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302B1 -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 Google Patents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302B1
KR100680302B1 KR1020040108492A KR20040108492A KR100680302B1 KR 100680302 B1 KR100680302 B1 KR 100680302B1 KR 1020040108492 A KR1020040108492 A KR 1020040108492A KR 20040108492 A KR20040108492 A KR 20040108492A KR 100680302 B1 KR100680302 B1 KR 10068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auxiliary
mgtr
mai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915A (ko
Inventor
김태욱
김본기
이귀로
Original Assignee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filed Critical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Priority to KR102004010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302B1/ko
Priority to EP05110833A priority patent/EP1672782B1/en
Priority to AT05110833T priority patent/ATE377288T1/de
Priority to DE602005003095T priority patent/DE602005003095T2/de
Priority to US11/281,580 priority patent/US7319364B2/en
Priority to CNB2005101234360A priority patent/CN100481714C/zh
Priority to JP2005364756A priority patent/JP2006180492A/ja
Publication of KR2006006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in field-effect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 H03F1/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with MOS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4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extend the bandwid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92A coil being added in the source circuit of a transistor amplifier stage as degener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를 이용한 증폭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을 향상시킨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는,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를 이용한 증폭회로에 있어서,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증폭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감쇄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인에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GTR, 선형성, 트랜지스터, 증폭기

Description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Amplifier circuit using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 which is improved linearity and frequency band}
도 1는 종래의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이다.
도 2에 도시된 증폭회로는 ‘IEEE RFIC Symposium 2004 Fort Worth, TX USA 6-8 June, 2004’에 개시된 회로로서 퀄컴㈜에서 발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공통 소오스(common source) 증폭회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캐스코드(cascode) 증폭회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이득 그래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IIP3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잡음지수 (Noise Figure; NF)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스미스-차트(Smith-Chart)이다.
본 발명은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을 이용한 증폭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을 향상시킨 MGTR을 이용한 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MGTR을 이용한 증폭회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증폭회로는 트랜지스터(MN11), 쌍을 이루는 MGTR(MN12, MN13), 저항(R11) 및 인덕터(L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GTR(MN12, MN13)은 주 트랜지스터(MN12)와 보조 트랜지스터(MN13)로 구성되며, 주 트랜지스터(MN12)의 게이트는 보조 트랜지스터(MN13)의 게이트와, 주 트랜지스터(MN12)의 드레인은 보조 트랜지스터(MN13)의 드레인과, 주 트랜지스터(MN12)의 소오스는 보조 트랜지스터(MN13)의 소오스와 각각 연결되어 증폭부를 구성한다.
주 트랜지스터(MN12) 및 보조 트랜지스터(MN13) 각각의 소오스는 인덕터(L11)와 연결되어 감쇄부를 형성하며, 각각의 게이트는 서로 연결되어 공통으로 입력단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N11)의 소오스는 증폭부의 각 트랜지스터(MN12, MN13)의 드레인 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MN11)의 게이트는 저항(R11) 및 출력단과 연결되어 출력부를 구성한다.
동작특성을 살펴보면, 주 트랜지스터(MN12) 및 보조 트랜지스터(MN13)의 게이트에 입력 신호가 인가 되어 입력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여기서, 주 트랜지스터(MN12) 증폭시 발생하는 IMD3(thir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를 제거 하기 위하여 보조 트랜지스터(MN13)가 작동을 하도록 보조 트랜지스터(MN13)의 특성을 조절하여 증폭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특성을 조절하여 주 트랜지스터(MN12)와 특성이 다른 트랜지스터(MN12, MN13)를 구성하면 IMD3가 감소되어 결국 선형성 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형성 개선은 소오스 쪽에 인덕터가 붙게 되면 선형성 증가가 인덕터가 없을 때보다 특히 고주파에서 많이 줄어 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인덕터는 패키지(package) 등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붙게 되기도 하며 입력 매칭을 위해 달아 주기도 한다.
특히 입력 매칭을 위해 달아주는 경우는 저잡음 앰프의 설계 시에 주로 사용되며 소오스 쪽에 유도(inductive) 성분으로 직렬부성궤환(series negative feed-back)을 걸어주게 되면 게이트 입력에서는 실수(real) 성분으로 보이게 되어 저항으로 보이게 된다.
이때 보이는 저항 값은 gm*Ls/(Cgs) 이다. 여기서 gm 은 트랜지스터의 트랜스 컨덕턴스이고 Ls 는 달아준 인덕터 값이며 Cgs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소스 커패시턴스 이다.
통상 이러한 방법은 저잡음 증폭기의 경우 잡음 지수 최적화 매칭과 입력 전력 매칭을 동시에 이루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런 방법은 MGTR 경우 트랜스컨덕턴스의 2차 미분계수인 gm″의 상쇄 효과가 고주파에서는 나타나지 않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소오스에 인덕터가 추가되면 gm″의 영상(imaginary) 성분이 발생하게 되어 이것이 비선형성를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즉, MGTR 에 의해 실수 성분의 gm″는 효과적으로 상쇄 되었으나 소오스에 달아준 인덕터로 말미암아 gm″의 영상 성분이 새로이 발생하게 되어 MGTR 의 선형성 개선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참조 IEEE RFIC Symposium 2004 Fort Worth, TX USA 6-8 June, 2004’)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이다.
도 2에 도시된 증폭회로는 ‘IEEE RFIC Symposium 2004 Fort Worth, TX USA 6-8 June, 2004’에 개시된 회로로서 퀄컴㈜에서 발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회로는 트랜지스터(MN21 내지 MN25), 커패시터(C21 내지 C23), 인덕터(L21 내지 L24), 전류원(Is21, Is22) 및 저항(R21, R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트랜지스터(MN21)의 드레인은 보조 트랜지스터(MN22)의 드레인과 연결되고, 주 트랜지스터(MN21)의 소오스는 인덕터(L21)와 연결되고, 보조 트랜지스터(MN22)의 소오스는 인덕터(L22)와 연결되어 증폭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인덕터(L21, L22)는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 인덕터로 구성된다.
입력단(IN)은 직렬로 연결된 커패시터(C21)와 인덕터(L23)에 직렬로 연결되어 주 트랜지스터(MN2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입력신호를 증폭한다.
또한, 주 트랜지스터(MN21)의 게이트와 보조 트랜지스터(MN22)의 게이트 사이에는 커패시터(C22)를 삽입하여 보조 트랜지스터(MN22)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증폭한다.
전류원(Is21)의 출력은 바이어싱을 위한 트랜지스터(MN23)의 드레인과 게이트에 함께 인가되고, 전류원(Is22)의 출력은 바이어싱을 위한 트랜지스터(MN24)의 드레인과 게이트에 함께 인가되며, 전류원(Is21, Is22)의 입력엔 전원전압(Vdd)가 인가 된다.
트랜지스터(MN23)의 게이트와 주 트랜지스터(MN21)의 게이트 사이에 저항(R21)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MN24)의 게이트와 보조 트랜지스터(MN22)의 게이트 사이도 저항(R22)이 직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트랜지스터(MN21, MN22)를 바이어싱 한다.
트랜지스터(MN25)의 드레인은 커패시터(C23)와 연결되어 출력단(Out)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MN25)의 트랜지스터(MN21, MN22)의 드레인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주 트랜지스터(MN21)과 보조 트랜지스터(MN22)에 특성이 서로 다른 인덕터(L21, L22)를 달아 선형성을 향상시키고자 했지만, 인덕터가 하나 더 추가 되어야 하고, 보조 트랜지스터(MN22)의 인덕터(L22) 값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 고, narrow-band에만 적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조 트랜지스터에서 발생하는 induced 게이트 잡음(참조 IEEE RFIC Symposium 2004 Fort Worth, TX USA 6-8 June, 2004’)를 처리할 방법이 없다.
상술한 문제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폭회로의 선형성을 개선시키면서 주파수대역을 향상시키는 증폭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GTR의 degeneration 인덕터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보조 트랜지스터에서 발생되는 induced 게이트 잡음의 영향을 줄여 NF도 개선할 수 있는 증폭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를 이용한 증폭회로에 있어서,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증폭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감쇄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인에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상기 보조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길이, 폭, 도핑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를 이용한 증폭회로에 있어서,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증폭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감쇄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공통 소오스(common source) 증폭회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캐스코드(cascode) 증폭회로도 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증폭부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캐스코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폭회로는 MGTR(MN41, MN42), 트랜지스터(MN43), 인덕터(L41), 커패시터(C41) 및 저항(R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GTR(MN41, MN42)은 주 트랜지스터(MN41)와 보조 트랜지스터(MN42)로 구성되며, 주 트랜지스터(MN41)의 게이트와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게이트는 서로 연결 되고, 주 트랜지스터(MN41)의 드레인과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드레인은 서로 연결되고, 주 트랜지스터(MN41)의 소오스와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소오스도 서로 연결되어 주 트랜지스터(MN41)와 보조 트랜지스터(MN42)는 서로 커플되어 증폭부를 구성한다.
주 트랜지스터(MN41)의 소오스,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소오스 및 인덕터(L41)의 일단은 각각 공동으로 연결되어 감쇄부를 구성한다.
커패시터(C41)의 일단은 주 트랜지스터(MN41)의 게이트와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게이트에 각각 공동으로 연결되고, 커패시터(C41)의 타단은 주 트랜지스터(MN41)의 소오스 및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소오스와 각각 공동으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N43)의 드레인은 저항(R41)의 일단과 출력단(Out)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출력부을 구성하고, 트랜지스터(MN43)의 소오스는 주 트랜지스터(MN41)의 드레인과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드레인에 각각 공동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주 트랜지스터(MN41)에서 증폭시 발생되는 IMD3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특성이 결정된다. 즉, 보조 트랜지스터(MN42)의 채널의 길이, 폭, 도핑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주 트랜지스터(MN41)와 다르게 함으로써, 주 트랜지스터(MN41)에서 증폭시 발생되는 IMD3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 소오스에 패키징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붙게 되거나, 입력 매칭을 위해 설치되는 인덕터를 통해 게이트-소오스(gate-source) 간에 2차 하모닉(harmonic) 성분들 (2f1, 2f2, f1+f2) 의 feed-back 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feed-back을 통해서 gm”의 영상 성분들이 발생하게 되어 MGTR에 의한 선형성 개선이 고주파에서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단과 트랜지스터(MN41, MN42)의 게이트에 각각 공동으로 커패시터(C41)의 일단이 연결되고, 커패시터(C41)의 타단을 트랜지스터(MN41, MN42)의 소오스단에 각각 공동으로 연결하여, 2차 하모닉 성분들이 증폭되는 양을 줄여서 feed-back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MGTR의 선형성 개선이 고주파에서도 여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특별히 이 회로는 증폭회로의 증폭시 공진되는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증폭회로를 협대역(narrow-band)으로 매칭하면 narrow-band로 사용할 수 있으며, 광대역(wide-band)으로 매칭하면 wide-band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폭회로는 트랜지스터(MN51 내지 MN53), 인덕터(L51), 커패시터(C51), 저항(R51) 및 feed-back 증폭회로(5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폭회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증폭회로와 동일하며, feed-back 증폭회로가 추가된 부분만이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feed-back 증폭회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feed-back 증폭회로(501)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MN53)의 게이트에 연결하고, feed-back 증폭회로(501)의 입력단은 트랜지스터(MN53)의 소오스 및 MGTR(MN51, MN52)의 드레인에 커플된 노드에 연결된다.
즉, feed-back 증폭회로(501)를 트랜지스터(MN53)의 게이트와 소오스 간에 추가하여, 케스코드 회로에서 공통 게이트 입력 (윗쪽 트랜지스터의 입력) 의 임피던스가 피드백 루프게인 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는 공통 게이트 입력 임피던스를 줄이므로 통상 밀러 효과라고 부르는 게이트 드레인간의 feed-back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즉, MGTR(MN51, MN52)의 드레인 쪽에서 발생되는 하모닉 feed-back 영향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선형성 개선이 2~3dB 정도 증가하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이득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주파수가 906.1MHz인 경우 최대 이득을 나타내며, 이때 이득 점(m5)의 dB(S(2,1))는 14.222dB로 최대 이득이 나타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IIP3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ndep(m1)가 0.166일 때 IIP3은 8.240dBm이고, indep(m2)가 0.193일 때 IIP3은 7.449dBm이고, indep(m3)가 0.221일 때 IIP3은 7.470dBm이고, indep(m4)가 0.000일 때 IIP3은 -2.286dBm이다.
여기서, indep(m4)가 0.000인 경우는 MGTR을 사용하지 않은 통상적인 캐스코드 회로이다.
즉, 최대 IIP3은 8.2409dBm으로 MGTR 로 10 dB 가량의 IIP3 가 향상 되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잡음지수(Noise Figure; NF)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표는 주파수가 906.1MHz인 경우 잡음지수(NF)는 0.983dB로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스미스-차트(Smith-Chart)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주파수가 906.1MHz에서 S(1,1)는 0.054/68.915 이며, 이때 임피던스는 Zo*(1.034 + j0.104)로 나타나고, 입력 주파수가 886.9MHz에서 S(2,2)는 0.216/81.239 이며, 이때 임피던스는 Zo*(0.972 + j0.435)로 나타난다.
상술한 도 6 내지 9를 종합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성능지수인 Figure of Merit(FOM)은 특성 비교를 위한 지수이며 인용논문 (IEEE RFIC Symposium 2004 Fort Worth, TX USA 6-8 June, 2004’)의 계산방법인 [OIF3/[Noise Factor-1]*Pdc]을 따라 계산된 것이다.
Figure 112004059844884-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증폭회로는 MGTR이 적용된 증폭회로의 degeneration 인덕터의 영향을 매우 줄일 수 있고, 보조 트랜지스터에서 생기는 induced 게이트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잡음지수도 개선할 수 있고, 매칭 후 특성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광대역에도 적용 가능하며, 커패시터(C31)의 값을 결정하는 것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은 소자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도 적어 저전력 소비가 필요한 회로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증폭회로에 커패시터를 삽입하는 것으로, degeneration 인덕터 영향을 감소시키고, 보조 트랜지스터에서 생기는 induced 게이트 잡음 감소하며, 잡음지수 향상과 광대역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증폭회로의 선형성을 증가하도록 구성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폭회로에 커패시터를 삽입하는 것으로, 증폭회로의 선형성 증가를 위한 소자의 추가가 극소하여 증폭회로의 소비전력 증가가 미약하여 증폭회로를 이용한 다양한 회로 구성에 있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를 이용한 증폭회로에 있어서,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증폭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감쇄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인에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상기 보조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길이, 폭, 도핑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
  4. MGTR(Multiple gated transistor)를 이용한 증폭회로에 있어서,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증폭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감쇄부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소오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패시터와,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보조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오스 간에 feed-back 증폭기가 형성되는,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 트랜지스터와 상기 보조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길이, 폭, 도핑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MGTR를 이용한 증폭회로.
KR1020040108492A 2004-12-20 2004-12-20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KR100680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492A KR100680302B1 (ko) 2004-12-20 2004-12-20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EP05110833A EP1672782B1 (en) 2004-12-20 2005-11-16 Amplifier circuit having improved linearity and frequency band using a MGTR
AT05110833T ATE377288T1 (de) 2004-12-20 2005-11-16 Verstärkerschaltung mit verbesserter linearität und breitem frequenzband mittels eines mgtr
DE602005003095T DE602005003095T2 (de) 2004-12-20 2005-11-16 Verstärkerschaltung mit verbesserter Linearität und breitem Frequenzband mittels eines MGTR
US11/281,580 US7319364B2 (en) 2004-12-20 2005-11-18 Amplifier circuit having improved linearity and frequency band using multiple gated transistor
CNB2005101234360A CN100481714C (zh) 2004-12-20 2005-11-18 使用多路选通晶体管具有改良线性和频带的放大器电路
JP2005364756A JP2006180492A (ja) 2004-12-20 2005-12-19 線形性及び周波数帯域が向上したmgtrを利用した増幅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492A KR100680302B1 (ko) 2004-12-20 2004-12-20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915A KR20060069915A (ko) 2006-06-23
KR100680302B1 true KR100680302B1 (ko) 2007-02-07

Family

ID=3626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492A KR100680302B1 (ko) 2004-12-20 2004-12-20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19364B2 (ko)
EP (1) EP1672782B1 (ko)
JP (1) JP2006180492A (ko)
KR (1) KR100680302B1 (ko)
CN (1) CN100481714C (ko)
AT (1) ATE377288T1 (ko)
DE (1) DE60200500309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8075B2 (ja) * 2002-08-30 2006-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7259253A (ja) * 2006-03-24 2007-10-04 Sharp Corp 電力増幅器
KR100732070B1 (ko) * 2007-03-07 2007-06-27 (주)에프씨아이 이득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저 잡음 증폭기
EP2040299A1 (en) * 2007-09-12 2009-03-25 Forschungsverbund Berlin e.V. Electrical devices having improved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tailoring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uch an electrical device
KR100963816B1 (ko) * 2007-12-28 2010-06-16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공통 소스 구조를 이용한 협대역 다중 밴드 저잡음 증폭기
US7696828B2 (en) * 2008-01-04 2010-04-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earity mode LNA having a deboost current path
US7920027B2 (en) * 2008-04-07 2011-04-05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 design with biasing and power control aspects
US7911269B2 (en) * 2009-01-19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Ultra low noise high linearity LNA for multi-mode transceiver
US8310312B2 (en) * 2009-08-11 2012-11-13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s with improved linearity and noise performance
US8233851B2 (en) * 2010-02-03 2012-07-3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edance matching for high-frequency signal transmitter
US8577325B2 (en) * 2010-08-31 2013-11-0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ow noise amplifier having both ultra-high linearity and low noise characteristic and radio receiver including the same
JP5101741B2 (ja) * 2011-04-08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と、それを用いたインバータ、コンバータおよび電力変換装置
US8774745B2 (en) * 2012-12-10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Reconfigurable receiver circuits for test signal generation
US8903343B2 (en) * 2013-01-25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Single-input multiple-output amplifiers with independent gain control per output
US9035697B2 (en) * 2013-03-15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Split amplifiers with improved linearity
US9077296B2 (en) * 2013-08-05 2015-07-07 Triquint Semiconductor, Inc. Split biased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with enhanced linearity
CN103580624A (zh) * 2013-10-16 2014-02-12 广州润芯信息技术有限公司 射频信号放大电路
JP6185032B2 (ja) * 2015-09-30 2017-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と、それを用いたインバータ、コンバータおよび電力変換装置
TWI774595B (zh) 2016-09-26 2022-08-11 美商天工方案公司 用於射頻應用之主輔場效電晶體組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49730A1 (en) * 2000-03-28 2001-10-0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ncurrent multi-band low noise amplifier architecture
US6407640B1 (en) * 2000-09-22 2002-06-18 Qualcomm, Incorporated Two-stage LNA with good linearity
TW535353B (en) * 2002-06-20 2003-06-01 Faraday Tech Corp High frequency amplifier
US7298205B2 (en) * 2003-09-24 2007-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mplifier and frequency converter
CN1252912C (zh) * 2003-10-17 2006-04-19 清华大学 在片阻抗匹配的低压高线性度射频放大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ighle linear RF CMOS amplifier and Mixer adopting
Highly linear receiver front-end adopting mosfet t
Modified derivative superposition method for lin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3095T2 (de) 2008-08-21
CN1794568A (zh) 2006-06-28
EP1672782A1 (en) 2006-06-21
US7319364B2 (en) 2008-01-15
KR20060069915A (ko) 2006-06-23
ATE377288T1 (de) 2007-11-15
JP2006180492A (ja) 2006-07-06
CN100481714C (zh) 2009-04-22
US20060091962A1 (en) 2006-05-04
EP1672782B1 (en) 2007-10-31
DE602005003095D1 (de)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302B1 (ko) 선형성 및 주파수대역이 향상된 멀티플 게이티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
KR100813096B1 (ko) 선형성이 향상된 증폭회로
KR100631973B1 (ko) 가변이득 광대역 증폭기
US20190207563A1 (en) Ultrawideband Very Low Noise Amplifier With Noise Reduction And Current Reuse
US7605655B2 (en) Highly linear differential amplifier with a novel resistive source degeneration network
CN111740705A (zh) 一种消除非线性的低噪声放大器
CN111478671A (zh) 一种应用于Sub-GHz频段的新型低噪声放大器
JP2002124842A (ja) 可変利得増幅器
WO2024099059A1 (zh) 射频接收模组旁路模式下的无源电路及射频接收模组
CN114070208A (zh) 一种基于氮化镓工艺的高增益毫米波宽带超低噪声放大器
CN112953419A (zh) 一种基于共源共栅结构的非线性抵消功率放大器
JPH10190379A (ja) 複数周波数帯域高効率線形電力増幅器
Amirabadi et al. Highly linear wide-band differential LNA using active feedback as post distortion
Hong-min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a 3.1–10.6 GHz wideband low-noise amplifier using resistive feedback
US10447220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CN113242020A (zh) 一种宽带匹配低噪声放大器
JP2009077142A (ja) 低雑音増幅回路
Zhang et al. A novel high linearity and low power folded CMOS LNA for UWB receivers
JP2007243830A (ja) 利得可変型増幅器
KR20030089067A (ko) 피드백 가변 이득 증폭기
US20090309660A1 (en) Device for amplifying a broadband rf signal
JPH08265065A (ja) 増幅回路
KR20130065214A (ko) 전력 증폭기
Zhang et al. A broadband high linear LNA for GSM/LTE wireless communications
Mirvakili et al. A linear current-reused LNA for 3.1-10.6 GHz UWB re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