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196B1 -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 Google Patents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196B1
KR100686196B1 KR1020050021034A KR20050021034A KR100686196B1 KR 100686196 B1 KR100686196 B1 KR 100686196B1 KR 1020050021034 A KR1020050021034 A KR 1020050021034A KR 20050021034 A KR20050021034 A KR 20050021034A KR 100686196 B1 KR100686196 B1 KR 10068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ation
fabric
coating
fiber cloth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666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수 filed Critical 박명수
Priority to KR102005002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1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5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은 그라비아 롤코팅방식에 의하되 메쉬롤의 목(目)수를 60 내지 150 으로 하여 다단계처리방식으로, 플루오르계 폴리머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수유(水油)반발 특성 부여제를 섬유포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섬유포를 열처리장치를 통과시키면서 7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처리하고 연속하여 130 내지 180 ℃에서 1 내지 5 분간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면이 수유분 반발특성과 흡수성의 상반된 특성을 갖는 섬유 원단이 제공됨으로써, 착용감이 우수하며 격렬한 운동시 발생하는 땀 등 수분을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발산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착용시 쾌적성이 뛰어나고 축축한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유분 반발 특성, 흡수성, 섬유포, 코팅, 섬유가공

Description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섬유포{Preparing method of one side water-oil repellent fabric and fabric thereby}
도1은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는 2단 코팅장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섬유포의 단면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독타나이프 12: 프레스롤
13: 스무딩 롤 14: 그라비아 롤
15: 코팅액 16: 코팅원단
17: 열처리장치
본 발명은 일면 수유(水油)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섬유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코팅 방식에 의해 처리될 면에 일정 깊이까지만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를 코팅 침투시킴으로서 섬유원단의 일면에만 수유분 반발특성을 부여하고 다른 면에는 흡수성을 부여함으로써 흡한 속건성과 착용감을 우수하게 한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섬유포에 관한 것이다.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을 가지는 섬유 원단은 골프웨어, 테니스웨어, 죠깅복 등 각종 액티브 스포츠웨어 및 캐쥬얼웨어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면이 상반된 특성을 갖는 섬유 원단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격렬한 운동시 발생하는 땀 등 수분을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발산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착용시 쾌적성이 뛰어나고 축축한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어서 매우 선호되는 소재이다.
섬유 원단에 수유분 반발 특성이나 수분 흡수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딥핑처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 쪽면만 선택적으 로 가공처리 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원단을 각각 가공 처리하여 합지시키는 방법은 원단이 두껍게 되고 촉감이 뻣뻣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류용 재료로는 부적절한 점이 있어 왔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57604호에서와 같이 수지코팅된 섬유 원단의 한 쪽면에 수유분 반발 처리(편면 발수 가공)를 하는 방법은 수지코팅 피막이 형성되어져 있어 완전 방수가 되어 상기 목적의 흡한속건 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촉감도 유연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섬유 원단의 양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상반된 특성을 부여시키는 방법으로 통상 스프레이 처리 방식으로 가공할 경우, 수분 반발 특성 부여제가 섬유원단의 극표면층에만 처리되어 그 수분 반발 특성치가 약하며, 세탁 내구성 또한 열세이다. 그렇다고해서 세탁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가교제를 사용할 경우 스프레이 노즐이 자주 막히는 등 작업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스프레이 방법을 사용할 때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로 수용성 타입과 유 용성 타입의 불소계 약제를 적용할 수 있는데 유용성 타입은 스프레이 시 기체화된 용제성분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매우 해로운 작업 환경의 난점을 가지고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원단의 일면에 수유분 반발 특성을 갖게 하고 반대 면에는 수분 흡수 특성을 갖게 함으로써 우수한 흡한 속건성 및 착용감을 지닌 섬유포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면에는 수유분 반발 특성을 부여하고 다른 한 면은 적극적으로 수분 흡수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인체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노폐물이 신속하게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 섬유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은 그라비아 롤코팅방식에 의하되 메쉬롤의 목(目)수를 60 내지 150 으로 하여 다 단계처리방식으로, 플루오르계 폴리머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수유(水油)분 반발 특성 부여제를 섬유포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섬유포를 열처리장치를 통과시키면서 7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처리하고 연속하여 130 내지 180 ℃에서 1 내지 5 분간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 가공을 한 반대면에 친수성 폴리머에 의한 친수 가공 코팅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포는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되 일면이 흡수성섬유로 되고 다른 면이 소수성섬유로 된 이중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섬유는 면, 마, 견, 모 등의 천연섬유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섬유가 바람직할 것이나, 이외에도 상대적으로 흡수성이 있는 것이면 합성섬유라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텔렌,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등의 합성섬유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유(水油)분 반발 특성 부여제의 섬유포에의 침투도는 섬유 두께의 40 내지 6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미네랄 스피리트, 미네랄 타르펜유, 메틸이소부칠케톤,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크실렌, 및 퍼클로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유분 반발 특성부여제는 플루오르계 폴리머 5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유기용제 70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유분 반발 특성부여제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10 중량%이하로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메틸아세테이트 혼합물로 된 액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은 그라비아 롤코팅방식에 의하되 메쉬롤의 목(目)수를 60 내지 150 으로 하여 다단계처리방식으로, 플루오로계 폴리머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수유(水油)반발 특성 부여제를 섬유포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섬유포를 열처리장치를 통과시키면서 7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처리하고 연속하여 130 내지 180 ℃에서 1 내지 5 분간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섬유포는 단일 원사의 직ㆍ편물 또는 2가지 이상의 직ㆍ편물을 혼합시켜 직ㆍ편물들 서로간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2중직으로 직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 쪽에는 소수성인 폴리에스테르와 바깥쪽은 흡수력이 강한 면이 그물 모양으로 연결 접합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섬유사이로 흡수된 땀이 바깥 쪽의 면에 순간적으로 확산되어 나가는 개념인데, 폴리에스테르 측에만 수유분 반발 처리를 하면 그 효과가 증대되어 쾌적감과 상쾌함을 부여한다.
안 쪽의 섬유 자신은 전혀 젖지 않고 수분을 수증기 상태로 바로 원단 밖으로 배출하는 독특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는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여 운동 중이나 후에도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이중직 섬유원단의 구조를 상기와 반대로 설계 조합함으로써 안쪽과 바깥쪽의 상반된 특성을 역으로 이용하여 수유분이 옷내부로 침투되지 않으면서도 내부의 흡수성 섬유영역으로 인해 착용감이 우수한 의류가 제공될 수 있다.
섬유 원단은 직조 형태에 따라 편물이든 직물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은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되 일면이 흡수성섬유로 되고 다른 면이 소수성섬유로 된 이중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섬유원단이 이중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더라도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중직이 아니고 단일직이라도 코팅의 침투도를 조절하면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섬유는 면, 마, 견, 모 등의 천연섬유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섬유가 바람직할 것이나, 이외에도 상대적으로 흡수성이 있는 것이면 합성섬유라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등의 합성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를 메쉬(그라비아) 롤코팅 방식에 의한 표면처리로 섬유포에 일정 깊이로 침투시켜야 바람직한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데 총 원단 두께의 약 40 내지 60% 수준으로 침투도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너무 침투가 약해 극표면에만 처리될 경우, 수유분 반발 특성이 약하며 그이상 과다 침투 시에는 반대면의 흡수 특성을 저해할 위험성이 있다.
상기 적도의 침투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메쉬롤의 목(目)수, 롤코팅 헤드의 수 및 코팅 속도, 그리고 코팅약제의 농도 및 점도에 의존한다.
여기서 메쉬롤의 목(目)수는 일반적인 의류용 원단의 경우 60목(目)이하를 사용할 경우 일시에 픽업량이 과다하게 되어 반대면에 영향을 주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높은 목(目)수의 롤로 즉, 150 이상의 목수로 1회 처리하는 것은 픽업량이 너무 적어 효과 발현이 어렵다. 따라서, 적정한 메쉬롤의 목수는 60 내지 150 이다. 또한, 1회 처리하는 것보다는 2회 이상의 다단계 코팅처리를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와 같이 다단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코팅의 침투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코팅액의 열고정에 유리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60~150 목(目)의 롤로 2단 또는 3단 처리하는 것이다.
다단계 처리의 경우, 그라비아 롤의 목(目)수는 단계별 동일하게 조합할 수 있으며, 단계별 저 목(目)수에서 고 목(目)수로 조합하여 처리할 원단의 두께와 성분 그리고 픽업량에 따라 적의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미네랄 스피리트, 미네랄 타르펜유, 메틸이소부칠케톤,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크실렌, 및 퍼클로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유분 반발 특성부여제는 플루오르계 폴리머 5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유기용제 70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루오르계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이하이면 초기 수유분반발도가 약하며, 30 중량%이상이면 촉감이 극단적으로 딱딱해지고 때로는 백화현상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유분 반발 특성부여제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10 중량%이하로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화제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원단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유연성을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메틸아세테이트 혼합물로 된 액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의 사용은 코팅액의 경화가 모두 진행된 후에 플루오르계 폴리머 성분이 원단 면에 완전 고착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단의 수유 반발 특성을 세탁 후에도 그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수유분 반발특성을 부여한 면의 반대면에는 친수성 폴리머에 의한 친수 가공 코팅을 하면, 땀 등의 수분이 빠르게 친수섬유층으로 확산되게 함으로써 바깥쪽으로의 배출 면적을 크게 하여 속건성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친수가공은 공지의 방법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이온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내포하는 친수성 고분자, 폴리에틸렌계 비이온성 유연제 및 물의 혼합물을 산성 조건하에서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섬유포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2단 그라비아 롤코팅 장치의 일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라비아 롤코팅장치는 코팅 처리제 팬에서 그라비아롤 표면에 조각된 셀 중에 부착된 처리제 이외의 것을 독타 나이프(11)로 긁어 떨어뜨리고, 그라비아 롤(14)과 프레스 롤(12)간에 있는것은 처리할 코팅원단(16)에 전사시키고 전사된 포원단면에 고르게 코팅액(15)이 분포되도록 그라비아 롤에서 아주 가까운 위치에 스무딩 롤(13)을 설치하여 균일도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해서 1회 코팅과정을 거친 원단은 다시 유사한 코팅 과정에 투입되어 2단 내지 다단으로 코팅된다.
상기에서 처리제 또는 코팅액은 수유반발특성 부여제 또는 흡수특성 부여제를 말한다.
여기서 스무딩 롤(13)의 회전 방향은 통상 원단 진행 방향과 역방향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순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여제의 처리 단계후 건조는 텐터 등의 열처리 장치(17)에서 70 ~120℃의 온 도에서 1~5분 처리하고, 130 ~180℃에서 1~5분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수단은 텐터 등 통상적인 코팅포의 열처리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음과 다른 온도의 두 열처리장치를 연속하여 통과시키던가 한 열처리장치에서 투입부에서부터 토출구까지 온도를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면서 통과시키던가 할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단계 그라비아 롤코팅부가 장착된 스텐터가 채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그라비아 롤코팅부는 스텐터의 앞에 장착되어, 스텐터의 챔버에 진입되기 직전에 원단의 표면이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가 처리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장치 구성에서는 상기 스텐터에 의해 그라비아 롤코팅에 의한 표면처리 및 건조, 열처리가 순차적으로 한 공정내에서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다단계 그라비아 롤코팅부를 인쇄장치 또는 합포 장치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라비아 롤코팅부는 건조 챔버 앞에 장착하여 챔버에 진입되기 직전에 원단의 표면이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가 처리 될 수 있게 하므로써 건조 및 열처리가 순차적으로 한 공정 내에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포의 단면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 예 1)
(1)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의 준비
플루오르계 폴리머 10kg을 미네랄 스피리트 10kg, 톨루엔 40kg, 메틸이소부틸케톤10kg, 및 퍼클로로에틸렌 40kg의 혼합물인 유기용제에 넣고,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컴파운드를 준비 하였다. 여기에 우레탄 경화제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5k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후 필터링하여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를 준비 하였다.
(2) 수유분 반발특성 부여제의 처리
나이론140데니어(67%), 고무사커버링사(25%)를 이용한 직조(발수면)와 흡한속건사8%(효성 아쿠아후레쉬)를 함유하는 나이론 스판 이중직의 직조형태로 구성된 원단(포)이 롤에 감긴 상태로 준비되었으며, 이것을 수유 반발가공 처리를 위한 코팅장치에 걸고, 한쪽면에만 수유분 반발특성부여제가 적도의 깊이로 처리될수 있도록 그라비아롤 코팅 작업을 수행 하였다.
롤에서 풀린 원단이 그라비아롤코팅 장치에서 수유분 반발특성 부여제가 적도의 깊이로 원단의 한쪽면에만 처리된 후 처리된 면이 스무딩롤에 접하도록하여 약제의 부착균제도를 높이고 이어서 열풍챔버를 통과시키면서 80 ℃ 및 150℃에서 3 분간 건조 및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처리 원단이 챔버를 통과하는 속도는 10m/분으로 유지 하였고, 챔버길이는 30m 였다.
상기 코팅 과정을 2회 연속하여 그라비아코팅을 순차적으로 2번 실시하였고 사용롤의 목수는 앞뒤롤 공히 90목으로 하였다.
(3)수분 흡수특성 부여제의 준비
비이온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내포하는 친수성 고분자 5kg, 폴리에틸렌계 비이온 성 유연제 0.5kg, 및 물 94.5kg을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고, 초산으로 pH를 5.5로 조정하여 준비하였다.
(4)수분 흡수특성 부여제의 처리
상기 (2)항에서 수유분반발특성 처리한 원단을 상기 조제된 수분 흡수특성 부여제로 코팅제가 교체된 상기의 코팅장치에 걸되, 수유분 반발특성 처리가 안된 면을 처리할 수 있도록 걸고, 그라비아 롤 코팅을 1단계 실시하여 수분흡수 특성 부여제를 처리한후 150℃의 온도에서 건조 및 열처리를 행하여 수분흡수가공을 완료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1에서 플루오르계 폴리머10kg을 더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에 본 발명의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 가공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수유분 반발특성 부여제에 경화제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5kg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사용한 그라비아롤의 코팅헤드수를 1단계로 하는 것과 그라비아롤의 목수를 20으로 하는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실시예 3)
(1) 수유 반발 특성 부여제의 준비
플루오르계 폴리머 30kg을 미네랄 스피리트 10kg, 톨루엔 30kg, 메틸이소부틸케톤 10kg, 소포제 0.1 kg및 퍼클로로에틸렌 40kg의 혼합물인 유기용제에 넣고,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컴파운드를 준비 하였다. 여기에 우레탄 경화제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k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후 필터링하여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를 준비하였다.
(2) 수유분 반발특성 부여제의 처리
나이론140데니어(67%), 고무사커버링사(25%)를 이용한 직조(발수면)와 흡한속건사8%(효성, 아쿠아후레쉬)를 함유하는 나이론 스판 이중직의 직조형태로 구성된 원단(포)이 롤에 감긴 상태로 준비되었으며, 이것을 수유 반발가공 처리를 위한 코팅장 치에 걸고, 한쪽면에만 수유 반발특성부여제가 적도의 깊이로 처리될수 있도록 그라비아롤 코팅 작업을 수행 하였다.
롤에서 풀린 원단이 리버스롤코팅 장치에서 수유분 반발특성 부여제가 적도의 깊이로 원단의 한쪽면에만 처리된 후 처리된 면이 스무딩롤에 접하도록하여 약제의 부착균제도를 높이고 이어서 열풍챔버를 통과시키면서 80 ℃및 150℃에서 3 분간 건조 및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처리 원단이 챔버를 통과하는 속도는 10m/분으로 유지 하였고, 챔버길이는 30m 였다.
상기 코팅 과정을 2회 연속하여 그라비아 롤코팅을 순차적으로 2번 실시하였고 사용롤의 목수는 앞뒤롤 공히 100목으로 하였다. 이 때, 코팅롤에 부착된 약제가 반대면으로 전이되지 않게 원단이 바람직하기로는 코팅롤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가급적 중력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3)수분 흡수특성 부여제의 준비
비이온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내포하는 친수성 고분자 5kg, 폴리에틸렌계 비이온성 유연제 0.5kg, 및 물 94.5kg을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고, 초산으로 pH를 5.5로 조정하여 준비하였다.
(4)수분 흡수특성 부여제의 처리
상기 (2)항에서 수유분반발특성 처리한 원단을 상기 조제된 수분 흡수특성 부여제로 코팅제가 교체된 상기의 코팅장치에 걸되, 수유분 반발특성 처리가 안된 면을 처리할 수 있도록 걸고, 그라비아 롤 코팅을 1단계 실시하여 수분흡수 특성 부여제를 처리한후 150℃의 온도에서 건조 및 열처리를 행하여 수분흡수가공을 완료하였다.
(비교예 3)
수유분 반발특성 부여 코팅을 종래의 스프레이 방식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4)
사용한 그라비아롤의 코팅헤드수를 1단계로 하는 것과 그라비아롤의 목수를 20으로 하는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시험 (발수도의 측정)
스프레이테스터를 이용하여 ISO-0811법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가공처리한 원단의 발수도 및 흡습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발수도 10회세탁후 발수도 흡습도
실시예1 100 70 젖음성양호(완전젖음)
실시예2 100 90 젖음성양호(완전젖음)
비교예1 100 50 젖음성불량(부분젖음)
비교예2 100 70 젖음성불량(부분젖음)
실시예3 100 90 젖음성양호(완전젖음)
비교예3 90 60 젖음성미흡
비교예4 100 90 젖음성불량(부분젖음)
세탁조건은 1회를 15분으로 하고, 40℃ 온도의 물로 중성세제 1g/l 첨가 하여 가정용 세탁기로 실시하였다.
상기 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3에 있어서는 10회 세탁후에도 발수성이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하였고 흡습성도 양호하였다.
본 발명의 일면 수유분 반발특성부여 방법에 의하면 원단의 표리면에 각각 수유분반발특성 부여 및 흡수특성 부여 가공을 함으로써 원단의 표리 면에 각각 상반된 특성이 우수하게 부여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운동복 등으로 착용시 몸안쪽면에서는 흡습성 섬유 표면과 피부가 접촉함으로써 땀등 수분을 쾌속하게 흡수하여 쾌적감이 부여되고, 바깥쪽면의 수유분반발특성 섬유 성분에 의해 땀 등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신속히 바깥쪽으로 배출됨으로써 착용감 및 쾌적감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쪽을 내부로 하면 피부가 항상 건조한 느낌을 유지함으로써 쾌적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섬유포 일면에 플루오르계 폴리머 5 내지 30중량%를 유기용제 70 내지 95중량%에 용해시킨 수유(水油)분 반발 특성 부여제를 그라비아 롤코팅 방식에 의하되, 메쉬롤의 목(目)수를 60 내지 150으로 하여 적어도 2단 이상의 다단계 코팅처리방식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섬유포를 열처리장치를 통과시키면서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처리하고 연속하여 130 내지 180℃에서 1 내지 5 분간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분 반발특성 부여면의 반대면에 친수성 폴리머에 의한 친수코팅 가공을 부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포는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되 일면이 흡수성섬유로 되고 다른 면이 소수성섬유로 된 이중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水油)분 반발 특성 부여제의 섬유포에의 침투도는 섬유 두께의 40 내지 6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미네랄 스피리트, 미네랄 타르펜유, 메틸이소부칠케톤,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크실렌, 및 퍼클로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분 반발 특성 부여제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10 중량%이하로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메틸아세테이트 혼합물로 된 액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
KR1020050021034A 2005-03-14 2005-03-14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KR10068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34A KR100686196B1 (ko) 2005-03-14 2005-03-14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34A KR100686196B1 (ko) 2005-03-14 2005-03-14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666A KR20060099666A (ko) 2006-09-20
KR100686196B1 true KR100686196B1 (ko) 2007-02-22

Family

ID=3763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034A KR100686196B1 (ko) 2005-03-14 2005-03-14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6095B (zh) * 2016-10-28 2018-09-28 贵州榜香郁苗绣服饰开发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丝线上油烘干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563A (ja) * 1991-12-05 1993-06-22 Yamasou Jitsugyo Kk 布帛の撥水加工法
KR19990001689A (ko) * 1997-06-17 1999-01-15 구광시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KR20000004967A (ko) * 1996-03-29 2000-01-25 이노우에 노리유끼 발수발유제 조성물
KR20030061900A (ko) * 2002-01-12 2003-07-23 전수명 발수/흡습제가 도포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원단
KR20040042756A (ko) * 2002-11-15 2004-05-20 벤텍스 주식회사 섬유 단면 발수기의 제조 방법
KR20040094006A (ko) * 2003-04-30 2004-11-09 벤텍스 주식회사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5 층 구조의 합포형 표면초발수이면초속건섬유 시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563A (ja) * 1991-12-05 1993-06-22 Yamasou Jitsugyo Kk 布帛の撥水加工法
KR20000004967A (ko) * 1996-03-29 2000-01-25 이노우에 노리유끼 발수발유제 조성물
KR19990001689A (ko) * 1997-06-17 1999-01-15 구광시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KR20030061900A (ko) * 2002-01-12 2003-07-23 전수명 발수/흡습제가 도포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원단
KR20040042756A (ko) * 2002-11-15 2004-05-20 벤텍스 주식회사 섬유 단면 발수기의 제조 방법
KR20040094006A (ko) * 2003-04-30 2004-11-09 벤텍스 주식회사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5 층 구조의 합포형 표면초발수이면초속건섬유 시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666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8887B2 (en) Cellulosic substrates with reduced absorbent capacity having the capability to wick liquids
JP2018525541A5 (ko)
US20100011482A1 (en) Garment having various functional finishes
DE69819767T2 (de) Feuchtigkeitstransportierendes aramidgeweb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gewebes
KR100973539B1 (ko) 흡수속건 및 발수성을 갖는 이중구조의 다기능성 원단
KR100686196B1 (ko)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KR101501941B1 (ko)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KR102128247B1 (ko) 우수한 흡한속건성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RU2394957C2 (ru) Донор сублимируемых веществ, ткань, полученна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казанного донора,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сублимационного печа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приемник, способный принять сублимированный состав
JP6522413B2 (ja) 排水性編物、及び排水機能付き衣料製品
KR20080042309A (ko) 투습방수용 코팅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무공형투습방수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7361B1 (ko) 애슬레저용 기능성 복합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170390A1 (en) Doctor Blade Used For Resin Finishing On A Cloth And Method For Resin Finishing With Use Of It
JP6260963B1 (ja) 布帛の吸出し脱水
KR100894096B1 (ko) 액체 저항성을 가진 초소수성 셀룰로스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0337B1 (ko) 대전방지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64330B (zh) 防泼水性编织面料的制作方法以及防泼水性编织面料
KR100403452B1 (ko) 흡한속건성을 갖는 투습방수포
TW202006202A (zh) 隔熱涼感織物
JP6560892B2 (ja) 衣類用布帛
KR100572602B1 (ko) 복합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KR101092611B1 (ko) 편발수 코팅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JPS58197378A (ja) 撥水性ならびに吸水性を有する布帛の製造法
KR20060024139A (ko) 편면발수가공방법
KR101501943B1 (ko) 편발편흡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편발편흡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