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215B1 -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215B1
KR100688215B1 KR1020050048545A KR20050048545A KR100688215B1 KR 100688215 B1 KR100688215 B1 KR 100688215B1 KR 1020050048545 A KR1020050048545 A KR 1020050048545A KR 20050048545 A KR20050048545 A KR 20050048545A KR 100688215 B1 KR100688215 B1 KR 10068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converter
flow path
hydraulic oil
dispose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230A (ko
Inventor
마사루 야마시타
도시히로 야마모토
요시히코 구마가이
유키히로 츠바키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2045/0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comprising a clutch between prime mover and flui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회전축 상에 터빈 날개 바퀴, 펌프 날개 바퀴 및 스테이터 날개 바퀴가 지지되는 토크 컨버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와, 상기 토크 컨버터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안내하는 배출 유로가,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전동 장치에 있어서, 토크 컨버터의 전후 작동유의 흐름을 원활화하여 유통 저항을 억제하고, 토크 컨버터의 전달 효율 향상에 기여하며,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으로서, 토크 컨버터(46)는 공급 유로(53)측에 터빈 날개 바퀴(57)가 배치되는 동시에 배출 유로(54)측에 펌프 날개 바퀴(58)가 배치되도록 하여 회전축(15) 상에 배치되고, 공급 유로(53)로부터의 작동유를 펌프 날개 바퀴(57)에 안내하는 공급측 경사 유로(101)와, 터빈 날개 바퀴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배출 유로(54)에 안내하는 배출측 경사 유로(102)가, 회전축(15)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회전축(15)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전동 장치{TRANSMISSION DEVICE}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파워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회전축인 크랭크 샤프트
39 : 기어 45 : 입력 클러치인 원심 클러치
46 : 토크 컨버터 53 : 공급 유로
54 : 배출 유로 57 : 터빈 날개 바퀴
58 : 펌프 날개 바퀴 59 : 스테이터 날개 바퀴
88 :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
101 : 공급측 경사 유로 102 : 배출측 경사 유로
본 발명은 회전축 상에 터빈 날개 바퀴, 펌프 날개 바퀴 및 스테이터 날개 바퀴가 지지되는 토크 컨버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와, 상기 토크 컨버터 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안내하는 배출 유로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전동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 및 변속기 간에, 터빈 날개 바퀴, 펌프 날개 바퀴 및 스테이터 날개 바퀴가 상기 크랭크 샤프트 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토크 컨버터가 개재 설치되고, 크랭크 샤프트에는 토크 컨버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와, 토크 컨버터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안내하는 배출 유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동 축으로 설치되도록 한 소형 차량용 전동 장치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에서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213627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토크 컨버터의 펌프 날개 바퀴는 크랭크 샤프트의 공급 유로측에 배치되고, 터빈 날개 바퀴는 배출 유로측에 배치되어 있고, 공급 유로로부터 토크 컨버터 측에 작동 유로를 안내하는 유로가 공급 유로에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에 설치되고, 또한 토크 컨버터로부터 배출 유로측에 작동유를 안내하는 유로가 배출 유로에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유는 공급 유로로부터 토크 컨버터 측으로 유통 방향을 90도 변화시키고, 또한 토크 컨버터로부터 배출 유로로 유통 방향을 90도 변화시켜 흐르게 되고, 작동유의 유통 저항이 비교적 커진다. 또한, 토크 컨버터에 대한 보조 부품의 배치를 바꾸면, 작동유의 통로가 복잡해져, 전동 장치의 대 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토크 컨버터의 전후 작동유의 흐름을 원활화하여 유통 저항을 억제하고, 토크 컨버터의 전달 효율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항의 발명은 회전축 상에 터빈 날개 바퀴, 펌프 날개 바퀴 및 스테이터 날개 바퀴가 지지되는 토크 컨버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와, 상기 토크 컨버터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안내하는 배출 유로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전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크 컨버터는 상기 공급 유로측에 상기 터빈 날개 바퀴가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유로측에 상기 펌프 날개 바퀴가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유로로부터의 작동유를 상기 펌프 날개 바퀴에 안내하는 공급측 경사 유로와, 상기 터빈 날개 바퀴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배출 유로에 안내하는 배출측 경사 유로가,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항의 발명은 제1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토크 컨버터로부터의 출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토크 컨버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어가,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인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토크 컨버터 및 상기 회 전축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입력 클러치가 상기 토크 컨버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항의 발명은 제2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스테이터 날개 바퀴 및 고정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가, 상기 기어 및 상기 펌프 날개 바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파워 유닛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우선 도 1에서,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이 그 전단에 구비하는 헤드 파이프(5)에는 전륜(WF)을 축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6)가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F)이 그 중간부에 구비하는 피벗 플레이트(7)에 후륜(WR)을 후단에서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8)의 전부(前部)가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F)이 후부에 구비하는 시트 레일(9)에, 연료 탱크(10)와, 상기 연료 탱크(10)를 덮는 승차용 시트(11)가 지지된다.
엔진(E) 및 감속기(G)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이, 상기 피벗 플레이트(7) 및 전륜(WF)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G)의 출력축(12)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체인식 최종 감속 장치(13)를 통해 후륜(WR)에 전달된다.
도 2에서, 엔진(E)은, 크랭크 샤프트(1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16)와, 커넥팅 로드(17)를 통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15)에 연결 접속되는 피스톤(18)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실린더 보어(19)를 가지고 크랭크 케이스(16)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20)과, 상기 피스톤(18)과의 사이에 연소실(21)을 형성하여 실린더 블록(20)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22)를 구비하고, 크랭크 샤프트(15)의 축선이 자동 이륜차의 좌우 방향을 향한 자세로 상기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15)는 좌우 한쌍의 메인 베어링(23, 24)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커넥팅 로드(17)의 대단부(大端部)(17a)는 상기 양 메인 베어링(23, 24) 사이에서 크랭크 핀(25)을 통해 크랭크 샤프트(15)에 연결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22)에는 상기 연소실(21)에 연결되는 흡, 배기 포트를 개폐하는 흡, 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개폐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흡, 배기 밸브를 개폐 구동하는 캠 샤프트(26)가 크랭크 샤프트(15)와 평행한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크랭크 샤프트(15)의 좌단에는 발전기(27)의 로터(28)가 고정 장착되고, 발전기(27)의 스테이터(29)는 크랭크 케이스(16)의 좌단면에 결합되는 좌 사이드 커버(30)에 장착된다. 또한 크랭크 케이스(16), 실린더 블록(20) 및 실린더 헤드(22)에는, 실린더 보어(19)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타이밍 전동실(31)이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 샤프트(15)의 회전을 1/2로 감속하여 캠 샤프트(26)에 전달하는 타이밍 전동 장치(32)가 타이밍 전동실(31)에 수용된다.
크랭크 케이스(16)에는 감속기 케이스(33)가 연속 설치되어 있고, 이 감속기 케이스(33)의 좌우 양 벽에, 상기 크랭크 샤프트(15)와 평행한 축선을 가지는 중간축(34) 및 출력축(12)이 각각 한쌍의 볼 베어링(35, 35; 36, 3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크랭크 케이스(16)의 우벽으로부터 돌출된 크랭크 샤프트(15)의 우단부는, 1차 및 2차 감속 장치(37, 38)로 이루어지는 감속기(G)에, 입력 클러치인 원심 클러치(45) 및 토크 컨버터(46)를 통해 연결되고, 감속기(G) 및 크랭크 샤프트(15) 사이에는 엔진 브레이크용 일방향 클러치(47)가 토크 컨버터(46)와 병렬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원심 클러치(45), 토크 컨버터(46), 엔진 브레이크용 일방향 클러치(47) 및 1차 감속 장치(37)를 덮는 우측 사이드 커버(48)가 크랭크 케이스(16) 및 감속기 케이스(33)의 우단면에 결합된다.
상기 1차 감속 장치(37)는 토크 컨버터(46)로부터의 출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와, 상기 중간축(34)의 우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에 맞물리는 1차 감속용 피동 기어(40)로 이루어진다. 또한, 2차 감속 장치(38)는, 감속기 케이스(33)내에 수용되는 것이고, 상기 중간축(34)에 고정되는 2차 감속용 구동 기어(41)와, 출력축(12)에 고정되어 상기 2차 감속용 구동 기어(41)에 맞물리는 2차 감속용 피동 기어(42)로 이루어지고, 감속기 케이스(33)의 좌단벽으로부터 돌출된 출력축(12)의 좌단부에 최종 감속 장치(13)가 연결된다.
도 3에서, 우측 사이드 커버(48)의 내면에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15)와 동축인 원통 형상의 베어링 하우징(48a)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베어링 하우징(48a) 내로 돌출해 들어가는 크랭크 샤프트(15)의 우단 및 베어링 하우징(48a) 사이에는, 시일 부착 볼 베어링(49)이 개재 장착된다. 또한, 크랭크 샤프트(15)의 우단을 향하게 하는 유실(油室)(50)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48a) 내에 형성되어 있고, 이 유실(50)에는 오일 저장실(51)로부터 작동유를 퍼 올리는 오일 펌프(52)에서 작동유가 공급된다.
크랭크 샤프트(15)에는, 토크 컨버터(46)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53)가, 그 일단을 상기 유실(50)에 통과시키는 동시에 타단을 닫도록 하여 동축에 설치되는 동시에, 토크 컨버터(46)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안내하는 배출 유로(54)가, 그 일단을 상기 공급 유로(53)의 타단으로부터 축 방향 내방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여 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 유로(54)의 타단은 볼 형상의 폐색 부재(55)(도 2 참조)로 닫혀지고, 배출 유로(54)에 그 타단으로 기울어 연통하는 유로(56)가, 커넥팅 로드(17)의 대단부(17a) 및 크랭크 핀(25) 사이를 윤활하기 위한 작동유를 안내하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15)에 설치된다.
토크 컨버터(46)는 회전축인 크랭크 샤프트(15) 상에 지지되는 터빈 날개 바퀴(57), 펌프 날개 바퀴(58) 및 스테이터 날개 바퀴(59)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 유로(53)측에 상기 터빈 날개 바퀴(57)가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유로(54)측에 상기 펌프 날개 바퀴(58)가 배치되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15) 상에 배치된다.
그런데, 토크 컨버터(46)로부터의 출력이 전달되는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가 상기 토크 컨버터(46)의 좌측에 배치되어 크랭크 샤프트(15)에 회전 가능하 게 지지되는데 대해, 크랭크 샤프트(15) 및 토크 컨버터(46)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원심 클러치(45)는 토크 컨버터(46)의 우측에 배치된다.
원심 클러치(45)는 크랭크 샤프트(15)의 우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동판 허브(61)에 용접되는 구동판(62)과, 이 구동판(62)에 피벗축(63)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클러치 슈(64)와, 각 클러치 슈(64)를 축경(縮徑)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여 각 클러치 슈(64) 사이에 설치되는 반환 스프링(65)과, 각 클러치 슈(64)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출력 드럼(66)으로 구성된다.
크랭크 샤프트(15)에는 그 제1 고리 형상 숄더부(15a)에 내륜의 내단을 접하게 하는 볼 베어링(68)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륜의 외단과의 사이에 제1 규제판(69)을 개재시키도록 하여 상기 구동판 허브(61)가 크랭크 샤프트(15)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구동판 허브(61)의 외단과의 사이에 제2 규제판(70)을 개재시키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15)에 나사 끼워지는 너트(71)를 조임으로써, 구동판 허브(61) 즉 구동판(62)이 크랭크 샤프트(15)에 고정된다.
각 클러치 슈(64)의 외주면에는 출력 드럼(66)의 내주에 슬라이드 가능한 마찰 라이닝(67)이 접착되어 있고, 클러치 슈(64)의 중량 및 반환 스프링(65)의 탄성 하중은 크랭크 샤프트(15)가 아이들 회전수를 넘는 소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했을 때, 원심력의 작용으로 각 클러치 슈(64)가 확경(擴徑)되고, 마찰 라이닝(67)을 출력 드럼(66)의 내주면에 가압 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46)의 펌프 날개 바퀴(58)는 크랭크 케이스(16)측에 배치되고, 터빈 날개 바퀴(57)는 펌프 날개 바퀴(58) 및 상기 출력 드럼(66) 사이에 배치되고, 스테이터 날개 바퀴(59)는, 크랭크 샤프트(15)의 축선 방향에 따라 공급 유로(53) 및 배출 유로(54)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펌프 날개 바퀴(58) 및 터빈 날개 바퀴(57)의 내주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펌프 날개 바퀴(58), 터빈 날개 바퀴(57) 및 스테이터 날개 바퀴(59) 사이에는, 작동유에 의한 동력 전달을 위한 순환 유로(72)가 형성된다.
펌프 날개 바퀴(58)에는, 그 외주부로부터 터빈 날개 바퀴(57)를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연결 부재(73)가 용접되어 있고, 이 연결 부재(73)가 원심 클러치(45)의 출력 드럼(66)에 액밀(液密)하게 용접된다. 즉 원심 클러치(45)의 출력 드럼(66)은, 토크 컨버터(46)의 펌프 날개 바퀴(58)에 결합되게 된다.
크랭크 샤프트(15) 및 크랭크 케이스(16)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좌우 한쌍의 메인 베어링(23, 24)중, 우측의 메인 베어링(24)이 구비하는 내륜의 내단은 크랭크 샤프트(15)에 설치되는 제2 고리 형상 숄더부(15b)에 접한다. 한편, 크랭크 샤프트(15)의 외주에는 일단을 상기 볼 베어링(68)의 외륜에 접하게 할 수 있는 중공(中空)의 터빈축(74)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이 터빈축(74)의 타단 및 상기 메인 베어링(24)의 내륜과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니들 베어링(75)과, 상대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여 크랭크 샤프트(15)에 장착되는 오일 펌프 구동 기어(76)가 개재 장착된다. 즉 터빈축(74)은 스러스트 니들 베어링(75) 및 볼 베어링(24)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크랭크 샤프트(15)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터빈 날개 바퀴(57)의 내주부가 고정 장착되는 터빈 허브(77)가 상기 터빈축(74)의 일단측 외주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고, 터빈축(74)은 터빈 날개 바퀴(57)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터빈 허브(77) 및 출력 드럼(66) 사이에는 베어링 부시(78)가 개재 장착된다.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는 상기 스러스트 니들 베어링(75)에 인접한 위치에서 터빈축(74)의 타단부 외주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고, 상기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터빈축(74) 및 크랭크 샤프트(15) 사이에는 래디얼(radial) 니들 베어링(79)이 개재 장착된다.
스테이터 날개 바퀴(59)가 구비하는 스테이터 보스(59a)는 터빈축(74)의 외주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공의 스테이터 축(8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 축(82)의 축 방향 이동은 상기 터빈 허브(77)와, 상기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를 스러스트 니들 베어링(75)과의 사이에 끼우는 제3 규제판(83)으로 규제된다. 또한 펌프 날개 바퀴(58)의 내주부 및 스테이터 축(82) 사이에는 베어링 부시(84)가 개재 장착된다.
엔진 브레이크용 일방향 클러치(47)는 터빈 허브(77)에 일체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제1 클러치 아웃터(85)와, 제1 클러치 아웃터(85)로 동축으로 둘러싸이도록 하여 상기 구동판 허브(61)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 클러치 인너(86) 사이에, 제1 클러치 아웃터(85)로부터 제1 클러치 인너(86)로의 역부하의 전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스프래그(sprag), 롤러 등의 제1 클러치 소자(87)가 고리 형상 배열로 개재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와, 토크 컨버터(46)의 펌프 날개 바퀴(58) 사이에는, 스테이터 날개 바퀴(59) 및 고정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88)가 배치된다. 이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88)는 스테이터 축(82)의 좌단부에 결합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제2 클러치 아웃터(89)와, 스테이터 축(82)을 동축으로 둘러싸는 동시에 제2 클러치 아웃터(89)로 동축으로 둘러싸이는 제2 클러치 인너(90) 사이에, 다수의 스프래그, 롤러 등의 제2 클러치 소자(91)가 고리 형상 배열로 개재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제2 클러치 인너(90)에 일체로 설치되는 걸어맞춤 아암부(90a)가, 크랭크 샤프트(15)와 평행한 축선을 가지고 크랭크 케이스(16)에 끼워넣어지는 핀(92)에 걸어맞춤하고, 제2 클러치 인너(90)는 크랭크 샤프트(15) 및 스테이터 축(82)의 축선 둘레로 회전 불가능하다. 또한 제2 클러치 인너(90)의 내주부는 제2 클러치 아웃터(89)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러스트 베어링 판(93)과, 스테이터 축(82)에 장착되는 정지륜(94)으로 지지되는 제4 규제판(95)과의 사이에 끼워지고, 그에 따라 제2 클러치 인너(90)의 축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스테이터 축(82) 및 제2 클러치 인너(90) 사이에는 베어링 부시(96)가 개재 장착된다.
이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88)는 토크 컨버터(46)에서 펌프 날개 바퀴(58) 및 터빈 날개 바퀴(57) 사이에서 토크의 증폭 작용이 발생할 때의 반력을 스테이터 날개 바퀴(59)에서 부담할 때는, 스테이터 축(82) 즉 스테이터 날개 바퀴(59)의 회전을 저지하지만, 상기 토크의 증폭 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테이터 날개 바퀴(59)를 펌프 날개 바퀴(58) 및 터빈 날개 바퀴(57)와 동일 회전 방향으로 공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터빈축(74)의 내주 및 크랭크 샤프트(15)의 외주 사이에는 크랭크 샤프트(15)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배출 유로(54)의 일단에 거의 대응한 좌측의 공급측 고리 형상 유실(97)과, 상기 크랭크 샤프트(15)의 축선 방향을 따라 공급 유로(53)의 타단에 거의 대응한 우측의 배출측 고리 형상 유실(98)이 형성되어 있고, 터빈 축(74), 스테이터 축(82) 및 스테이터 보스(59a)에는 공급측 고리 형상 유실(97)을 토크 컨버터(46) 내의 순환 유로(72)의 유입측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유입 통로(99)가 설치되는 동시에, 배출측 고리 형상 유실(98)을 토크 컨버터(46) 내의 순환 유로(72)의 유출측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유출 통로(100)가 설치된다.
또한 크랭크 샤프트(15)에는 그 공급 유로(53)로부터의 작동유를 펌프 날개 바퀴(58)로 안내하기 위한 공급 유로(53)의 타단부 및 공급측 고리 형상 유실(97)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공급측 경사 유로(101)가, 크랭크 샤프트(15)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축선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터빈 날개 바퀴(57)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배출 유로(54)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측 고리 형상 유실(98) 및 배출 유로(54)의 일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배출측 경사 유로(102)가, 크랭크 샤프트(15)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축선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토크 컨버터(46)는 크랭크 샤프트(15)에 설치되는 공급 유로(53)측에 터빈 날개 바퀴(57)가 배치되는 동시에 크랭크 샤프트(15)에 설치되는 배출 유로(54)측에 펌프 날개 바퀴(58)가 배치되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15) 상에 설치되고, 공급 유로(53)로부터의 작동유를 펌프 날개 바퀴(58)로 안내하는 복수의 공급측 경사 유로(101)와, 터빈 날개 바퀴(57)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배출 유로(54)로 안내하는 복수의 배출측 경사 유로(102)가, 크랭크 샤프트(15)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15)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 유로(53)로부터 공급측 경사 유로(101)를 통해 토크 컨버터(46)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토크 컨버터(46)로부터 배출측 경사 유로(102)를 통해 배출 유로(54)에 작동유가 배출되게 되어, 토크 컨버터(46)의 전후 작동유의 흐름이 원활화되므로, 작동유의 유통 저항을 억제하고, 토크 컨버터(46)의 전달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토크 컨버터(46)에 대한 보조 부품의 배치를 바꾸어도 작동유의 통로가 복잡하게 되지 않아, 전동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토크 컨버터(46)로부터의 출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토크 컨버터(46)의 좌측에 배치되는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가, 크랭크 샤프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토크 컨버터(46) 및 크랭크 샤프트(15)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원심 클러치(45)가 토크 컨버터(46)의 우측에 배치되므로, 보조 부품인 상기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 및 상기 원심 클러치(45)가 토크 컨버터(46)의 양측으로 나뉘어 배치되게 되고, 크랭크 샤프트(15)에의 국부적인 부하 집중을 피할 수 있어, 크랭크 샤프트(15) 자체나 지지 구조의 필요 강도를 증대하는 것을 회피하여 전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날개 바퀴(59) 및 고정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88)가, 1차 감속용 구동 기어(39) 및 펌프 날개 바퀴(58) 사이에 배치되 므로 스테이터 날개 바퀴(59)의 근방에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88)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스테이터 날개 바퀴(59)의 관성 매스를 비교적 작게 억제함으로써 스테이터 날개 바퀴(59)의 공전 시의 작동유 유통 저항을 작게 억제하여, 토크 컨버터(46)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공급 유로로부터 공급측 경사 유로를 통해 토크 컨버터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토크 컨버터로부터 배출측 경사 유로를 통해 배출 유로에 작동유가 배출되게 되어, 토크 컨버터 전후 작동유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므로, 작동유의 유통 저항을 억제하고, 토크 컨버터의 전달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토크 컨버터에 대한 보조 부품의 배치를 바꾸어도 작동유의 통로가 복잡하게 되지 않아, 전동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토크 컨버터의 양측으로 나뉘어 보조 부품이 배치되므로, 크랭크 샤프트인 회전축으로의 국부적인 부하 집중을 피할 수 있고, 크랭크 샤프트 자체나 지지 구조의 필요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회피하여 전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 날개 바퀴의 근방에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스테이터 날개 바퀴의 관성 매스를 비교적 작게 억제함으로써 스테이터 날개 바퀴의 공전 시의 작동유 유통 저항을 작게 억제하여, 토크 컨버터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회전축(15) 상에 터빈 날개 바퀴(57), 펌프 날개 바퀴(58) 및 스테이터 날개 바퀴(59)가 지지되는 토크 컨버터(46)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53)와, 상기 토크 컨버터(46)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안내하는 배출 유로(54)가, 상기 회전축(15)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15)에 설치되는 전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크 컨버터(46)는 상기 공급 유로(53)측에 상기 터빈 날개 바퀴(57)가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유로(54)측에 상기 펌프 날개 바퀴(58)가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15)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유로(53)로부터의 작동유를 상기 펌프 날개 바퀴(58)에 안내하는 공급측 경사 유로(101)와, 상기 터빈 날개 바퀴(57)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배출 유로(54)에 안내하는 배출측 경사 유로(102)가, 상기 회전축(15)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1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컨버터(46)로부터의 출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토크 컨버터(46)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어(39)가, 엔진(E)의 크랭크 샤프트인 상기 회전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토크 컨버터(46) 및 상기 회전축(15)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입력 클러치(45)가 상기 토크 컨버터(46)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날개 바퀴(59) 및 고정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일방향 클러치(88)가, 상기 기어(39) 및 상기 펌프 날개 바퀴(5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KR1020050048545A 2004-08-04 2005-06-07 전동 장치 KR100688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7834A JP4451245B2 (ja) 2004-08-04 2004-08-04 伝動装置
JPJP-P-2004-00227834 200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230A KR20060048230A (ko) 2006-05-18
KR100688215B1 true KR100688215B1 (ko) 2007-03-02

Family

ID=3596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545A KR100688215B1 (ko) 2004-08-04 2005-06-07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51245B2 (ko)
KR (1) KR100688215B1 (ko)
CN (1) CN100538120C (ko)
MX (1) MXPA05007401A (ko)
TW (1) TWI2960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6576B2 (en) * 2008-08-02 2011-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ansmission with fluid pump having a recirculation circuit
CN106671773A (zh) * 2015-11-09 2017-05-17 熵零股份有限公司 一种能量调整方法及能量调整系统
JP6725314B2 (ja) * 2016-05-16 2020-07-1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6029B (en) 2008-04-21
CN100538120C (zh) 2009-09-09
MXPA05007401A (es) 2006-02-09
JP4451245B2 (ja) 2010-04-14
CN1730981A (zh) 2006-02-08
TW200606355A (en) 2006-02-16
JP2006046483A (ja) 2006-02-16
KR20060048230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646B2 (en) Power plant includ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variable compression ratio system
JP5012912B2 (ja) チェーン駆動式オイルポンプの油路構造
US9028201B2 (en) Off axis pump with integrated chain and sprocket assembly
CN100361853C (zh) 动力转向装置
CN1178011C (zh) 用于液力变矩器的锁止离合器
US10578011B2 (en) Motive-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supercharger
KR100688215B1 (ko) 전동 장치
TWI289636B (en) Transmission for small vehicle
EP2369194B1 (en) Oil passage structure for hydraulic clutch for engine
EP3070374A1 (en) Lubricating structure for power transmitting system
JP4451329B2 (ja) 静油圧式無段変速機のクラッチ機構
US8701849B2 (en) Oil passage structure for hydraulic clutch of an engine
US6487855B1 (en) Torque converter
EP2053207B1 (en) Lubricating system for valve operating system
JP4401304B2 (ja) 静油圧式無段変速機
EP342183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v-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050198953A1 (en)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XPA06002633A (es) Motor de combustion interna.
EP3617539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034220B1 (en)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6746646B2 (ja) 液路装置
US20080242431A1 (en) Shaft member coupling structure
EP2039601B1 (en) Power unit
JP4733669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ピストン冷却構造
EP3617540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