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046B1 -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046B1
KR100685046B1 KR1020050117101A KR20050117101A KR100685046B1 KR 100685046 B1 KR100685046 B1 KR 100685046B1 KR 1020050117101 A KR1020050117101 A KR 1020050117101A KR 20050117101 A KR20050117101 A KR 20050117101A KR 100685046 B1 KR100685046 B1 KR 10068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grease
housing
bal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담영
진용희
최정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1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F16N7/26Splash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크레인몸체의 와이어드럼에 감긴 와이어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상부안내통로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안내통로와 일치하는 하부안내통로를 구비하고, 내부공간에 그리스가 저장되는 하부하우징을 갖는 하우징부; 상기 와이어로프의 나선형홈과 선단이 접하는 접촉수단과, 상기 접촉수단을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하는 회전부재를 갖추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상승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내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 ; 및 상기 하부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왕복운동시켜 그리스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배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안내통로에 구비되는 분사노즐를 갖추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부면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도포부; 를 포함한다.
와이어로프, 그리스, 하우징, 접촉볼,회전부재, 실린더

Description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An Apparatus for Spraying the Grease to Wire Rope}
도 1는 일반적인 크레인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채용되는 이물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채용되는 구동부와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채용되는 접촉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채용되는 접촉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채용되는 구동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B-B선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5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채용되는 상부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3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a)(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채용되는 도포부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와이어로프 1a : 나선형 홈
100 : 하우징부 110,129 : 상,하부하우징
200 : 구동부 210 : 접촉수단
211 : 접촉볼 212 : 볼지지바
220 : 회전부재 221 : 세그먼트
222 : 회전판 226 : 외부기어
300 : 동력전달부 310 : 구동기어
320 : 수직축 333,340 : 제1,2 베벨기어
350 : 편심캠 360 : 캠축
400 : 도포부 401 : 피스톤
410 : 실린더부재 420 : 분사노즐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와 같은 기기에서 중량물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표면에 그리스를자동으로 도포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크레인, 호이스트와 같은 설비에 구비된 와이어 로프는 외부 대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되므로 동작성능은 물론 내구수명을 보장받기 위하여 주기적인 관리 및 그리스유 등과같은 윤활제의 도포가 필수적이다.
도 1은 종래 크레인의 와이어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작업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메인빔(2)의 레일(5)상을 주행하도록 구비되는 크레인몸체(4)에는 중량물을 걸수 있도록 후크(6)가 매달리는 와이어로프(1)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로프(1)는 크레인 몸체(4)의 와이어 드럼(3)에 감겨있다.
이에 따라, 종래 와이어 로프(1)에 그리스등과 같은 오일을 도포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크레인몸체(4)에 올라선 다음, 수작업으로 와이어드럼(3)에 감긴 와이어로프(1)에 그리스를 도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포작업은 고소에 위치한 크레인 몸체(4)상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 그리스 도포작업을 회피하는 경향있으며, 이러한 작업 기피현상으로 인하여 주기적인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게 되어 와이어 로프의 기능이 저하되어 설비의 운전에 장애를 주게 됨은 물론 와이어 로프의 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도포작업은 작업능률의 저하에 의하여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그리스의 적정한 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1)에 붙는 이물질이 와이어로프(1)와 더불어 상부로 올라와 와이어드럼(3)에 누적되는 경우, 설비 트러블이 발생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크레인 조작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없어 크레인 안전사고, 품질결함 발생 및 기타 설비 트러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와이어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도포된 그리스의 오염시에만 그리스를 적정한 적정한 양으로 도포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몸체의 와이어드럼에 감긴 와이어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상부안내통로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안내통로와 일치하는 하부안내통로를 구비하고, 내부공간에 그리스가 저장되는 하부하우징을 갖는 하우징부;
상기 와이어로프의 나선형홈과 선단이 접하는 접촉수단과, 상기 접촉수단을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하는 회전부재를 갖추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상승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내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 ; 및
상기 하부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왕복운동시켜 그리스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배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안내통로에 구비되는 분사노즐를 갖추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부면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도포부; 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안내통로의 하부단에는 이물제거부를 추가 구비하며,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부면에 선단이 접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가 내부면에 장착된 브러쉬링 및 상기 브러쉬링의 외부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안내통로의 하부단에 구비된 암나사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나선형 홈과 접촉하는 접촉볼을 선단에 구비하는 볼지지바와, 상기 볼지지바를 선단에 장착되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를 선단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원통수용체 및 상기 안내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원통수용체의 선단에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지지바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볼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볼지지커버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바는 상기 원통수용체의 사각공내에서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사각바와, 상기 스프링부재가 배치되는 소외경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접촉수단이 내부면에 복수개 구비되는 세그먼트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조립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부재와, 상기 볼부재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면서 외부노출시키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하부면에 조립되는 상,하부볼커버 및 상기 회전판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외부기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원통파이프와, 상기 원통파이프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단에 구비되는 실린더축과, 상기 실린더축의 상단에 조립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접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실린더축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원통파이프의 하부단에 유입구를 갖추어 실린더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000)는 도 2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메인빔(2)에 구비되어 와이어드럼(2)에 감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1)의 상하이동시 그 외부면에 자동으로 그리스를 도포하는 것으로, 이는 하우징부(100), 구동부(200), 동력전달부(300) 및 도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하부 하우징(110)(120)으로 구성되는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은 상기 와이어로프(1)가 통과하는 상부안내통로(115)를 몸체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구동부(200)와 동력전달부(300)를 내부수용할 수있도록 상,하부챔버(111)(112)을 각각 구비하는 수용부재이다.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상기 상부안내통로(115)와 일치하는 하부안내통로(125)를 몸체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내부공간에 일정량의 그리스가 채워져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10)이 상부면에 탑재되는 하부하우징(120)은 지지브라켓(1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크레인 메인빔(2)의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하부안내통로(125)의 하부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제거부(140)를 추가 구비하며, 상기 이물제거부(140)는 상기 상,하부안내통로(115)(125)를 통하여 이동되는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선단이 접하는 브러쉬(142)와, 상기 브러쉬(142)가 내부면에 장착된 브러쉬링(144) 및 상 기 브러쉬링(144)의 외부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45)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안내통로(125)의 하부단에 구비된 암나사부(146)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안내통로(11)(125)를 통하여 이동되는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브러쉬(142)에 의해서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단외부면에는 그리스를 보충할 수 있도록 주입구(129)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로프(1)의 상승시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브라켓(116)에 의해서 상하분할되는 상부챔버(111)내에 구비되는 회전구조물이다.
이러한 구동부(200)는 상기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선형홈(1a)과 선단이 접하는 접촉수단(210)고, 상기 접촉수단(210)을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하는 회전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수단(210)은 도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 홈(1a)과 접촉하는 접촉볼(211)을 선단에 구비하는 볼지지바(212)와, 상기 볼지지바(212)를 선단에 장착되는 안내바(213)와, 상기 안내바(213)를 선단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214)를 구비하는 원통수용체(215) 및 상기 안내바(21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원통수용체(215)의 선단에 조립되는 커버(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지지바(212)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볼(211)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복수개의 나사부재(212a)로서 볼지지커버(212b)를 구비하고, 상기 볼지지바(212)의 후단은 상기 안내바(213)의 선단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안내바(213)의 몸체에는 직석이동을 안내하는 사각바(213a)와, 상기 스프링부재(214)가 배치되는 소외경부(213b)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수용체(215)는 상기 사각바(213a)가 배치되는 사각공(215a)과, 상기 스프링부재(214)가 배치되는 소내경부(215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20)는 도 5와 도 7 및 도 8(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상부챔버(111)에 구비되는 회전안내부(117)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바. 이러한 회전부재(220)는 상기 접촉수단(210)이 내부면에 복수개 구비되는 세그먼트(221)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그먼트(221)가 원주방향으로 조립되는 회전판(222)과, 상기 회전판(222)의 상,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부재(223)와, 상기 볼부재(223)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면서 외부노출시키도록 상기 회전판(222)의 상,하부면에 복수개의 나사부재(22a)로서 조립되는 상,하부볼커버(224)(225) 및 상기 회전판(222)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외부기어(2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그먼트(221)는 중앙공을 갖는 회전판(222)을 90도 간격을 두고 4개로 분할한 다음, 이들을 연결브라켓(221a)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서 회전판(222)을 구성하며, 상기 세그먼트(221)의 외부면에 형성된 기어부의 조합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222)의 외부면에 외부기어(226)가 조립완성된다.
상기 회전판(222)의 중앙공 내부면에 배치되는 접촉수단(210)은 상기 중앙공의 중심을 지나는 와이어로프(1)를 향하여 접촉볼(211)이 와이어로프(1)의 나선형 홈(1a)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1)의 상승시 상기 접촉수단(210)의 접촉볼(211)은 상기 나선형 홈(1a)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수단(210)이 내부면에 장착된 회전판(222)은 상기 상부챔버(111)의 회전안내부(117)의 내부면에 대하여 볼부재(223)가 접하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도 5와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로프(1)의 이동시에 이에 접촉하는 접촉수단(210)과 회전부재(220)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10)내에 구비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부재(220)와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310)와, 이를 길이중앙에 갖추어 상부하우징(110)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축(320)과, 상기 수직축(320)의 하부단에 구비된 제1베벨기어(330)와 기어물림되는 제2베벨기어(340)와, 상기 제2 베벨기어(340)를 선단에 장착하고 길이중간에 편심캠(350)을 구비하는 캠축(360)을 갖추어 구성한다.
상기 구동기어(310)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상부챔버(111)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축(320)의 길이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축(320)은 복수개의 베어링부재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챔버(112)내에 배치되는 제1 베벨기어(330)와 제2 베벨기어(340)의 기어물림에 의해서 상기 캠축(360)은 상기 수직축(320)에 대하여 직교하게 된다.
상기 캠축(360)의 후단부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외벽에 베어링부재(361)을 매개로 하여 지지되고, 커버(362)에 의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22)의 회전시 그 외주면에 구비된 외부기어(226)와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310)는 일방향 회전되면서 수직축(320)을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축(320)에 구비된 제1베벨기어(330)와 직각으로 기어물림된 제2 베벨기어(330)에 의해서 상기 캠축(360)도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이에 구비된 편심캠(350)을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에 상기 상부 안내통로(115)와 일치하는 중앙공(155)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중앙공(155)의 외측에 상기 회전안내부(117)를 형성하는 회전안내홈(151)을 함몰형성하며, 상기 수직축110)의 상단이 지지되는 축공(152)을 구비하는 상부커버(15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도포부(400)는 도 3과 도 10(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동력전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피스톤(401)을 상하왕복운동시켜 상기 하부하우징(120)내에 저장된 그리스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부재(410)를 상기 상,하부하우징(110)(120)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실린더부재(410)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브라켓(129)에 의해 수직하게 고정되는 원통파이프(411)와, 상기 원통파이프(411)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401)이 하단에 구비되는 실린더축(412)과, 상기 실린더축(412)의 상단에 조립되어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편심캠(350)과 접하는 구동롤러(413)과, 상기 실린더축(412)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 (414) 및 상기 원통파이프(411)의 하부단에 유입구를 갖추어 실린더커버(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축(412)의 상단에는 상기 원통파이프(411)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고정브라켓(416)에 걸리는 걸림턱(412a)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401)에는 하강시에만 유체인 그리스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개방하는 체크볼(402a)을 갖는 체크볼박스(402)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커버(415)에는 상기 피스톤(401)의 상승시에만 유체인 그리스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개방하는 체크볼(403a)을 갖는 체크볼박스(403)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420)은 상기 실린더축(412)의 내부공과 연통되는 배출공(419)에 일단이 연결되는 배출관(421)과 플랜지(422)을 매개로 연결되는 후렉시블배관(423)과, 상기 후렉시블배관(423)과 플랜지(424)를 매개로 연결되는 퀵조인트(425)에 조립되는 노즐부재(4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파이프(411)의 외부면에는 상기 배출관(421)의 상하이동이 자유롭도록 장공(411a)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의 장치(1)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면서 그리스를 도포하는 작업은, 와이어드럼(3)의 구동에 의해서 와이어로프(1)가 감겨지면, 상기 와이어로프(1)는 크레인 메인빔의 하부에 구비된 상,하부하우징(110)(120)의 상,하부 안내통로(115)(125)를 통하여 직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안내통로(115)를 통과하게 되는 와이어로프(1)는 이물제거부(140)의 브러쉬링(144)을 통과하면서 그 내부면에 장착된 브러쉬(142)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브러쉬(142)에 의해서 제거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1a)은 상기 구동부(200)의 접촉수단(210)에 구비되는 접촉볼(211)과 스프링부재(214)의 탄성력에 의해 접하기 때문에, 상기 접촉수단(210)을 내부면에 구비하는 회전판(222)은 상기 상부챔버(111)의 회전안내부(117)내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재(222)의 회전시 그 외주면에 구비된 외부기어(226)와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310)는 일방향 회전되면서 수직축(320)을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축(320)에 구비된 제1베벨기어(330)와 직각으로 기어물림된 제2 베벨기어(330)에 의해서 상기 캠축(360)도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이에 구비된 편심캠(350)을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350)의 회전시 이에 간섭되는 구동롤러(413)를 상단에 구비하는 실린더축(412)은 상기 편심캠(350)과의 접촉시마다 하부로 하강되고, 상기 편심축(360)의 접촉이 없는 경우에는 스프링부재(4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복귀된다.
이러한 실린더축(412)의 하강과 더불어 그 하부단에 구비된 피스톤(401)이 하강되면, 상기 피스톤(401)내에 구비된 체크볼(402a)은 상승되어 유입구를 개방하는 반면에, 실린더커버(415)내에 구비된 체크볼(403a)은 하강되어 유입구를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축(412)내의 그리스는 배출공(419), 배출관(421), 익 스팬드배관(423), 퀵조인트(425)및 노즐부재(426)를 통하여 분사되어 상기 와이어로프(1)의 외부면에 고르게 도포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실린더축(412)의 상승시 그 하부단에 구비된 피스톤(401)도 이 상승되면, 상기 피스톤(401)내에 구비된 체크볼(402a)은 하강되어 유입구를 밀폐하지만, 실린더커버(415)내에 구비된 체크볼(403a)은 상승되어 유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하우징(120)내의 그리스는 개방된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축(412)의 내부공내에 채워지게 되어 상기 실린더축(412)의 상승시 그리스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1)의 하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그리스가 도포된 와이어로프(1)의 나선형 홈(1a)과 접촉수단(210)의 접촉볼(211)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만, 상기 접촉볼(211)은 상기 와이어로프(1)에 도포된 그리스에 의해서 접촉슬라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122)의 회전운동은 발생되지 않아 상기와 같은 그리스 도포작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로프의 상승시 이에 접촉하는 접촉수단과 회전부에 의해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직선운동을 전환시켜 그리스가 채워진 하부하우징에 배치된 실린더부재에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가 상승할때 그리스를 분사하여 와이어로프에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도포작업을 종리에 비하여 안전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안정성을 보장하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비 트러블 발생을 방지하여 기계를 적정하게 동작시켜 정밀한 크레인 조작 및 기계작업을 할 수 있어 품질결함 발생 및 기타 설비 트러블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크레인몸체의 와이어드럼에 감긴 와이어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상부안내통로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안내통로와 일치하는 하부안내통로를 구비하고, 내부공간에 그리스가 저장되는 하부하우징을 갖는 하우징부;
    상기 와이어로프에 있는 나선형 홈과 접촉하는 접촉볼을 선단에 구비하는 볼지지바와, 상기 볼지지바를 선단에 장착하는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를 선단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원통수용체 및 상기 안내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원통수용체의 선단에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접촉수단;
    상기 접촉수단을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하는 회전부재를 갖추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상승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내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 ; 및
    상기 하부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직선운동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왕복운동시켜 그리스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배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안내통로에 구비되는 분사노즐를 갖추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부면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도포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안내통로의 하부단에는 이물제거부가 추가 구비되며,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부면에 선단이 접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가 내부면에 장착된 브러쉬링 및 상기 브러쉬링의 외부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안내통로의 하부단에 구비된 암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지지바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볼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볼지지커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바는 상기 원통수용체의 사각공내에서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사각바와, 상기 스프링부재가 배치되는 소외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접촉수단이 내부면에 복수개 구비되는 세그먼트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조립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부재와, 상기 볼부재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면서 외부노출시키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하부면에 조립되는 상,하부볼커버 및 상기 회전판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외부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원통파이프와, 상기 원통파이프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단에 구비되는 실린더축과, 상기 실린더축의 상단에 조립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접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실린더축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원통파이프의 하부단에 유입구를 갖추어 실린더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KR1020050117101A 2005-12-02 2005-12-02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KR10068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101A KR100685046B1 (ko) 2005-12-02 2005-12-02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101A KR100685046B1 (ko) 2005-12-02 2005-12-02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046B1 true KR100685046B1 (ko) 2007-02-20

Family

ID=3810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101A KR100685046B1 (ko) 2005-12-02 2005-12-02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0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6503A (zh) * 2021-07-28 2021-09-28 湖北昇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建筑塔吊偶合器的润滑保养器械
CN114890287A (zh) * 2022-05-25 2022-08-12 泰州市力夫特绳网带厂 一种双端自动调节高强度吊装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024A (ko) * 1998-11-02 2000-06-05 이구택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도포장치
KR20000014348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의 그리스유 도포장치
JP2004238762A (ja) * 2003-02-06 2004-08-26 Nippon Gurisutaa Service Kk ワイヤロープのグリス塗布装置
KR20040106871A (ko) * 2003-06-12 2004-12-18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어로프 그리스 자동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024A (ko) * 1998-11-02 2000-06-05 이구택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도포장치
KR20000014348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의 그리스유 도포장치
JP2004238762A (ja) * 2003-02-06 2004-08-26 Nippon Gurisutaa Service Kk ワイヤロープのグリス塗布装置
KR20040106871A (ko) * 2003-06-12 2004-12-18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어로프 그리스 자동 도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6503A (zh) * 2021-07-28 2021-09-28 湖北昇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建筑塔吊偶合器的润滑保养器械
CN114890287A (zh) * 2022-05-25 2022-08-12 泰州市力夫特绳网带厂 一种双端自动调节高强度吊装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446A (en) High-rise building cleaning machine
KR100685046B1 (ko) 와이어로프 그리스 도포장치
CN210357734U (zh) 一种便于均匀喷涂的管道外壁防腐材料喷涂设备
CN110813625B (zh) 一种水泵水力部件表面油漆喷涂设备
CN108517772B (zh) 一种桥梁施工用桥梁斜拉索清洁设备
KR102247226B1 (ko) 경사진 플레이트를 지니는 엘리베이터 로프용 슬러지 제거 장치
WO2016129014A1 (ja) 軸受装置、及びその潤滑剤の排出方法
CN215756106U (zh) 一种起重机钢丝绳卷取轮
KR100993853B1 (ko) 와이어로프 그리스 자동 도포장치
CN210106427U (zh) 一种轴承端盖
CN103433177A (zh) 分体点料装置
CN109300625A (zh) 一种智能化架空导线在线涂油设备
CN111115482B (zh) 一种钢绳卷扬机构
KR100352592B1 (ko)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도포장치
CN107350187B (zh) 一种钢丝绳清洗设备
CN217350531U (zh) 起重机用防爆环链电动葫芦
CN104923440B (zh) 一种可自动卸料的棒材涂刷用设备
KR20160017409A (ko) 용접장치용 캐리어
CN205898098U (zh) 一种弦绳除污结构
KR20150133386A (ko) 도장로봇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CN104923441A (zh) 一种用于棒材涂刷的机械设备
CN212565248U (zh) 一种用于油缸加工的润滑油涂抹设备
CN216997360U (zh) 一种钻机可调节天车
CN220578906U (zh) 一种涂料加工用灌装设备
CN212758472U (zh) 一种涂料加工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