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884B1 -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은, 회전축에 관하여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 - Google Patents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은, 회전축에 관하여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884B1
KR100680884B1 KR1020037000478A KR20037000478A KR100680884B1 KR 100680884 B1 KR100680884 B1 KR 100680884B1 KR 1020037000478 A KR1020037000478 A KR 1020037000478A KR 20037000478 A KR20037000478 A KR 20037000478A KR 100680884 B1 KR100680884 B1 KR 10068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tension
tool
tool holder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784A (ko
Inventor
프란츠 하이머
Original Assignee
프란츠 하이머 마쉬넨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640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808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츠 하이머 마쉬넨바우 카게 filed Critical 프란츠 하이머 마쉬넨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29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23B31/1179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heating an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2Details of the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65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by temperature differential [e.g., shrink f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94Tool-support
    • Y10T408/95Tool-support with tool-retaining means
    • Y10T408/953Clamping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2Milling with cutter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 생크를 포함하는, 특히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이 회전축에 관하여 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클램핑 생크는, (7)에, 회전축에 관하여 중앙에 있으며, 공구의 보지용 생크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수용 개구부(9)를 지닌다. 압력끼워맞춤으로 공구의 보지용 생크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이 상기 수용 개구부의 원주방향 케이싱상에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램핑 생크의 (7)이 그것의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적어도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인장 스포크(13)를 지니며, 상기 인장 스포크들은 본질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한 인장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클램핑 표면이 상호 반경방향으로 이격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장 스포크(13)상에는 브리지 요소(19)들이 작용하는데,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그 요소들 사이의 원주방향 공간을 연결하며, 상기 인장 스포크(13)들에 대한 브리지 요소들의 부착의 포인트들 사이에서 측정된 코드 길이는 상기 인장 스포크(13)들이 인장력의 작용을 받을 때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은, 회전축에 관하여 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TOOL HOLDER FOR A TOOL, ESPECIALLY A BORING, MILLING OR RUBBING TOOL, WHICH CAN BE ROTATED ABOUT A ROTATIONAL AXIS}
본 발명은, 특히,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이, 회전축에 관하여 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드릴 또는 밀링 커터와 같은 회전성 고-정밀 공구의 경우에, 공구의 절삭 에지상의 불균일한 절삭을 회피하기 위하여 높은 수준의 작동 신뢰성이 필요하다. 공구들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상기 공구들을 클램프하기 위하여, 슝크 게임베하 운트 코. 카게(Schunk GmbH & Co. KG)는 “트리보스(Tribos)”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공구홀더를 제공하는데, 그것은 클램핑 생크의 환형으로 폐쇄된 단부 슬리브에 수용 개구부를 지니며, 상기 수용 개구부는 회전축에 관하여 중앙에 있으며, 공구의 보지용 생크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수용 개구부는 다각형 횡단면 형상을 지니는데, 그것의 다각형 측부사상에서 상기 단부 슬리브의 내측 원주방향 케이싱은 상기 보지용 생크를 압력끼워맞춤으로 체결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을 지닌다. 상기 공구를 삽입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반경방향 내향으로 향한 압축력이 상기 다각형의 코너 영역의 단부 슬리브에 가해져, 상기 수용 개구부의 횡단면을 원형으로 변화시키는데, 그것은 압력끼워맞춤을 배제시킨다. 여기서, 수용 개구부의 횡단면의 실질적인 증가는 없다. 오히려, 그 횡단면은 본질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공구의 보지용 생크는 그러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슬리브가 압축력에 의한 부하가 경감되면, 상기 수용 개구부는 다시 그 다각형 횡단면으로 복귀된다.
슝크에 의해 제공된 해결책, 예를들면, 프리츠 슝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가의 카타로그 제9901074-7, 5M-9/98호의 “트리보스-파워 쉬링킹"에 설명되어 있는 기능은 제공된 수용 개구부의 다각형 횡단면 형상에 의존한다. 이것은, 공구가 공구홀더에 클램프되는 보지력에 충족되어야 하는 요구조건에 과도하게 엄격하지 않게 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것은, 슝크에 의해 제공된 해결책의 경우에, 공구가 단지 다각형 측부의 영역에만 클램프되기 때문이다. 다각형의 코너 영역에 있어서, 단부 슬리브의 내측 원주 표면은 공구의 보지용 생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데, 따라서, 거기서는 보지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당한 경우에, 공구는 보지용 생크의 전체 원주에 걸쳐 클램프됨으로써, 예를들면, 그것이 큰 절삭 깊이 또는 큰 절삭력으로 공작물을 기계가공하도록 의도되는 경우에, 특히 큰 클램핑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것의 기능적 원리로 인하여, 상기 언급된 슝크 공구홀더는 그러한 경우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회전성 공구, 특히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용 공구홀더를 제공하는 기술적 문제점에 기초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램핑 생크를 포함하는, 특히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이 회전축에 관하여 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에 기초하는데, 상기 클램핑 생크는, 생크 단부 영역에, 회전축에 관하여 중앙에 있으며, 공구의 보지용 생크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수용 개구부를 지니며, 압력끼워맞춤으로 공구의 보지용 생크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이 상기 수용 개구부의 원주방향 케이싱상에 정렬된다.
본 발명은,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이 그것의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다수의 인장 스포크를 지니며, 상기 인장 스포크들은 본질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한 인장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클램핑 표면이 상호 반경방향으로 이격 전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장 스포크상에는 브리지 요소들이 작용하는데,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그 요소들 사이의 원주방향 공간을 연결하며, 상기 인장 스포크들에 대한 브리지 요소들의 부착의 포인트들 사이에서 측정된 코트 길이는 상기 인장 스포크들이 인장력의 작용을 받을 때 증가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공구홀더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포크들은, 클램핑 표면에 의해 형성된 공구홀더 클램핑 직경을 증가시키고, 또한 공구가 공구홀더에 클램프될 경우, 공구의 보지용 생크의 압력끼워맞춤을 배제하도록 인장하중을 받는다. 상기 인장 스포크의 그러한 인장하중은,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클램핑 표면의 편향과 관련이 없지만, 전체적으로 상기 수용개구부의 횡단면의 증가를 초래하는 클램핑 생크의 탄성변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그러한 작용원리는 상기 수용 개구부의 특정한 단면 형상과 무관하다. 특히, 원형의 수용 개구부 횡단면을 지닐 수 있는데, 그것은 공구의 보지용 생크가 전체 원주에 걸쳐 클램프되고 또한 그에 따라 큰 클램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장 스포크의 인장하중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상기 클램핑 생크의 변형은 전환가능한데, 그러한 이유로, 인장 스포크의 하중이 경감될 경우, 클램핑 표면은 그것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그것은 공구의 보지용 생크의 압력끼워맞춤에 상당한다.
상기 클램핑 생크의 수용 개구부는 공구의 보지용 생크의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원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지니지만, 그것은, 원칙적으로 상기 수용개구부가-슝크에 의해 제공된 해결책의 경우에-다각형 횡단면 형상을 지니는 상황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클램핑 생크는 기계공구의 작동 스핀들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예를들면 급-테이퍼 공구홀더 또는 중공형 급-테이퍼 공구홀더와 같은, 작동스핀들내로 삽입될 수 있는 공구홀더로 될 수도 있다.
수용 개구부를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인장스포크는,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순차적으로 인장하중을 받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구는, 상기의 인장 스포크들 모두가 동시에 인장하중을 받을 경우 아주 신속하게 삽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수용개구부의 반경방향 확장은, 상기 인장스포크내로 인장력의 도입이 시작됨과 동시에 즉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그것은, 상기 보지용 생크의 재료 탄성으로 인하여, 시간지연후에 자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생크의 변형이 특별히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인장스포크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횡단면 형상 및/또는 횡단면 크기를 지니는 것을 고려 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포크가 인장하중하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 될 경우, 상기 브리지 요소의 부착 포인트들은 동시에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상기 부착 포인트들 사이에서 측정된 브리지 요소 코드길이의 증가를 초래된다. 상기 브리지 요소는, 그 코드 길이가 그러한 방식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된다.
원칙적으로, 예를들면 인장로드와 같은, 별개의 인장 적용체가 외측으로부터 인장 스포크상에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 생크상의 형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비교적 디자인-관련 비용을 포함할 것이다. 인장스포크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하여 브리지 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브리지 요소의 적절한 하중은 클램핑 생크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인장 스포크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견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점은, 상기 브리지 요소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인장 스포크에 대한 부착 포인트들은, 상기 인장 스포크등이, 상기 브리지 요소들 내로 도입되는 특히 본질적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향한 압축력 형태의 코드-연장력으로 인한 인장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브리지 요소들내로 도입된 코드-연장력은 상기 브리지 요소들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브리지 요소들로부터 상기 연장스포크까지 전달된 인장 반응력은 압축끼워맞춤이 배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브리지 요소들의 코드 길이의 증가에 따른다.
인장 스포크의 경우에서와 같이, 원칙적으로 브리지 요소들의 경우에는, 브 리지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횡단면 크기 및/또는 횡단면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특히 정확한 해결책으로서, 브리지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며, 다소의 반경방향 압축 하중에 의해 평평하게 될 수 있는 멤브레인으로써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이 평탄하게 가압됨에 따라, 상기 인장 스포크는 상호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견인되며, 그 과정에서 압축끼워맞춤이 배재된다.
상기 멤브레인의 곡률은, 회전축에 관하여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인장스포크에 대한 멤브레인의 부착 포인트를 통과하는 원형 아크의 곡률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이것은 브리지 요소와 인장 스포크 사이에 유리한 힘-전달 조건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멤브레인들은 상기 인장 스포크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의 수용챔버에 고정방식으로 보지되는 별개의 인서트 부품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변형적으로, 가변 편향가능한 멤브레인으로서 설계되므로, 상기 브리지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중합체의 본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탄성중합체의 본체는 또한 상기 스포크의 인장하중을 초래하는 힘을 인장스포크에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상기 탄성중합체의 본체가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의 수용 챔버에 고정 방식으로 보지되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그것들은 도입되는 치유가능한 충전 물질로 인하여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연장력은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브리지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한가지 가능성은, 상기 코드 연장력이 상기 브리지 요소들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특히 유압 매체 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 챔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 챔버 시스템의 압력 챔버는 압력 매체에 의해 팽창된다. 이러한 팽창은 상기 클램핑 생크의 압력-챔버-경계 재료 영역의 탄성 변형을 초래하며, 그것은 상기 브리지 요소들이 하중을 받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챔버의 팽창은, 상기 압력 챔버 시스템이 상기 브리지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될 경우 특히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선택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클램핑 생크는 상기 클램핑 생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압력 적용체에 대한 부착 표면을 지닐 수 있으며, 그것을 통하여, 코드 연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압축력이 상기 클램핑 생크내로 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 표면은 상기 브리지 요소상에 직접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요소들이,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의 수용챔버에 고정 방식으로 보지되는 도입 부품 또는 인서트로서 설계될 경우, 상기 수용챔버는 슬롯들의 영향으로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그것을 통하여, 상기 가압체는 브리지 요소내로 도입되어 그 브리지 요소들과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은 힘-도입 링을 지닐 수도 있는데, 상기 힘-도입 링은,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상기 브리지 요소들을 둘러싸고, 특히 반경방향 압력 웨브에 의해 상기 브리지 요소들에 일체로 연결되며, 부착 표면들을 지닌다. 상기 부착 표면들은 상기 힘-도입 링의 대부분의 표면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힘-도입 링과 가압체 사이의 표면 압력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웨브로 인하여, 상기 가압체를 통하여 도입된 압축력은, 상기 인장 스포크의 인장 하중으로 적절히 전화되는 압축력 도입에 가장 유리한 우위치에서 상기 브리지 요소들에 집중되도록 도입될 수 있다. 인접한 인장 스포크들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제시된 바와같이, 상기 압력 웨브들이 다소 중앙에 정렬될 경우에,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인장 스포크의 수는 제한이 없지만, 3개, 4개 또는, 5개의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인장 스포크들이, 상기 브리지 요소내로 힘의 도입에 의해 상기 인장스포크의 인장 하중이 달성되는 실시예에서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브리지 요소내로 힘의 도입에 대한 변형으로서, 상기 클램핑 생크에 기계적 열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인장스포크의 원하는 인장하중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개선점으로서,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상기 인장 스포크를 둘러싸며 특히 그것에 인장-저항 방식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인장 링의 일부로되며, 상기 공구홀더는 가열장치에 할당되며, 그 가열장치를 통하여, 상기 인장 링은 상기 인장 스포크가 인장하중을 받도록 반경방향으로 열 팽창 될 수 있다. 단기간에 상기 인장 링의 신속한 가열이 반경방향 온도차이를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인장 링과 상기 인장 스포크사이의 기계적 열응력을 발생시키는데, 그것은 상기 인장스포크를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견인하며, 상기 수용개구부의 직경의 증가를 초래한다. 상기 가열장치에 의한 열의 도입은 상기 클램핑 생크의 전체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의 도입은 국부적으로 집중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인장스포크들 사이의 영역에 현저하게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스포크가 받는 합성 인장력은, 열장벽이 상기 클램핑 생크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을 차단하거나 또는 적어도 제한할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상기 클램핑 생크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에 열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인장스포크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인장 링의 영역은, 상기 챔버들을 절연함으로써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으로부터 열적으로 격리된다. 부가의 냉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챔버들이 냉각제로 채워지거나, 또는 적어도 공구가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 강제될 공기 유동이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호간에 반경방향으로 이격 전개되는 상기 클림핑 표면의 작동은, 상기 클램핑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클램핑 생크의 반경방향 내측 원주 영역이,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포크에 연결되는 다수의 독립한 원주 세그먼트로 분할됨으로써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은, 설계의 관점에서 환형으로 폐쇄된, 특히 단일 피스의 단부 슬리브에 의해 직선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경우 내측의 원주방향 케이싱은 클램핑 표면을 형성한다.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인장 스포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 슬리브의 외측 원주 케이싱에 관하여 특히 반경방향으로 폐쇄되는, 다수의 적어도 다소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컷아웃들이 단부 슬리브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스포크는 상기 컷아웃들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유지되는 상기 단부 슬리브의 재료 웨브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인장 스포크들은, 상기 단부슬리브가 상기 클램핑 생크의 베이스 본체로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그것에 견고하게 연결될 경우 상기 단부슬리부에 형성되도록 특히 직선형으로 된다. 따라서, 축방향 단부 측부 양자로부터 단부 슬리브를 기계가공할 수 있다.
상기 공구홀더의 회전 작동중에는 원심력이 발생한다. 그러한 원심력은, 그 특성상, 상기 클램핑 생크의 모든 영역에, 다시 말하면 상기 인장스포크와 브리지 요소에 작용한다. 상기 원심력은 상기 인장 스포크를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변위시키려할 것이며, 그 결과, 상기 수용 개구부가 반경방향으로 확대될 것이다. 그것은 상기 수용개구부에서 공구의 보지용 생크의 압력끼워맞춤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데, 그것은 원심력에 의해 약화되며, 상기 공구에서 최악의 경우에 완전히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경우에,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적절한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공구의 보지용 생크의 클램핑의 그러한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공구홀더의 회전작동중, 그것들이 반경 방향 외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인장스포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는 압축력을 인장스포크에 가하도록 브리지 요소들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공구의 보지용생크의 압력끼워맞춤 작용이 원심력에 따라 향상되는 과-보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가의 개선점은, 상기 클램핑 생크가 회전축에 관하여 회전할 경우, 원심력의 영향하에서, 상기 브리지 요소들이, 상기 인장 스포크의 원심 경향을 방해하는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향한 압축력에 상기 인장 스포크를 종속시키는 원심-하중 요소로서 설계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특히, 상기 원심-하중 요소는, 상기 클램핑 생크가 회전할 경우, 원심력의 영향하에서, 상기 인장 스포크들이, 상기 공구의 보지용 생크의 압축끼워맞춤을 향상시키는 압축력을 받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원심-하중 요소는, 예를들면, 상기 인장스포크들 사이의 다소 중심에 배치된 영역에서 특히 큰 원심력을 받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그것들은 두껍게된 부분을 지니거나 또는 부가의 하중을 지닌다.
상기 브리지 요소들에 의한 상기 인장 스포크들의 원심화 경향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보정이, 상기 브리지 요소들 내로 외측의 힘의 도입원리에 기초한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수용개구부들이 열에 의해 확장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도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홀더의 실시예의 축방향 종단면도를 제시한다.
도 2 는 상기 공구홀더의 정상 상태에서 도 1 의 선 Ⅱ-Ⅱ를 따른 축방향 횡단면도를 제시한다.
도 3 은 공구홀더가 압축하중을 받는 도 2 에 상당하는 도면을 제시한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홀더의 변형예의 도 2 및 도 3 과 유사한 횡단면도를 제시한다.
도 6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홀더의 부가의 변형예들의 도 2 와 유사한 횡단면도를 제시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클램핑 생크(1)를 갖는 급-테이퍼 공구홀더를 제시하는데, 상기 클램핑 생크(1)는, 공구로부터 이격된 단부에서, 회전축(3)에 관하여 중앙에 있는 급 테이퍼(5)를 지니며, 그것을 통하여 생크는 기계 공구의 작동 스핀들(도시되지 않았음)의 상보적인 급-테이퍼 마운트 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스핀들은 상기 회전축(3)과 동축으로 회전한다. 상기 공구의 주변에 있는 일단부에서, 상기 클램핑 생크(1)는 수용 개구부(9)를 포함하는 환형으로 폐쇄된 단부 슬리브(7)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클램핑 생크는 회전축(3)에 관하여 중앙에 배치되며, 특히 드릴링 또는 밀링 공구와 같은 회전공구의 보지용생크(11 ; 점선으로 도시됨)를 압력끼워맞춤으로 체결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보지용 생크(11)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 디자인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슬리브(7)는, 상기 수용 개구부(9)에 맞물리는 보지용 생크(11)의 영역이 압력끼워맞춤으로 보지되도록 하는 끼워맞춤 크기를 갖는 상보적 내측-케이싱 형상을 지닌다.
상기 보지용생크(11)가 상기 수용 개구부(9)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개구부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 슬리브(7)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다수의,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장스포크(13)를 지니며, 상기 인장 스포크는, 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면, 본질적으로 반경향으로 연장하여, 반경방향 내측 방향으로 환형으로 폐쇄된 슬리브 영역(15)내로 일체로 합체되며, 상기 슬리브 영역은 그것의 내측 원주방향 케이싱을 통하여 수용개구부(9)에 접한다. 후술되는 바와같이, 상기 인장스포크(13)의 반경방향 인장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슬리브 영역(15) 및 상기 수용개구부(9)의 직경은, 공구의 보지용 생크(11)가 그것의 압력끼워맞춤으로부터 자유롭게되어, 수용 개구부(9)로 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그 수용개구부내로 폐색될 수 있는 정도까지 반경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다.
특히 도 2 및 도 3 에 제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중공 챔버(17)들이 인장 스포크(13)를 형성하도록 단부 슬리브(7)에 대략 축방향으로 제조되는데, 상기 인장 스포크는 중공의 챔버(17)들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유지되는 재료 웨브에 의해 형성된다. 축방향 횡단면에서, 상기 단부슬리브(7)의 재료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는 상기 중공의 챔버(17)는, 원형 아크의 형태로 만곡되어, 인접 인장 스포크(13)의 쌍들 사이에서 원주방향 공간을 연결하는 멤브레인형 브리지요소(19)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접한다. 그것들은 상기 단부 슬리브(7)의 반경방향 외측 환형 영역의 일부이며, 상기 인장 스포크(13)는 상기 환형의 영역으로 일체로 합체된다. 상기 브리지 요소(19)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한 압축력을 받음으로써 평탄화된다. 이것은, 상기 인장 스포크(13)에, 상기 인장스포크(13)에 대하여 견인되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한 성분을 포함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인장 스포크(13)의 그러한 인장 하중은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수용개구부(9)를 초래한다.
도 2 는 상기 브리지 요소(19)에 압축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 개구부(9)는 상기 회전 생크(11)의 압력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하 는 직경을 지닌다. 상기 수용 개구부(9)의 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리지 요소(19)는 상기 언급된 압축 하중을 받는다. 도 3 은,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부터 상기 브리지 요소(19)에 대하여 전진되어, 상기 공구 홀더가 공구의 삽입 및 제거를 위해 클램핑되는 클램핑장치(더이상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음)에 속하는 클램핑 조(21)를 제시한다. 상기 브리지 요소(19)들이 평평하게 가압됨에 따라, 상기 단부 슬리브(7)의 외축 원주방향 케이싱은 다소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취한다. 여기서, 상기 인장 스포크(13)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견인되며, 그 결과, 상기 반경방향 내측 슬리브 영역(15)은 압축끼워맞춤을 배제하는 정도까지 반경방향으로 확대된다. 상기 단부 슬리브(7)의 이러한 변형 상태는 도 3 에서 실선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 도면의 연쇄점선은 상기 공구를 압력끼워맞춤으로 클램핑하는 변형되지 않은 단부 슬리브(7)의 본래 형상을 도시한다. 상기 수용 개구부(9)의 반경방향 확대부는 실제로, 예를들면 압력끼워맞춤을 배제하기에 충분한, 수십 ㎛ 정도로 변화된다. 도시를 위해, 상기 변형되지 않은 단부 슬리브와 변형된 단부 슬리브 사이의 차이는 도 3 에서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 요소(19)들이 압축하중을 받으면, 상기 단부 슬리브(7)는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그러한 이유로, 상기 클램핑조(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단부 슬리브(7)가 그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며, 상기 반경방향 내측 슬리브 영역(15)은 그것의 본래의 범위까지 다시 좁아진다.
상기 브리지 요소(19)들은, 상기 각각의 브리지 요소들이 관련된 인장 스포크(13)에 연결되는 영역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코드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도 2 는 그러한 브리지 요소(19) 상부에 대한 코드를 도시한다. 상기 코드는 참조번호 23으로 지시되어 있다. 그것은 상기 브리지 요소(19)의 2개의 실질적인 부착 포인트를 관련된 인장 스포크(13)에 연결한다. 상기 인장스포크(13)내로 일체로 합체되는 브리지 요소(19)들로 인하여, 상기 브리지 요소(19)의 확실히 국지화된 부착포인트를 인장 스포크(13)에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부착영역이 여기서 기초를 형성한다는 것이 확실하다. 그러나, 간단히 하기 위해, 도 2 는 2개로 형성된 부착 포인트(25)의 이상적인 경우를 제기한다.
상기 브리지 요소들(19)이, 상기 클램핑조(21)에 의한 하중을 받은 결과, 외측으로 평탄하게 전개되고, 따라서, 상기 인장 스포크(13)가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부착 포인트(25)는 동시에 반경방향 외향으로 변위된다. 도 3 은 변위된 부착 포인트들과, 그것들 사이에 연장된 코드를 도시한다. 그것들은 각각 참조번호 25′와 23′로 지시되어 있다. 더우기, 비교를 위해, 점선들은 상기 단부 슬리브(7)의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코드(23)를 부착 포인트(25)와 함께 도시한다. 상기 수용개구부(9)의 반경방향 확대는 상기 코드 길이의 증가에 수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코드의 그러한 연장은 단부 슬리브(7)의 변형 작동의 특성이며, 그것은 압력끼워맞춤을 배제되도록한다.
상기 인장스포크(13)와 상기 브리지 요소(19)가 보다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 슬리브(7)는 별개로 형성된 성분이며, 그 경우, 중공의 챔버(17)들이, 예를들면 드릴링 또는 침식에 의해 하나 또는 2개의 축방향 측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준비된 단부 슬리브(7)는, 예를들면 마찰 용 접에 의해, 상기 클램핑 생크(1)의 기본적 본체(27)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공구로부터 이격되는 축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슬리브(7)는, 내경을 증가시켜 상기 단부 슬리브(7)가 상기 반경방향 내측 영역에서 보다 용이하게 기계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리세스(29)를 더 지닐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9)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구의 주변에 있는 상기 슬리브 단부로부터의 축방향 공간에 있는 단부 슬리브(7)에 컷아웃 슬롯(31)들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슬롯들은 상기 멤브레인(19)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멤브레인(19)은 따라서 그것들의 양축방향에지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나머지 도면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대등한 구성요소들이 도 1 내지 도 3 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구비하지만, 문자의 첨자가 부가된 변형예를 제시한다. 반복은 피하기 위해, 상기 기술된 예시적 실시예들과의 본질적인 차이점들만 후술될 것이다.
도 4 및 도 5 는, 상기 반경방향 내측 슬리브 영역(15a)이 중공챔버(17a)와 수용개구부(9a) 사이의 얇은 벽으로된 영역에서 다수의 분리 컷트(33a)에 의해 다수의 원주 세그먼트(35a)로 세분되는 점에서만 상기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와 다른 변형예를 제시한다. 각각의 원주 세그먼트(35a)들은 각각의 경우에 인장 스포크(13a)들 중 하나에 걸려 있다. 분리 컷(33a)으로 인하여, 상기 인장 스포크(13a)들은 반경방향 내측방향으로 상호간에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이것은, 상기 수용개구부(9a)가 비교적 적은 힘의 적용에 의해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는, 상기 분리 컷(33a)의 영역에서 상기 세그먼트(35a)들이 서로에 대 하여 인접할 수 있는, 상기 단부 슬리브(7a)의 부하를 받지 않는 상태를 제시하지만, 도 5 는 확대된 수용 개구부(9a)를 갖는 상기 슬리브의 변형된 상태를 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 컷(33a)은 비교적 큰 갭을 형성하도록 확대된다.
도 6 은, 상기 단부 슬리브(7b)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원형 외측 원주형상을 지니는 변형예를 제시한다. 그것은 3개의 코너 영역을 갖는 대체로 다각형의 횡단면을 지니며, 상기 멤브레인(19b)이 상기 다각형 측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멤브레인(19b)의 곡률은 이전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곡률보다 더 작다. 상기 멤브레인(19b)의 약간 평탄화된 형상은, 상기 인장 스포크(13b)의 인장하중으로 전환되는, 멤브레인(19b)내로 도입되는 힘에 비하여 특히 유리한 힘의 조건을 초래한다.
도 6 의 변형예에 있어서, 중공형 챔버(17b)는 바나나 형으로 만곡되어 원주방향으로 가늘고 길게되는 슬롯으로서 설계된다. 그러나, 상기 멤브레인(19b)의 압축하중은, 상기 인장 스포크(13b)와 상기 반경방향 내측 원주 세그먼트(35b)가 상기 예시적 실시예들의 경우와 동일한 인장 작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7 은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4개의 인장 스포크(13c)를 구비한 변형예를 제시한다. 상응하게, 4개의 멤브레인(19c)이 제공된다. 도 6 의 예시적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멤브레인(19c)은, 회전축에 관하여 중앙에서 상기 인장스포크(13c)를 둘러싸는 가상의 원의 라인보다 더 작은 정도로 만곡되어 있다.
도 8 은, 일체형 구성부분으로서의 단부 슬리브(7d)가, 반경방향 공간에서 환형의 영역(20d)을 둘러싸는, 부가의 환형의 영역(37d)을 지니는 변형예를 제시한다. 상기 2개의 환형의 영역(20d, 37d)은, 원주방향으로 제시된 바와같이, 상기 멤브레인(19d) 상에서 본질적으로 중앙에 작용하는 압력 웨브(39d)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상기 인장 스포크(13d)의 반경방향 연장부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영역(37d)과 상기 환형의 영역(20d) 사이에는 부가의 연결로드(41d)가 제공된다. 상기 수용개구부를 반경방향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환형의 영역(37d)은, 도 3 에 제시된 바와같이, 예를들면 클램핑 조들을 통하여, 압력 웨브(39d)은, 표면압력을 허용가능한 한도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표면적에 걸쳐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압력 웨브(39d)들은 도입된 힘이, 원주방향에서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 (19d)의 중심영역에 집중되도록 한다. 이것은, 상기 클램핑 조들이 상기 압력 웨브(39d)에 관하여 집중되는 방식으로 외측 링(37d)에 대하여 가압되지 않을때 조차, 각각의 경우에 멤브레인(19d)에 연결된 인장 스포크(13d)의 쌍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는 도입된 힘을 초래한다.
도 9 의 변형예에 있어서, 힘이 상기 멤브레인(19e)내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 슬리브(7e)는 일반적인 유압 압력-매체 공급원(45e)에 연결되는 압력 챔버(43e)의 내측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 챔버(43e)가 상기 압력-매체 공급원(45e)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환형으로 폐쇄된 분배기 채널이 상기 단부 슬리브(7e)와 상기 클램핑 생크의 기본적 본체 (도1참조) 사이의 축방향 연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배기 채널은 상기 압력 챔버(43e)와 연통하여 펌핑 생크의 압력-매체 입력 연결부에 이르는데, 상기 압력 매체 공급원 (45e)이 상기 펌핑 생크의 압력-매체 입력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의 압력-매체 공급부도 가능하다.
상기 압력 챔버(43e)들은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상기 멤브레인(19e)에 바로 인접된다. 압력 매체가 압력 챔버(43e)내로 도입되면, 상기 압력 챔버는 반경방향으로 본질적으로 팽창하며, 그 결과, 상기 멤브레인(19e)은 반경방향 내측 방향으로 평탄화되어, 상기 인장스포크(13e)가 상세히 전술된 바와같은 인장하중을 받도록 한다.
도 10의 변형예는, 상기 단부 슬리브(7f)의 일체형 구성 부품으로되는, 단부 슬리브(7f)의 중공형 챔버(17f)내로 삽입되는 별개의 도입 부분으로서 설계되는 멤브레인(19f)을 제공한다. 상기 멤브레인(19f)은, 예를들면, 중공형 챔버(17f)의 원주방향 대향에지 영역에 지지되는 스프링-강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중공형 챔버(17f)는 상기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부터 관통-통로(47f)를 통하여 접근가능한데, 상기 관통 통로는 상기 단부 슬리브(7b)의 외측 원주방향 케이싱으로부터 중공챔버(17f)까지 계속된다. 상기 관통-통로(47f)를 통하여 램(21f)들이 도입될 수 있으며, 그 램들은 상기 수용개구부(9f)를 확대하기 위하여 스프링-강 멤브레인(19f)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11은, 제공된 브리지 요소들이, 얇은 벽으로 된 멤브레인이기 보다는 차라리, 단부슬리브(7g)의 챔버(17g)에 수용되는, 예를들면 경질의 고무로 제조된 탄성중합체 본체(19g)로 된다는 점에서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다른 변형예를 제시한다. 상기 탄성중합체 본체(19g)는 상기 챔버(17g)에 조립되어 상기 챔버내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챔버를 충전함으로써 챔버(17g)에 형성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수용개구부(9g)는 상기 탄성중합체 본체(19g)내로 밀어넣어지는 램(21g)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다. 상기 램(21g)에 의해 중앙에 압축되는 탄성중합체 본체(19g)는, 원주 방향 팽창에 의해 상기 압축하중을 회피하고자한다. 그러한 경우에, 그것들은, 상기 챔버(17g)들의 원주방향 대향 벽 영역이, 탄성중합체 본체(19g)와 챔버(17g)의 적절한 성형으로 인하여, 상기 인장스포크(13g)의 인장하중을 초래하는 힘을 받도록한다.
도12 내지 도 16은, 상기 브리지 요소내로 외부힘의 도입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견인되는 인장스포크 보다는 차라리, 상기 수용 개구부가 상기 단부 슬리브내로 열의 도입에 의해 열적으로 확대되는 변형예를 제시한다. 그것을 위해, 도 12 는 단부 슬리브(7h)의 비교적 두꺼운 벽으로된 환형 영역(20h)내로 그러한 양의 열을 신속하고 또한 단기간에 도입하는 가열 장치(49h)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상기 환형의 영역은 상기 단부 슬리브(7h)의 외측 원주 케이싱을 형성하고, 상기 기계적 열 응력은 상기 단부 슬리브(7h)에서 발생하며, 그러한 응력은 인장 스포크(13h)를 반경방향 외향으로 견인한다. 상기 가열 장치(49a)는, 단부 슬리브의 원주 전반에 걸쳐 열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상기 단부슬리브(7h) 내로 열을 도입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49h) 가 그것의 열의 도입을 본질적으로, 상기 인장 스포크(13h) 들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 슬리브 (7h)의 원주 영역에 제한할 경우에 그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는 단부 슬리브(7h) 주위에서 상호 이격되는 가열 노즐(53h)을 지시한다. 상기 가열 노즐(53h)은 예를들면 따뜻한 공기 또는 고온의 스팀을 방출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가열 노즐 대신에, 예를들면, 유도코일과 같은 다른 가열용 서브어셈블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형 챔버(17h)들은 상기 단부 슬리브(7h)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에 관하여 상기 환형의 영역(20h)의 열적 차단을 보장하며, 그 결과, 상기 내측 슬리브(7h)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은 가열에 대하여 잘 보호되며, 따라서 큰 기계적 열 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중공 챔버(17h)의 차단작용은 냉각제 충전 또는 중공형 챔버(17h)에서 냉각용 공기의 순환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단부 슬리브(7h)의 열에 의한 확대는 또한 역전될 수 있다. 열의 도입이 완료되면, 상기 수용 개구부(9h)는 그것의 압력 끼워 맞춘 크기까지 다시 좁아진다.
도 12 는, 단부 슬리브(7h)가 원형의 외측 원주 형상으로되고, 5개의 인장 스포크(13h)를 갖는 변형예를 제시하지만, 도 13은 단부 슬리브(7i)가 대체로 다각형, 다시 말하면, 정사각형의 외측 원주 형상으로되고 4 개의 인장 스포크(13i)를 갖는 변형예를 제시한다. 축에 수직한 횡단변으로 제시된 바와같이, 도 13 의 예시적 실시예의 챔버(17i)들은, 다각형 측부를 따라 정렬되는 가늘고 긴, 편리한 타원형 슬롯으로서 설계된다.
도 14 는, 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슬롯으로서 설계되는 챔버(17k)들을 갖는 변형예를 제시한다. 여기서는, 예를들면 10 내지 20개의 다수의 인장 스포크(13k)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의 변형예는, 축에 수직한 횡단면에서, 대체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달 걀 및 테이퍼의 형태로 설계되는 챔버(17l)를 지닌다. 반경방향 내측 슬리브 영역을 분할하는 분리 컷 또는 슬릿(33l)들이, 원주 방향으로 제시된 바와같은, 챔버(17l)들 사이에 정렬되어, 인접 챔버(17l)들 사이의 영역내로 반경방향으로 충분히 연장한다. 이러한 배치는 각각 분리 슬릿(33l)에 의해 분리되고, 인접한 챔버(17l)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 형성되는 2 개의 인장 스포크(13l)를 초래하는데, 각각의 반경방향 내측 슬리브 세그먼트(35l)가 2개의 인장스포크(13l)에 연결된다.
도 16 의 변형예는, 챔버(17m)가 타원형 횡단면이 아닌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대체로 사다리꼴 횡단면을 지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5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동일하다.
특히, 도2내지 도 9의 멤브레인 해결책의 경우에, 또한 일부분의 상황에서는 더 적은 정도로서 열에 의한 해결책의 경우에, 상기 브리지 요소의 중심 영역은 공구 홀더의 회전작동중에 발생하는 원심력의 결과로서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약간의 이동은 상기 브리지 요소의 보다 현저한 곡률을 초래한다. 압력끼워맞춤이 해제될 때의 조건에 비하여, 상기 브리지 요소들의 그러한 변형은 상기 인장 스포크의 반경방향 내향의 압축하중을 초래하며, 그것은 상기 인장 스포크의 원심 경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제한다. 그러한 효과는, (예를들면, 도2 및 도4에서와 같이) 대체로 원형의 외측 원주형상을 갖는 단부 슬리브의 경우와, (예를들면,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대체로 다각형의 최측 원주형상을 갖는 단부 슬리브의 경우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효과가 특히, 현저하게 됨으로써, 상기 인장 스포크의 원심경향이 과-보정되어, 공구의 보지용 생크의 향상된 가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요소의 중앙의 영역의 상기 언급된 이동은 상기 브리지 요소의 적절한 형태에 의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것에 관하여는, 도2를 다시 한번 참조하면 된다. 그 도면은, 도면의 상부에 있는 브리지 요소(1l)상에, 부가의 원심하중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브리지 요소(1l)의 중앙 영역에 특히 현저한 원심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두껍게 된 재료부분(57; 점선으로 지시됨)을 제시한다. 상기 브리지 요소(1l)의 그러한 비-균일 매스 분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예를들면, 분리하중의 제공과 같은, 지시된 두껍게된 재료 부분에 대한 변형도 가능하다.
상기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힘의 도입 또는 외부 열의 도입은 상기 인장 스포크들이 인장 작용을 받게하여, 그 인장 작용은 반경방향으로 단부 슬리브를 팽창하게 하고 압력끼워맞춤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단부 슬리브의 횡단면 형상 및 상기 인장 스포크, 브리지 요소 및 중공챔버의 형태는 크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중공챔버의 형태에 따라, 예를들면, 상기 인장 스포크가 반경방향으로 현저히 상이한 길이 및 위치를 지니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장 스포크와 중공챔버의 수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의 실질적인 형태는, 특히, 소기의 클램핑력, 상기 수용개구부의 반경방향 확장의 원하는 정도 및 클램핑 생크의 재료와 그것의 변형특성에 따를 것이다.

Claims (24)

  1.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이 회전축(3)에 관하여 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로서,
    상기 회전축(3)에 관하여 중앙에 있으며 상기 공구의 보지용 생크(11)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수용 개구부(9)와 압력끼워맞춤으로 공구의 상기 보지용 생크(11)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개구부(9)의 원주방향 케이싱상에 정렬되어 있는 클램핑 표면을 상기 생크 단부 영역(7)에 가지는 클램핑 생크(1)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생크(1)의 생크 단부 영역(7)은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다수의 인장 스포크(13)를 지니며, 상기 인장 스포크들은 본질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한 인장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클램핑 표면이 상호 반경방향으로 이격 전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장 스포크(13)상에는 브리지 요소(19)들이 작용하는데,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그 요소들 사이의 원주방향 공간을 연결하며, 상기 인장 스포크(13)들이 인장력의 작용을 받을 때 상기 인장 스포크(13)들에 대한 브리지 요소들의 부착 포인트(25)들 사이에서 측정된 코드 길이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요소(19)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인장 스포크(13)에 대한 상기 브리지 요소의 부착 포인트(25)는, 상기 인장 스포크(13)가, 상기 브리지 요소(19)내로 도입되는, 특히, 본질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한 압축력 형태의 코드 길이 연장력으로 인한 인장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멤브레인(19)으로서 설계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회전축(3)의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며, 다소의 반경방향 압축 하중에 의해 평탄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9b)의 곡률은, 상기 회전축에 관하여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인장스포크(13b)에 대한 멤브레인(19b)의 부착 포인트를 통과하는 원형의 아크의 곡률보다 더 작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9)은 상기 인장 스포크(13)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9f)은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7f)의 수용 챔버(17f)에 고정 방식으로 보지되는 별개의 인서트 부품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요소(19g)들 중 적어도 일부는 탄성중합체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본체(19g)는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7g)의 수용 챔버(17g)에 고정방식으로 보지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챔버(17g)내로 도입되는 치유가능한 충전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7e)은, 상기 코드 길이 연장력이 상기 브리지 요소(19e)내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특히 유압 압력-매체 공급원(45e)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챔버 시스템(43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챔버 시스템(43e)은 상기 브리지 요소(19e)에 의해 부분적으로 원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생크(1)는 그 클램핑 생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가압체(21)에 대한 부착 표면을 지니며, 그것을 통하여, 코드 길이 연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압축력이 상기 클램핑 생크(1)내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표면들이 상기 브리지 요소(19)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요소(19f)가,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7f)의 수용 챔버(17f)에 고정 방식으로 보지되는 별개의 인서트 또는 도입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경우, 상기 수용 챔버(17f)는 슬롯(47f)의 영향으로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가압체(21f)가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7d)는 힘-도입 링(37d)을 지니는데, 상기 링은 상기 브리지 요소(19d)들을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둘러싸며, 특히 반경방향 압력 웨브(39d)에 의해 상기 브리지 요소(19d)에 일체로 연결되며, 부착 표면들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웨브(39d)는, 원주방향으로 보아, 인접 인장 스포크(13d) 사이의 대체로 중앙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6. 제2항에 있어서, 3개, 4개 또는 5개의 인장 스포크(13)들이 원주방향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요소(19h)들은, 상기 인장 스포크(13h)를 둘러싸며 특히 그것에 인장-저항 방식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인장 링(20h)의 부분으로 되며, 상기 공구홀더는 가열 장치(49h)에 할당되는데, 상기 가열 장치를 통하여, 상기 인장 링(20h)은 상기 인장 스포크(13h)가 인장 하중을 받도록 반경방향으로 열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포크(13h)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인장 링(20h)의 영역은 챔버(17h)를 차단함으로써 클램핑 생크의 생크 단부 영역(7h)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으로부터 열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클램핑 생크의 반경방향 내측 원주 영역(15a)이 다수의 별개의 원주방향 세그먼트(35a)로 분할되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포크(13a)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생크(1)의 생크 단부 영역(7)은 환형으로 폐쇄된, 특히, 단일-피스 단부 슬리브(7)에 의해 형성되며, 그것의 내측 원주방향 케이싱은 클램핑 표면을 형성하며,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상기 단부 슬리브(7)의 외측 원주방향 케이싱에 관하여 특히 반경방향으로 폐쇄되는, 적어도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컷아웃(17)들이, 상기 인장 스포크(13)를 형성하도록 단부 슬리브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슬리브(7)는 상기 클램핑 생크(1)의 기본 본체(27)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그것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부(9)는, 상기 인장 스포크(13)의 부하가 경감될 경우 본질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요소(19)는, 상기 클램핑 생크가 상기 회전축(3)에 관하여 회전할 경우, 원심력의 영향하에서, 상기 인장 스포크(13)가, 인장 스포크(13)의 원심 경향을 방해하는 본질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한 압축력을 받는 원심-하중 요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하중 요소(19)는, 상기 클램핑 생크(1)가 상기 회전축(3)에 관하여 회전할 경우, 원심력의 영향하에서, 상기 인장 스포크(13)가, 공구의 보지용 생크(11)의 압력끼워맞춤을 향상시키는 압축력을 받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KR1020037000478A 2000-07-14 2000-07-14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은, 회전축에 관하여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 KR100680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0/006760 WO2002005992A1 (de) 2000-07-14 2000-07-14 Werkzeughalter für ein um eine drehachse drehbares werkzeug, insbesondere ein bohr-, fräs- oder reibwerk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784A KR20030029784A (ko) 2003-04-16
KR100680884B1 true KR100680884B1 (ko) 2007-02-08

Family

ID=816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478A KR100680884B1 (ko) 2000-07-14 2000-07-14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은, 회전축에 관하여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17072B1 (ko)
EP (1) EP1301304B2 (ko)
JP (1) JP4651909B2 (ko)
KR (1) KR100680884B1 (ko)
AT (1) ATE304419T1 (ko)
DE (1) DE50011189D1 (ko)
DK (1) DK1301304T3 (ko)
ES (1) ES2248098T5 (ko)
WO (1) WO20020059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402B1 (ko) * 2023-02-13 2024-04-24 미르호주식회사 스톱링 일체형 공구 고정 콜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5383B4 (de) 2000-12-27 2015-03-12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halter für ein um eine Drehachse drehbares Werkzeug
ITMI20032531A1 (it) * 2003-12-19 2005-06-20 Nuvera Fuel Cells Europ Srl Cella a combustione a membrana alimentata in
DE102004042770A1 (de) * 2004-06-14 2005-12-29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halter für ein Rotationswerkzeug
DE502004002580D1 (de) * 2004-12-13 2007-02-15 Schunk Gmbh & Co Kg Spanneinrichtung
JP4785455B2 (ja) * 2005-07-29 2011-10-05 アルファナ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レットチャック及び旋削品製造方法
US7367763B2 (en) * 2005-12-15 2008-05-06 Kennametal Inc. Shrink fit tool holder with grooves
DE102005061012B4 (de) * 2005-12-19 2008-11-27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Spanneinrichtung
JP2008229801A (ja) * 2007-03-22 2008-10-02 Daishowa Seiki Co Ltd 工具ホルダ
DE102008060374A1 (de) * 2008-08-29 2010-03-04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Dämpfungshülse
JP5386256B2 (ja) * 2008-09-29 2014-01-15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チャック
US9447823B2 (en) * 2008-10-23 2016-09-20 Micro Turbine Technology Bv Rotary connector for a rotating shank or axle
NL2002128C (en) * 2008-10-23 2010-04-26 Univ Delft Tech Rotary connector for a rotating shank or axle.
GB2467948A (en) * 2009-02-20 2010-08-25 Air Bearings Ltd Thermal shrinking chuck with inner gripping member thermally decoupled from chuck body
JP4522493B1 (ja) * 2010-02-19 2010-08-11 博明 山本 バランサー
US8292150B2 (en) 2010-11-02 2012-10-23 Tyco Healthcare Group Lp Adapter for powered surgical devices
US8740314B2 (en) 2011-01-11 2014-06-03 Joy Mm Delaware, Inc. Bit holding system with an opening for removal of broken bits
DE102011054750B4 (de) * 2011-10-24 2014-08-21 Stego-Holding Gmbh Kühl- und Haltekörper für Heizelemente, Heiz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ühl- und Haltekörpers
DE102011054752B4 (de) 2011-10-24 2014-09-04 Stego-Holding Gmbh Kühl- und Haltekörper für Heizelemente, Heiz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ühl- und Haltekörpers
DE102013103168B3 (de) * 2012-12-21 2014-04-17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halter mit eingebauten Kavitäten
DE102013103427A1 (de) 2013-04-05 2014-10-23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aufnahme
EP3009214A1 (de) 2014-10-17 2016-04-20 Straumann Holding AG Hochgeschwindigkeitswerkzeughalter
DE202015102802U1 (de) 2015-05-30 2015-06-17 Brötje-Automation GmbH Werkzeugspannsystem
DE102016108748B4 (de) * 2016-05-11 2021-11-04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Halter für ein Bauteil
GB2551996B (en) * 2016-07-05 2021-09-15 Fives Landis Ltd Tool mount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DE102018108306A1 (de) * 2018-04-09 2019-10-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odehnspannwerkzeug
FR3081741A1 (fr) * 2018-05-30 2019-12-06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interface entre deux surfaces fonctionnelles
DE102018131766B3 (de) * 2018-12-11 2020-03-26 Stego-Holding Gmbh Haltekörper, Heizgerät und Verfahren
EP3827917A1 (de) * 2019-11-28 2021-06-02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Dehnspann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930Y2 (ko) * 1979-11-08 1982-07-27
JPS60131308U (ja) * 1984-02-14 1985-09-03 福久 宣夫 回転工具保持装置
JPS6116204U (ja) * 1984-06-29 1986-01-30 大昭和精機株式会社 コンビネ−シヨンロツクホルダ−
JPS62120945A (ja) * 1985-11-20 1987-06-02 Tokyo Keiki Co Ltd 工具ホルダ
US4721423A (en) * 1986-10-07 1988-01-26 Daishowa Seiki Kabushiki Kaisha Chuck
JPH0657379B2 (ja) * 1987-02-10 1994-08-03 株式会社トキメック 自動工具交換装置
JPH0329053Y2 (ko) * 1987-05-29 1991-06-21
DE4209999C2 (de) * 1992-03-27 1995-05-04 Claus Schmidt Spannfutter für Werkzeugmaschinen
US5311654A (en) 1992-09-25 1994-05-17 Cook Harold D Tool holder system and method of making
JP3563562B2 (ja) * 1997-02-24 2004-09-08 株式会社日研工作所 チャック
DE19708983A1 (de) * 1997-03-05 1998-09-10 Franz Haimer Werkzeughalteranordnung
DE29705185U1 (de) * 1997-03-21 1997-06-19 Hauser, Hermann, 79331 Teningen Vorrichtung zum Aufheizen eines Werkzeughalters
FR2768071B1 (fr) * 1997-09-05 1999-11-12 E P B Emile Pfalzgraf Dispositif pour l'assemblage et le desassemblage d'un outil avec un porte-outils
DE19827109C1 (de) 1998-06-18 2000-03-09 Schunk Fritz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ösbaren Verbindung zwischen zwei Bauteilen und Bauteile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WO1999065643A1 (de) * 1998-06-18 1999-12-23 Schunk Gmbh & Co. Kg Fabrik Für Spann- Und Greifwerkzeug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ösbaren verbindung zwischen zwei bauteilen und verbindungs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834739C1 (de) 1998-08-01 2000-03-30 Schunk Fritz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ösbaren Verbindung zwischen zwei Bauteilen und Bauteile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964591B4 (de) * 1999-06-24 2009-11-05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halter für ein um eine Drehachse drehbares Werkzeug, insbesondere ein Bohr-, Fräs- oder Reibwerkzeug
DE19944440C2 (de) 1999-09-16 2001-08-30 Glimpel Emuge Werk Schrumpffutter
AU6976900A (en) 1999-09-16 2001-04-17 Rego-Fix Ag Device for thermally shrinking too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402B1 (ko) * 2023-02-13 2024-04-24 미르호주식회사 스톱링 일체형 공구 고정 콜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301304T3 (da) 2005-12-05
EP1301304A1 (de) 2003-04-16
KR20030029784A (ko) 2003-04-16
EP1301304B1 (de) 2005-09-14
WO2002005992A1 (de) 2002-01-24
JP4651909B2 (ja) 2011-03-16
DE50011189D1 (de) 2005-10-20
JP2004504160A (ja) 2004-02-12
ES2248098T3 (es) 2006-03-16
US7217072B1 (en) 2007-05-15
ATE304419T1 (de) 2005-09-15
EP1301304B2 (de) 2009-10-14
ES2248098T5 (es)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884B1 (ko) 드릴링, 밀링 또는 리밍 공구와 같은, 회전축에 관하여회전가능한 공구용 공구홀더
US7938408B2 (en) Tool holder for a rotary tool
USRE37484E1 (en) Clamping device for machine tools
JP4016295B2 (ja) 油圧機械式チャック
US7137185B2 (en) Tool holder for shrink-fit attachment of rotating tools with predominantly cylindrical shafts
US4422653A (en) Chuck for tubular workpieces
JP7213903B2 (ja) 工作機械上の工具の固定装置
KR20010022514A (ko) 환형부를 균열 분할하는 방법
US7758289B2 (en) Diameter-compensating bush for a tool holder
US7396196B2 (en) Cutting machining tool
US3731942A (en) Hydraulically actuated tool collet
JP5005007B2 (ja) 棒材把持装置
US6938903B1 (en) Tool holder for a tool, especially a boring, milling or grinding tool, which can be rotated about a rotational axis
US11440105B2 (en) Inner clamping means comprising a secured clamping segment ring
US20080088073A1 (en) Hydromechanical Clamping Device With Hydraulically Operated Expanding Means
US20140064841A1 (en) Rotary connector for a rotating shank or axle
US5979914A (en) Top jaw with machinable inserts
US4211425A (en) Replaceable collet in double diaphragm chuck
SE510401C2 (sv) Hydraulisk precisionsdorn
WO2009034578A2 (en) Collet for a long automatic turning lathe
EP3481573B1 (en) Tool mount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KR20230019053A (ko) 새로운 댐핑 기능을 갖는 수축 끼워맞춤 척
EP1235659B1 (en) Set consisting of a tool and spindle, with clamping by centrifugal force
SU1521536A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 обработки глубоких отверстий
WO1998032560A1 (en) Hydromechanical mandr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