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334B1 -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334B1
KR100708334B1 KR1020060039706A KR20060039706A KR100708334B1 KR 100708334 B1 KR100708334 B1 KR 100708334B1 KR 1020060039706 A KR1020060039706 A KR 1020060039706A KR 20060039706 A KR20060039706 A KR 20060039706A KR 100708334 B1 KR100708334 B1 KR 10070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ork plate
beekeeping
outrigger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102006003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벌통(60)이 적층 수용되는 컨테이너(20); 컨테이너(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업플레이트(30); 작업플레이트(30)에 연결 설치되어, 작업플레이트(3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40); 컨테이너(20)에 연결 설치되어, 컨테이너(20)의 차량 적재시 컨테이너(20)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아우트리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벌통의 보관 및 관리는 물론이고 컨테이너를 차량에 간편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 작업플레이트, 승강부재, 아우트리거, 벌통

Description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CONTAINER APPARATUS FOR BEEKEEP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의 작업플레이트 작동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의 아우트리거 작동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가 차량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컨테이너 30 : 작업플레이트
40 : 승강부재 42 : 시저부
44 : 구동부 50 : 아우트리거
52 : 지지체 54 : 신장바아
56 : 잭실린더 58 : 실린더로드
59 : 받침대 60 : 벌통
70 : 컨트롤러 80 : 차량
본 발명은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통의 보관 및 관리는 물론이고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養蜂)은 벌꿀과 밀랍(bee wax)을 생산하기 위하여 꿀벌을 사양하는 일로서, 근래에 와서는 벌꿀과 밀랍을 생산하는 것 외에 왕유(王乳)·화분하(花粉荷)·봉침독(蜂針毒)의 생산을 비롯하여 종봉생산업(種蜂生産業)·여왕벌생산업(女王蜂生産業)·임대양봉 또는 계획수정양봉에 이르기까지 그 생산 분야가 다양하다.
종래에는 양봉작업시 1단 짜리 벌통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벌통을 3∼5단 정도의 다단으로 적층하여 양봉을 행하는 계상 벌통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양봉작업은 꽃의 개화시기에 맞추어 벌통을 꽃이 피는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벌이 꿀을 채집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양봉작업의 특성상 차 량을 통해 벌통을 이송한다.
그러나 벌통을 차량에서 하역하거나, 차량에 적재하는 작업을 주로 인력에 의존함으로써 그 작업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뿐 아니라 작업에 따른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도 배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벌통을 승·하차하기 위한 리프트 등이 제안되어 일단 및 다단의 벌통을 승·하차시켜 이동함으로써 종래의 인력에 의하던 수고를 일정 부분 덜어주고 있으나, 이 또한 벌통을 차량에서 하역하거나 차량에 적재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으로써 벌통의 전개에 따른 어느 정도의 시간이 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벌통이 다단으로 적층됨으로써 벌통의 보관 및 관리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벌통의 높이가 작업자의 작업영역을 넘어설 경우에는 받침대 등에 올라가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성은 물론이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벌통의 보관 및 관리는 물론이고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통이 적층 수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업플레이트; 상기 작업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작업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차량 적재시 상기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아우트리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작업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절첩동작에 의해 상기 작업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시저부; 상기 시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시저부를 절첩동작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트리거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트리거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양단에 신장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신장바아; 상기 신장바아에 연결 설치되는 잭실린더; 상기 잭실린더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는 컨테이너(Container)(20); 컨테이너(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업플레이트(30); 작업플레이트(30)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부재(40); 컨테이너(20)에 연결 설치되는 아우트리거(Outrigger)(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컨테이너(20)는 직육면체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벌통(60)이 다단으로 적층 수용된다.
벌통(60)은 컨테이너(20)의 내부 양측에 적층 수용되고, 컨테이너(20)의 중앙은 작업자의 작업공간으로 사용된다. 즉, 작업공간은 작업자가 벌통(60)의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20)의 내부 양측에 위치한 벌통(60)의 사이영역에 위치한다.
컨테이너(20)의 크기, 형상 및 재질 등은 양봉의 조건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컨테이너(20)에는 벌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통풍 강화를 위해 복수의 창(22)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플레이트(30)는 컨테이너(20)의 중앙에 위치한 작업공간 상에 장방향으로 설치되며, 작업플레이트(30)의 크기 및 형상은 적용되는 컨테이너(20)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한편, 벌통(60)의 수용위치 및 작업플레이트(30)의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컨테이너(20)의 내부 일측에만 벌통(60)을 수용하고, 타측에는 작업플레이트(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승강부재(40)는 작업자의 작업위치에 따라 작업플레이트(3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컨테이너(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벌통(60)의 적 층 높이가 작업자의 작업 가능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승강부재(40)를 통해 작업플레이트(30)를 일정 높이로 승강시켜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우트리거(50)는 컨테이너(20)의 차량 적재시 컨테이너(20)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컨테이너(2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트리거(50)의 설치개수 및 배치형태 등은 컨테이너(2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컨테이너(20)의 내부 일측에는 승강부재(40) 및 아우트리거(50)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70)가 마련되어 있으며, 미설명 도면부호 24는 컨테이너의 도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의 작업플레이트 작동상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작업플레이트(30)는 승강부재(40)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를 가진다.
승강부재(40)는 작업플레이트(3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절첩동작에 의해 작업플레이트(30)를 승강시키는 시저부(42); 시저부(42)에 연결 설치되어, 시저부(42)를 절첩동작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44)를 포함한다.
구동부(44)로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되며, 구동부(44)는 시저부(42)를 절첩동작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 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높이에 벌통(60)이 있는 경우에는 시저부(42)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플레이트(30)가 컨테이너(20)의 바닥면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벌통(60)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높이에 벌통(60)이 있는 경우에는 시저부(42)가 구동부(44)의 동작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작업플레이트(30)가 컨테이너(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 때, 작업플레이트(30)의 높이는 컨트롤러(70,도1참조)를 통해 승강부재(40)의 동작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작업플레이트(30) 및 승강부재(40)를 포함하여 통상적으로 시저리프트(scissors lift)라고 하며, 이러한 시저리프트는 이미 공지된 기술의 일부이므로 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승강부재(40)로는 유압실린더 등 작업플레이트(3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승강부재(40)는 컨테이너(20)의 바닥면과 작업플레이트(30) 사이에 마련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의 아우트리거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20)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아우트리 거(50)는 지지체(52); 지지체(52)의 양단에 신장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신장바아(54); 신장바아(54)에 연결 설치되는 잭실린더(56); 잭실린더(56)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58); 실린더로드(58)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대(59)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양봉시에는 신장바아(54)가 지지체(5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컨테이너(20)를 차량에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신장바아(54)를 지지체(52)로부터 양측으로 신장시킨 후, 잭실린더(5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로드(58)의 인출동작에 의해 컨테이너(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된다.
이 때, 받침대(59)는 컨테이너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80)을 컨테이너(20)의 하부공간으로 진입시켜 차량(80)의 후방 적재칸에 컨테이너(20)를 안정적으로 적재시킨 후, 아우트리거(50)의 실린더로드(58)를 잭실린더(56)로 인입시킨다.
그리고 신장바아(54)를 지지체(52)에 삽입시킴으로써 모든 과정이 최종적으로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가능한 작업플레이트를 통해 벌통의 보관은 물론이고 관리 작업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우트리거를 통해 컨테이너를 차량에 간편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벌통이 적층 수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업플레이트;
    상기 작업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작업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차량 적재시 상기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작업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절첩동작에 의해 상기 작업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시저부; 상기 시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시저부를 절첩동작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양단에 신장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신장바아; 상기 신장바아에 연결 설치되는 잭실린더; 상기 잭실린더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KR1020060039706A 2006-05-02 2006-05-02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KR10070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06A KR100708334B1 (ko) 2006-05-02 2006-05-02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06A KR100708334B1 (ko) 2006-05-02 2006-05-02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334B1 true KR100708334B1 (ko) 2007-04-17

Family

ID=3818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706A KR100708334B1 (ko) 2006-05-02 2006-05-02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3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327B1 (ko) 2012-07-10 2014-07-25 박중수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KR101749512B1 (ko) 2016-04-04 2017-06-21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벌통 적재함의 구조
KR101796172B1 (ko) * 2016-07-06 2017-11-10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트레일러
WO2018139872A1 (ko) * 2017-01-26 2018-08-02 오옥남 양봉 콘테이너
KR101880284B1 (ko) * 2017-04-24 2018-08-17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WO2020025899A1 (fr) * 2018-07-31 2020-02-06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023A (ko) * 1992-10-08 1994-05-16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
KR950014233U (ko) * 1993-11-09 1995-06-16 고상용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장치
KR20010001264A (ko) * 1999-06-03 2001-01-05 정몽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운반대
KR200416597Y1 (ko) * 2006-03-09 2006-05-19 주식회사 A.N.D 오토모빌 컨테이너 지지용 아웃트리거
KR20060053806A (ko) * 2004-11-17 2006-05-22 정영옥 벌통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023A (ko) * 1992-10-08 1994-05-16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
KR950014233U (ko) * 1993-11-09 1995-06-16 고상용 콘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장치
KR20010001264A (ko) * 1999-06-03 2001-01-05 정몽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운반대
KR20060053806A (ko) * 2004-11-17 2006-05-22 정영옥 벌통 리프트 장치
KR200416597Y1 (ko) * 2006-03-09 2006-05-19 주식회사 A.N.D 오토모빌 컨테이너 지지용 아웃트리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327B1 (ko) 2012-07-10 2014-07-25 박중수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KR101749512B1 (ko) 2016-04-04 2017-06-21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벌통 적재함의 구조
CN107264999A (zh) * 2016-04-04 2017-10-20 未来移动养蜂株式会社 一种蜂箱容器的结构
KR101796172B1 (ko) * 2016-07-06 2017-11-10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트레일러
WO2018139872A1 (ko) * 2017-01-26 2018-08-02 오옥남 양봉 콘테이너
US11096379B2 (en) 2017-01-26 2021-08-24 Oknam OH Beekeeping container
KR101880284B1 (ko) * 2017-04-24 2018-08-17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WO2018199519A1 (ko) * 2017-04-24 2018-11-01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양봉 적재함의 구조
CN108719137A (zh) * 2017-04-24 2018-11-02 未来移动养蜂株式会社 养蜂容器的结构
WO2020025899A1 (fr) * 2018-07-31 2020-02-06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FR3084559A1 (fr) * 2018-07-31 2020-02-07 Olivier Somville Ensemble automatise de ruch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334B1 (ko)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US10781083B2 (en) Mobile crane and method for angling a main boom extension in relation to a main boom of a mobile crane
CN109534238B (zh) 工业货车、工业货车液压系统及液压系统操作方法
CN104875659B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DE102014012254A1 (de) Lager- und/oder Kommissioniersysteme
KR100677861B1 (ko) 이동 봉사 적재함
EP2805911A1 (de) Flurförderzeug, insbesondere Kommissionierflurförderzeug mit einem anhebbaren und absenkbaren Fahrerstand
US20090010747A1 (en) Pull and lift system for transporting roofing materials
US20150289449A1 (en) Bale Handler
CN109319699A (zh) 便携式电动升降叉车
EP3730450B1 (de) Wagen mit initialhub
JP2011251834A (ja) クレーン装置
US7932687B2 (en) Actuator system
KR101786784B1 (ko)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EP1468958B1 (de) Hochregalstapler mit halbautomatischem Betriebsmodus
CN110078000A (zh) 便携式提升作业一体升降机
DE931639C (de) Hubfahrzeug
EP2518005B1 (de) Flurförderzeug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JP5635062B2 (ja) パレット供給装置
KR100962518B1 (ko) 차량 적재함에 부착된 적재물의 잔존물 제거 장치
DE102016104745A1 (de) Mitgängergeführter Hubwagen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DE102019004772A1 (de) Verladesystem zum Entladen eines geparkten Transportfahrzeugs
DE1910603B2 (de) Lasttraeger fuer hubl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