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861B1 - 이동 봉사 적재함 - Google Patents

이동 봉사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61B1
KR100677861B1 KR1020060037062A KR20060037062A KR100677861B1 KR 100677861 B1 KR100677861 B1 KR 100677861B1 KR 1020060037062 A KR1020060037062 A KR 1020060037062A KR 20060037062 A KR20060037062 A KR 20060037062A KR 100677861 B1 KR100677861 B1 KR 10067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fting device
beehive
coupling hole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봉덕
안창기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Priority to KR102006003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는 벌통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외측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설치공간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의 하부 끝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설치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한편 내부에 실린더가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과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의 축소시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해 있다가 실린더 로드의 신장시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서 하향 인출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일측 가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공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운송차량에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벌통, 승강장치, 컨테이너, 실린더, 설치공간

Description

이동 봉사 적재함{Container for mobile bee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의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컨테이너 11:설치공간 12:결합공
13:중앙통로 14:선반 15:테이블 리프트
20:승강장치 21:베이스프레임 22:연장프레임
23:연결프레임 30:벌통 40:돌출부
41:결합공 140:가이드레일 210:실린더
본 발명은 이동 봉사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승강장치를 설치하여 별도의 기계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운송차량에 용이하게 실을 수 있도록 한 이동 봉사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작업에 있어서 꽃의 개화시기에 벌통을 꽃이 피는 장소로 이동설치하는 전사(轉飼: 옮겨 기르기)를 함으로써, 그 계절에 피는 꽃에서 벌들로 하여금 꿀을 채집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양봉작업의 특성상 벌통을 이동하기 위해 운송차량의 후방 적재부에 벌통을 3~5단으로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런 작업들이 순전히 인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양봉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물을 능률적·경제 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만든 상자 모양의 큰 용기인 컨테이너(container) 내부에 벌통을 실은 다음 이 컨테이너를 운송차량에 실어 꽃이 피는 장소로 한번에 이동시켜 양봉작업을 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을 사용할 경우 내부에 벌통이 적재된 컨테이너를 운송차량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운송차량에 실을 수 있는 별도의 기계장치 즉, 예를 들면 컨테이너의 상, 하역시에 동력을 이용해 화물을 달아 올려 이동시는 크레인과 같은 기계장치가 필요하였다.
그리고 벌통을 컨테이너 내부에 다층으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인력으로 쌓아야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인력이 필요로 하나 이러한 작업인력에 비해 작업능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내부에 벌통이 적재된 컨테이너를 별도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승시켜 손쉽게 운송차량에 실을 수 있도록 한 이동 봉사 적재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가장자리에 승강장치의 설치공간을 마련하여 컨테이너를 운송차량에 적재시에는 승강장치가 컨테이너 외부로 돌출되나, 일단 컨테이너가 운송차량에 적재되고 나면 승강장치가 적재함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설치공간으로 들어가게 한 이동 봉사 적재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장치를 컨테이너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승강장치의 설치공간을 전혀 차지하지 않는 이동 봉사 적재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내부에 테이블 리프트를 설치하여 벌통을 더욱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이동 봉사 적재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는 벌통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외측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설치공간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의 하부 끝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설치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한편 내부에 실린더가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과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의 축소시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해 있다가 실린더 로드의 신장시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서 하향 인출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일측 가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공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운송차량에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는 설치공간이 없이 결합공만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사용시에는 연결프레임을 컨테이너의 결합공에서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사용이 끝난 후에는 결합공으로부터 연결프레임을 완전히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중앙통로를 확보하고 그외의 나머지 양측 공간으로 다층의 선반을 설치하여 벌통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중앙통로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테이블 리프트를 설치하여 벌통을 최상단의 선반까지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된 선반 및 테이블 리프트의 상면에는, 벌통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벌통의 저면에 부합되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벌통의 이동이 더욱 편리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리프트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은, ㄷ 형태로 연결 형성되는 한편, 벌통을 선반에서 테이블 리프트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선반의 가이드레일과 일치되도록 리프트 상면에 올려놓고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테이블 리프트 상면에서 제거하여 보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좌우 하부에는, 내부에 결합공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에 승강장치의 연결프레임이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컨테이너의 폭 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승강장치의 결합시 돌출부의 짧아진 폭만큼 승강장치가 컨테이너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결합된 승강장치가 컨테이너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재함은, 내부에 벌통(30)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컨테이너(10)와, 상기 컨테이너(10)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승강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0)는 일반적인 컨테이너(10)와 동일하나 외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승강장치(20)가 결합되는 설치공간(11)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설치공간(11)은, 승강장치(20)에 부합되는 크기 즉, 승강장치(20)가 설치공간(11)에 밀착되었을 때 컨테이너(10)의 설치공간(11)과 승강장치(20)가 거의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11)의 설치위치는 컨테이너(10)를 들어올릴 때 균형을 고려하여 컨테이너(10)의 네 귀퉁이나 컨테이너(10) 전후방 가장자리에 홈 형태로 형성하고 여기에 승강장치(20)가 설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10)에 설치공간(11)을 형성한 것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부로서 이와 같이 컨테이너(10)에 설치공간(11)을 형성하는 이유는 승강장치(20)를 설치공간(11)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컨테이너(10)의 폭을 줄이지 않음에 따라 컨테이너(10) 내부에 형성되는 중앙통로(13)의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예를 들어 기존의 컨테이너(10)의 폭은 운송차량(5t 차)의 적재부와 동 일한 폭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컨테이너(10) 외부에 승강장치(20)가 돌출되게 설치될 경우 운송차량의 적재부의 폭 보다 컨테이너(10)와 승강장치(20)를 합한 폭이 커지므로 컨테이너(10)를 운송차량에 실을 수 없게 되어, 이에 컨테이너(10)를 운송차량에 실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컨테이너(10)의 폭을 승강장치(20)가 돌출된 거리만큼 줄이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나, 이 방법은 컨테이너(10)의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컨테이너(10) 내부 폭 또한 줄어들어 적정한 중앙통로(13)의 공간 확보가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컨테이너(10) 내부의 중앙통로(13)의 확보를 위해 컨테이너(10)의 폭을 그대로 둔 채 승강장치(20)의 설치가 가능한 방법을 찾은 끝에 컨테이너(10)의 가장자리에 승강장치(20)의 면적에 부합되는 다수의 설치공간(11)을 형성하여 여기에 승강장치(20)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컨테이너(10) 폭은 줄이지 않으면서 다시 말해, 목적한바 대로 컨테이너(10) 내부의 중앙통로(13)의 공간 확보와 더불어 승강장치(20)를 설치가 이루어져 컨테이너(10)를 운송차량에 용이하게 실을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설치공간(11)의 하부 끝단에는 승강장치(20)의 연결프레임(23)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인출되는 결합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은 연결프레임(23)의 외경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장치(20)는, 컨테이너(10)의 설치공간(11)에 위치되도록 설치가 이 루어지는 것으로서, 실린더(210)가 내장된 베이스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내장되며 작동시에는 베이스프레임(21)으로부터 인출되는 연장프레임(2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1) 하부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컨테이너(10)의 설치공간(11)에 위치되도록 설치가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유압 실린더(21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10)는, 윗부분은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아랫부분 즉, 베이스프레임(21)의 내부에 하향으로 설치된 선단 로드 부위는 연장프레임(22)의 하부 일단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연장프레임(22)은,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가 실린더(210) 로드가 신장되면 로드의 신장된 길이만큼 베이스프레임(21) 하부로부터 하향 인출되어 컨테이너(10)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연장프레임(22)은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21)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3)은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 하단의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컨테이너(10)의 결합공(12)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프레임(23)은 승강장치(20)의 작동시 컨테이너(10)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강한 고강도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23)은 승강장치(20)의 작동시에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의 결합공(12)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승강장치(20)의 작동이 완료되면 연결프레임(23)을 결합공(12) 측으로 완전히 밀어넣어 승강장치(20)가 컨테이너(10)의 설치공간(11)에 들어가게 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0)는, 컨테이너(1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이 방식은 작동시 승강장치(20)의 연결프레임(23)을 컨테이너(10)의 결합공(12)에 밀어 넣고 승강장치(20)의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연결프레임(23)을 컨테이너(10)의 결합공(12)에서 완전히 분리시켜 승강장치(20)를 별도로 보관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승강장치(20)를 완전히 분리하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컨테이너(10)에 설치공간(11)을 형성하지 않고 연결프레임(23)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2)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6과 같이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많은 양의 벌통(30)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선반(14)이 설치되고, 중앙에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중 앙통로(13)가 확보되며, 상기 중앙통로(13)에는 벌통(3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테이블 리프트(15)가 설치된다.
상기 선반(14)은 컨테이너(10) 내부에 설치된 중앙통로(1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많은 벌통(30)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2단 이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4)에는 벌통(30) 저면에 부합되는 일정간격의 가이드레일(140)을 설치하여 이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벌통(30)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통로(13)는 벌통(30)을 관리하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으로, 이 중앙통로(13)에는 최상단의 선반(14)까지 벌통(3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테이블 리프트(15)가 설치된다.
상기 테이블 리프트(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X 자 형상의 가로 및 세로대가 신축됨에 따라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면에는 상기 선반(14)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0)과 연결되는 가이드레일(140)이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 테이블 리프트(15)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하며, 위의 방식으로 작동되는 테이블 리프트 이외에 일반적인 로프에 의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테이블 리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벌통(30)을 테이블 리프트(15)에 놓고 테이블 리프트(15)를 상승시키면 테이블 리프트(15)의 상면이 벌통(30)을 적재할 선반(14)과 나란히 일치되어 벌통(30)을 선반(14)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14)과 테이블 리프트(15)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40)이 연결되기 때문에 이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벌통(30)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테이블 리프트(15)의 가이드레일(140)은 “ㄷ” 형태로 연결 형성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 리프트(15)의 가이드레일(140)은 벌통(30)을 선반(14)에서 테이블 리프트(15)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상기 선반(14)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0)과 일치되도록 테이블 리프트(15) 상면에 올려놓고 사용하고, 벌통(30)의 이동작업 완료 후에는 테이블 리프트(15) 상면에서 즉시 제거하여 별도 보관한다.
그 이유는 컨테이너(10) 바닥에 거의 밀착되도록 접혀진 테이블 리프트(15) 상면에 가이드레일(140)이 계속 놓여있을 경우 선반(14)에 적재하기 위한 새 벌통(30)의 이동시 가이드레일(140) 때문에 이동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이동 또한 불편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의 전 후방 가장자리에 홈 형태로 설치공간(11)을 형성하여 여기 에 승강장치(2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의 하부 좌, 우로 내부에 결합공(41)을 갖는 돌출부(40)를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41)에 승강장치(20)의 연결프레임(23)이 결합되게 한 것이다.
이때, 전, 후로 돌출되는 돌출부(40)는 컨테이너(10)의 폭 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승강장치(20)의 결합시 돌출부(40)의 짧아진 폭만큼 승강장치(20)가 컨테이너(10)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결합된 승강장치(20)가 컨테이너(10)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재함은, 컨테이너(10)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승강장치(20)를 설치하여 별도의 기계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컨테이너(10)를 들어올려 운송차량에 용이하게 실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테이너(10) 내부에 벌통(30)을 적재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컨테이너(10)의 문을 연 다음 적재하고자 하는 벌통(30)을 테이블 리프트(15)에 올려놓고 벌통(30)을 놓을 선반(14)의 위치까지 테이블 리프트(15)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테이블 리프트(15)의 상면이 선반(14)과 일치되면 테이블 리프트(15)를 정시시킨 다음 벌통(30)을 밀어서 양측의 선반(14)에 내려놓는다.
상기 벌통(30)을 선반(14)에 놓을 때는 테이블 리프트(15)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0)과 선반(14)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0)이 일치되기 때문에 벌통(30)을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벌통(30)의 적재가 완료되면 테이블 리프트(15)가 컨테이너(10) 바닥에 닿을 정도로 최대한 하강시킨 후 작업자가 컨테이너(10) 밖으로 나오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블 리프트(15)는 승강이 자유롭기 때문에 벌통(30)을 높은 곳에 운반시에 매우 편리하며, 하강시키면 거의 컨테이너(10) 바닥에 밀착되기 때문에 중앙통로(13)가 충분히 확보되어 작업자가 벌통(30) 내검 및 채밀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승강장치(20)의 작동 과정을 설명키로 한다.
승강장치(20)의 작동을 위해 컨테이너(10)의 결합공(12)에 결합되어 있던 연결프레임(23)을 인출시킨다.
그런 다음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210)를 작동시키면 실린더(210) 로드가 신장 되면서 베이스프레임(21) 내부에 위치된 연장프레임(22)이 실린더(210) 로드의 신장된 길이만큼 하향으로 인출되고, 이때 컨테이너(10)는 상승하게 된다.
컨테이너(10)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도 10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20)와 승강 장치(20) 사이로 운송차량의 적재부를 밀어 넣고 승강장치(20)를 하강시켜 컨테이너(10)가 운송차량의 적재부에 완전히 안치되게 한다.
그리고 승강장치(20)의 실린더(210) 로드를 더욱 축소하여 연장프레임(22)이 베이스프레임(21)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한 다음 돌출된 연결프레임(23)을 컨테이너(10)의 결합공(12)에 밀어 넣어 승강장치(20)가 컨테이너(10)의 설치공간에(11)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운송차량에 컨테이너(10) 적재가 완료되면 운송차량을 운전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면 된다.
그리고 운송차량에 실은 컨테이너(10)의 하역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승강장치(20) 작동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손쉽게 컨테이너(10)를 내려놓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0)는 작동완료 후 컨테이너(10)의 설치공간(11)에 위치된 상태로 보관할 수도 있으나, 연결프레임(23)을 결합공(12)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승강장치(20)를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30통 이상의 대량의 벌통을 한번에 원하는 목적지로 간편하게 운반하여 양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2) 컨테이너 내부에 테이블 리프트를 설치하여 벌통을 높은 곳까지 손쉽게 운반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선반과 테이블 리프트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벌통을 더욱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4) 컨테이너의 네 귀퉁이나 전, 후방 가장자리에 홈 형태로 설치공간을 형성하여 여기에 승강장치를 설치하므로 컨테이너 내부의 중앙통로의 공간 확보가 충분히 이루어져 작업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5)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벌통의 이동작업을 큰 힘을 드리지 않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양봉업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Claims (7)

  1. 내부에는 벌통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외측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설치공간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의 하부 끝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설치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한편 내부에 실린더가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과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의 축소시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해 있다가 실린더 로드의 신장시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서 하향 인출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일측 가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공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운송차량에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봉사 적재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설치공간이 없이 결합공만 형성된 구조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봉사 적재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중앙통로를 확보하고 그 외의 나머지 양측 공간으로 다층의 선반을 설치하여 벌통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중앙통로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테이블 리프트를 설치하여 벌통을 최상단의 선반까지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봉사 적재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된 선반 및 테이블 리프트의 상면에는, 벌통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벌통의 저면에 부합되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벌통의 이동이 더욱 편리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봉사 적재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리프트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은, ㄷ 형태로 연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봉사 적재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좌우 하부에는, 내부에 결합공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에 승강장치의 연결프레임이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봉사 적재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컨테이너의 폭 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승강장치의 결합시 돌출부의 짧아진 폭만큼 승강장치가 컨테이너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결합된 승강장치가 컨테이너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봉사 적재함.
KR1020060037062A 2006-04-25 2006-04-25 이동 봉사 적재함 KR10067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062A KR100677861B1 (ko) 2006-04-25 2006-04-25 이동 봉사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062A KR100677861B1 (ko) 2006-04-25 2006-04-25 이동 봉사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861B1 true KR100677861B1 (ko) 2007-02-02

Family

ID=3810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062A KR100677861B1 (ko) 2006-04-25 2006-04-25 이동 봉사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70510C1 (ru) * 2011-09-12 2012-12-27 Алексей Петрович Фисенко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ассетный павильон для круглогодич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пчел
KR101423327B1 (ko) 2012-07-10 2014-07-25 박중수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WO2018199519A1 (ko) * 2017-04-24 2018-11-01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CN110329132A (zh) * 2019-08-13 2019-10-15 湖北宏远机械制造有限公司 混合式多层物流运输车
WO2020025899A1 (fr) * 2018-07-31 2020-02-06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KR102628671B1 (ko) * 2023-04-05 2024-01-23 봉석 차량 이동식 봉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08A (ko) * 1991-07-23 1993-02-22 임성빈 콘테이너 입,반출 방법 및 그 장치
KR940009023A (ko) * 1992-10-08 1994-05-16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
KR950014233U (ko) * 1993-11-09 1995-06-16 고상용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장치
KR20010001264A (ko) * 1999-06-03 2001-01-05 정몽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운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08A (ko) * 1991-07-23 1993-02-22 임성빈 콘테이너 입,반출 방법 및 그 장치
KR940009023A (ko) * 1992-10-08 1994-05-16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
KR950014233U (ko) * 1993-11-09 1995-06-16 고상용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장치
KR20010001264A (ko) * 1999-06-03 2001-01-05 정몽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운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70510C1 (ru) * 2011-09-12 2012-12-27 Алексей Петрович Фисенко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ассетный павильон для круглогодич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пчел
EA020799B1 (ru) * 2011-09-12 2015-01-30 Алексей Петрович Фисенко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ассетный павильон для круглогодич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пчел (срп-1)
KR101423327B1 (ko) 2012-07-10 2014-07-25 박중수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WO2018199519A1 (ko) * 2017-04-24 2018-11-01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WO2020025899A1 (fr) * 2018-07-31 2020-02-06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FR3084559A1 (fr) * 2018-07-31 2020-02-07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CN110329132A (zh) * 2019-08-13 2019-10-15 湖北宏远机械制造有限公司 混合式多层物流运输车
CN110329132B (zh) * 2019-08-13 2024-03-26 湖北宏远机械制造有限公司 混合式多层物流运输车
KR102628671B1 (ko) * 2023-04-05 2024-01-23 봉석 차량 이동식 봉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861B1 (ko) 이동 봉사 적재함
JP5988984B2 (ja) 立体自動倉庫
ES2317351T3 (es) Almacen de estantes y procedimiento para transferir material almacenado en un almacen de estantes.
DE602005004767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gern von sperriger Last
DE102008019404B4 (de) Artikelvereinzelung direkt in Regalbediengerät
HU230618B1 (hu) Raktári árukezelő rendszer és rakodó-berendezés raktári árukezelő rendszerhez
US3933257A (en) Warehouse shelving system
KR100708334B1 (ko)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JP2009143651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物の移動方法
CN113753457A (zh) 存取车、存取系统和存取方法
JP5635062B2 (ja) パレット供給装置
CN110001497B (zh) 一种自动装卸养蜂车
CN109809337B (zh) 仓储物流用堆垛机
ES2755783T3 (es) Dispositivo manipulador de palés, aparato de paletización y método de manipulación de palés
CN217996672U (zh) 一种车载剪叉式升降装置
CN220537420U (zh) 一种堆垛机取放货货叉
CN216918379U (zh) 一种吊运装置及危险废物刚性填埋设备
JP2645705B2 (ja) コンテナ用シヤーシの保管設備
WO2014208217A1 (ja) 自動倉庫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0327109A (ja) 自動倉庫出庫口における物品仮受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3753455A (zh) 存取车、存取系统、存取方法、控制器和存储介质
CN112158503A (zh) 一种便于取货的货架
JPH0582910U (ja) 固定ステーション
IT202100027710A1 (it) Autocarro per trasporto bare e struttura di sollevamento delle bare
JPH1018634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