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301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301B1
KR100683301B1 KR1020040092555A KR20040092555A KR100683301B1 KR 100683301 B1 KR100683301 B1 KR 100683301B1 KR 1020040092555 A KR1020040092555 A KR 1020040092555A KR 20040092555 A KR20040092555 A KR 20040092555A KR 100683301 B1 KR100683301 B1 KR 10068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shing
storage tank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628A (ko
Inventor
후미히코 사사하라
다카시 미야우치
교스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저수 탱크내의 물을 세정조내로 급수하여 세정하는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배수 수단이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남은 물의 문제를 해결하고, 복잡한 구조의 분기 수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문가에 의한 설치 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성, 안전성,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한다. 식기 등의 피세정물(14)을 세정하는 세정조(2)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 탱크(19)에 저수하고, 세정조(2)내에 급수 펌프(22)와 급수 호스(23)에 의해 급수하는 동시에, 세정조(2)내의 물을 배수 펌프(16)에 의해 배수한다.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급수 펌프(22)와 급수 호스(23)에 의해 세정조(2)내로 급수하고, 세정조(2)내로 급수한 물을 배수 펌프(16)에 의해 배수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식기 세척기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세정조 14 : 피세정물
16 : 배수 펌프(배수 수단) 19 : 저수 탱크
22 : 급수 펌프(급수 수단) 23 : 급수 호스(급수 수단)
본 발명은 저수 탱크내의 물을 세정조내로 급수하여 세정하는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표적인 식기 세척기는, 분기 수전(水栓)으로부터 세정에 필요한 물을 분기시켜서 급수하여, 세정하는 것이고,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1)는, 내부에 세정조(2)를 설치하고 있고, 이 세정조(2)내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도 수전(3)에 장착한 분기 수전(4)으로부터 물을 분기시켜서, 급수 밸브(5)를 개폐함으로써 물 또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분기 수전(4)으로부터 급수 밸브(5)까지는 급수 호스(6)로 접속하고 있다. 세정조(2)의 바닥부에는 배수구(7)를 설치하고, 이 배수구(7)에 연통하여, 모터(8)에 의해 구동되는 세정 펌프(9)를 장착하며, 이 세정 펌프(9)에 의해 세정수를 세정조(2)의 내부로 순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모터(8), 급수 밸브(5) 등의 전장 부품의 동작은 제어 장치(1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또한, 배수구(7)에는 잔채(殘菜)를 포집하는 잔채 필터(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정 노즐(12)과 세정조(2)의 바닥부 사이에는, 세정수 가열용의 히터(13)를 구비하고, 세정 노즐(12)의 상방에는, 피세정물(14)을 정연히 배치할 수 있고,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피세정물(14)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식기 바스켓(15)을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세정을 실행하고 있다. 동시에, 세정 노즐(12)로부터의 세정수의 일부는 세정조(2)에도 접촉하고, 세정조(2)도 세정하고 있다. 또한, 배수 펌프(16)는 배수 호스(17)를 통해 세정수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예컨대, 일 본 특허 공개 제 2003-210378 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수도 수전(3)에 분기 수전(4)을 설치하고, 분기 수전(4)에 급수 호스(6)를 접속함으로써 세정조(2)내에 물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분기 수전(4)은 통상 항상 개방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수도 수압이 직접 걸리므로, 내압 구조가 필요해져, 분기 수전(4)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게다가, 수도 수전(3)마다 적합한 분기 수전(4)이 필요하고, 종류도 다양해지며, 전문가에 의한 설치 공사도 필요하여, 점점 식기 세척기를 사용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분기 수전(4)을 사용하지 않고, 수도 수전(3)에 직접 급수 호스(6)를 접속하는 사용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는, 식기 세척기의 사용시에는 수도 수전(3)을 달리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수도 수전(3)의 폐쇄를 잊으면, 급수 호스(6)의 접속이 빠지거나, 급수 호스(6)가 수압에 의해 파열되어, 물 누출을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급수량의 제어는 급수 밸브(5)를 개폐함으로써 실행되고 있고, 분기 수전(4)의 개방시에는, 급수 밸브(5)에도 수도 수압이 직접 걸리기 때문에, 동일하게 내압 구조가 필요했다.
또한, 수도 수압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저수 탱크를 사용하는 수단도 고려되지만, 배수 기능이 없는 저수 탱크만의 구성에서는, 저수 탱크에 저장된 물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면, 저수 탱크내에서 세균이 번식하고, 물이 썩어, 악취의 원인이 되며,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현상을 야기한다고 생각된다. 배수 기능 이 없는 저수 탱크만의 구성에서는, 저수 탱크내에 남은 물을 배수하는 수단은 통상의 세정 운전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저수 탱크와 그 배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배수 수단이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남은 물의 문제를 해결하고, 복잡한 구조의 분기 수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문가에 의한 설치 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성, 안전성,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 탱크에 저수하고, 세정조내에 급수 수단에 의해 급수하는 동시에, 세정조내의 물을 배수 수단에 의해 배수하도록 구성하고, 저수 탱크내의 물을 급수 수단에 의해 세정조내에 급수하며, 세정조내에 급수한 물을 배수 수단에 의해 배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저수 탱크와 그 배수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배수 수단이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남은 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복잡한 구조의 분기 수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문가에 의한 설치 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성, 안전성,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제 1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세정조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수 탱크내의 물을 상기 급수 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며,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한 물을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해 배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배수 수단이 없는 저수 탱크만을 사용한 구성에서 발생하는 저수 탱크내의 남은 물의 문제는, 세정조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세정 운전을 실행하지 않아도, 전용의 배수 코스로 직접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한 물로 인해 세정조의 전체가 오염되지 않게 되어, 저수 탱크를 사용하는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시에는,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저수 탱크에 일단 저장하기 때문에, 수도 수압이 대기로 개방되고, 수도 수전의 개폐에 의해 급수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수도 수압이 직접 걸리지 않기 때문에, 내압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분기 수전의 구조를 간단한 형상의 급수 커플링(coupling)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급수 수단과 배수 수단을 동시에 동작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며, 식기 세척기 본체로의 급수와 동시에 세척기 외부로의 배수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해서 배수할 수 있고, 저수 탱크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시간 단축에 효과적이다.
제 3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수 탱크내의 물을 상기 세정조내로 급수하는 급수 경로에 전환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 세정조로의 급수와 상기 저수 탱크내의 배수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급수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세정조내로 급수하지 않아도, 직접 저수 탱크내의 물을 세척기 외부로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한 물이 세정조로 들어가지 않고, 세정조, 피세정물 등이 오염되는 것이 없어진다. 또한, 전환 밸브는 식기 세척기 본체의 외측, 내측중 어느 쪽에 배치하여도 좋고, 전환 밸브의 구조도 자동, 수동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 4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수단은 소정 시간 방치후에 자동으로 동작하고, 상기 저수 탱크의 남은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저수 탱크내에 물을 저장한 채로,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배수를 잊고 있어도, 물이 썩기 전에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 피세정물 등이 오염되는 것은 없어진다.
제 5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수단은 코스 운전 종료후에 동작하고, 상기 저수 탱크의 남은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에, 저수 탱크내에 물을 저장한 채로 방치하지 않게 되어, 세정조, 피세정물 등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제 6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의 물을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 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저수 탱크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수단은 상기 저수 탱크의 하부에 설치한 배수구를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이며, 장기간 방치한 저수 탱크내의 물을 세정조내에 급수하지 않고, 직접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 피세정물 등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저수 탱크내의 물의 배수를 배수구의 개폐를 수동으로 실행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의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식기 세척기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18)는 내부에 세정조(2)와 저수 탱크(19)를 배치하고 있다. 저수 탱크(19)는 세정조(2)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하는 것으로, 세정조(2)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저수 탱크(19)에는 수도 수전(3)의 수도꼭지에 설치한 급수 커플링(20)을 분기시킨 분기구(21)로부터 급수 호스(6)를 통해 급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급수 커플링(20)은 정수기나 알칼리 정수기에 사용하고 있는 수도 수전(3)의 수도꼭지에 직접 설치하고 있는 간단히 장착 가능한 간단한 형상의 분기 수전의 것을 말한다.
또한, 급수 펌프(22)는 저수 탱크(19)로부터 세정조(2)로 급수하는 것으로, 이 급수 펌프(22)를 구동함으로써, 급수 펌프(22)와 세정조(2) 사이에 설치한 급수 호스(23)내에 물을 흘려서, 세정조(2)내로 저수 탱크(19)로부터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급수 펌프(22)와 급수 호스(23)로 급수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저수 탱크(19)에는, 수도 수전(3)에 설치한 급수 커플링(20)의 분기구(21)로부터 물을 급수하는 급수구(24)와 소정량 이상의 물을 배수하는 유출구(2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26)는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세정 코스 운전을 하지 않고 배수하는 전용 코스를 갖는다. 다른 구성은 종래예와 동일하며,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수도 수전(3)에 장착한 급수 커플링(20)으로부터 물을 분기시켜 저수 탱크(19)내에 급수한다. 저수 탱크(19)내에 저장된 물은 급수 펌프(22)를 구동함으로써 세정조(2)에 급수한다. 세정조(2)에 소정량의 급수를 실행하고, 세정 펌프(9)를 구동함으로써, 피세정물(14)의 세정을 실행한다. 세정후에는 배수 펌프(배수 수단)(16)를 구동하여 배수 호스(17)에 의해 세척기 외부로 세정후의 물을 배수한다.
다음에, 저수 탱크(19)내의 남은 물을 배수할 때는, 급수 펌프(22)를 구동함으로써 세정조(2)내에 급수하고, 배수 펌프(16)를 작동하여, 전용의 배수 코스로 직접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운전을 실행하지 않아도, 저수 탱크(19)내의 남은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의 배수 코스를 갖지 않은 저수 탱크(19)에서 발생한다고 생각되는 저수 탱크(19)내의 남은 물의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세정 코스의 운전을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한 물로 인해 세정조(2)의 전체가 오염되지 않는다. 이 배수 펌프(16)를 사용함으로써, 저수 탱크(19)를 사용하는 수단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저수 탱크(19)를 사용하는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세정시에는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저수 탱크(19)에 일단 저장하기 때문에, 수도 수압이 대기로 개방되고, 수도 수전(3)의 개폐에 의해 급수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수도 수압이 분기 수전에 직접 걸리지 않기 때문에, 내압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분기 수전의 구조를 간단한 형상의 급수 커플링(2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19)를 세정조(2)의 후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열된 세정수가 측벽(27)에 접촉함으로써 측벽(27)을 가열하고, 가열된 측벽(27)은 저수 탱크(19)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가열한다. 따라서, 이후 사용하는 물의 가열을 위한 히터 등(13)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2)의 측벽(27)의 외측에 저수 탱크(19)의 측벽도 있기 때문에, 세정조(2)의 측벽(27)이 이중 구조로 되므로 방음 구조로도 된다.
또한, 저수 탱크(19)의 물을 세정조(2)내로 급수하는 급수 펌프(22)와, 세정조내(2)에 급수한 물을 배수하는 배수 펌프(16)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급수와 동시에 배수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해서 배수할 수 있고,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간이 짧아져, 시간 단축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배수 코스에 있어서, 저수 탱크(19)내의 물의 배수를 제어 장치(26)에 의해, 소정 시간 방치후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수 탱크 (19)내에 물을 저장한 상태로 배수를 잊고 있어도, 물이 썩기 전에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2), 피세정물(14) 등이 오염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이다. 또한, 저수 탱크(19)내에 수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면, 물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저수 탱크(19)내에 물이 없는 경우의 자동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급수 펌프(22)에 의해 세정조(2)내에 급수하고, 세정조(2)내에 급수한 물을 배수 펌프(16)에 의해 배수하도록 했기 때문에, 배수 수단이 없는 저수 탱크(19)만을 사용한 구성에서 발생하는 저수 탱크(19)내의 남은 물의 문제는, 세정조(2)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펌프(16)를 사용함으로써, 세정 운전을 실행하지 않아도, 전용 배수 코스로 직접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한 물로 인해 세정조(2) 전체가 오염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세정시에는,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저수 탱크(19)에 일단 저장하기 때문에, 수도 수압이 대기에 개방되고, 수도 수전(3)의 개폐에 의해 급수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수도 수압이 직접 걸리지 않기 때문에, 내압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분기 수전의 구조를 간단한 형상의 급수 커플링(20)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전문가에 의한 설치 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성, 안전성,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펌프(22)와 배수 펌프(16)를 동시에 동작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 본체(18)로의 급수와 동시에 세척기 외부로의 배수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해서 배수할 수 있고,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시간 단축에 효과적이다.
또한, 배수 펌프(16)는 소정 시간 방치후에 자동으로 동작하고, 저수 탱크(19)의 남은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저수 탱크(19)내에 물을 저장한 채로,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배수를 잊고 있어도, 물이 썩기 전에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2), 피세정물(14) 등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28)는 저수 탱크(19)의 물을 세정조(2)내에 급수하는 급수 호스(23)의 중간에 설치하고, 전환 밸브(28)에 의해 세정조(2)로의 급수와 저수 탱크(19)내의 배수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저수 탱크(19)로의 급수, 세정조(2)로의 급수 등의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저수 탱크(19)의 물을 세정조(2)내에 급수하는 급수 호스(23)의 중간에 전환 밸브(28)를 설치함으로써,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배수할 때는, 전환 밸브(28)를 탱크 외측으로 배수하는 측으로 전환하고, 급수 펌프(22)를 동작시킴으로써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 탱크(19)내의 물이 세정조(2)에 급수되지 않고, 세척기 외부로 직접 배수될 수 있다. 이로써, 장기간 방치한 물이 세정조(2)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세정조(2), 피세정물(14) 등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세정조(2)내로 급수하는 급수 경로에 전환 밸브(28)를 설치하고, 전환 밸브(28)에 의해 세정조(2)로의 급수와 저수 탱크(19)내의 배수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급수 펌프(22)를 동작시킴으로써, 세정조(2)내로 급수하지 않아도, 직접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세척기 외부로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한 물이 세정조(2)로 들어가지 않아, 세정조(2), 피세정물(14) 등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 밸브(28)를 제어 장치(26)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식기 세척기 본체(18)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28)를 레버(29)에 의해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식기 세척기 본체(18)의 외측에 배치하여, 외부로부터 레버(29)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26)는 세정, 헹굼, 가열 헹굼의 각 행정을 순차 제어하고, 이 코스 운전 종료후, 즉 가열 헹굼 행정후에, 저수 탱크에 남은 물의 배수 행정을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저수 탱크에 남은 물의 배수 행정에서는 급수 펌프(22)와 배수 펌프(16)를 구동하여,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저수 탱크(19)로의 급수, 세정조(2)로의 급수 등의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 한다.
코스 운전 종료후에, 저수 탱크에 남은 물의 배수 행정에서, 급수 펌프(22)와 배수 펌프(16)를 구동하여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세정, 헹굼, 가열 헹굼의 각 행정의 운전을 실행한 후, 저수 탱크(19)내의 남은 물을 자동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코스 운전 종료후에, 급수 펌프(22)와 배수 펌프(16)를 구동하여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에, 저수 탱크(19)내에 물을 저장한 채로 방치하지 않게 되어, 세정조(2), 피세정물(14) 등이 오염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 탱크에 남은 물의 배수 행정에서, 급수 펌프(22)와 배수 펌프(16)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세정조(2)내에 급수하는 급수 경로에 전환 밸브(28)를 설치하고, 전환 밸브(28)를 전환하고, 배수 펌프(16)를 구동하여 저수 탱크(19)내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수 탱크(30)는 세정조(2)내에 급수하는 물을 저수하는 것으로, 세정조(2)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저수 탱크(30)의 하부에,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배수구(31)를 설치하고, 배수구(31)의 선단에 수동 콕(32)을 설치하며, 배수구(31)를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저수 탱크(30)내의 물을 배수하도록 하고 있다. 수동 콕(32)의 선단에는, 배수 호스(33)를 접속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저수 탱크(30)로의 급수, 세정조(2)로의 급수 등의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저수 탱크(30)의 하부에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배수구(31)를 설치하고, 배수구(31)의 선단에 수동 콕(32)을 설치함으로써, 배수구(31)의 선단의 수동 콕(32)을 개방함으로써, 저수 탱크(30)내의 물은 배수 호스(33)를 통해 세척기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 탱크(30)내의 물을 장기간 방치하여도, 세정조(2)내로 급수하지 않고, 직접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2), 피세정물(14) 등이 오염되지 않는다.
또한, 수동 콕(32) 대신에 고무제의 배수 캡 등을 배수구(31)의 선단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수 탱크(30)의 하부에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배수구(31)를 설치하고, 배수구(31)의 선단에 수동 콕(32)을 설치하며, 배수구(31)를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저수 탱크(30)내의 물을 배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한 저수 탱크(30)내의 물을 세정조(2)내로 급수하지 않고, 직접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2), 피세정물(14) 등이 오염되지 않는다. 또한, 저수 탱크(30)내의 물의 배수를 배수구(31)의 개폐를 수동으로 실행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저수 탱크와 그 배수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배수 수단이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남은 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복잡한 구조의 분기 수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문가에 의한 설치 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성, 안전성,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저수 탱크내의 물을 세정조내로 급수하여 세정하는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깨끗한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에 저수된 깨끗한 물만을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세정조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수 탱크내의 깨끗한 물을 상기 급수 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고, 통상의 세정 운전을 실행하지 않고서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한 깨끗한 물을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해 직접 배수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 수단과 배수 수단을 동시에 동작시키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
  3.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깨끗한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에 저수된 깨끗한 물만을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수 탱크내의 물을 상기 세정조내에 급수하는 급수 경로에 상기 세정조로의 급수와 상기 저수 탱크내의 배수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전환 밸브를 상기 저수 탱크내의 배수로 전환하여, 상기 저수 탱크에 저수된 물을 직접 배수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
  4.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로 급수하는 깨끗한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수단은 소정 시간 방치후에 자동으로 동작하고, 상기 저수 탱크의 남은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
  5.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로 급수하는 깨끗한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수단은 코스 운전 종료후에 동작하여, 상기 저수 탱크의 남은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
  6.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로 급수하는 깨끗한 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에 저수된 깨끗한 물만을 상기 세정조내로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저수 탱크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수단은 상기 저수 탱크의 하부에 설치한 배수구를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한
    식기 세척기.
KR1020040092555A 2003-11-14 2004-11-12 식기 세척기 KR100683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4902A JP2005143789A (ja) 2003-11-14 2003-11-14 食器洗い機
JPJP-P-2003-00384902 2003-11-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056A Division KR20060126413A (ko) 2003-11-14 2006-11-15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628A KR20050046628A (ko) 2005-05-18
KR100683301B1 true KR100683301B1 (ko) 2007-02-15

Family

ID=346931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555A KR100683301B1 (ko) 2003-11-14 2004-11-12 식기 세척기
KR1020060113056A KR20060126413A (ko) 2003-11-14 2006-11-15 식기 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056A KR20060126413A (ko) 2003-11-14 2006-11-15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143789A (ko)
KR (2) KR100683301B1 (ko)
CN (2) CN100493437C (ko)
TW (1) TW2005187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8802B1 (en) 2010-11-08 2011-10-18 Whirlpool Corporation Reuse of wash liquid in dishwasher
US9192282B2 (en) 2010-12-14 2015-11-2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ystem with a reuse tank
US9516989B2 (en) 2010-12-14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ystem with a reuse tank
CN102283623B (zh) * 2011-06-02 2013-03-27 张志坚 一种超声波洗碗机
US9186034B2 (en) 2012-09-05 2015-11-1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of reusing liquid in a dishwasher
US8968483B2 (en) 2012-09-10 2015-03-0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using liquid in a dishwasher
CN105380582A (zh) * 2015-10-20 2016-03-09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和洗碗机的自动补水方法
CN107374537B (zh) * 2017-07-31 2021-04-2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控制方法和洗碗机
KR102412767B1 (ko) * 2017-08-31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9811506B (zh) * 2017-11-22 2022-08-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控制方法
CN110051309A (zh) * 2019-05-08 2019-07-26 泰州浩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商用洗碗机用的预处理智能水池
CN111588324B (zh) * 2019-09-25 2021-05-1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台式洗碗机双水源控制方法和台式洗碗机
CN113907669B (zh) * 2020-07-09 2024-05-24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洗涤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15477403B (zh) * 2021-11-30 2023-09-15 青岛海尔施特劳斯水设备有限公司 一种净水器的控制方法及净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429A (ja) * 2000-11-24 2002-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43789A (ja) 2005-06-09
KR20060126413A (ko) 2006-12-07
CN2768653Y (zh) 2006-04-05
KR20050046628A (ko) 2005-05-18
TW200518709A (en) 2005-06-16
TWI294278B (ko) 2008-03-11
CN100493437C (zh) 2009-06-03
CN1615790A (zh)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6413A (ko) 식기 세척기
JP2009090162A (ja) 靴洗浄装置及び靴洗浄方法
JP4675287B2 (ja) 食器洗い機
KR20090022733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4211544B2 (ja) 温水洗浄装置及びノズルの洗浄方法
JP2007075249A (ja) 食器洗い機
JP2007215882A (ja) 食器洗浄機
KR100327382B1 (ko) 서랍식 식기세척기
JP4780791B2 (ja) 食器洗い機
JP3777505B2 (ja) 食器洗浄機
JPH0938602A (ja) 洗浄機
JP2006110129A (ja) 食器洗い機
JP3218087B2 (ja) 浴槽の自動洗浄装置
KR200326663Y1 (ko) 폐세척수 자동 배출기능을 가지는 식기 세척기
KR0141764B1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장치
JP2003265339A (ja) 浴槽水再利用装置
KR19990048547A (ko) 식기 세척기의 동작 제어 방법
JPH0731574A (ja) 食器洗浄機
JP2005296422A (ja) 食器洗い機
JP2006149494A (ja) 食器洗い機
JPH0630887A (ja) 浴槽の自動洗浄装置
JP2000279356A (ja) 食器洗浄機
JP2001333876A (ja) 食器洗浄機
JP2001161622A (ja) 食器洗浄機
JP2002125905A (ja) 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