽입공을 깊이 뚫어 지주를 깊이 묻는 방법과, 삽입공 내에 접착제와 콘크리트 등을 붓고 그 위에 지주부를 매설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노면에 깊숙이 지주를 묻은 경우에는, 도로에 주행중인 다양한 무게의 차량들과의 충격을 지주가 견디지 못하고 뽑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노면에 접착제와 콘크리트 등을 붓고 지주부를 매설하는 경우에는, 접착제가 주위 온도상승에 의해 열화되거나, 접착제와 콘크리트가 도로를 구성하는 아스콘이나 시멘트와 결합하여 뭉쳐져서 떨어져 접착제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차량들과의 충격으로 인해 지주의 이탈과 변형 등이 일어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지주의 이탈과 변형으로 인해 지주를 교체해야 할 경우에는 노면에 묻힌 지주를 파내야 하므로, 도로 전체를 훼손시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되거나 이탈된 지주의 교체가 용이하고, 차량의 충격에 의해 파손 및 이탈되지 않는 도로시설물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지면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지지되는 포스트부와, 지면 아래로 매설되어 상기 포스트부를 지지하는 매설지지부와,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매설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매설지지부는, 상기 매설지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매설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구동바와; 상기 매설지지부의 하단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걸림편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가능하게 마련된 확장걸림부와; 상기 확장걸림부와 상호작용하며, 상승하면서 상기 확장걸림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승강가압부와; 상기 승강구동바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가압부의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사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바는 상단영역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머리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머리부의 하향이동을 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승강수단은 상기 승강구동바의 하단영역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승강가압부 내에 마련된 암나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구동바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승강수단은 상기 승강구동바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안내부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승강구동바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바는 하단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확장부를 갖고,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승강구동바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장걸림부는 상기 승강구동바가 통과하는 결합공을 갖는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결합부에 스커트상으로 외측하향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바의 일측에 상기 승강구동바가 회전하도록 조작하는 공구가 접촉되는 회전공구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이랗ㄴ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참조부호를 표기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참조부호를 달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가 사용된 가이드레일(8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시설물용 지주는 지면위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직립하는 포스트부(20)와, 지면 아래로 매설되어 포스트부(20)를 지지하는 매설지지부(30)와, 포스트부(20)와 매설지지부(3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21)을 포함한다.
매설지지부(30)는 매설지지부(3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구동바(1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안내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부(31)는 승강구동바(10)의 머리부(13)의 하향이동을 저지하는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다. 매설지지부(30)의 몸체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으며, 충격에 강하고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구동바(10)는 매설지지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된 안내부(3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머리부(13)와 승강구동바(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11)를 가진다. 머리부(13)는 승강구동바(10)가 회전하도록 조작하는 공구가 접촉 결합되는 회전공구조작부(15)를 가진다. 회전공구조작부(15)는 사용되는 공구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확장걸림부(40)는 매설지지부(30)의 하단영역에 배치되어 승강구동바(10)에 결합되는 결합부(41)와, 결합부(41)에 스커트상으로 외측하향 연장되어 도로설치용 지주가 지주삽입공(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매설지지부(30)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하는 걸림편(43)을 갖는다. 걸림편(43)에는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편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확장걸림부(40)의 결합부(41)는 승강구동바(1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천공되어 승강구동바(10)에 끼워 맞춤된다.이러한 확장걸림부(40)는 별도로 제조되어 승강구동바(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매설지지부(30)의 하단부에 매설지지부(30)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승강가압부(70)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된 승강부(60)와 승강부(60)에 지지되어 승강구동바(10)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부(50)를 포함한다. 승강부 (60)는 내측에 승강구동바(10)의 숫나사부(11)에 대응하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되어 승강구동바(10)와 결합하며 상승과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가압부(50)는 승강부(60)를 상시 접촉하며 밀착지지하여 승강부(6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승강부(60)의 상승과 하강운동시 함께 상승과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가압부(50)는 확장걸림부(40)의 내측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외주연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즉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50)의 일측에는 승강구동바(60)에 결합된 승강부(60)가 승강구동바(6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51)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돌기나 요철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50)와 승강부(60)가 별개로 제조되었지만, 가압부(50)는 승강부(60)를 밀칙지지하며 승강부(60)가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가압부(50)와 승강부(60)를 일체로 제조하거나, 또는 용접과 접착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상시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포스트(20)와 매설지지부(3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나사결합 외에도 도 7a에 도시한 핀결합(110), 도 7b에 도시한 리벳결합(12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나사결합(21)은 포스트(20)의 하단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매설지지부(30)의 상단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구동바(10)를 매설지지부(30)의 안내부(31)에 삽입시켜 승강구동바(10)의 하단영역의 숫나사부(11)가 앵커부(30)의 하측으로 노출 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부(30)의 하측에 노출된 승강구동바(10)의 숫나사부(11)측으로 확장걸림부(40)와, 가압부(50), 승강부(6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먼저, 승강구동바(10)를 몇 회 회전시켜 승강구동바(10)와 승강부(60)를 가체결시킨다. 그리고 가체결된 상태의 매설지지부(30)를 지주삽입공(3)에 압입하여 지주부(30)가 지주삽입공(3)으로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승강구동바(10)의 머리부(13)에 형성된 회전공구조작부(15)에 공구를 결합시켜 승강구동바(10)를 회전시킨다. 승강구동바(10)는 안내부(31)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5)에 머리부(13)가 걸려 더 이상 하향 이동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승강구동바(10)가 회전을 하면, 매설지지부(30)의 하단에서 승강구동바(10)와 나사결합되어 있던 승강부(60)는 가압부(40)의 회전방지부(41)에 의해 회전을 하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승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승강부(60)를 밀착지지하는 가압부(50)는 승강부(60)의 상승운동으로 함께 상승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가압부(50)는 상승하며 매설지지부(30) 하단면에 고정되어 있던 확장걸리부(40)의 걸림편(43) 내측으로 압입하며 들어가게 된다. 가압부(50)가 확장걸림부(40)의 내측으로 압입하여 들어가면, 가압부(50)의 경사진 외주연이 확장걸림부(40)의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편(43)에 횡방향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횡방향 압력에 의해 걸림편(43)들은 지주부(3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며 확장되게 된다.
여기서, 가압부(50)의 외경은 확장걸림부(40)의 걸림편(43)이 최대한 벌이질 수 있게 하는 충분한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승강구동바(10)의 회전으로 승강부(60)가 매설지지부(30)의 하단부의 일측까지 상승하게 되면 매설지지부(30) 하단면과 확장걸림부(40), 가압부(50), 승강부(60)는 순서대로 서로를 각각 밀착지지하게 된다. 특히, 가압부(50)는 확장걸림부(40)의 결합부(41)와 밀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걸림편(43)들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설지지부(3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완전히 벌어져 확장되게 된다.
이 때, 걸림편(43)의 걸림편단부는 지주삽입공(3)의 내벽면을 뚫고 들어가게 되어 내벽면을 접촉지지하게 됨으로써, 매설지지부(30)가 지주삽입공(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걸림편(43)에 형성된 걸림편돌기(45)에 가압부(50)의 회전방지부(51)라 맞물려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내벽면을 지지하게 된다.
매설지지부(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매설지지부(20)의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포스트(20)의 암나사부를 회전시켜 나사결합(21) 시킨다.
한편, 설치면 혹은 도로로부터 도로시설물용 지주를 철거하고자 한다면, 포스트(20)를 회전시켜 매설지지부(30)와 분리시킨다. 그리고 매설지지부(20)의 안내부(31)의 걸림턱(35)에 접촉되어 있는 승강구동바(10)의 회전공구조작부(15)에 공구(미도시)를 결합시켜 승강부(4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승강구동바(10)를 회전시킨다. 승강구동바(10)가 회전하면, 매설지지부(30) 하단에서 승강구동바(10)의 숫나사부(11)와 맞물려 고정되어 있던 승강부(60)가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확장걸림부(40)의 걸림편(43)이 확장되도록 압력을 가하던 가압부(50)의 압력이 사라지므로 지주삽입공(3)의 내벽면을 지지하던 걸림편(43)의 지지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 때, 매설지지부(30)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매설지지부(30)는 용이하게 노면에서 제거될 수 있고, 도로설치용 지주의 철거가 완료된다.
한편,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충격으로 도로설치용 지주의 포스트(20)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포스트(20)만을 교체해야하는 경우는, 포스트부(20)를 회전시켜 매설지지부(30)와 분리시킨 후, 새로운 포스트부(20)를 결합시키면 교체는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는 포스트부와 매설지지부가 분리되어 있어 설치와 제거, 교체가 용이하다. 그리고, 확장걸림부의 걸림편이 지주삽입공의 내벽면을 접촉지지하므로 도로의 노면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어 도로상을 주행중인 자동차와의 충돌로 인한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파손 및 이탈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도로시설물용 지주는 매설지지부(30)의 안내부(31)의 내면에 암나사부(33)를 가지고, 승강구동바(10)에 숫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구동바(10)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확장부(17)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확장부(17)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회전공구조작부(15)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승강구동바(10)의 확장걸림부(17) 측으로 가압부(50)와 확장걸림부(40)를 차례 로 결합시킨다. 가압부(50)와 확장걸림부(40)가 결합된 승강구동바(10)를 매설지지부(30)의 하측 안내면(31)에 형성된 암나사부(33) 측으로 밀어넣는다. 밀어넣은 승강구동바(10)를 몇 회 회전시켜 매설지지부(30)와 가체결시킨 후 지주삽입공(3)으로 밀어넣는다.
지주삽입공(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공구조작부(15)에 공구를 결합시켜 승강구동바(10)를 회전시킨다. 회전되는 승강구동바(10)는 매설지지부(30)의 암나사부(33)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승강구동바(10)의 걸림확장부(15)측에 위치한 가압부(50)와 확장걸림부(40)도 함께 상승을 하게 된다. 상승을 하던 확장걸림부(40)는 매설지지부(30)의 하단면과 접촉을 하게 되어 고정이 되고, 승강구동바(10)의 회전으로 계속 상승운동을 하던 가압부(50)는 고정된 확장걸림부(40)의 걸림편(43) 내측으로 압입하며 들어가게 된다.
확장걸림부(40)의 내측으로 압입된 가압부(50)의 외주연은 계속 걸림편(43)에 압력을 가해 걸림편(43)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완전히 벌어지면서, 지주삽입공(3)의 내벽면을 접촉 지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는 역시 확장걸림부의 걸림편에 지주삽입공의 내벽면을 접촉지지하므로 도로의 노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어 도로상을 주행중인 자동차와의 충돌로 발생되어 도로시설물용 지주에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한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파손 및 이탈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가 사용된 시선유도봉(9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중앙분리대(100)의 사시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노면에 설치와 제거, 교체가 용이하고, 노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어 도로상을 주행중인 자동차와의 충돌 등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지주의 파손 및 이탈을 줄일 수 있는 도로시설물용 지주가 제공된다.

Claims (9)

  1. 지면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지지되는 포스트부와, 지면 아래로 매설되어 상기 포스트부를 지지하는 매설지지부와,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매설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에 있어서,
    상기 매설지지부는,
    상기 매설지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매설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구동바와;
    상기 매설지지부의 하단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걸림편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가능하게 마련된 확장걸림부와;
    상기 확장걸림부와 상호작용하며, 상승하면서 상기 확장걸림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승강가압부와;
    상기 승강구동바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가압부의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사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바는,
    상단영역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머리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머리부의 하향이동을 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승강수단은 상기 승강구동바의 하단영역에 형성도니 숫나사부와, 상기 승강가압부 내에 마련된 암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구동바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승강수단은,
    상기 승강구동바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안내부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승강구동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바는,
    하단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확장부를 갖고,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승강구동바와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걸림부는 상기 승강구동바가 통과하는 결합공을 갖는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결합부에 스커트상으로 외측하향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8.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바의 일측에 상기 승강구동바가 회전하도록 조작하는 공구가 접촉되는 회전공구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9. 삭제
KR1020050034337A 2005-04-26 2005-04-26 도로시설물용 지주 KR10068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37A KR100688323B1 (ko) 2005-04-26 2005-04-26 도로시설물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37A KR100688323B1 (ko) 2005-04-26 2005-04-26 도로시설물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05A KR20060112005A (ko) 2006-10-31
KR100688323B1 true KR100688323B1 (ko) 2007-03-09

Family

ID=3762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37A KR100688323B1 (ko) 2005-04-26 2005-04-26 도로시설물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759B1 (ko) * 2007-06-22 2010-01-06 엘아이지건설 주식회사 차선 안내봉
KR101354671B1 (ko) * 2013-10-15 2014-01-24 이석민 보강된 지지력을 갖는 놀이시설용 지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79Y1 (ko) * 2009-06-30 2010-02-04 박용한 차로 표시장치
KR102034567B1 (ko) * 2019-02-21 2019-10-21 유재현 시선유도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010B1 (ko) * 2005-02-05 2006-07-19 (주)드림인기술 도로용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010B1 (ko) * 2005-02-05 2006-07-19 (주)드림인기술 도로용 가드레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6020100000
공개특허공보 특2003-12070
공개특허공보 특2003-2676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759B1 (ko) * 2007-06-22 2010-01-06 엘아이지건설 주식회사 차선 안내봉
KR101354671B1 (ko) * 2013-10-15 2014-01-24 이석민 보강된 지지력을 갖는 놀이시설용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05A (ko)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429A (en) Post installation
US3385565A (en) Roadway divider fence construction
KR100688323B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
KR100938613B1 (ko) 전주의 기초구조물
KR200485781Y1 (ko) 가로등의 설치구조
KR101120561B1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100730697B1 (ko) 도로표지시설물
KR100949908B1 (ko) 지주용 기초석
KR100886343B1 (ko)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KR100920128B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200403575Y1 (ko) 착탈식 볼라드 구조
JP5520181B2 (ja) 支柱の施工方法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0867433B1 (ko) 지면고정식 설치물의 탈부착장치
JP4590810B2 (ja) 倒壊防止機能付きポール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102306150B1 (ko)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8167Y1 (ko) 전신지주 보강구조
KR100676903B1 (ko) 친환경 시선유도봉
KR100906411B1 (ko) 시선 유도봉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100920127B1 (ko) 강성을 보강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0458707Y1 (ko) 도로시설물 지주용 기초
KR100688322B1 (ko) 친환경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