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622B1 - 훈연가마 - Google Patents

훈연가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622B1
KR100679622B1 KR1020050010684A KR20050010684A KR100679622B1 KR 100679622 B1 KR100679622 B1 KR 100679622B1 KR 1020050010684 A KR1020050010684 A KR 1020050010684A KR 20050010684 A KR20050010684 A KR 20050010684A KR 100679622 B1 KR100679622 B1 KR 10067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ln
combustion
wall
kiln body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440A (ko
Inventor
오승수
Original Assignee
오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수 filed Critical 오승수
Priority to KR102005001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6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23B4/052Smoke generators ; Smoking apparatus
    • A23B4/0523Smoke generators using wood-pyrolysis or wood-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constructed from refractory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연가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마본체의 바닥면에서 생성된 훈기가 내벽을 따라 선회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고기의 표면에 골고루 훈기가 전해지면서 훈연될 수 있도록 한 훈연가마에 관한 것이다.
훈연, 가마, 황토, 옹기, 소용돌이

Description

훈연가마{SMOKING OVEN}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훈연가마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훈연가마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훈연가마 10. 가마본체
11. 프레임 구조체 11a. 이동바퀴
12. 황토벽 12a. 시멘트몰탈
12b. 황토몰탈 12c. 옹기조각
13. 바닥면 13a. 요입부
14. 내벽 20. 연소부
30. 거치대 40. 배기구
50. 투시창부 51. 도어
60. 투입구부 61. 도어
62. 흡기공
본 발명은 훈연가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마본체의 바닥면에서 생성된 훈기가 내벽을 따라 선회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고기의 표면에 골고루 훈기가 전해지면서 훈연될 수 있도록 한 훈연가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는 가스불이나 숯불을 직접 가해 굽는 소위 직화방식으로 구워서 섭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직화구이는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쉽게 타고 또 육질이 단단해지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직화구이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고기에 화기를 직접 가하지 아니하고, 고기에 직접 불길이 닿지 않는 곳에서 나무 등을 불완전 연소시켜 그 훈기를 고기에 닿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서히 굽는 훈연방식이 있다. 이렇게 훈연을 통해 고기를 가공하게 되면, 육질이 매우 부드러워지고 또 맛이 담백해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가마에서 고기를 훈연하는 과정에서는, 생성된 훈기를 고기 전체에 골고루 전해지도록 하는 것과 가마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상기와 같은 이점을 살려 양질의 훈연고기를 얻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런데 이렇게 훈기를 고기 전체에 골고루 전하기 위해서는 자주 고기를 뒤집어 준다거나 해 주어야 했기 때문에 아예 개방형 가마를 사용하거나 문을 열고 뒤집어 주어야 했기 때문에 가마의 온도가 낮아져 효율적인 훈연이 이루어지기 어 려웠으며, 그렇다고 고기를 화기와 지나치게 멀리 할 경우, 구이방식에 의해 얻어지는 독특한 맛을 내기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구이의 맛을 살리기 위해서는 종래의 경우 훈연방식이라고 하더라도 직화와 훈연을 병행하는 정도로 이루어지도록 개발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마본체의 바닥면에서 생성된 훈기가 내벽을 따라 선회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고기의 표면에 골고루 훈기가 전해지면서 훈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고기를 인위적으로 뒤집어 주느라 문을 개폐하여 가마내의 온도변화가 심해진다든가 번거로운 작업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구이의 독특한 맛을 낼 수 있는 양질의 훈연된 고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훈연가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훈연가마는,
외부와 밀폐되고 연소물과 훈연재료인 고기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개폐식 도어가 구비된 직립형 케이스구조의 가마본체와;
상기 가마본체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목재 등의 연소물의 불완전 연소작용을 통해 훈기를 발산시키도록 된 연소부와;
상기 가마본체의 상부에 외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소부의 불완전 연소작용에 의해 생성된 훈기 및 가스의 배출경로인 배기구; 및
상기 가마본체의 내벽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고기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마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연소부는, 가마본체의 내벽에 근접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연소부와 상호 대각방향을 이루는 가마본체의 상부 일편에 설치되어서, 연소부에서 생성된 훈기가 가마본체의 내벽을 따라 소형돌이 형태로 순환되면서 상승하여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되어, 연소부에서 생성된 훈기의 배출량이 개폐밸브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마본체는 프레임 구조체에 황토벽이 형성된 형태로서, 상기 황토벽은 완전히 굳지 않은 시멘트몰탈의 양편에 황토몰탈이 적층되게 응고되어 이루어진 황토벽으로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토벽의 외부에 옹기조각들을 부착하여 안정된 단열효과가 발휘되도록 구성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마본체에의 벽면에 투시창을 마련하여 외부에서도 고기의 훈연상황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연가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훈연가마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훈연가마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훈연가마(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와 밀폐된 직립형 케이스구조의 가마본체(10)와; 상기 가마본체(10)내의 일측 바닥면(13)에 설치되어, 나무와 같은 연소물의 불완전 연소작용을 통해 훈기를 발산시 키는 연소부(20)와; 상기 가마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외부와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소부(20)의 불완전 연소작용에 의해 생성된 훈기 및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인 배기구(40); 및 상기 가마본체(10)의 내벽(14)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거치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마본체(10)는, 각 모서리에 이동바퀴(11a)가 마련된 프레임 구조체(11)에 황토벽(12)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황토벽(12)은 시멘트몰탈(12a)층의 양편에 황토몰탈(12b)층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훈연가마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12)은, 시멘트몰탈(12a)이 완전히 굳지 아니한 상태에서 황토몰탈(12b)을 붙여 응고시켜 얻어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황토벽(12)은 시멘트몰탈(12a)과 황토몰탈(12b)간이 더욱 긴밀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되어, 응고시 황토과 시멘트간의 수축율 차이 등의 물성차에 따른 분리(이격)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렇게 제작된 황토벽(12)의 표면에 옹기조각(12c)을 부착하게 되면, 비교적 얇은 두께로도 안정된 단열효과가 발휘됨과 동시에, 외관상 미려함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마본체(10)의 전면측 벽면의 상부쪽에는, 내부의 훈연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창부(50)가 마련되며, 전면하부에는 연소부에 참나무 장작 등의 연소물이 공급되는 경로인 투입구(60)가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투시창부(50)와 투입구(60)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 (51, 61)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60)에는, 연소에 요구되는 공기의 유입경로인 흡기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마본체(10)내 바닥면(13)에는 상기 투입부(60)를 통해 공급된 연소물을 연소시켜 훈기를 발산하는 연소부(20)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벽(14)에는 고기(100)를 결착한 후크(110)가 결착되는 거치대(30)가 내벽(14)에 인접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30)가 마련된 하부 바닥면(13)에는 일정깊이의 요입부(13a)가 형성되며, 이 요입부(13a)에는 고기의 훈연과정 중에 발생된 기름이 고이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마본체(10)에 기름배출구를 별도 마련하지 아니하고 요입부(13a)를 형성하여 기름이 고이도록 하면, 기름배출구를 통한 열손실 현상이 예방되어, 가마본체(10)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가마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연소부(20)의 연소작용에 의해 생성된 훈기 및 가스의 배출경로인 배기구(40)가 가마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40)에는 공기의 배출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41)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개폐밸브(41)를 통해 훈기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연소부(20)의 연소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가마본체(10)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마본체(10)의 바닥면(13)에 연소부(20)를, 상기 가마본체(10)의 상부에 배기구(4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연소부(20)와 배기구(40)를 상호 대각방향으로 배설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연소부(20)와 배출구(40)가 가마본체(10)에서 상하 대각되게 배설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소부(20)에서 생성된 훈기는, 소용돌이 형태로 직립형 가마본체(10)의 내벽(14)을 따라 자연순환되면서 상승하여 배기구(4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리하여, 내벽(14)에 인접하여 설치된 거치부(30)에 후크(110)를 통해 거치된 고기(100)는, 연소부(20)와 마주보는 정면(101) 또는 내벽(14)과 마주보는 배면(102) 할 것 없이 내벽(14)을 따라 순환하여 배출되는 훈기를 고르게 제공받아 훈연되게 된다. 따라서, 가마본체(10)의 거치부(30)에 결착된 고기(100)는 전체적으로 고른 훈기가 공급받아 훈연되고, 그리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투시창부(50)를 개방하여 훈증 도중의 고기(100)를 뒤집지 아니하고도 양질의 훈연된 고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훈연가마는, 연소부와 배기구를 상하 대각방향으로 설치하여, 연소부에서 발산된 훈기가 내벽을 따라 자연순환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벽에 인접하여 고정된 고기는, 연소부와 마주보는 정면 또는 내벽과 마주보는 배면 할 것 없이 내벽을 따라 순환하여 배출되는 훈기를 고르게 제공받아 훈연되므로, 양질의 훈연된 고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외부와 밀폐되고 연소물과 훈연재료인 고기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개폐식 도어가 구비된 직립형 케이스구조의 가마본체와;
    상기 가마본체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목재 등의 연소물의 불완전 연소작용을 통해 훈기를 발산시키도록 된 연소부와;
    상기 가마본체의 상부에 외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소부의 불완전 연소작용에 의해 생성된 훈기 및 가스의 배출경로인 배기구; 및
    상기 가마본체의 내벽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고기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마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연소부는, 가마본체의 내벽에 근접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연소부와 상호 대각방향을 이루는 가마본체의 상부 일편에 설치되어서, 연소부에서 생성된 훈기가 가마본체의 내벽을 따라 소형돌이형태로 순환되면서 상승하여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되어, 연소부에서 생성된 훈기의 배출량이 개폐밸브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가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본체의 벽면에 투시창부가 마련되어 외부에서 고기가 훈연되는 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가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본체에서 거치대의 하부에 형성된 바닥면에 요입홈부가 형성되어, 고기의 훈증과정에서 배출된 기름이 고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훈연가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본체는 프레임 구조체에 황토벽이 형성된 형태로, 상기 황토벽은 완전히 굳지 않은 시멘트몰탈의 양편에 황토몰탈이 적층되게 응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가마.
  5. 제 4항에 있어서, 가마본체를 이루는 황토벽에 옹기조각들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가마.
KR1020050010684A 2005-02-04 2005-02-04 훈연가마 KR10067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684A KR100679622B1 (ko) 2005-02-04 2005-02-04 훈연가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684A KR100679622B1 (ko) 2005-02-04 2005-02-04 훈연가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440A KR20060089440A (ko) 2006-08-09
KR100679622B1 true KR100679622B1 (ko) 2007-02-06

Family

ID=3717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684A KR100679622B1 (ko) 2005-02-04 2005-02-04 훈연가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72Y1 (ko) 2009-04-27 2009-08-04 이정일 초벌 훈연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4711B (zh) * 2009-04-28 2012-08-22 深圳市泰恒兴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烤箱
CN108937630A (zh) * 2018-10-12 2018-12-07 刘顺帮 一种土窑
CN110301813A (zh) * 2019-07-23 2019-10-08 广东澳斯威尔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前排汽蒸烤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4355U (ko) * 1985-05-31 1986-12-08 이준희 훈연제 스모키 바베큐 가마
KR19990068554A (ko) * 1999-06-02 1999-09-06 김재봉 황토구이기
KR200227462Y1 (ko) 2001-02-02 2001-06-15 최동국 회전식 황토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355862Y1 (ko) 2004-04-13 2004-07-09 홍기형 오리구이용 황토가마
KR200365008Y1 (ko) 2004-07-07 2004-10-19 구선자 육류조리용 가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4355U (ko) * 1985-05-31 1986-12-08 이준희 훈연제 스모키 바베큐 가마
KR19990068554A (ko) * 1999-06-02 1999-09-06 김재봉 황토구이기
KR200227462Y1 (ko) 2001-02-02 2001-06-15 최동국 회전식 황토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355862Y1 (ko) 2004-04-13 2004-07-09 홍기형 오리구이용 황토가마
KR200365008Y1 (ko) 2004-07-07 2004-10-19 구선자 육류조리용 가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6855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72Y1 (ko) 2009-04-27 2009-08-04 이정일 초벌 훈연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440A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622B1 (ko) 훈연가마
KR101603638B1 (ko)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KR20080003452U (ko) 고기 구이기
KR200387043Y1 (ko) 훈제 그릴장치를 구비한 숯불 그릴장치
CN211650425U (zh) 天然石电子远红外线壁炉
KR101069748B1 (ko) 구이용 황토가마 제작공정 및 장치
KR100569211B1 (ko) 고기 구이장치
JP2011169509A (ja) オーブン付ストーブ
JP2009268462A (ja) 熱エネルギーを有効利用し、石釜内の温度を調節しながら長時間連続使用ができ、ダッチオーブン調理、燻製器、炭焼釜としての機能も有する石釜
KR100954556B1 (ko) 참나무 장작 구이기
KR102410455B1 (ko) 복사열 화덕구이장치
KR200372900Y1 (ko) 간접열에 의한 고기구이가마
KR102599061B1 (ko) 황토가마 고기구이 장치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JP4057442B2 (ja) 大谷石を素材とした炭起し兼用焼き台の構造
JP7085227B2 (ja) ストーブ
JP4022125B2 (ja) 焼物器
JP3175189U (ja) 焼き芋装置
KR200337210Y1 (ko) 화덕 구조
KR102212006B1 (ko) 풍로 구이기
JP4026115B2 (ja) 移動式薪窯
JP3113927U (ja) キリタンポ焼き器具
JP2009261833A (ja) 燻製調理器
JP2007326980A (ja) 簡易式桐炭と燻製品の同時製造装置
KR200358153Y1 (ko) 이동용 황토숯가마 순간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