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41B1 -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 Google Patents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41B1
KR101501941B1 KR20140126858A KR20140126858A KR101501941B1 KR 101501941 B1 KR101501941 B1 KR 101501941B1 KR 20140126858 A KR20140126858 A KR 20140126858A KR 20140126858 A KR20140126858 A KR 20140126858A KR 101501941 B1 KR101501941 B1 KR 10150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ter repellent
repellent agent
drying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림
차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염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염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염직
Priority to KR2014012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1Compressive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911Recycling consumer used articles or products
    • Y10S264/913From fiber or filament, or fiber or filament containing article or product, e.g. textile, cloth fabric, carpet, fiberboard
    • Y10S264/914From cellulose containing articles, e.g.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는 전처리, 염색 및 날염공정을 거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롤러부(10);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이송시키는 원단이송부(20); 상기 원단이송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단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의 상면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도포되도록 하며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발수제를 가압하는 발수제도포롤러부(30);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에 의해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제 1 건조부(50); 상기 제 1 건조부(50)에 의해 건조된 원단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지지롤러부(55); 흡수가공제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롤러부(55)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함침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함침부(60);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함침부(60)에 의해 함침되어 이송되는 원단이 통과되어 이송되도록 하며 통과되는 원단을 가압하여 도포된 발수제를 제외한 원단에 흡수가공제가 침투되도록 하는 가압롤러부(70); 상기 가압롤러부(70)에 의해 가압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건조시키는 제 2 건조부(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Quick Dry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Quick Dry Fabric Manufactured by Usnig it}
본 발명은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의 일측면에 발수제를 도포하여 편발수 가공이 되도록 하고 원단의 타측면에 흡수가공제를 함침하여 편흡수 가공이 되도록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에 관한 것이다.
편발수(혹은 편흡수) 가공은 원단 전체를 발수용액에 침지 가공하는 방식과는 달리 원단의 한쪽 면만 발수처리하는 섬유 후(後)가공으로서, 원단에 대하여 발수 기능과 흡수 기능을 모두 부여할 수 있는 특성상 기능성 의류의 원단 가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공이다.
특히, 최근에는 에어로쿨(Aerocool), 쿨맥스(Cool max) 등과 같은 흡한속건 기능의 원사를 사용하는 원단의 가공에 편발수 가공을 접목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스포츠웨어나 레저용 의류 등의 품질을 보다 인체공학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종래의 편발수 가공은 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10)의 일면에 대하여 발수액(112)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장치(111)와, 상기 스프레이 장치(111)에 의해 발수층이 형성된 원단(110)을 건조시키는 건조챔버(113)와, 상기 스프레이 장치(111)와 건조챔버(113)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원단을 이송시키는 공급부(114)를 구비한 스프레이 방식의 가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러나, 스프레이 방식의 편발수 가공장치는 분사시 발수액(12)이 퍼지면서 원단(110)의 표면에 도포되므로 발수층 형성위치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고, 도포후에는 발수액(112)이 유동되어 특정 지점에 과도하게 몰리는 등 균일한 두께로 발수층이 형성되지 않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스프레이 장치(111)의 분사압력으로 인해 발수코팅액(112)이 원단(110)의 내부까지 깊숙히 침투하게 되므로 흡수특성이 저하되고, 원단(110)의 일면에서 땀 등이 흡수된 후 타면을 통해 증발되는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3214호(발명의 명칭: 발수/흡습제가 도포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원단)에 기재된 것과 같은 롤러에 방식에 의해 포지의 표면에 기능성 부여제를 도포하는 방법은 도포량 조절이 힘들어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는 작업성이 좋지 못하고, 섬유 포지의 편면에만 국한하여 처리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63229호(발명의 명칭: 통기성 방수원단의 코팅방법 및 장치)에 기재된 것과 같은 나이프를 이용한 도포방식의 경우에는 발수제의 도포 두께 조절이 어렵고 발수제가 원단에 가압되어 도포되지 않으므로 발수제가 박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박지 원단의 경우에는 발수제 도포가 어렵고 발수제를 도포한다고 하더라도 원단이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 내부에 발수제를 수용시켜 메쉬망을 통과한 발수제를 원단에 도포되도록 하고 원단 공급 속도, 발수제의 점도, 메쉬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박지 원단에도 편발편흡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흡 가공시 원단에 흡수가공제의 효율적인 침투가 가능하고 침투 및 건조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는 전처리, 염색 및 날염공정을 거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롤러부(10);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이송시키는 원단이송부(20); 상기 원단이송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단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도록 하여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며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발수제를 가압하는 발수제도포롤러부(30);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에 의해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제 1 건조부(50); 상기 제 1 건조부(50)에 의해 건조된 원단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지지롤러부(55); 흡수가공제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롤러부(55)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함침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함침부(60);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함침부(60)에 의해 함침되어 이송되는 원단이 통과되어 이송되도록 하며 통과되는 원단을 가압하여 도포된 발수제를 제외한 원단에 흡수가공제 가 침투되도록 하는 가압롤러부(70); 상기 가압롤러부(70)에 의해 가압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건조시키는 제 2 건조부(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발수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중심축이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원단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원주방향에 위치한 면에 상기 수용공간(31)에 수용된 발수제가 빠져나와 원단에 도포되도록 하되 원단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도록 하여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의 메쉬(33)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메쉬망(34)과, 상기 본체(32)의 일측 옆면에 상기 수용공간(31)에 발수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발수제 공급부(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의 본체(32) 내부에는 상기 메쉬망(34)에 접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메쉬(33)를 통해 빠져나오는 발수제의 양을 조절하며 발수제가 균일하게 상기 메쉬(33)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하는 블레이드(3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발수제가 원단 두께의 10내지 15%의 두께 만큼 원단에 침투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건조부(50)의 건조온도는 110 내지 14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은 목화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 나일론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된 단독섬유로 되거나 이들의 섬유를 적어도 둘이상 포함하는 합성 섬유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수제의 점도는 3,000 내지 12,000 cps이고, 상기 원단의 공급속도는 30 내지 50 m/min이며, 상기 메쉬망(34)의 메쉬(33)는 1인치 칸의 구멍수가 130 내지 33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와 상기 제 1 건조부(5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에 의해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가압하여 원단에 부분적으로 도포된 발수제가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보조하는 보조 가압롤러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가압롤러부(40) 내부에는 히팅코일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복 세탁시 부분적으로 발수처리된 원단의 표면에서는 수분을 공기중으로 빠르게 배출하게 되므로 속건성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의복 외부에서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방지하여 부분적인 발수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발수제 도포시 로터리식 도포방식을 채택하여 발수제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발수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발수제가 원단에 침투되는 깊이 조절이 용이하고, 발수제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짧은 공정으로 편발수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원단의 종류 및 발수제의 종류에 따라 원단 공급 속도, 발수제의 점도, 메쉬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발수제를 도포되도록 하여 발수제의 발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박지 원단에도 편발편흡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편흡 가공시 원단에 흡수가공제의 효율적인 침투가 가능하고 침투 및 건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가공제를 사용할 수 있어 복합기능성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넓은 범위의 원단의 소재 및 조직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편발수 가공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의 발수제도포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의 발수제도포롤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의 발수제도포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의 발수제도포롤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는 원단공급롤러부(10), 원단이송부(20), 발수제도포롤러부(30), 제 1 건조부(50), 지지롤러부(55), 함침부(60), 가압롤러부(70) 및 제 2 건조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는 전처리, 염색 및 날염공정을 거친 원단(1)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단은 목화 섬유, 면,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나일론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섬유로 되거나 이들의 섬유를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합성 섬유가 될 수 있다.
상기 원단이송부(20)는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단이송부(20)는 컨베이어벨트로 된다.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상기 원단이송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단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의 상면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도포되도록 하며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발수제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발수제(2)는 공지된 불소계 화합물인 C6 또는 C8 계열의 발수제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액상 파라핀, 왁스 등의 파라핀계 화합물이나, 공지의 다양한 발수제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된 본체(32)와, 본체(32)의 원주방향에 위치한 면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메쉬망(34)과, 상기 본체(32)의 일측 옆면에 구비된 발수제 공급부(3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2)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발수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중심축이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원단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쉬망(34)은 상기 본체(32)의 원주방향에 위치한 면에 상기 수용공간(31)에 수용된 발수제가 빠져나와 원단에 도포되도록 하되 원단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도록 하여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메쉬(33)가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상기 메쉬망(34)이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스트라이프(stripe), 즉,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띠형상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띠형상 외에도 격자무늬나 체크무늬 등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다수의 메쉬(33)가 형성된 메쉬망(34)을 통해 발수제가 원단에 부분적으로 도포되게 되어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제조된 원단으로 만든 의복 세탁시에 부분적으로 발수처리된 원단의 표면에서는 수분을 공기중으로 빠르게 배출하게 되므로 속건성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수제 공급부(35)은 상기 본체(32)의 일측 옆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31)에 발수제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32)의 원주방향에 위치한 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된 메쉬망(34)의 메쉬(33)를 통해 발수제가 빠져나오게 되고 부분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메쉬(33)를 통해 빠져나온 발수제는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의 메쉬망(34)으로 가압되어 원단에 도포되어 일정한 무늬를 형성하도록 도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의 본체(32) 내부에는 상기 메쉬망(34)에 접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메쉬(33)를 통해 빠져나오는 발수제의 양을 조절하며 발수제가 균일하게 상기 메쉬(33)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하는 블레이드(36)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발수제가 원단 두께의 10내지 15%의 두께 만큼 원단에 침투되도록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제가 원단 두께의 10% 미만의 두께 만큼 원단에 침투되도록 가압되게 되면 원단에 도포된 발수제가 원단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으며, 발수제가 원단 두께의 15%를 초과하는 두께 만큼 원단에 침투되도록 가압되게 되면 원단에 부분적으로 도포된 발수제가 원단으로부터 박리되기는 어려우나 부분적으로 발수제가 도포된 부위에서는 원단의 흡수율이 떨어지게 되어 흡습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발수제가 원단 두께의 적당한 두께 만큼 원단에 침투되도록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수제의 점도는 3,000 내지 12,000 cps이고, 상기 원단의 공급속도는 30 내지 50 m/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제의 점도가 3,000 cps 미만이고, 상기 원단의 공급속도는 50 m/min 초과하면, 발수제가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의 메쉬(33)를 통해 발수제가 적은 양이 빠져나와 도포되게 되므로 발수제의 도포두께가 얇아 원단의 두께는 얇아지고, 원단의 유연성이 높아지게 되나, 원단의 발수효율 및 세탁시 속건성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발수제의 점도가 12,000 cps 초과이고, 상기 원단의 공급속도는 30 m/min 미만이면, 발수제가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의 메쉬(33)를 통해 발수제가 많은 양이 빠져나와 도포되게 되므로 발수제의 도포두께가 두꺼워 원단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원단의 유연성이 저하되게 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쉬망(34)의 메쉬(33)는 1인치 칸의 구멍수가 130 내지 3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34)의 메쉬(33)는 1인치 칸의 구멍수가 130 미만이면 발수제가 원단에 침투하는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어 발수효율 및 속건성 효과는 우수할 수 있으나 부분적으로 도포된 발수제의 이면에서는 흡수효율이 저하되게 되며, 상기 메쉬망(34)의 메쉬(33)는 1인치 칸의 구멍수가 330을 초과하게 되면 발수제가 원단에 침투하는 두께가 얇아져 발수제가 원단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의 종류 및 발수제의 종류에 따라 원단 공급 속도, 발수제의 점도, 상기 메쉬망(34)의 메쉬(33) 크기 등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발수제를 도포되도록 하여 발수제의 발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박지 원단에도 편발편흡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건조부(50)는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에 의해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건조부(50)의 건조온도는 110 내지 140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건조부(50)의 건조온도가 110도 미만이면 섬유에 발수제가 도포되지 않고 원단으로부터 도포되게 되고, 상기 제 1 건조부(50)의 건조온도가 140도를 초과하게 되면 섬유에 발수제가 액상의 상태로 오래 남아 있게 되어 건조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세탁 견뢰도가 저하되며, 원단이 누렇게 변하는 황변현상도 발생되게 된다.
상기 지지롤러부(55)는 상기 제 1 건조부(50)에 의해 건조된 원단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롤러부(55)에 의해 이송된 원단은 함침부(6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함침부(60)는 흡수가공제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롤러부(55)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함침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함침부(60)에 의해 이송된 원단은 가압롤러부(7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흡수가공제는 친흡수성 화합물 등의 공지의 다양한 흡습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침부(60)에는 흡수가공제 뿐만 아니라 항균제나, 친수기와 소수기가 공존하는 유연제 등의 다양한 가공제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친수기와 소수기가 공존하는 유연제의 경우에는 친수기는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의 이면 부위로 이동하게 되고 소수기는 발수제 쪽으로 이동되어 원단의 흡수와 발수 효율 및 속건성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연제는 실리콘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흡수 유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부(70)는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함침부(60)에 의해 함침되어 이송되는 원단이 통과되어 이송되도록 하며 통과되는 원단을 가압하여 도포된 발수제를 제외한 원단에 흡수가공제 가 침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롤러부(70)에 의해 가압되게 되면 원단에 흡수가공제가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도포된 발수제를 제외한 원단에 전체적으로 흡수가공제가 침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함침후 원단에 흡수되고 남는 흡수가공제의 탈수가 가능하고 함침후 원단에 흡수된 흡수가공제의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제 2 건조부(80)는 상기 가압롤러부(70)에 의해 가압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건조부(80)에 의해 건조된 원단은 롤링되어 완제품으로 출하되게 된다.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발수제가 메쉬(33)를 통해 빠져 나오고 가압하여 원단에 도포하게 되므로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나, 발수제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메쉬(33)를 통해 빠져 나오게 되므로 미세한 틈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와 상기 제 1 건조부(5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에 의해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가압하여 도포된 발수제가 원단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가압롤러부(40)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 가압롤러부(40) 내부에는 히팅코일이 더 내장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건조부(50)를 통과하게 되는 원단을 미리 예열하도록 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속건성 원단가공장치를 통해 제조된 원단은, 제조된 원단으로 만든 의복 세탁시에 부분적으로 발수처리된 원단의 표면에서는 수분을 공기중으로 빠르게 배출하게 되므로 속건성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수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부분에서는 수분이 섬유 내측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므로 부분적인 발수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발수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수분이 섬유 내측에서 땀을 적극적으로 흡수ㅇ배출하여, 의복 착용자가 항상 건조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원단 2: 발수제
10: 원단공급롤러부 20: 원단이송부
30: 발수제도포롤러부 31: 수용공간
32: 본체 33: 메쉬
34: 메쉬망 35: 발수제 공급부
36: 블레이드 40: 보조 가압롤러부
50: 제 1 건조부 55: 지지롤러부
60: 함침부 70: 가압롤러부
80: 제 2 건조부

Claims (10)

  1. 전처리, 염색 및 날염공정을 거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롤러부(10);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이송시키는 원단이송부(20);
    상기 원단이송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단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도록 하여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며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발수제를 가압하는 발수제도포롤러부(30);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에 의해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제 1 건조부(50);
    상기 제 1 건조부(50)에 의해 건조된 원단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지지롤러부(55);
    흡수가공제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롤러부(55)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함침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함침부(60);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함침부(60)에 의해 함침되어 이송되는 원단이 통과되어 이송되도록 하며 통과되는 원단을 가압하여 도포된 발수제를 제외한 원단에 흡수가공제가 침투되도록 하는 가압롤러부(70);
    상기 가압롤러부(70)에 의해 가압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건조시키는 제 2 건조부(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발수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중심축이 상기 원단공급롤러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원단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원주방향에 위치한 면에 상기 수용공간(31)에 수용된 발수제가 빠져나와 원단에 도포되도록 하되 원단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도록 다수의 메쉬(33)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메쉬망(34)과,
    상기 본체(32)의 일측 옆면에 상기 수용공간(31)에 발수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발수제 공급부(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의 본체(32) 내부에는 상기 메쉬망(34)에 접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메쉬(33)를 통해 빠져나오는 발수제의 양을 조절하며 발수제가 균일하게 상기 메쉬(33)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하는 블레이드(3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는 발수제가 원단 두께의 10내지 15%의 두께 만큼 원단에 침투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건조부(50)의 건조온도는 110 내지 14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목화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 나일론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된 단독섬유로 되거나 이들의 섬유를 적어도 둘이상 포함하는 합성 섬유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의 점도는 3,000 내지 12,000 cps이고,
    상기 원단의 공급속도는 30 내지 50 m/min이며,
    상기 메쉬망(34)의 메쉬(33)는 1인치 칸의 구멍수가 130 내지 3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와 상기 제 1 건조부(5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수제도포롤러부(30)에 의해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가압하여 원단에 부분적으로 도포된 발수제가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보조하는 보조 가압롤러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압롤러부(40) 내부에는 히팅코일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속건성 원단가공장치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KR20140126858A 2014-09-23 2014-09-23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KR10150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858A KR101501941B1 (ko) 2014-09-23 2014-09-23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858A KR101501941B1 (ko) 2014-09-23 2014-09-23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941B1 true KR101501941B1 (ko) 2015-03-13

Family

ID=5302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6858A KR101501941B1 (ko) 2014-09-23 2014-09-23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9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612A (zh) * 2016-05-24 2017-08-11 浙江显昱纤维织染制衣有限公司 一种改进的织物面料印染设备
KR102156910B1 (ko) * 2020-06-19 2020-09-16 주식회사 골드오키드 원단의 발수 처리공법
KR102592073B1 (ko) * 2023-07-27 2023-10-20 주식회사 퍼스트테크 흡한속건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612897B1 (ko) * 2023-10-17 2023-12-12 주식회사 퍼스트테크 냉감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055A (ko) * 2002-09-16 2002-12-31 박광철 직물에 3색의 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KR20040045191A (ko) * 2002-11-22 2004-06-01 벤텍스 주식회사 3층 구조로 이루워진 초발수기능을 갖는 흡수속건성 원단
KR100453214B1 (ko) * 2002-01-12 2004-10-20 전수명 발수/흡습제가 도포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원단
KR100603009B1 (ko) * 2005-06-02 2006-07-24 (주)득금티앤씨 직물의 편발수 가공을 위한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214B1 (ko) * 2002-01-12 2004-10-20 전수명 발수/흡습제가 도포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원단
KR20020097055A (ko) * 2002-09-16 2002-12-31 박광철 직물에 3색의 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KR20040045191A (ko) * 2002-11-22 2004-06-01 벤텍스 주식회사 3층 구조로 이루워진 초발수기능을 갖는 흡수속건성 원단
KR100603009B1 (ko) * 2005-06-02 2006-07-24 (주)득금티앤씨 직물의 편발수 가공을 위한 가공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612A (zh) * 2016-05-24 2017-08-11 浙江显昱纤维织染制衣有限公司 一种改进的织物面料印染设备
KR102156910B1 (ko) * 2020-06-19 2020-09-16 주식회사 골드오키드 원단의 발수 처리공법
KR102592073B1 (ko) * 2023-07-27 2023-10-20 주식회사 퍼스트테크 흡한속건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612897B1 (ko) * 2023-10-17 2023-12-12 주식회사 퍼스트테크 냉감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941B1 (ko) 속건성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속건성 원단
FI95157C (fi) Menetelmä kostean tekstiilirainan siirtokuviopainatusta varten ja järjestelmä samoin kuin kuvionkantoraina menetelmää varten
KR100567222B1 (ko) 텍스타일 표면
CN101748575A (zh) 一种用于织物单面整理的方法
KR101322602B1 (ko) 흡수와 발수의 상반된 성질을 이용한 흡한속건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627138B1 (ko) 열차단 통풍 및 탈취 기능이 구비된 투습원단의 제조장치및 그 방법
US64979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eing and treating yarns
JP4863820B2 (ja) 布帛の表面加工処理方法
CN105849335B (zh) 处理纺织材料的方法和相应的处理装置
KR102128247B1 (ko) 우수한 흡한속건성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943B1 (ko) 편발편흡 원단가공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편발편흡원단
US11098444B2 (en) Cotton performance produc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JP6751559B2 (ja) 編物、及び衣料製品
KR20170088111A (ko) 빈티지 직물의 가공방법 및 이의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빈티지 직물
EP2042637B1 (en) Knife coater comprising a doctor blade for use in resin finishing on cloth and method of resin finishing
JP6522413B2 (ja) 排水性編物、及び排水機能付き衣料製品
KR100817787B1 (ko) 포지의 편면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면 발수가공방법
TWI548707B (zh) 具有耐雨淋高透濕撥水防水加工方法
WO2021183062A1 (en) Fabric made from the knitting of hydrophobic yarn in one side and hydrophilic yarn in the other sid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6560892B2 (ja) 衣類用布帛
KR20120017588A (ko) 통기성을 가지는 인조가죽의 제조방법
KR100686196B1 (ko) 일면 수유분 반발 특성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섬유포
JP5650448B2 (ja) 吸水性に差のある布帛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衣料
EP1582623A2 (en) Procedure for the continuous uneven dyeing or discoloring of fabrics
US1098236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repellent knitted fabric and water-repellent knitte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