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327B1 -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327B1
KR101423327B1 KR1020120075299A KR20120075299A KR101423327B1 KR 101423327 B1 KR101423327 B1 KR 101423327B1 KR 1020120075299 A KR1020120075299 A KR 1020120075299A KR 20120075299 A KR20120075299 A KR 20120075299A KR 101423327 B1 KR101423327 B1 KR 10142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opening
frame
closing doo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723A (ko
Inventor
박중수
Original Assignee
박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수 filed Critical 박중수
Priority to KR102012007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3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5/00Bee-smokers; Bee-keepers' accessories, e.g. ve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차량에 안치되는 것으로, 측면은 모두 개방되되, 내부에는 벌통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치공간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는 적재 칸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형성되는 벌통 적재프레임;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측면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문;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측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기 개폐문의 위치를 결속하는 결속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벌통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안치공간과 벌통을 관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벌통 적재프레임을 차량에 설치하고, 그 벌통 적재프레임에 다수의 벌통을 적재하여 연속 관리할 수 있어 매번 밀원지로 이송한 후에 벌통을 하역하거나 다시 적재할 필요가 없어 벌통 운반에 따른 노동력 절감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밀원식물을 찾아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벌의 활동시간을 증대시켜 꿀의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벌통 적재프레임에는 벌통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기계적인 장치인 리프트 수단이 설치되므로, 간편하게 벌통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어 인력사용 및 안전사고를 절감시켜 최소한의 인원으로 다수의 벌통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Removable vehicle beekeeping equipment}
본 발명은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통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안치공간과 벌통을 관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벌통 적재프레임을 차량에 설치하고, 그 벌통 적재프레임에 다수의 벌통을 적재하여 연속 관리할 수 있어 매번 밀원지로 이송한 후에 벌통을 하역하거나 다시 적재할 필요가 없어 벌통 운반에 따른 노동력 절감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밀원식물을 찾아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벌의 활동시간을 증대시켜 꿀의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작업은 밀원식물 즉, 꿀을 딸 수 있는 꽃의 개화시기에 벌통을 꽃이 피는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벌이 꿀을 채집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밀원식물을 찾아 이동하는 양봉작업의 특성상 이동차량에서 벌통을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이는 주로 인력에 의존하여 행하여 지게 되므로 그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벌통이 3~5단으로 형성되는 계상벌통이 널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벌통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인력에 의존하여 운반하는 특성상 벌통을 운반하는 과정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이동차량에서 벌통을 쉽게 승·하차 하기 위한 리프트 등이 제안되어 일단 및 다단의 벌통을 승,하차시켜 이동함으로서 종래의 인력에 의하던 수고를 일정부분 덜어주게 한 것이 있으나, 이 또한 벌통을 이동차량에서 벌통을 적재하거나 하역하여야 함으로 벌통의 전개에 따른 어느 정도의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벌통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안치공간과 벌통을 관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벌통 적재프레임을 차량에 설치하고, 그 벌통 적재프레임에 다수의 벌통을 적재하여 연속 관리할 수 있어 매번 밀원지로 이송한 후에 벌통을 하역하거나 다시 적재할 필요가 없어 벌통 운반에 따른 노동력 절감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밀원식물을 찾아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벌의 활동시간을 증대시켜 꿀의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벌통 적재프레임에는 벌통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기계적인 장치인 리프트 수단이 설치되므로, 간편하게 벌통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어 인력사용 및 안전사고를 절감시켜 최소한의 인원으로 다수의 벌통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는 차량에 안치되는 것으로, 측면은 모두 개방되되, 내부에는 벌통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치공간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는 적재 칸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형성되는 벌통 적재프레임;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측면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문;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측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기 개폐문의 위치를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개폐문을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개폐문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결합과, 일단은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문에 결합 고정되어 개방되는 상기 개폐문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것으로, 다수의 고리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체인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 또는 상기 개폐문에 형성되어 폐쇄되는 상기 개폐문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결속체인을 구성하는 다수의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결속되는 결속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방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여 상기 개폐문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개폐문의 가장자리를 안치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지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벌통을 적재하여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리프트 수단은 운반하고자 하는 벌통이 적재되는 적재 판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적재 판을 안정적으로 승·하강 안내하는 안내프레임과,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상기 안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서 공급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롤러와, 일단은 상기 롤러에 감기고, 타단은 상기 적재 판에 결속 고정되어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적재 판을 승·하강시키는 이송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에 의하면, 벌통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안치공간과 벌통을 관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벌통 적재프레임을 차량에 설치하고, 그 벌통 적재프레임에 다수의 벌통을 적재하여 연속 관리할 수 있어 매번 밀원지로 이송한 후에 벌통을 하역하거나 다시 적재할 필요가 없어 벌통 운반에 따른 노동력 절감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밀원식물을 찾아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벌의 활동시간을 증대시켜 꿀의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벌통 적재프레임에는 벌통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기계적인 장치인 리프트 수단이 설치되므로, 간편하게 벌통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어 인력사용 및 안전사고를 절감시켜 최소한의 인원으로 다수의 벌통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측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100)는 벌통 적재프레임(10)과, 개폐문(20)과, 결속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은 차량(1)에 안치되는 것으로, 측면은 모두 개방되되, 내부에는 벌통(2)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치공간(11a)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11b)가 마련되는 적재 칸(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100)는 양측에 벌통(2)이 적재될 수 있는 안치공간(11a)이 마련되고, 중앙에는 작업자가 상기 안치공간(11a)에 적재된 벌통(2)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11b)가 마련되도록 상기 적재 칸(11)을 구성하고, 이러한 상기 적재 칸(11)을 2개를 적층하여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을 구성하나, 이러한 구조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을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측면이 모두 개방되는 이유는 밀원식물을 통해 꿀을 채집하는 벌이 용이하게 벌통(2)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꿀의 수확량을 증대시키는 목적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20)은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측면 개폐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20)을 통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측면을 폐쇄함으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 내부에 다수의 벌통(2)을 적재한 후, 차량(1)을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적재된 벌통(2)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문(20)의 내부는 공기가 잘 통풍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이 생활하기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수단(30)은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측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결속하는 것으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하부에 상기 개폐문(20)을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개폐문(20)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결합(31)과, 일단은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문(20)에 결합 고정되어 개방되는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것으로, 다수의 고리(32a)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체인(32)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 또는 상기 개폐문(20)에 형성되어 폐쇄되는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결속체인(32)을 구성하는 다수의 고리(32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결속되는 결속고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결합(31)을 통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결합된 상기 개폐문(20)이 회동하여 개방되면 상기 결속체인(32)이 팽팽하게 긴장되면서 개방된 상기 개폐문(20)을 견고히 위치 고정하게 되며,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기 개폐문(20)이 회동하여 폐쇄되면 상기 결속체인(32)을 구성하는 고리(32a)가 상기 결속고리(33)에 결합 결속되어 폐쇄된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체인(32)을 구성하는 다수의 고리(32a)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결속고리(33)에 결합 결속되는 고리(32a)는 상기 결속고리(33)에 근접하는 고리(32a)를 선택함으로, 상기 결속체인(33)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개폐문(20)의 위치가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문(20)을 개방하는 이유는 통상 꿀을 채집하는 벌이 벌통(2)으로 출입의 용이성을 확보하거나, 벌통(2)을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개폐문(20)에 올라서서 벌통(2)을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벌통(2) 운반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방하게 된다.
이때,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기 개폐문(20)에 무거운 벌통(2)이나 작업자가 위치하더라도 견고히 위치 고정되도록 개방된 상기 개폐문(20)을 지지하여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개폐문(20)의 가장자리를 안치하는 안치홈(41)이 형성되고, 하부는 지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100)는 지지파이프(40)는 상기 개폐문(20)에 각각 2개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벌통(2)을 적재하여 간편히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수단(50)을 더 포함하여 벌통(2)을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되,
상기 리프트 수단(50)은 운반하고자 하는 벌통(2)이 적재되는 적재 판(51)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적재 판(51)을 안정적으로 승·하강 안내하는 안내프레임(52)과, 상기 안내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53)와, 상기 안내프레임(5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53)에서 공급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롤러(54)와, 일단은 상기 롤러(54)에 감기고, 타단은 상기 적재 판(51)에 결속 고정되어 상기 롤러(54)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적재 판(51)을 승·하강시키는 이송로프(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적재 판(51)에 벌통(2)을 적재한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3)를 작동시켜 상기 롤러(54)에 상기 이송로프(55)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롤러(54)를 회전시킴으로, 상기 이송로프(55)의 타단에 결속되는 상기 적재 판(51)이 간편히 승·하강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안내되므로 작업자는 매우 간편하게 벌통(2)을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100)는 벌통(2)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안치공간(11a)과 벌통(2)을 관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11b)가 마련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을 차량(1)에 설치하고, 그 벌통 적재프레임(10)에 다수의 벌통(2)을 적재하여 연속 관리할 수 있어 매번 밀원지로 이송한 후에 벌통(2)을 하역하거나 다시 적재할 필요가 없어 벌통(2) 운반에 따른 노동력 절감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밀원식물을 찾아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벌의 활동시간을 증대시켜 꿀의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는 벌통(2)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기계적인 장치인 상기 리프트 수단(50)이 설치되므로, 간편하게 벌통(2)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어 인력사용 및 안전사고를 절감시켜 최소한의 인원으로 다수의 벌통(2)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에 설치된 벌통 적재프레임(10) 내부의 안치공간(11a)으로 최초 벌통(2)을 적재하기 위해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양측에 위치하는 개폐문(20)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개폐문(20)은 결속수단(30)의 결속고리(33)에 결속체인(32)의 고리(32a)가 결속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속고리(33)에 결속된 상기 고리(32a)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개폐문(20)을 개방하며, 개방된 상기 개폐문(20)은 상기 결속체인(32)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다.
여기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20)의 견고한 위치 고정을 위해서 상기 개폐문(20)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문(2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지지파이프(40)를 설치함이 좋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벌통(2)을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간편하게 적재하기 위해서 리프트 수단(50)의 적재 판(51)에 벌통(2)을 적재한다.
그런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3)를 작동시켜 롤러(54)에 이송로프(55)가 감기게 하여 상기 이송로프(55)에 결속된 상기 적재 판(51)을 승강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송한 후, 간편히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안치공간(11a)에 적재한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수단(50)의 작동을 통해서 벌통(2)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개폐문(20)을 회동시켜 폐쇄한 후, 상기 결속고리(33)에 상기 결속체인(32)의 고리(32a)를 결속하여 폐쇄된 상기 개폐문(20)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밀원식물의 많이 식생하는 밀원지로 이송한 후, 상기 개폐문(20)을 개방하여 벌을 통한 꿀의 채취를 시작하면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차량 2. 벌통
10. 벌통 적재프레임 11. 적재 칸
11a. 안치공간 11b. 통로
20. 개폐문 30. 결속수단
31. 힌지결합 32. 결속체인
32a. 고리 33. 결속고리
40. 지지파이프 41. 안치홈
50. 리프트 수단 51. 적재 판
52. 안내프레임 53. 모터
54. 롤러 55. 이송로프
100.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Claims (4)

  1. 차량(1)에 안치되는 것으로, 측면은 모두 개방되되, 내부에는 벌통(2)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치공간(11a)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11b)가 마련되는 적재 칸(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형성되는 벌통 적재프레임(10);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측면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문(20); 및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측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결속하는 결속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30)은,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하부에 상기 개폐문(20)을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개폐문(20)이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결합(31)과,
    일단은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문(20)에 결합 고정되어 개방되는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것으로, 다수의 고리(32a)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체인(32)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 또는 상기 개폐문(20)에 형성되어 폐쇄되는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결속체인(32)을 구성하는 다수의 고리(32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결속되는 결속고리(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개폐문(20)을 지지하여 상기 개폐문(2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개폐문(20)의 가장자리를 안치하는 안치홈(41)이 형성되고, 하부는 지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벌통(2)을 적재하여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리프트 수단(50)은,
    운반하고자 하는 벌통(2)이 적재되는 적재 판(51)과,
    상기 벌통 적재프레임(10)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적재 판(51)을 안정적으로 승·하강 안내하는 안내프레임(52)과,
    상기 안내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53)와,
    상기 안내프레임(5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53)에서 공급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롤러(54)와,
    일단은 상기 롤러(54)에 감기고, 타단은 상기 적재 판(51)에 결속 고정되어 상기 롤러(54)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적재 판(51)을 승·하강시키는 이송로프(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KR1020120075299A 2012-07-10 2012-07-10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KR10142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99A KR101423327B1 (ko) 2012-07-10 2012-07-10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99A KR101423327B1 (ko) 2012-07-10 2012-07-10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723A KR20140007723A (ko) 2014-01-20
KR101423327B1 true KR101423327B1 (ko) 2014-07-25

Family

ID=5014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299A KR101423327B1 (ko) 2012-07-10 2012-07-10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06B1 (ko) 2015-08-28 2016-07-27 조용건 양봉용 윙바디 타입의 벌통 이동탑차
CN106004622A (zh) * 2016-07-01 2016-10-12 山东五征集团有限公司 养蜂专用汽车
KR102064701B1 (ko) * 2019-03-14 2020-01-09 오옥남 자동 전개 가능한 양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1069A (zh) * 2014-07-11 2014-10-01 山东五征集团有限公司 养蜂专用车
KR101809228B1 (ko) 2017-01-26 2017-12-15 오옥남 양봉 콘테이너
CN108032784A (zh) * 2018-01-15 2018-05-15 钦州学院 集生活和养蜂为一体的快速装卸蜂箱的养蜂车
IT201900017570A1 (it) * 2019-09-30 2021-03-30 Breme Ing Srl Unità porta-arnie trasportabile a bordo o a traino di un veicolo
KR102628671B1 (ko) * 2023-04-05 2024-01-23 봉석 차량 이동식 봉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620A (en) 1975-09-04 1977-07-05 Blake Robert L Bee hive carrier and transport means
KR100677861B1 (ko) 2006-04-25 2007-02-02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이동 봉사 적재함
KR100708334B1 (ko) 2006-05-02 2007-04-17 주식회사 광림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WO2008155757A2 (en) 2007-06-18 2008-12-24 Shmaya Shushan Apparatus for beehi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620A (en) 1975-09-04 1977-07-05 Blake Robert L Bee hive carrier and transport means
KR100677861B1 (ko) 2006-04-25 2007-02-02 유한회사 벌과사람들 이동 봉사 적재함
KR100708334B1 (ko) 2006-05-02 2007-04-17 주식회사 광림 양봉용 컨테이너 장치
WO2008155757A2 (en) 2007-06-18 2008-12-24 Shmaya Shushan Apparatus for beehiv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06B1 (ko) 2015-08-28 2016-07-27 조용건 양봉용 윙바디 타입의 벌통 이동탑차
CN106004622A (zh) * 2016-07-01 2016-10-12 山东五征集团有限公司 养蜂专用汽车
CN106004622B (zh) * 2016-07-01 2018-03-20 山东五征集团有限公司 养蜂专用汽车
KR102064701B1 (ko) * 2019-03-14 2020-01-09 오옥남 자동 전개 가능한 양봉 장치
WO2020184896A1 (ko) * 2019-03-14 2020-09-17 김정인 자동 전개 가능한 양봉 장치
US11812729B2 (en) 2019-03-14 2023-11-14 Jungin Kim Automatically unfoldable beekee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723A (ko)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327B1 (ko)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US6109215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and method incorporating sliding floor system
KR200471322Y1 (ko) 가축 수송차량용 화물적재함
WO2019092936A1 (ja) 船積み用雨除け装置
KR20030019876A (ko) 화물보관설비
KR101517066B1 (ko) 다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가변형 온실구조물
KR2018002295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
KR101876720B1 (ko) 화물 적재 시스템
US6623232B2 (en) Equipment for moving cages used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chickens, hens, and similar
US10035450B2 (en) Mobile service module, a method for servicing a large mechanical and/or electrical device and use of a mobile service module
WO2021059867A1 (ja) 船積み用防風雨装置
JPWO2019240129A1 (ja) 船積み用雨除け装置
KR20160039750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345143B1 (ko)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KR101527924B1 (ko)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1432642B1 (ko)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KR101068660B1 (ko) 가축 운반용 차량 축사
CN210214185U (zh) 一种可卷扬收放的移动式连廊
KR101432644B1 (ko) 물류운반용 적재판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BR102013021820A2 (pt) Duplo deck com elevação para baú de caminhões, carretas, container, barcos e outros veículos
DK180439B1 (en) Animal Feeding House
EP3360419A1 (en) Storage facility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animal byproducts
US7287948B2 (en) Load lifter for a motor vehicle
US11882811B1 (en) Automated livestock feeder
CN219081612U (zh) 防水板台车自动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