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398B1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398B1
KR100679398B1 KR1020050040276A KR20050040276A KR100679398B1 KR 100679398 B1 KR100679398 B1 KR 100679398B1 KR 1020050040276 A KR1020050040276 A KR 1020050040276A KR 20050040276 A KR20050040276 A KR 20050040276A KR 100679398 B1 KR100679398 B1 KR 10067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ill
flap
clos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914A (ko
Inventor
요이치 아라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과제) 슬라이드식 도어부재의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점화나 화력조정 등의 조작부의 조작성도 확보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그릴 개구부(15)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본체 케이스(5)의 폭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플랩(16)이 부착되어 있다. 플랩(16)은 그릴조리 후에 그릴도어(13)를 개방하였을 때, 그릴실(10)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고열을 사용자측(상측)으로 흐르기 어렵게 하는 부품이다. 그릴도어(13)가 개방되어 그릴접시(11)가 인출되면, 플랩(16)이 전방측으로 회동하여 개방상태로 되고, 그릴도어(13)를 폐쇄하여 그릴실(10)이 폐쇄상태로 되면, 플랩(16)이 내측으로 회동하여 폐쇄상태로 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HEATING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그릴부속 가스곤로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그릴도어가 폐쇄상태로 된 그릴부속 가스곤로의 사시도
도 3은 그릴도어가 개방상태로 된 그릴부속 가스곤로의 사시도
도 4는 도 5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 확대도
도 6은 플랩이 개방되는 도중 또는 폐쇄되는 도중의 측단면도
도 7은 플랩이 개방상태로 된 때의 측단면도
도 8은 그릴도어가 개방상태로 된 그릴부속 가스곤로의 사시도
도 9는 플랩의 이면도
도 10은 그릴부속 가스곤로의 전기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그릴부속 가스곤로의 측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열조리기로서의 그릴이 부속된 가스곤로(그릴부속 가스곤로)
5 - 조리기 본체로서의 본체 케이스 10 - 조리실로서의 그릴실
12 - 도어부재를 구성하는 그릴접시받이
13 - 도어부재 및 도어부를 구성하는 그릴도어
15 - 조리실 출입구로서의 그릴 개구부 16 - 덮개부재로서의 플랩
20 - 변환수단으로서의 캠 23 - 탄지수단으로서의 스프링
24(24a,24b) - 정류부 25 - 틈새
26 - 점화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 29 - 검출수단으로서의 스위치
본 발명은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 있는 조리실의 개폐가 도어부재를 조리기 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열조리기의 일 기종으로서 곤로본체 내에 그릴이 부속된 가스곤로(이하, "그릴부속 가스곤로"라 한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그릴부속 가스곤로는 가스곤로의 전면조작부분의 일부를 이루는 도어부와 조리물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재치부(그릴접시)를 일체로 가지는 그릴도어를 구비하고, 이 그릴도어를 슬라이드 조작함에 의해서 도어부를 개폐한다. 즉, 그릴부속 가스곤로는 그릴도어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인출하거나 밀어 넣음에 의해서 도어부를 개폐하고, 그릴 내로 조리물을 출입시킨다.
여기서, 도어부에는 그릴 내를 투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높은 내열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내열 글라스가 사용되는데, 가스곤로의 전면조작부분의 의장성을 확보를 위해서 내열 글라스에 화장판을 부착하여 전면조작부분을 플랫(flat)화하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화장판을 부착하면, 도어부에 관련되는 부품이 많아지게 되고, 또한 그릴도어에 내열 글라스가 조립되어 있는 관계상, 도어부 더 나아가서는 그릴도어가 무거워지게 된다. 따라서, 조리물을 그릴 내로 출입시킬 때에 도어부재를 조작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그릴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이 매우 나빠지게 된다.
그래서, 그릴도어가 무거워지는 것을 해소하는 기술로서, 도어부를 손잡이에서 분할시킨 그릴부속 가스곤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그릴부속 가스곤로는, 손잡이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면, 도어부가 캔틸레버식의 개방형상으로 회동하여 그릴부속 가스곤로의 천정 및 카운터 톱에 수평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그릴부속 가스곤로를 사용하면, 그릴도어가 도어부의 중량만큼 가벼워지기 때문에, 손잡이의 출입조작이 쉬워지게 되어 그릴도어의 조작성이 확보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63515호 (제3,4쪽, 도 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그릴부속 가스곤로에 있어서는, 손잡이를 인출시킨 상태, 즉 도어부가 수평하게 개방된 상태에서는 이 도어부가 상판(카운터 톱) 의 단부에서 전방측으로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돌출된 도어부에 의해서 점화나 화력조정 등의 조작부를 조작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거북한 자세로 조작부를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도어부 자체가 들어 올려지는 구조의 가스곤로는 사용의 편리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도어부는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두께로 된 두꺼운 유리판이 사용되기 때문에, 도어부가 두꺼워 지면 그 만큼 조작하기 어려운 영역이 발생하게 되어 조작부의 조작성 저하의 문제가 현저하게 된다. 또, 화력조정용 조작부에 레버식의 것을 사용한 경우, 레버의 조작방향이 가스곤로 본체의 가로방향이면, 조작레버의 조작단부 근방에서 손이 도어부에 쉽게 맞닿게 되기 때문에, 화력조정용 조작부가 레버식일 때에는 조작부의 조작성 저하가 특히 염려된다.
또, 내열성 확보를 위해서는 도어부가 그 만큼 두꺼워 진다는 현상에서, 도어부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도어부의 두께만큼 전면조작부분의 스페이스를 도어부가 차지하게 됨으로써 그릴의 입구면적이 제한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 도어부가 수평하게 개방된 상태에서는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필요하게 되는데, 도어부에는 두꺼운 내열 글라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즉 도어부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이것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가 대규모(복잡,대형)의 것으로 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상승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부의 전면(前面)의 의장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슬라이드식 도어부재의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점화나 화력조정 등의 조작부의 조작성도 확보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 조리실을 가지며, 상기 조리기 본체에 대해서 도어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의 도어개폐를 하는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조작되었을 때에 이 개방조작에 따라서 회동을 개시하고, 상기 도어부재의 도어부의 전면을 덮은 폐쇄상태에서 조리실 출입구의 상측을 덮는 개방상태로 되는 덮개부재를 형성하고, 덮개부재는, 도어부재와 별체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도어부재는, 손잡이와 도어부를 구비하고, 도어부에는 조리실 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열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재가 폐쇄상태일 때에 상기 도어부의 내열유리 상부의 상면을 덮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부재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조리실 출입구가 개방되면, 덮개부재는 조리실 출입구의 상측을 덮는 개방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어부재를 개방하였을 때에 조리실 내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배기가 덮개부재에 의해서 차단되어 도어부재를 조작한 사용자측으로 배기가 흐르기 어렵게 됨으로써, 도어부재를 개방조작할 때의 사용의 편리성이 확보된다. 또, 이 구성에서는 덮개부재가 가열조리기의 의장면(意匠面)도 되는 것이고, 본 발명과 같이 덮개부재가 도어부재와 별체로 된 부품으로 됨으로써 도어부재가 그 만큼 가벼워지게 된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 도어부재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도어부재를 슬라이드 조작할 때의 조작성도 확보된다.
또한, 고온의 배기를 차단하는 구성을 채용할 경우, 예를 들면 도어부재의 도어부와 손잡이를 분할하여 도어부 자체를 회동시키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부는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교적 두꺼운 내열 글라스를 사용하고 또한 도어부 자체가 큰 것이기 때문에, 도어부 자체를 회동시키는 구성을 취하면, 도어부가 개방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조리기 본체의 전면에서 도어부가 방해물이 됨으로써 조리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작부를 조작하기 어렵게 된다. 그런데, 덮개부재를 사용한 구성을 취하면, 덮개부재는 도어부보다도 얇고 또한 면적적으로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배기를 차단하는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조작부의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를 개방상태측으로 탄지 가능한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상기 덮개부재의 개방상태측의 회동력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탄지수단의 탄지력이 변환수단에 의해서 덮개부재의 개방상태측의 회동력으로 변환되며, 이 회동력에 의해서 덮개부재가 개방상태측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도어부재를 개방조작하였을 때에 덮개부재를 자동으로 개방상태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도어부재가 폐쇄조작되었을 때에 이 도어부재에 의해서 눌림으로써 개방조작시와 역방향으로 상기 덮개부재를 회동시켜서 이 덮개부재를 폐쇄상태로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도어부재를 폐쇄조작하면, 이 때의 도어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변환수단이 도어부재에 의해서 눌리고, 이것에 의해서 덮개부재가 개방조작시와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덮개부재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어부재의 폐쇄조작에 연동하여 덮개부재를 폐쇄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덮개부재를 폐쇄하는 작업이 간소화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전면과 상기 덮개부재의 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도어부의 전면과 덮개부재의 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면, 조리시의 조리실 내의 고온화에 따라서 도어부가 뜨거워지더라도 그 열이 틈새에 의해서 덮개부재에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조리시에 도어부가 뜨거워졌다 하더라도 덮개부재가 과도하게 뜨거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이면에는, 상기 덮개부재가 개방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조리실 출입구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이 덮개부재의 측방으로 도피시키는 정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덮개부재의 이면에 정류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도어부재를 개방조작하여 조리실 출입구를 개방하였을 때, 조리실 내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배기가 정류부에 의해서 사용자의 측방으로 도피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부재를 조작한 사용자측으로 배기가 일층 흐르기 어렵게 되므로, 도어부재를 개방조작할 때의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의 회동위치에 의해서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점화제어를 하는 점화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이용하면 도어부재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어부재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아니면 점화를 허가하지 않는 제어를 하면, 도어부재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점화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조리기의 안전성 향상이나 신뢰성 향상을 만족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가열조리기의 일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그릴부속 가스곤로(1)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릴부속 가스곤로(1)는 카운터 톱(2)에 매립상태로 부착 가능한 카운터 톱 타입이고, 카운터 톱(2)의 상면 개구부(3)에서 내부로 삽입함에 의해서 카운터 톱(2)에 부착된다. 카운터 톱(2)의 전면에는 전면 개구부(4)가 형성되며, 그릴부속 가스곤로(1)가 카운터 톱(2)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그릴부속 가스곤로(1)의 전면이 전면 개구부(4)를 통해서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그릴부속 가스곤로(1)의 사시도이다. 그릴부속 가스곤로(1)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의 본체 케이스(5)를 가지며, 본체 케이스(5)의 상면에는 상판(6)이 부착되어 있다. 그릴부속 가스곤로(1)는 본체 케이스(5)의 내부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가스버너(7)를 수용하며, 이들 가스버너(7)는 상판(6)의 버너용 개구부(7a)를 통해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각 버너용 개구부(7a)에는 삼발이(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릴부속 가스곤로(1)가 가열조리기에 상당하고, 본체 케이스(5)가 조리기 본체에 상당한다.
그릴부속 가스곤로(1)는 본체 케이스(5)의 중앙부에 그릴(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릴(9)은 구이물 조리시에 사용되며, 그릴(9) 내의 그릴실(10)(도 3 참조)에는 그릴접시(11)를 얹어놓는 그릴접시받이("스윙 암"이라고도 한다)(12)가 본체 케이스(5)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릴접시받이(12)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선재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릴접시(11)의 외측 둘레를 지지함에 의해서 그릴접시(11)가 얹어놓인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릴접시받이(12)의 1쌍의 선단에는 그릴도어(13)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 그릴도어(13)는 그 이면에 형성된 1쌍의 걸림구멍(도시생략)에 그릴접시받이(12)의 선단을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그릴접시받이(12)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그릴도어(13)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 넣음에 의해서 도어개폐가 이루어지면, 이것에 연동하여 그릴접시받이(12)가 레일(도시생략)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며, 그릴실(10)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된다. 또한, 그릴실(10)이 조리실에 상당한다.
그릴도어(13)의 하부에는 손잡이(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릴도어(13)가 폐쇄상태일 때에 이 손잡이(13a)를 잡아 당겨서 그릴도어(13)를 개방하면, 그릴접시받이(12) 및 그릴도어(13)가 레일에 안내되어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그릴접시(11)가 인출된 상태(도 3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그릴도어(13)가 개방상태로 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접시받이(12)가 그릴도어(13)의 자중에 의해서 기단부(12a)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그릴도어(13)가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그릴 개구부(15)의 개구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조리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그릴도어(13)가 개방상태일 때에 손잡이(13a)를 밀어서 그릴도어(13)를 폐쇄하면, 그릴접시받이(12) 및 그릴도어(13)가 레일에 안내되어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그릴실(10)이 폐쇄된 상태(도 2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그릴도어(13)가 폐쇄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그릴접시받이(12)가 통상의 상태, 즉 그릴접시(11)에 대해서 수평하게 된 상태로 되돌아 간다. 또한, 그릴접시받이(12) 및 그릴도어(13)가 도어부재를 구성하고, 그릴도어(13)가 도어부에 상당한다.
그릴도어(13)는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전면부(5a)와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플랫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를 플랫화함에 의해서 전면부(5a)의 의장성이 확보된다. 그릴도어(13)는 내열 글라스(13b)를 구비하며, 이 내열 글라스(13b)를 통해서 그릴실(10) 내를 투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의 양측에는 가스버너(7)나 그릴(9)의 점화버튼, 화력조절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조작부(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릴 개구부(15)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본체 케이스(5)의 폭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플랩(16)이 부착되어 있다. 플랩(16)은 그릴 조리후(조리 도중도 포함한다)에 그릴도어(13)를 개방하였 때, 그릴실(10)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배기(유체)를 사용자측(상측)으로 흐르기 어렵게 한다. 그릴도어(13)가 개방되어 그릴접시(11)가 인출되면, 플랩(16)이 전방측으로 회동하여 개방상태(도 3에 나타낸 상태)로 되고, 그릴도어(13)를 폐쇄하여 그릴실(10)이 폐쇄상태로 되면, 플랩(16)이 내측으로 회동하여 폐쇄상태(도 2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또한, 그릴 개구부(15)가 조리실 출입구에 상당하고, 플랩(16)이 덮개부재에 상당한다.
도 4는 도 5의 A-A선 단면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 확대도이다. 플랩(16)은 전면부(5a)의 양측에 외관형상을 맞춤으로써 폐쇄상태일 때에 본체 케이스(5)의 전면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있다. 플랩(16)의 양측에는 그릴도어(13)의 개폐에 연동하여 플랩(16)을 개폐하는 개폐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기구(17)를 설명하면, 본체 케이스(5)의 내면에는 그릴 개구부(15)의 상단 가장자리 및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지지틀(18)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틀(18)의 양측의 측벽에는 서로 마주 보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1쌍의 제 1 회동축(19)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회동축(19)에는, 이 제 1 회동축(19)을 지지축으로 하여 도 5의 화살표 C1 및 C2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캠(20)이 각각 지지되어 있다. 캠(20)에는 그릴도어(13)의 이동경로상으로 돌출된 맞닿음부(20a)(도 5 참조)가 형성되며, 그릴도어(13)를 폐쇄시켰을 때에는 그릴도어(13)의 상부가 캠(20)의 맞닿음부(20a)에 맞닿음으로써 캠(20)이 그릴도어(13)에 대해서 반대측(도 5의 화살표 C1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각 캠(20)의 상부에는 안내홈(20b)이 형성되어 있다. 플랩(16)의 각 측벽에는 서로 마주 보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1쌍의 돌출부(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홈(20b)에는 이 돌출부(16a)가 걸려 있다. 또한, 캠(20)이 변환수단에 상당한다.
또, 본체 케이스(5)에 있어서의 플랩(16)의 측벽에 대향하는 내벽에는 서로 마주 보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1쌍의 제 2 회동축(2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회동축(21)에는 이 제 2 회동축(21)을 지지축으로 하여 플랩(16)이 도 5의 화살표 D1 및 D2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 본체 케이스(5)에 있어서의 지지틀(18)의 상부위치에는 본체 케이스(5)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결판(22)이 복수개의 나사(도시생략)에 의해서 부착 고정되어 있다.
각 캠(20)과 연결판(22)과의 사이에는 캠(20)을 전방측{플랩(16)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23)은 그 일단이 연결판(22)에 절곡형성된 걸림편(22a)에 걸려 있고, 타단이 캠(20)에 돌출형성된 걸림핀(20c)에 걸려 있다. 따라서, 스프링(23)의 탄지력이 캠(20)에 의해서 플랩(16)의 회동력으로 변환되며, 그릴도어(13)와 캠(20)과의 위치관계에 대응하여 플랩(16)이 도 5의 화살표 D1 및 D2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23)이 탄지수단에 상당한다.
따라서,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폐쇄상태의 그릴도어(13)를 개방조작할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도어(13)가 맞닿음부(20a)에서 떨어지면, 스프링(23) 의 탄지력에 의해서 캠(20)이 전방측(화살표 C2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고, 이와 동시에 플랩(16)이 화살표 D1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어개방조작을 더 계속하면 캠(20)의 회동이 계속되고, 그릴도어(13)가 캠(20)에서 이간된 시점에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16)이 본체 케이스(5)의 상면{즉, 카운터 톱(2)이나 상판(6)}에 대해서 수평상태, 즉 플랩(16)이 개방상태로 된다.
한편,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개방상태의 그릴도어(13)를 폐쇄조작할 때, 그 폐쇄조작 도중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도어(13)가 캠(20)의 맞닿음부(20a)에 맞닿게 된다. 그릴도어(13)가 내측으로 더 눌려 들어가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20)이 스프링(23)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내측(화살표 C1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고, 이와 동시에 플랩(16)이 화살표 D2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어폐쇄조작을 더 계속하면 그릴도어(13)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되고, 이 때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16)이 그릴도어(13)의 전면을 덮은 상태{전면부(5a)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 즉 플랩(16)이 폐쇄상태로 된다.
도 9는 플랩(16)의 이면도이다. 플랩(16)의 이면에는, 그릴(9)의 사용시에 도어개방조작에 의해서 그릴실(10)이 개방되었을 때, 그릴실(10) 내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배기를 사용자의 측방으로 도피시키는 정류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부(24)는 중앙부를 정점으로 하여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이간되도록 연장되는 2개의 제 1 정류부(24a)와, 플랩(16)의 양 단부에 위치함과 아울러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이간되도록 경사진 2개의 제 2 정류부(24b)로 이루어진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도어(13){내열 글라스(13b)}의 전면과 플 랩(16)의 이면과의 사이에는 틈새(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틈새(25)는 플랩(16)이 폐쇄상태로 되었을 때에, 본체 케이스(5)의 전면이 플랫상태로 될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틈새(25)를 형성함에 의해서, 그릴실(10) 내의 열이 플랩(16)에 전달되기 어렵게 됨과 아울러, 플랩(16)의 이면에 정류부(24)를 형성하더라도 플랩(16)이 폐쇄상태로 되었을 때에 본체 케이스(5)의 전면의 플랫한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그릴부속 가스곤로(1)의 전기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릴부속 가스곤로(1)는, 이 그릴부속 가스곤로(1)의 점화제어나 화력조정제어 등의 각종 제어를 하는 제어장치(26)와, 가스버너(7)나 그릴(9)에 점화를 하는 점화장치(27)와, 예를 들면 가스의 메인 개폐밸브나 화력조정밸브로 이루어지는 밸브(28)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26)는 조작부(14)의 점화조작에 의거하여 점화장치(27)를 제어하는 점화제어를 하거나 조작부(14)의 화력조정조작에 의거하여 밸브(28)를 제어하는 화력조정제어를 한다. 또한, 스위치(29)가 검출수단에 상당하고, 제어장치(26)가 점화제어수단에 상당한다.
또, 캠(20)의 회동경로상에는 캠(20)과의 위치관계에 의거하여 ON/OFF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29)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9)는 그릴도어(13)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되었을 때에 캠(20)에 접점이 눌려져서 ON상태로 되고, 그릴도어(13)가 개방되었을 때에 캠(20)이 접점에서 이간되어 OFF상태로 된다. 스위치(29)는 제어장치(26)에 전기접속되어 있으며, 제어장치(26)는 스위치(29)에서 입력되는 ON신호 또는 OFF신호에 의거하여 점화장치(27)를 점화제어한다.
계속해서, 그릴부속 가스곤로(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폐쇄상태의 그릴도어(13)를 개방조작할 경우, 그릴도어(13)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조작을 하는데, 이 때 그릴도어(13)가 개방상태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서 그릴도어(13)의 상부와 캠(20)과의 상대위치가 변화한다. 이 때, 캠(20)이 스프링(23)의 탄지력에 의해서 도 5 및 도 6의 화살표 C2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플랩(16)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화살표 D1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여 개방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릴도어(13)의 개방조작이 계속됨에 따라서 플랩(16)이 회동을 계속하고, 그릴도어(13)가 캠(20)과 완전히 이간된 시점에서 플랩(16)이 도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상태로 된다.
플랩(16)이 개방상태로 되면, 그릴 개구부(15)의 상측이 플랩(16)에 의해서 덮개를 씌운 것 같이 덮여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그릴(9)에서의 조리 도중 또는 조리 종료후에 그릴도어(13)를 개방함에 의해서 그릴실(10) 내에서 고온의 배기가 외부로 유출되었다 하더라도 그 배기가 플랩(16)에 의해서 차단되기 때문에, 그릴도어(13)를 개방한 사용자측으로 배기가 흐르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릴실(10)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배기에 의해서 성가신 일 없이 그릴도어(13)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그릴(9)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고온의 배기가 상측으로 흐르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카운터 톱(2)이나 상판(6)의 눌어붙음도 억제된다.
또, 이 플랩(16)은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의 의장면을 구성하는 부품이 그릴도어(13)와 별체로 된 부품으로 되어 있어 그 만큼 그릴도어(13)가 가벼워지게 된다. 따라서, 의장면을 구성하는 부품이 그릴도어(13)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작은 힘으로 그릴도어(13)의 개폐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릴도어(13)의 개폐조작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그릴도어(13)의 조작성이 확보된다.
또한, 플랩(16)은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의 의장면의 역할과 그릴도어(13)를 개방하였을 때에 그릴 개구부(15)의 상측을 덮는 덮개의 역할을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릴도어(13)에 비해 얇고 또한 면적적으로도 작은 부품이어도 된다. 따라서, 플랩(16)이 개방상태로 되었을 때에 전방으로 돌출되더라도, 그릴도어(13) 자체를 들어 올리는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플랩(16)의 양측의 조작부(14)를 조작할 때의 방해물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플랩(16)을 사용한 구성을 채용하면, 그릴도어(13)의 개방조작시에 그릴실(10)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배기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조작부(14)의 조작성도 확보된다.
또, 플랩(16)이 얇고 작다는 점에서, 플랩(16)이 개방상태로 되어 있더라도 이 플랩(16)이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의 스페이스를 넓게 취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랩(16)에 의해서 그릴 개구부(15)가 규제되기 어렵게 됨으로써 충분한 그릴 개구부(15)의 개구면적이 확보된다. 게다가, 그릴도어(13)를 인출하였을 때에는 그릴접시받이(12)를 통해서 그릴도어(13)가 하측으로 내려지기 때문에, 그릴 개구부(15)의 개구면적이 일층 넓어지게 되며, 조리조작이 일층 용이하게 된다. 또, 플랩(16)이 개방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23)}가 필요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벼운 플랩(16)을 사용하면 유지기구가 간소한 것이어도 된다.
한편, 개방상태의 그릴도어(13)를 폐쇄조작할 경우, 그릴도어(13)를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 때, 도어폐쇄조작 도중에 그릴도어(13)의 상부가 캠(20)의 맞닿음부(20a)에 맞닿게 되면, 캠(20)이 스프링(23)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도 5 및 도 6의 화살표 C1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플랩(16)이 도 5 및 도 6의 화살표 D2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여 폐쇄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릴도어(13)의 폐쇄조작이 계속됨에 따라서 플랩(16)이 회동을 계속하고, 그릴도어(13)가 완전히 폐쇄된 시점에서 플랩(16)이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플랩(16)의 폐쇄조작이 그릴도어(13)의 폐쇄조작에 연동하기 때문에, 플랩(16)의 폐쇄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어장치(26)는 캠(20)에 의해서 ON/OFF되는 스위치(29)로부터의 ON신호 또는 OFF신호에 의거하여 그릴(9)에 대한 점화의 허가를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그릴도어(13)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스위치(29)에서 OFF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조작부(14)가 점화조작되더라도, 제어장치(26)가 그릴(9)에 대한 점화를 허가하지 않기 때문에 그릴(9)에 대한 점화가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릴도어(13)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릴(9)이 점화되지 않으므로 장치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그릴도어(13)를 개방하여 조리물을 넣고, 그릴도어(13)를 폐쇄하고서 그릴(9)에서의 조리를 시작할 때, 그릴도어(13)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으면 그릴(9)의 점화가 허가되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조작부(14)를 조작하더라도 그릴(9)은 점화되지 않는다. 또, 그릴(9)에서의 조리 도중에 그릴도어(13)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스위치(29)가 OFF로 된 시점에서 타이머(26a)에 의해서 카운트가 개시되고, 타이머(26a)가 카운트 업될 때까지 그릴도어(13)가 폐쇄되어 스위치(29)가 ON으로 되면 그릴(9)의 연소상태가 계속된다. 한편, 타이머(26a)가 카운트 업되었을 때에는 그릴(9)이 소화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그릴도어(13)의 개폐조작에 따라서 회동 가능한 플랩(16)을 본체 케이스(5)에 설치하고, 그릴도어(13)가 폐쇄상태일 때에는 플랩(16)이 폐쇄되어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의 의장면을 이루고, 그릴도어(13)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플랩(16)이 개방되어 그릴 개구부(15)의 상측을 덮은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플랩(16)은 그릴도어(13)와 별체로 된 부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그릴도어(13)가 가벼워지게 되며, 그릴도어(13)의 개폐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플랩(16)은 그릴도어(13)에 비해 얇고 또한 면적적으로도 작아도 되기 때문에, 플랩(16)이 개방상태로 된 상태에서 조작부(14)를 조작할 때 플랩(16)이 방해물이 되지 않게 되므로, 조작부(14)의 조작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얇고 면적이 작은 플랩(16)을 회동시켜서 그릴 개구부(15)의 상측을 덮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릴 개구부(15)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플랩(16)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유지기구도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② 본체 케이스(5)와 캠(20)과의 사이에 스프링(23)을 장착하고, 이 스프링 (23)의 탄지력에 의해서 캠(20)을 통해서 플랩(16)을 개방상태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릴도어(13)의 개방조작에 따라서 플랩(16)을 자동으로 개방상태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③ 그릴도어(13)를 폐쇄조작하였을 때에 그릴도어(13)의 상부가 캠(20)의 맞닿음부(20a)에 맞닿게 됨에 의해서 플랩(16)이 폐쇄상태측으로 회동하여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그릴도어(13)의 폐쇄조작을 플랩(16)의 폐쇄조작에 연동시킬 수 있어, 플랩(16)을 폐쇄상태로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④ 그릴도어(13){내열 글라스(13b)}의 전면과 플랩(16)의 이면과의 사이에 틈새(25)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릴(9)에서 조리를 하고 있을 때에 그릴실(10)의 온도가 고온으로 되더라도 그 열이 플랩(16)에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조리 종료후에 그릴도어(13)를 개방함에 의해서 플랩(16)이 개방상태로 되었을 때, 플랩(16)에 손이 접촉하더라도 지장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⑤ 플랩(16)의 이면에 정류부(24)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릴(9)에 의한 조리 도중 또는 조리후에 그릴도어(13)를 개방조작하여 그릴실(10)을 개방하였을 때, 그릴실(10)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배기가 정류부(24)에 의해서 사용자의 측방으로 도피되게 된다. 따라서, 그릴도어(13)를 개방조작한 사용자측으로 배기가 흐르기 어렵게 됨으로써, 그릴도어(13)를 개방조작할 때의 사용의 편리성이 좋아지게 된다.
⑥ 제어장치(26)는 스위치(29)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그릴도어(13)가 폐쇄된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점화장치(27)의 점화를 허가한다. 따라서, 그릴도어 (13)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릴(9)이 점화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하의 실시태양으로 변경하여도 된다.
◎ 그릴도어(13)와 플랩(16)과의 사이에 틈새(25)를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도어(13)에 오목부(30)를 형성하여 틈새(25)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플랩(16)에 정류부(24)를 형성하여도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를 플랫화하기 쉬워지게 된다. 특히, 설계적으로 오목부(30)를 크게 취하면, 정류부(24)의 높이도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정류작용이 향상된다.
◎ 플랩(16)을 폐쇄상태로 할 때, 그 조작이 그릴도어(13)의 폐쇄조작에 연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 자신이, 예를 들면 손으로 플랩(16)을 폐쇄하도록 하여도 된다.
◎ 플랩(16)은 스프링(23)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방상태로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일 때의 플랩(16)을 스냅 피팅구조에 의해서 본체 케이스(5)에 걸림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자신이, 예를 들면 손으로 개방조작 또는 폐쇄조작하도록 하여도 된다.
◎ 그릴도어(13)는 수동조작에 의해서 개방조작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본체 케이스(5)의 전면부(5a)에 푸시 버튼을 설치하고, 이 푸시 버튼을 조작함에 의해서 그릴도어(13)가 개방되도록 하여도 된다.
◎ 화력조정용 조작부(14)는 레버식이어도 된다.
◎ 탄지수단은 스프링(23)에 한정하지 않고, 플랩(16)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 스위치(29)로부터의 신호는 점화허가의 제어에만 사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그릴(9)에 있어서의 다른 제어기능(예를 들면, 화력조절 등)에 사용하여도 된다.
◎ 검출수단은 접점식 스위치(29)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도 된다.
◎ 플랩(16)에 형성한 정류부(24)는 그 형상을 적절히 변형하여도 된다. 또, 반드시 플랩(16)에 정류부(24)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정류부(24)를 생략하여도 된다.
◎ 가열조리기는 그릴부속 가스곤로(1)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븐이어도 된다. 또, 가열조리기는 가스식에 한정하지 않고 전기식이어도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 및 별도의 실시태양에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이하에 추기한다.
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가 폐쇄상태일 때, 상기 조리기 본체의 전면에 대해서 상기 덮개부재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로 되고, 상기 덮개부재가 개방상태일 때, 상기 조리기 본체의 상판에 대해서 상기 덮개부재가 수평하게 위치한 상태로 된다.
②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자신 이 폐쇄상태일 때에 상기 도어부의 상부의 전면을 덮는다.
③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그 두께가 상기 도어부재의 상기 도어부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④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조작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를 지지하는 만곡부재를 통해서 당해 도어부가 본체 케이스에 대해서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기 본체에 덮개부재를 부착하였기 때문에, 도어부의 전면의 의장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슬라이드식 도어부재의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점화나 화력조정 등의 조작부의 조작성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 조리실을 가지며, 상기 조리기 본체에 대해서 도어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의 도어개폐를 하는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조작되었을 때에 이 개방조작에 따라서 회동을 개시하고, 상기 도어부재의 도어부의 전면을 덮은 폐쇄상태에서 조리실 출입구의 상측을 덮는 개방상태로 되는 덮개부재를 형성하고, 덮개부재는, 도어부재와 별체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도어부재는, 손잡이와 도어부를 구비하고, 도어부에는 조리실 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열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재가 폐쇄상태일 때에 상기 도어부의 내열유리 상부의 상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를 개방상태측으로 탄지 가능한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상기 덮개부재의 개방상태측의 회동력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도어부재가 폐쇄조작되었을 때에 이 도어부재에 의해서 눌림으로써 개방조작시와 역방향으로 상기 덮개부재를 회동시켜서 이 덮개부재를 폐쇄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전면과 상기 덮개부재의 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이면에는, 상기 덮개부재가 개방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조리실 출입구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이 덮개부재의 측방으로 도피시키는 정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의 회동위치에 의해서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점화제어를 하는 점화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20050040276A 2004-05-19 2005-05-13 가열조리기 KR100679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9530 2004-05-19
JP2004149530A JP4146390B2 (ja) 2004-05-19 2004-05-19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914A KR20060047914A (ko) 2006-05-18
KR100679398B1 true KR100679398B1 (ko) 2007-02-05

Family

ID=3548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76A KR100679398B1 (ko) 2004-05-19 2005-05-13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46390B2 (ko)
KR (1) KR100679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6390B2 (ja) 2004-05-19 2008-09-10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866819B2 (ja) * 2007-09-19 2012-02-01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6656965B2 (ja) * 2016-03-17 2020-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364U (ko) 1975-12-24 1977-07-04
JPS5646706U (ko) 1979-09-13 1981-04-25
JPS5934216U (ja) 1982-08-30 1984-03-02 リンナイ株式会社 焼成器
JPS62152109U (ko) 1986-03-19 1987-09-26
JPH01167508U (ko) * 1988-05-17 1989-11-24
JPH08296857A (ja) * 1995-04-26 1996-11-12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JP2002159403A (ja) 2000-11-29 2002-06-04 Paloma Ind Ltd グリル
JP2003190024A (ja) 2001-12-27 2003-07-08 Sanyo Electric Co Ltd グリル装置
JP2005331160A (ja) 2004-05-19 2005-12-02 Rinnai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364U (ko) 1975-12-24 1977-07-04
JPS5646706U (ko) 1979-09-13 1981-04-25
JPS5934216U (ja) 1982-08-30 1984-03-02 リンナイ株式会社 焼成器
JPS62152109U (ko) 1986-03-19 1987-09-26
JPH01167508U (ko) * 1988-05-17 1989-11-24
JPH08296857A (ja) * 1995-04-26 1996-11-12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JP2002159403A (ja) 2000-11-29 2002-06-04 Paloma Ind Ltd グリル
JP2003190024A (ja) 2001-12-27 2003-07-08 Sanyo Electric Co Ltd グリル装置
JP2005331160A (ja) 2004-05-19 2005-12-02 Rinnai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31160A (ja) 2005-12-02
JP4146390B2 (ja) 2008-09-10
KR20060047914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211B1 (ko) 도어 잠금 장치
CA3030194A1 (en) Push-to-open / signal-to-open appliance door latching system with an integrated locking device
KR100679398B1 (ko) 가열조리기
US3362396A (en) Windowed oven door
JP4189237B2 (ja) 調理器具
JP4408111B2 (ja) コンロ
JP4196003B2 (ja) 加熱調理器用のドア
EP2359067A2 (en)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oven
US20070240699A1 (en) Assembly for locking an oven door
JP4881328B2 (ja) グリル調理器
US11435085B2 (en) Pivoting display for appliance
JP5513204B2 (ja) コンロ
KR20060033930A (ko) 가스 풍로
JP2011007429A (ja) グリル
JP4414385B2 (ja) ガスコンロ
JP2006322674A (ja) コンロ
JP6348351B2 (ja) グリル、グリル皿
CN217235677U (zh) 高效节能风气联动式大锅灶
JP5395456B2 (ja) 加熱調理器用の操作レバー
KR200244887Y1 (ko) 숯불구이기의 화력조절장치
JP4105125B2 (ja) ガスコンロ
JP2011017495A (ja) 調理器
JP2005241125A (ja) ガスコンロ
JPH07305856A (ja) 加熱調理器の扉開閉装置
JP2004121596A (ja) 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