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903B1 - 친환경 시선유도봉 - Google Patents

친환경 시선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903B1
KR100676903B1 KR1020050076746A KR20050076746A KR100676903B1 KR 100676903 B1 KR100676903 B1 KR 100676903B1 KR 1020050076746 A KR1020050076746 A KR 1020050076746A KR 20050076746 A KR20050076746 A KR 20050076746A KR 100676903 B1 KR100676903 B1 KR 10067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unit
bar
drive bar
extension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05007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위치하는 표시부와, 지면 아래로 매설되어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갖는 매설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앵커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숫나사부가 형성된 승강구동바와; 상기 승강구동바에 승강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와, 상기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갖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승강구동바의 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회전운동을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승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를 상향 가압하고 상기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확장시키는 승강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노면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친환경 시선유도봉{ENVIRONMENT FRIENDLY TUBULAR MARK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결합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봉을 노면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선유도봉 10 : 표시부
20 : 지지부 30 : 승강구동바
40 : 앵커부 50 : 이탈방지부
50a : 상부확장부 50b : 하부확장부
51 : 슬라이더 52 : 삽입구
53a : 상부확장날개 53b : 하부확장날개
60 : 승강가압부
본 발명은,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구조가 개선된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시선유도봉은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곳으로서,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동일 및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위험구간 예고 목적으로 시선을 유도하는 시설이다.
종래의 시선유도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배치되는 지지부(120)와, 지지부(120)에 기립되게 배치되는 표시부(130)를 갖는다. 지지부(120)의 판면에는 볼트(150)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하측에는 관통공(121)을 통해 하향 노출된 볼트(150)에 체결되는 복수의 앵커(1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선유도봉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부(120)의 관통공(121)에 각각 와셔(132a~132c)를 배치한 후, 볼트(150)를 삽입하여 볼트(150)의 나사산이 지지부(120)의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노출된 볼트(150)의 나사산에 앵커(140)를 결합한다.
시선유도봉의 조립이 완료되면, 시선유도봉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고 복수의 앵커(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를 "앵커삽입공"이라 함)을 뚫는다. 그리고 앵커삽입공에 접착제를 붓고, 시선유도봉의 앵커(14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방치한 후, 노면의 외측으로 누출된 접착제를 청소함으로써 시선우도봉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의 시선유도봉은 도로의 노면의 앵커삽입공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앵커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날씨와 기후조건에 따라 시선유도봉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고, 접착제가 건조되는 시간으로 인해 시공시간 또한 길었다.
그리고 노면에 접착제와 콘크리트 등을 붓고 앵커를 삽입한 경우에는, 접착제가 주위 온도상승에 의해 열화되거나, 접착제와 콘크리트가 도로를 구성하는 아스콘이나 시멘트와 결합하여 뭉쳐져서 떨어져 접착제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차량들과의 충격으로 인해 시선유도봉의 이탈과 변형 등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접착제는 페놀, 에폭시수지 등의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면에 위치하는 표시부와, 지면 아래로 매설되어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갖는 매설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선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앵커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숫나사부가 형성된 승강구동바와; 상기 승강구동바에 승강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와, 상기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갖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승강구동바의 숫나 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회전운동을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승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를 상향 가압하고 상기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확장시키는 승강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봉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가압부의 상승시, 상기 앵커의 하단부가 상기 복수의 상부확장날개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와 상기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구동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판면에 관통 형성된 슬라이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봉의 결합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봉(1)은 노면에 배치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에 대해 기립되게 배치되는 표시부(10)와, 지지부(20)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노면의 내측 삽입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앵커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부(20)와 앵커부(40)을 관통하는 승강구동바(30)와, 승강구동바(3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확장날개(50a)와 하부확장날개(50b)를 갖는 이탈방지부(50)와, 이탈방지부(50)의 하측에서 상승하며 이탈방지부(50)를 확장시키는 승강가압부(60)를 포함한다.
표시부(10)는 통상적으로 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면에는 식 별이 용이하도록 줄무늬 형상의 식별패턴(13)이 형상되어 있다.
지지부(20)는 앵커부(4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구동바(30)가 삽입되는 장착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공(21)에는 승강구동바(30)의 머리부(31)의 하향이동을 저지하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앵커부(40)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지지부(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앵커부(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사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앵커부는(40)는 앵커부(4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구동바(3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구동바(30)는 지지부(20)와 앵커부(4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머리부(31)와 승강구동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32)를 가진다. 머리부(31)는 승강구동바(30)가 회전하도록 조작하는 공구가 접촉 결합되는 회전공구조작부(33)를 가진다. 회전공구조작부(33)는 사용되는 공구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50)는 승강구동바(30)가 삽입되는 삽입구(52)가 형성된 슬라이더부(51)와, 슬라이더부(51)를 중심으로 상측에 마련된 상부이탈방지부(50a)와, 슬라이더부(51)를 중심으로 하측에 마련된 하부이탈방지부(50b)를 포함한다.
하부이탈방지부(50b)의 하측에는 삽입구(52)에 삽입된 승강구동바(30)의 하측영역에 체결되는 승강가압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가압부(60)의 내부에는 승강구동바(30)에 형성된 숫나사부(32)에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승강가압부(60)는 승강구동바(30)의 회전운동을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 하여 회전에 의해 상승되어 이탈방지부(50)를 상향 가압하는 동시에 후술할 복수의 하부확장날개(53b)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부(51)에는 승강구동바(30)의 단면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승강구동바(30)가 삽입되는 삽입구(5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삽입구(52)는 원형일 수도 있고 다각형상일 수도 있으며,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구(52)의 연부에 방사상의 절개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이탈방지부(50a)는 슬라이더(51)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앵커부(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확장날개(53a)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부확장날개(53a)는 승강구동바(30)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승강구동바(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승강가압부(60)의 가압에 의해 이탈방지부(5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상부확장날개(53a)는 앵커부(20)의 하단부영역에 의해 승강구동바(30)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앵커삽입공(3)의 내벽면에 접촉지지된다.(도 3 및 도 4참조).
승강가압부(60)는 내측에 승강구동바(30)의 숫나사부(32)에 대응하는 암나사부(63)가 형성되어 승강구동바(30)와 결합하며 상승과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상승 운동하며 이탈방지부(50)의 내측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외주연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즉 단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선유도봉(1)을 노면(2)에 시공하는 과정을 도 3과 도4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이탈방지부(50)를 앵커부(20)의 하측에 결합시키기 위해, 앵커부(20) 의 하측으로 배치된 승강구동바(30)의 하부영역을 이탈방지부(50)의 삽입구(52)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이탈방지부(50)의 삽입구(52)로 삽입된 승강구동바(30)의 하부영역에 승강가압부(60)를 체결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시선유도봉(1)을 시공할 위치를 결정하고 노면(2)의 적정위치에 앵커삽입공(3)을 형성한다.
그리고, 앵커삽입공(3)에 고정앵커부(20)를 삽입하고, 공구삽입구(31)를 통해 승강구동바(3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승강구동바(30)의 숫나사부(32)와 승강가압부(60)의 암나사부(63)가 맞물리면서 승강가압부(60)와 이탈방지부(50)가 함께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께 상향 이동하다가 이탈방지부(50)의 복수의 상부확장날개부(50a)가 앵커부(20)의 하단부영역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승강구동바(30)를 회전시키면 승강가압부(60)는 이탈방지부(50)의 하측에서 이탈방지부(50)를 상향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확장날개(53a)는 앵커부(20)의 하단부영역에 의해 눌리고 하부확장날개(53b)는 승강가압부(40)에 의해 밀려 각각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삽입공(3)의 내벽면을 침투하여 접촉지지하게 됨으로써, 앵커부(40)가 앵커삽입공(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설치면 혹은 도로로부터 시선유도봉(1)을 철거하고자 한다면, 지지부(20)에 삽입되어 있는 승강구동바(30)의 회전공구조작부(33)에 공구(미도시)를 결합시켜 승강가압부(6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승강구동바(30)를 회전시킨다. 승강구 동바(30)가 회전하면, 앵커부(40) 하단에서 승강구동바(30)의 숫나사부(32)와 맞물려 고정되어 있던 승강가압부(60)가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탈방지부(50)의 상부확장날개(53a)와 하부확장날개(53b)가 확장되도록 압력을 가하던 승강가압부(60)의 압력이 사라지므로 앵커삽입공(3)의 내벽면을 지지하던 확장날개(50a, 50b)의 지지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 때, 표시부(10)를 위로 들어올리면 시선유도봉(1)은 용이하게 노면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삽입구(52)가 형성된 하나의 슬라이더(51)의 상측과 하측에 상부 및 하부확장날개(53a,53b)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나,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다. 즉 이탈방지부가 상부슬라이더와 상부슬라이더로부터 상향 연장된 상부확장날개를 갖는 상부이탈방지부와, 하부슬라이더와 하부슬라이더로부터 하향 연장된 하부확장날개를 갖는 하부이탈방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확장날개(53a,53b)의 길이가 같게 형성되어 있으나 복수의 상부확장날개(53a)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마련할 수 있고, 복수의 하부확장날개(53b)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온습도 등 날씨의 제약없이 용이하게 설치 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시선유도봉이 제공된다. 또한, 도로의 노면상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앵커삽입공의 내벽면을 상부 및 하부확장날개가 견고하게 접촉 지지하여 도로에서의 이탈 및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에 강한 시선유도봉이 제공된다.

Claims (3)

  1. 지면에 위치하는 표시부와, 지면 아래로 매설되어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갖는 매설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선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앵커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숫나사부가 형성된 승강구동바와;
    상기 승강구동바에 승강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와, 상기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갖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승강구동바의 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구동바의 회전운동을 승강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승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를 상향 가압하고 상기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확장시키는 승강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압부의 상승시, 상기 앵커의 하단부가 상기 복수의 상부확장날개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상부확장날개와 상기 복수의 하부확장날개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구동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판면에 관통 형성된 슬라이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봉.
KR1020050076746A 2005-08-22 2005-08-22 친환경 시선유도봉 KR10067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46A KR100676903B1 (ko) 2005-08-22 2005-08-22 친환경 시선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46A KR100676903B1 (ko) 2005-08-22 2005-08-22 친환경 시선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903B1 true KR100676903B1 (ko) 2007-02-05

Family

ID=3810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746A KR100676903B1 (ko) 2005-08-22 2005-08-22 친환경 시선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90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86B2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KR20090124890A (ko)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직천공 그라우팅용 나선형 강관파일 및이의 이용방법
WO2006060290A2 (en) Locking dog and locking pin assembly for use therewith
US7793910B2 (en) Surface-mounted post base
KR100938613B1 (ko) 전주의 기초구조물
KR101557735B1 (ko) 가드레일 지주 보강용 지중 앵커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688323B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
KR100676903B1 (ko) 친환경 시선유도봉
US8500368B1 (en) Underpinning pile assembly and process for installing such pile assembly
KR100730697B1 (ko) 도로표지시설물
KR200403575Y1 (ko) 착탈식 볼라드 구조
JP4992153B2 (ja) 既製杭吊り金具兼用杭建込み装置連結具
KR20040858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KR100906411B1 (ko) 시선 유도봉
CN212029109U (zh) 一种可拆卸隧道监测固定点装置
KR200402412Y1 (ko) 도로 옹벽구간 전도방지시설 설치구조
KR100688322B1 (ko) 친환경 도로표지병
KR100977090B1 (ko)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KR100413179B1 (ko) 도로표지병
KR100676902B1 (ko) 도로표지병
KR100398952B1 (ko) 도로표지병
JP3113392U (ja) アンカーピン付杭
KR200392477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표시주
KR100945261B1 (ko) 분리형 볼라드
WO2018218276A1 (en) Foundation apparatus, foundation assembly, ki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