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349B1 -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349B1
KR100684349B1 KR1020060078476A KR20060078476A KR100684349B1 KR 100684349 B1 KR100684349 B1 KR 100684349B1 KR 1020060078476 A KR1020060078476 A KR 1020060078476A KR 20060078476 A KR20060078476 A KR 20060078476A KR 100684349 B1 KR100684349 B1 KR 10068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 section
rail
bolt
railway
sh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60078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3/00Arrangements preventing shifting of the track
    • E01B13/02Rail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차가 급커브 구간을 통과할 때 기차로부터 가해지는 횡압에 의한 철도 레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철도 레일(10)의 급커브 구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11)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며 머리부에 고리부가 형성된 볼트(20)와; 지면에 앵커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철도 레일의 기차로부터 전가되는 횡압에 의한 밀림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30)와; 그리고, 상기 볼트의 고리부에 각각 끼워지는 걸이부가 구비되어 상기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을 통과할 때 상기 한 쌍의 철도 레일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40)으로 구성된다.
기차, 철도, 급커브, 지지대

Description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A SHARP CURVE RAILWAY SAFETY-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에 적용된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철도 레일, 11 : 체결공
20 : 볼트, 21 : 고리부
30 : 지지대, 40 : 지지봉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는 기차가 급커브 구간을 통과할 때 기차로부터 가해지는 횡압에 의한 철도 레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는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철도를 따라 운행된다.
철도는 지반(기차가 연약지반을 통과할 때 기차로부터 전가되는 동적하중에 의해 연약지반이 붕괴되어 우회하기 위함), 지역 조건(전진 경로에 방해물이 존재하여 우회하기 위함) 등에 의해 여러 곳의 급커브 구간이 갖추어진다.
철도 레일의 설치구조를 설명하면, 열차주행시 하중으로 인한 침하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난 자갈로 이루어진 자갈도상상에 침목이 선로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며, 상기 침목의 상부양측에 레일패드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레일패드 상에 안착되는 레일의 좌우측을 체결구에 의해 고정 지지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선로의 곡선구간에서 전술한 침목을 사용함에 따라, 침목의 소정위치에 상기 레일을 고정할수 있도록 미리 산출된 소정위치에 코일스프링클립 걸이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나사스파이크로 체결시킨 다음, 전술한 체결구를 이용하여 레일을 최종적으로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일스프링클립으로 레일을 고정하는 경우 횡압에 대한 지지력이 약해 횡압을 지지하지 못하여 열차가 레일 외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레일이 밀리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차가 급커브 구간 을 통과할 때 기차로부터 가해지는 횡압에 의해 레일이 지면(침목)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기차의 탈선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된 한 쌍의 철도 레일의 일측(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철도 레일이 기차로부터 가해지는 횡압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철도 레일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기반을 증대하는 다수의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침목(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철도 레일(10)의 급커브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철도 레일(10)의 급커브 구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11)(도 2에 도시됨)과; 체결공(11)에 체결되며 머리부에 고리부(21)가 형성된 볼트(20)와; 지면(침목(1))에 앵커(2)를 통해 고정되 는 수평부(31), 수평부(31)의 일측 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2) 및 경사부(32)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성형되며 체결공(11)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볼트(20)에 체결되는 수직부(33)로 이루어져 한 쌍의 철도 레일(10)의 기차로부터 전가되는 횡압에 의한 밀림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30)와; 볼트(20)의 고리부(21)에 각각 끼워 연결되며 기차 철도 레일(10)의 급커브 구간을 통과할 때 한 쌍의 철도 레일(10)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40)으로 구성된다.
볼트(20)는 지지대(30)를 철도 레일(10)에 고정함과 아울러 지지봉(4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한 쌍의 철도 레일(10)에 고리부(21)가 서로 마주하도록 철도 레일(10)의 체결공(11)에 끼워지고, 너트(22)가 체결되어 지지대(30)를 철도 레일(10)에 고정한다.
지지대(30)는 철도 레일(10)의 각각 일측(기차로부터 전가되는 횡압에 대한 버팀력을 발생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침목(1)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원심력에 의해 철도 레일(10)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지지봉(40)은 한 쌍의 철도 레일(10)을 서로 연결하여 상호 간에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철도 레일(10)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서로 다른 나사선을 가지며 단부에 볼트(20)의 고리부(21)에 연결되는 걸이부(41a,42a)가 구비된 길이조절봉(41,42) 및 길이조절봉(41,42)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길이조절봉(41,42)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너트(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의 작용 은 다음과 같다.
기차가 급커브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기차에는 원심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기차로부터 한 쌍의 철도 레일(10)에는 횡압이 가해진다.
이때, 철도 레일(10)들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지지대(30)들이 철도 레일(10)을 밀림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지지하여 철도 레일(10)의 밀림이 최소화되며, 또한, 지지봉(40)들이 한 쌍의 철도 레일(10)의 사이에서 이들(10)을 지지하여 한 쌍의 철도 레일(10)들이 서로 지지됨에 따라 철도 레일(10)의 지지기반이 더욱 커져 철도 레일(10)의 밀림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에 의하면, 기차가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을 통과할 때 지지대들이 레일의 외측에서 레일을 지지함과 아울러, 레일 사이의 지지봉이 레일의 밀림을 막음으로써 레일이 침목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급커브 구간을 통과하는 기차가 레일에서 탈선하지 않으므로 기차의 탈선으로 인한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침목에 고정되는 한 쌍의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며 머리부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철도 레일에 상기 고리부가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볼트와;
    지면에 앵커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철도 레일의 기차로부터 전가되는 횡압에 의한 밀림방향의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을 통과할 때 상기 한 쌍의 철도 레일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으로 구성된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볼트의 고리부에 각각 끼워지는 걸이부가 구비되며 서로 다른 나사선을 갖는 길이조절봉 및 상기 길이조절봉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길이조절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KR1020060078476A 2006-08-19 2006-08-19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KR10068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476A KR100684349B1 (ko) 2006-08-19 2006-08-19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476A KR100684349B1 (ko) 2006-08-19 2006-08-19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349B1 true KR100684349B1 (ko) 2007-02-26

Family

ID=3810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476A KR100684349B1 (ko) 2006-08-19 2006-08-19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330A (zh) * 2019-09-02 2019-12-06 贾令改 一种铁路外轨转向处形变矫正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4005U (ko) 1976-08-07 1978-03-01
JPS5495710U (ko) 1977-12-19 1979-07-06
JP2003013401A (ja) 2001-06-28 2003-01-15 East Japan Railway Co ゲージタイ
KR20040020420A (ko) * 2002-08-30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KR100481000B1 (ko) 2002-07-31 2005-04-06 연장익 너트풀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4005U (ko) 1976-08-07 1978-03-01
JPS5495710U (ko) 1977-12-19 1979-07-06
JP2003013401A (ja) 2001-06-28 2003-01-15 East Japan Railway Co ゲージタイ
KR100481000B1 (ko) 2002-07-31 2005-04-06 연장익 너트풀림방지장치
KR20040020420A (ko) * 2002-08-30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78476 - 751658 *
200420420000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330A (zh) * 2019-09-02 2019-12-06 贾令改 一种铁路外轨转向处形变矫正设备
CN110541330B (zh) * 2019-09-02 2021-02-26 台州来智科技有限公司 一种铁路外轨转向处形变矫正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1842A (en) Rail fastening device
KR100684349B1 (ko) 철도 레일의 급커브 구간 안전장치
US4637578A (en) Railroad frog having movable wing rails
CN105714623B (zh) 快速弹条无砟轨道铁垫板扣件系统
KR100942793B1 (ko) 위치고정장치가 설치된 철도궤도단침목
US746774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guide rail support
US4119271A (en) Rail bracing system
KR100667584B1 (ko) 연약지반 철도 보강을 위한 방석침목구조
US747283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guide rail support
US11124922B1 (en) Tie wrap-around for tie plate securement
KR100268159B1 (ko) 철도 레일의 분기기 시스템
CN205839483U (zh) 曲线轨道
CN204530333U (zh) 桥上无砟轨道护轨构造
CN211547096U (zh) 一种用于大坡道、小半径的米轨铁路扣件系统
US5123596A (en) Bolted rail fastening system
JP5464420B2 (ja) 鉄道車両における軌道逸脱防止装置
KR200410829Y1 (ko) 급커브 철도 레일의 체결장치
JP5982219B2 (ja) 安全レール移動防止金具
KR200168731Y1 (ko)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KR20030020113A (ko) 철로분기부의 레일 체결장치
KR102510175B1 (ko) 철도의 가드레일 간격조절시스템
KR200149964Y1 (ko) 콘크리트 침목상에 설치되는 선로 분기부의 레일체결장치
KR100797053B1 (ko) 철도용 침목
RU2407842C2 (ru) Рельс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3378200A (en) Rail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