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642B1 -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 Google Patents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642B1
KR101432642B1 KR1020130145485A KR20130145485A KR101432642B1 KR 101432642 B1 KR101432642 B1 KR 101432642B1 KR 1020130145485 A KR1020130145485 A KR 1020130145485A KR 20130145485 A KR20130145485 A KR 20130145485A KR 101432642 B1 KR101432642 B1 KR 101432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ntainer
screw rod
container body
gondo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Priority to KR102013014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66C13/085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베이스판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는 각각 전방하부에 걸침턱이 형성된 접안프레임이 전방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는 각각 크레인용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양브라켓이 고정설치되고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이 회전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후방끝단에는 나사봉과 연결된 상태로 나사봉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베이스본체부와,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전면이나 좌우측면에는 개폐셔터가 설치된 컨테이너본체가 구비되고 컨테이너본체의 바닥판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며 바닥판의 하면부 후방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암나사공이 천공된 체결부재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베이스본체부의 나사봉이 체결부재의 암나사공에 관통개재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면서 나사봉의 정역회전에 따라 베이스판의 전방 외측으로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는 컨테이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A safty container gondola of automatic taken in and out type for distribution}
본 발명은 각종 소형운반물을 비롯하여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 및 항온항습에 민감한 정밀설비로 된 대형운반물 및 각종 물류를 컨테이너부의 내측에 적재하고 항온 항습상태를 유지하면서 크레인 등의 장비로 들어올려 건물이나 공장의 2층 이상에 위치된 베란다나 입구를 통해 운반물을 안전하게 반출입하는 컨테이너형의 곤돌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베이스판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는 각각 전방하부에 걸침턱이 형성된 접안프레임이 전방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는 각각 크레인용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양브라켓이 고정설치되고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이 회전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후방끝단에는 나사봉과 연결된 상태로 나사봉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베이스본체부와,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전면이나 좌우측면에는 개폐셔터가 설치된 컨테이너본체가 구비되고 컨테이너본체의 바닥판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며 바닥판의 하면부 후방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암나사공이 천공된 체결부재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베이스본체부의 나사봉이 체결부재의 암나사공에 관통개재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면서 나사봉의 정역회전에 따라 베이스판의 전방 외측으로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는 컨테이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는 대부분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무게가 대략 수십톤정도로 대형이면서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각종 설비 등의 운반물을 2층 이상에 설치된 크린룸에 반출입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물류운반용 곤돌라(gondola)를 사용하여 운반물을 반출입하였는데, 상기 곤돌라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위치되는 베이스판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운반물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고 베이스판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는 각각 크레인용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곤돌라에 크레인용 와이어를 연결하고 크레인 등의 장비에 구비된 후크에 상기 크레인용 와이어를 걸어 일정높이로 들어 올리면서 공장이나 건물의 해당 층에 인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여러명의 작업자들이 공중에 떠있는 곤돌라에 적재된 운반물을 2층 이상의 높이에 위치된 크린룸 내부로 수작업식으로 반입하거나 또는 크린룸 내부의 운반물을 곤돌라에 적재하여 외부로 반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곤돌라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852519호에서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며 양측에 측면지지대가 결합된 난간프레임과, 상기 난간프레임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선단에 흡착캡이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진공흡착구를 포함하며 곤도라의 난간프레임에 설치되는 흡착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작동을 위해 난간프레임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와, 한쪽이 난간프레임의 일측 중앙에 고정되고 다른쪽이 승강장치에 권취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이 포함되어 구성된 선박 도장작업용 곤도라에 있어서, 선박 외판쪽에 밀착되는 난간프레임 전방 상부 양측에 디귿자 형태의 고정브라켓을 부착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의 안쪽에 흡착장치의 진공흡착구를 설치하고, 상기 진공흡착구의 하방에 곤도라의 상하이동에 따른 가압력을 이용하여 선박 외판의 표면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가 장착된 수직 및 수평작업용 곤도라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곤돌라는 운반물을 적재하고 크레인 등의 장비로 들어올려 해당 층의 베란다나 입구에 단순 인접시킨 상태에서 여러명의 작업자가 곤돌라에 직접 탑승하여 운반물을 하역하거나 적재하도록 되어 있어 곤돌라가 크레인 등의 장비에 의해 장시간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강한 바람이 불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곤돌라가 흔들리는 경우 그 위에 탑승하여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대형이면서 큰 하중을 지닌 운반물이 곤돌라위에서 미끄러지면서 곤돌라의 난간에 부딪치거나 낙하하여 운반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판의 상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나사봉을 설치하고 바닥판의 하면부에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된 컨테이너부가 베이스판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바닥판의 하면부 후방에 고정설치된 체결부재의 암나사공에 나사봉이 관통개재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컨테이너부의 내측에 운반물을 적재하고 항온 항습상태를 유지하면서 크레인 등의 장비로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를 들어올려 건물이나 공장의 해당 층의 베란다나 입구에 인접시킨 상태에서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수단으로 나사봉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컨테이너부가 베이스판의 전방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면서 해당 층의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위로 컨테이너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컨테이너부의 내측에 적재된 운반물을 하역하거나 적재하여 운반물의 안전한 반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베이스판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는 각각 전방하부에 걸침턱이 형성된 접안프레임이 전방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는 각각 크레인용 와이어가 연결되는 인양브라켓이 고정설치되고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이 회전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후방끝단에는 나사봉과 연결된 상태로 나사봉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베이스본체부와,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전면이나 좌우측면에는 개폐셔터가 설치된 컨테이너본체가 구비되고 컨테이너본체의 바닥판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며 바닥판의 하면부 후방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암나사공이 천공된 체결부재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베이스본체부의 나사봉이 체결부재의 암나사공에 관통개재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면서 나사봉의 정역회전에 따라 베이스판의 전방 외측으로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는 컨테이너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나사봉이 설치되어 있고 바닥판의 하면부에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된 컨테이너부가 베이스판의 상부에 올려지면서 바닥판의 하면부 후방에 고정설치된 체결부재의 암나사공에 나사봉이 관통개재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컨테이너부의 내측에 운반물을 적재하고 항온 항습상태를 유지하면서 크레인 등의 장비로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를 들어올려 건물이나 공장의 해당 층의 베란다나 입구에 인접시킨 상태에서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수단에 의해 나사봉이 정역회전됨에 따라 컨테이너부가 베이스판의 전방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면서 해당 층의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위로 컨테이너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컨테이너부의 내측에 적재된 운반물을 하역하거나 적재하여 운반물의 안전한 반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에서 컨테이너부의 저면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의 컨테이너부가 베이스판의 전방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가 크레인용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에 연결되고 일정높이로 들어 올려진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가 건물이나 공장의 해당 층의 베란다나 입구에 인접되게 접안된 상태로 컨테이너부가 베이스판의 전방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소형운반물을 비롯하여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 및 항온항습에 민감한 정밀설비로 된 대형운반물 및 각종 물류를 컨테이너부(19)의 내측에 적재하고 항온 항습상태를 유지하면서 크레인 등의 장비로 들어올려 건물이나 공장의 2층 이상에 위치된 베란다나 입구를 통해 운반물을 안전하게 반출입하는 컨테이너형의 곤돌라(gondola)로서,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는 각각 전방하부에 걸침턱(4)이 형성된 접안프레임(5)이 전방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는 각각 크레인용 와이어(6)가 연결되는 인양브라켓(7)이 고정설치되고 베이스판(3)의 상부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8)이 회전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3)의 후방끝단에는 나사봉(8)과 연결된 상태로 나사봉(8)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18)이 설치된 베이스본체부(2)와,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전면이나 좌우측면에는 개폐셔터(21)가 설치된 컨테이너본체(20)가 구비되고 컨테이너본체(20)의 바닥판(22)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23)가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3)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며 바닥판(22)의 하면부 후방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암나사공(25)이 천공된 체결부재(24)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베이스본체부(2)의 나사봉(8)이 체결부재(24)의 암나사공(25)에 관통개재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면서 나사봉(8)의 정역회전에 따라 베이스판(3)의 전방 외측으로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는 컨테이너부(19)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본체부(2)는 도 1,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의 후크(17)에 와이어(6)를 통해 연결되어 들어올려지면서 건물이나 공장의 2층 이상에 위치된 베란다나 입구의 턱부분에 접안되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는 각각 전방하부에 걸침턱(4)이 형성된 접안프레임(5)이 전방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는 각각 크레인용 와이어(6)가 체결되는 인양브라켓(7)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판(3)의 상부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판(3)의 후방끝단에는 나사봉(8)과 연결된 상태로 나사봉(8)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18)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판(3)은 일정두께를 지닌 사각판형상으로 높은 강도를 지닌 강철이나 합금강, 특수강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금속빔(도시하지 않음)이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용접부착되어 있어 베이스판(3)의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3)은 도 1, 3,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에 전후 일직선상의 가이드요홈(9)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각 가이드요홈(9)에 컨테이너본체(20)의 바닥판(22) 하면부에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23)가 부합되게 안착되면서 컨테이너본체(20)가 전후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요홈(9)의 전방은 개구된 상태로 가이드요홈(9)의 바닥면의 높이가 접안프레임(5)의 걸침턱(4)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과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가이드요홈(9)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23)가 바닥판(22)의 전방 외측으로의 이동시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을 통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은 가운데부분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나사봉설치홈(10)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봉설치홈(10)의 내측에 베이스판(3)을 전후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나사봉(8)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나사봉설치홈(10)의 상면부 전후방끝부분에는 각각 레디얼베어링(11a)(11b)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나사봉(8)의 전후방끝부분이 레디얼베어링(11a)(11b)에 관통개재되면서 원활하게 정역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3)의 후방 끝단에는 복수개의 후방차단브라켓(12)이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베이스판(3)의 상부에서 전후이동되는 컨테이너부(19)가 베이스판(3)의 후방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차단하여 전방으로만 이동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안프레임(5)은 측면에서 볼 때 "
Figure 112013108470783-pat00001
"형상으로 된 프레임으로 후방은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전방은 베이스판(3)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프레임(5)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걸침턱(4)이 건물이나 공장의 해당 층 베란다나 입구의 턱부분에 걸쳐진 상태로 올려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접안프레임(5)의 전방끝부분에는 접안체결공(13)이 천공되어 있어 접안체결공(13)에 연결고리(14)를 체결하고 체인이나 와이어 등으로 연결고정하여 베란다나 입구에 접안된 베이스본체부(2)가 베란다나 입구의 턱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양브라켓(7)은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 각각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각 인양브라켓(7)의 상부에는 인양체결공(15)이 천공되어 있어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체결공(15)에 인양고리(16)를 체결하고 크레인용 와이어(6)를 연결하여 통상의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된 후크(17)에 크레인용 와이어(6)를 걸어 크레인을 통해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건물이나 공장의 해당 층 베란다나 입구의 턱부분에 접안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18)은 베이스판(3)의 후방끝단에는 고정설치된 상태로 나사봉(8)과 연결되어 나사봉(8)을 정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구동수단(18)은 통상의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별도로 설치되는 배터리나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동식으로 나사봉(8)을 정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18)에는 ON/OFF를 위한 통상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회로연결된 상태로 장착되거나 유/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리모트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ON/OFF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8)은 전동모터의 축에 통상의 감속기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연결장착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감속기어장치의 입력측 축이 전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는 복수개의 기어가 기어물림된 상태로 내장설치되어 있어 전동모터로부터의 회전속도를 일정비율로 감속시키는 대신 구동력을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어장치의 출력측 축에는 나사봉(8)의 후방끝단이 연결되어 있어 감속기어장치로부터의 증대된 구동력이 나사봉(8)으로 전달되어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부(19)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운반물이 적재 보관되면서 베이스본체부(2)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베이스판(3)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게 전후이동되는 부분으로,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전면이나 좌우측면에는 개폐셔터(21)가 설치된 컨테이너본체(20)가 구비되고 컨테이너본체(20)의 바닥판(22)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23)가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3)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구름이동되며 바닥판(22)의 하면부 후방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암나사공(25)이 천공된 체결부재(24)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베이스본체부(2)의 나사봉(8)이 체결부재(24)의 암나사공(25)에 관통개재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면서 나사봉(8)의 정역회전에 따라 베이스판(3)의 전방 외측으로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컨테이너본체(20)는 직육면체형 함체형상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강도를 지닌 강철이나 합금강, 특수강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판(22)의 좌우폭이 베이스판(3)의 좌우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고 있어 베이스판(3)의 인양브라켓(7)에 크레인용 와이어(6)를 체결하여 인양시 컨테이너본체(20)의 상부가 크레인용 와이어(6)에 닿아 손상되거나 인양시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컨테이너본체(20)의 전방이나 좌우측면에 설치된 개폐셔터(21)는 상하로 개폐작동되면서 컨테이너본체(20)의 내부를 개폐하여 내부에 운반물을 적재하거나 인출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롤러(23)는 바닥판(22)의 하면부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면서 좌우 일정간격으로 복수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전후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23)는 베이스판(3)의 상면부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요홈(9)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안정되게 가이드되면서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이나 공장의 해당 층 베란다나 입구의 턱에 베이스본체부(2)가 접안된 상태에서 나사봉(8)의 정회전에 따라 바닥판(22)이 베이스판(3)의 전방 외측으로 이동되면 바닥판(2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롤러(23)가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을 통해 구름이동되면서 바닥판(22)이 원활하게 전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부(19)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본체(20)의 후방 외측면에 냉난방을 위한 공지의 에어컨디셔너(26)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컨테이너본체(20)의 후면부에 천공된 통풍구(27)를 통해 에어컨디셔너(26)로부터의 온풍이나 냉풍이 컨테이너본체(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항온 항습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를 이용하여 각종 소형운반물을 비롯하여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로 된 대형운반물 및 각종 물류를 컨테이너부(19)의 내측에 적재하고 항온 항습상태를 유지하면서 크레인 등의 장비로 들어올려 건물이나 공장의 2층 이상에 위치된 베란다나 입구를 통해 운반물을 안전하게 반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부(2)의 베이스판(3) 상부에 컨테이너부(19)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개폐셔터(21)를 개방하여 컨테이너본체(20)의 내측에 운반물을 적재하며 에어컨디셔너(26)를 작동시켜 항온 항습상태를 유지하면서 운반물이 적재된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의 베이스판(3)에 구비된 인양브라켓(7)에 각각 인양고리(16)를 체결하고 상기 인양고리(16)에 크레인용 와이어(6)를 연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17)에 걸어 크레인의 승강작동에 따라 운반물이 적재된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를 건물이나 공장의 2층 이상에 위치된 베란다나 입구 높이까지 들어올린 다음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 고정설치된 접안프레임(5)의 걸침턱(4)에 베란다나 입구의 턱부분이 걸쳐지도록 하여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를 접안시키고, 상기 접안프레임(5)에 천공된 접안체결공(13)에 연결고리(14)를 체결하고 체인이나 와이어 등으로 연결고정하여 베란다나 입구에 접안된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가 베란다나 입구의 턱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건물이나 공장의 2층 이상에 위치된 베란다나 입구에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가 접안된 상태에서 베이스판(3)의 후방에 설치된 구동수단(18)의 전동모터를 작동시켜 나사봉(8)을 정회전시키면 숫나사부로 된 나사봉(8)과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된 컨테이너본체(20)의 바닥판(22) 하면부 후방에 설치된 체결부재(24)의 암나사공(25)이 나사봉(8)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바닥판(22)의 하면부 전후좌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23)가 베이스판(3)의 상면부에 형성된 가이드요홈(9)을 따라 전후 일직선상으로 가이드되어 구름이동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부(19)의 전방이 베이스판(3)의 전방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닥판(2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롤러(23)가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이동되어 운반물이 적재된 컨테이너부(19)가 건물이나 공장의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이동된다.
건물이나 공장의 베란다나 입구의 바닥면 위에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의 컨테이너부(19)가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개폐셔터(21)를 열고 컨테이너본체(20)의 내부에 적재된 운반물을 작업자가 건물이나 공장의 내부에서 안전하게 하역하며 다른 운반물을 컨테이너본체(20) 내부에 적재한 다음 구동수단(18)을 통해 나사봉(8)을 역회전시키면 컨테이너부(19)가 후방쪽으로 이동되면서 베이스판(3)의 상부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크레인 등의 장비를 통해 지면위로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1)를 내려 운반물의 반입 및 반출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1.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2. 베이스본체부
3. 베이스판 4. 걸침턱
5. 접안프레임 6. 크레인용 와이어
7. 인양브라켓 8. 나사봉
9. 가이드요홈 10. 나사봉설치홈
11a, 11b. 레디얼베어링 12. 후방차단브라켓
13. 접안체결공 14. 연결고리
15. 인양체결공 16. 인양고리
17. 후크 18. 구동수단
19. 컨테이너부 20. 컨테이너본체
21. 개폐셔터 22. 바닥판
23. 롤러 24. 체결부재
25. 암나사공 26. 에어컨디셔너
27. 통풍구

Claims (5)

  1.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방끝부분에는 각각 전방하부에 걸침턱(4)이 형성된 접안프레임(5)이 전방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접안프레임(5)의 전방끝부분에는 체인이나 와이어로 연결고정하기 위한 접안체결공(13)이 천공되고 베이스판(3)의 좌우양측면 전후방에는 각각 크레인용 와이어(6)가 연결되는 인양브라켓(7)이 고정설치되며 베이스판(3)의 상부에는 전후수평으로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8)이 회전되게 설치되고 베이스판(3)의 후방끝단에는 나사봉(8)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18)이 설치된 베이스본체부(2)와,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전면이나 좌우측면에 개폐셔터(21)가 설치된 컨테이너본체(20)가 구비되고 컨테이너본체(20)의 바닥판(22)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23)가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3)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로 구름이동되며 바닥판(22)의 하면부 후방에는 암나사공(25)이 전후수평으로 천공된 체결부재(24)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나사봉(8)이 암나사공(25)에 관통개재되어 나사결합되면서 나사봉(8)의 정역회전에 따라 베이스판(3)의 전방 외측으로 전후이동되게 설치된 컨테이너부(19)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판(3)은 상면부에 전후 일직선상의 가이드요홈(9)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각 가이드요홈(9)에 컨테이너본체(20)의 바닥판(22) 하면부의 롤러(23)가 안착되며 가이드요홈(9)은 바닥면의 높이가 접안프레임(5)의 걸침턱(4)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은 가운데부분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나사봉설치홈(10)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봉설치홈(10)의 내측에 베이스판(3)을 전후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나사봉(8)이 설치되고 나사봉설치홈(10)의 상면부 전후방끝부분에는 각각 레디얼베어링(11a)(11b)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나사봉(8)의 전후방끝부분이 레디얼베어링(11a)(11b)에 관통개재되며, 상기 베이스판(3)의 후방 끝단에는 복수개의 후방차단브라켓(12)이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8)은 베이스판(3)의 후방끝단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나사봉(8)과 연결되어 나사봉(8)을 정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구동수단(18)은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배터리나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동식으로 나사봉(8)을 정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18)은 전동모터의 축에 감속기어장치가 연결장착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감속기어장치의 입력측 축이 전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는 복수개의 기어가 기어물림된 상태로 내장설치되어 있어 전동모터로부터의 회전속도를 일정비율로 감속시키는 대신 구동력을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어장치의 출력측 축에는 나사봉(8)의 후방끝단이 연결되어 있어 감속기어장치로부터의 증대된 구동력이 나사봉(8)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20)는 직육면체형 함체형상으로 바닥판(22)의 좌우폭이 베이스판(3)의 좌우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고 있고 컨테이너본체(20)의 후방 외측면에는 냉난방을 위한 에어컨디셔너(26)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컨테이너본체(20)의 후면부에 천공된 통풍구(27)를 통해 에어컨디셔너(26)로부터의 온풍이나 냉풍이 컨테이너본체(20)의 내부로 공급되어 항온 항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KR1020130145485A 2013-11-27 2013-11-27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KR101432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485A KR101432642B1 (ko) 2013-11-27 2013-11-27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485A KR101432642B1 (ko) 2013-11-27 2013-11-27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642B1 true KR101432642B1 (ko) 2014-08-22

Family

ID=5175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485A KR101432642B1 (ko) 2013-11-27 2013-11-27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6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5810A (zh) * 2017-11-17 2019-05-24 中航国际船舶发展(中国)有限公司 一种房间单元吊装托架及其吊装方法
KR20200082192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신성티앤티 물류운반용 낙하방지 안전 곤돌라
CN115057396A (zh) * 2022-07-14 2022-09-16 山东电工时代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储能集装箱吊装的缆绳降落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178A (ja) * 1993-11-17 1995-05-30 Takenaka Komuten Co Ltd 斜面用懸架型運搬装置
JPH10157967A (ja) * 1996-12-02 1998-06-16 Morimi Unyu Kk キャリアバスケット
KR20010028487A (ko) * 1999-09-21 2001-04-06 장근호 이동용 컨테이너 청정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178A (ja) * 1993-11-17 1995-05-30 Takenaka Komuten Co Ltd 斜面用懸架型運搬装置
JPH10157967A (ja) * 1996-12-02 1998-06-16 Morimi Unyu Kk キャリアバスケット
KR20010028487A (ko) * 1999-09-21 2001-04-06 장근호 이동용 컨테이너 청정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5810A (zh) * 2017-11-17 2019-05-24 中航国际船舶发展(中国)有限公司 一种房间单元吊装托架及其吊装方法
KR20200082192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신성티앤티 물류운반용 낙하방지 안전 곤돌라
CN115057396A (zh) * 2022-07-14 2022-09-16 山东电工时代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储能集装箱吊装的缆绳降落装置
CN115057396B (zh) * 2022-07-14 2023-12-15 山东电工时代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储能集装箱吊装的缆绳降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9760A1 (en) Watercraft dry dock storage system and method
US74670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vator system for a multilevel cleanspace fabricator
KR101432642B1 (ko)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KR101447737B1 (ko) 공동주택 옥상의 거치식 크레인
KR101374128B1 (ko) 물류운반용 접이식 안전곤돌라
KR20110137864A (ko) 건축공사용 리프트
KR101410863B1 (ko)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안전곤돌라
KR20140007723A (ko) 차량 이동식 양봉장치
JP5429559B2 (ja) 倉庫設備
KR101432644B1 (ko) 물류운반용 적재판자동반출입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KR101635454B1 (ko) 물류운반용 도킹지그이동형 안전곤돌라
JP5515443B2 (ja) 保管庫
KR101782936B1 (ko) 수평조절기능을 지닌 접이식 안전곤돌라
JP5622003B2 (ja) ストッカー
JP2006207327A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KR101432643B1 (ko) 물류운반용 높이조절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CN204057319U (zh) 一种自动装卸设备
KR101383178B1 (ko) 물류운반용 자바라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JP5254158B2 (ja) 倉庫の搬入開口部構造
CN220745231U (zh) 升降搬运装置
KR200362188Y1 (ko) 염전지의 소금운반 대차용 하역대
JP2018087055A (ja) 荷揚用ゴンドラ及びこれを使用する荷揚方法
JP4317544B2 (ja) 格納式支持装置
KR20120001372U (ko) 선실보온재 탑재 장치
CN105986755A (zh) 一体式攀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