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624B1 -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624B1
KR100676624B1 KR1020060001890A KR20060001890A KR100676624B1 KR 100676624 B1 KR100676624 B1 KR 100676624B1 KR 1020060001890 A KR1020060001890 A KR 1020060001890A KR 20060001890 A KR20060001890 A KR 20060001890A KR 100676624 B1 KR100676624 B1 KR 10067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cu
lever
locking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국
Original Assignee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308Ecu, standard processor connects to asic connected to 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을 연결 및 록킹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는, ECU 유닛의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축과, 레버 및 록킹유닛을 포함한다. 레버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제1위치 및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을 접속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회전축상에 설치된다. 록킹유닛은 레버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 레버의 이동과 연동하여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을 록킹시킨다. EUC 유닛은 수단자를, 와이어링 유닛은 암단자를 각각 구비한다.
ECU 유닛, 와이어링 유닛, 연결, 록킹, 레버, 회전

Description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and locking between ECU Unit and Wir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록킹돌기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장착부 내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ECU 유닛이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ECU 유닛이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ECU 유닛이 장착부에 연결 및 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ECU 유닛 11. ECU 유닛 하우징
12. 레버 13. 회전축
14. 손잡이 15. 록킹돌기
16. 슬라이딩 가이드 20. 와이어링 유닛
21. 장착부 22. 록킹홈
23. 레버삽입부 24. 가이드 홈
본 발명은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 연결 및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을 서로 신호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시에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 연결 및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차량 상태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 전기전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측의 각종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Electronic Control Unit)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ECU는 자동차의 엔진 및 동력전달 계통을 제어하여 연비 및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장치(EMS:Engine Management System, TCU:Tracion Control Unit), 차량의 속도와 핸들의 조향 각도를 체크하면서 최상의 자세로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 및 제동 제어장치(ABS, TCS,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PS:Electronic Power Steering), 운전자의 안전과 관련된 Safety&Restraint(에어백, 벨트 프리텐셔너) 및, 자동 에어콘트롤, 와이퍼, 라이트, 무선시동, 파워윈도, 오디오 등의 주변 편의장치(BCM:Body Control Module) 등 자동차의 각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ECU는 상기 자동차 부품(엑츄에이터)과 신호교환을 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야 하는데, 유닛 또는 모듈 형태의 ECU와 대응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의 와이어들 역시 와이어링 유닛 또는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지고, 상기 와이어링 유닛과 ECU 유닛은 암, 수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은 움직이는 차량에 설치되는 특성상 커넥터 결합 후, 그 결합의 유지력이 높아야 한다. 상기 결합 유지력을 맞추기 위해서는 단자의 크기와 수량증가에 따라 커넥터간의 삽입력이 증가하는데 이는 작업자의 조립 편의성과 직결된다. 일반적으로 조립 작업시 소요되는 힘을 8~10kgf(80~100N) 정도로 규제하고 있으므로, 커넥터의 삽입, 이탈력이 10kgf를 초과할 경우 별도의 체결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높은 결합력을 필요로 하는 와이어링 유닛의 암커넥터와 ECU 유닛의 수커넥터간 연결 및 록킹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그 결합력을 높이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 연결 및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 연결 및 록킹장치는, ECU 유닛의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제1위치 및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을 접속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 상기 레버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을 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EUC 유닛은 수단자들을, 상기 와이어링 유닛은 암단자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레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록킹돌기; 및,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 상기 록킹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와이어링 유닛에 형성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레버의 타측 단부에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레버 조작시의 힘을 줄이기 위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록킹돌기까지의 거리 L1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까지의 거리 L2의 비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1:6~1:7.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 및 레버는 상기 ECU 유닛 하우징의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양 레버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ECU 유닛 하우징 측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링 유닛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회전축은 상기 ECU 유닛 하우징의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ECU 유닛 하우징의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 연결 및 록킹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은 ECU 유닛을, 참조부호 "20"은 와이어링 유닛을 나타낸다. ECU 유닛(10)은 화살표 A와 같이, 와이어링 유닛(2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링 유닛(20)은 차량 내부의 차체(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와이어링 유닛(20)은 퓨즈박스(25)와, 장착부(21)를 포함한다. 퓨즈박스(25)에는 다수의 퓨즈와 릴레이들(미도시)이 내장된다. 장착부(21)는 상기 퓨즈박스(25)의 측부에 퓨즈박스(25)의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암단자들(26,도3 참조)이 형성된다. ECU 유닛(10)은 장착부(21)를 통해 와이어링 유닛(20)에 연결 및 록킹되어 각종 자동차 부품들과 신호교환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 연결 및 록킹장치는 ECU 유닛(10)을 와이어링 유닛(20)과 신호가능하게 연결시키고 또한, 록킹시킨다. 즉, ECU 유닛(10)이 상기 화살표 A방향과 같이 장착부(21)에 삽입되어 장착이 완료되면, ECU 유닛(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단자들(미도시)을 암단자들(26)과 연결시켜 ECU 유닛(10)이 각종 자동차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신호교환이 가능하게 하고, ECU 유닛(10)을 와이어링 유닛(20)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는 ECU 유닛 하우징(11)에 설치된 회전축(13)과, 레버(12) 및 록킹유닛을 포함한다.
ECU 유닛 하우징(11)은 대략 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가지며, 회전축(13)은 ECU 유닛 하우징(11)의 하부에 설치된다. ECU 유닛 하우징(11)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부(21)에 형성된 암단자들(26. 도3 참조)과 연결되는 수단자들(미도시)이 설치된다.
레버(12)는 회전축(13)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한다. 레버(12)는 ECU 유닛(10)과 와이어링 유닛(20)을 분리시키는 위치인 제1위치(D, 도5 참조)와 ECU 유닛(10)과 와이어링 유닛(20)을 연결시키는 위치인 제2위치(H, 도7 참조)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ECU 유닛(10)과 와이어링 유닛(20)이 연결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ECU 유닛(10)에 설치된 수단자들(미도시)과 와이어링 유닛(20)에 설치된 암단자들(26)이 접속되어 서로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하고, 분리된다는 것은 수단자들와 암단자들의 접속이 해제됨을 의미한다. 레버(12)는 ECU 유닛 하우징(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록킹유닛은 상기 레버(12)가 제1위치(D)에서 제2위치(H)로 이동시, 레버(12)의 이동동작과 연동하여 ECU 유닛(10)과 와이어링 유닛(20)을 연결 및 록킹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록킹유닛은 록킹돌기(15)와 록킹홈(22, 도3 참조)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화살표 I방향에서 본 것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록킹돌기(15)는 레버(1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록킹돌기(15)는 치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록킹돌기(15)를 제외한 레버(12)의 일측 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레버(12)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록킹돌기(15) 역시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록킹홈(22)은 록킹돌기(15, 도2 참조)와 대응되는 치형의 형상을 가지며, 장착부(21)의 일측면(21')에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21)의 일측면(21')에는 레버(12)가 삽입되는 레버삽입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12)가 레버삽입부(23)에 삽입되어 제1위치(D, 도5 참조)에서 제2위치(H, 도7 참조)로 이동시 록킹돌기(15)는 회전하여 록킹홈(22)에 삽입되고 따라서, ECU 유닛(10)은 와이어링 유닛(20)의 장착부(21)에 록킹된다.
또한, 록킹돌기(15)가 회전하면서 록킹홈(22)에 삽입시, ECU 유닛 하우징(11)은 소정거리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ECU 유닛 하우징(11) 저면에 형성된 수단자들(미도시)와 장착부(21) 저면에 형성된 암단자들(26)은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12)를 이동시키만 하면 ECU 유닛(10)은 와이어링 유닛(20)과 신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동시에 록킹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레버(12)의 타단부에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14)가 양 레버(12)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ECU 유닛 하우징(11)의 측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6)가 하우징(11)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에 대응되게 장착부(21)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6)를 수용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4, 도3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6)와 가이드 홈(24)으로 인해, ECU 유닛(10)은 장착부(21)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장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 및 록킹이 완료된 후, 차량의 주행 중 진동으로 인해 ECU 유닛(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차 편의성 및 동작 안정성을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16)는 ECU 유닛 하우징(11)의 양측 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되게 가이드 홈(24) 역시 장착부(21)에 네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6)는 회전축(13)이 설치된 ECU 유닛 하우징(11)의 양측면에 즉,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U 유닛(10)을 와이어링 유닛(20)의 장착부(21)에 화살표 C방향과 같이 장착한다. 이 때, ECU 유닛 하우징(11)에 형성된 각 슬라이딩 가이드(16)를 장착부(21)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에 맞춰 삽입하면, 매우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ECU 유닛(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손잡이(14)를 잡고 제1위치(D)에 있는 레버(12)를 화살표 E방향과 같이 이동시킨다. 레버(12)의 이동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15)는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록킹홈(22)에 삽입된다. 한편, 레버(12)가 제2위치(H)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록킹돌기(15)가 화살표 G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록킹돌기(15)는 록킹홈(22)의 상단에 구속되어 상방으로 더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한편, 레버(12)는 더 회전하고, 록킹돌기(15)는 록킹홈(22)의 상단에 구속되므로 그 구속력에 의해 ECU 유닛 하우징(11)은 화살표 F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하강하게 된다(점선표시). 상기 소정거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의 중심 O 에서 O'만큼 이동한 거리이다. 따라서, ECU 유닛(10)의 하단에 형성된 수단자는 장착부(21)의 저면에 형성된 암단자들(26, 도3 참조)와 연결되고, ECU 유닛(10)는 와이어링 유닛(20)의 장착부(21)에 록킹이 완료된다. 도 7은 이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12)를 하우징(11)의 높이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록킹시 소요되는 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회전축(13)의 중심(O)으로부터 록킹돌기(15)까지의 거리를 L1, 회전축(13)의 중심(O)으로부터 손잡이(14)까지의 거리를 L2라고 하면, L1과 L2의 비는 대략 1:6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지렛대의 원리(Pivot theory: momentum equation)를 이용해 값이다. 즉, L1과 L2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비례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L1 : L2 = 작업자의 레버조작힘 : 록킹시 요구되는 체결력
록킹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체결력은 설계 예상치인 400N에 SF(safety factor 1.5)를 고려하여 600N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힘 즉, 레버조작시 소요되는 힘을 100N으로 하기 위해서는 L2는 L1보다 대략 6배정도가 되어야 한다. L1의 길이가 14.5mm라면 L2는 상기 식에 의해, L2 = (600N*14.5mm)/100N = 87mm가 된다. 결국, 록킹시 소요되는 작업자의 힘이 80N ~ 100N 으로 되기 위해서는 L1:L2의 비는 대략 1:6~1: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1, L2는 설계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회전축(13)으로부터 양 작용점인 손잡이(14)와 록킹돌기(15)의 거리의 비를 향상시킴으로써 즉, L2를 L1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록킹돌기(15)가 록킹홈(22)에 체결되어 하우징(11)이 하강될 때 소요되는 힘을 100N 이하고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ECU 유닛(10)을 와이어링 유닛(20)에 록킹시킬 수 있다.
ECU 유닛(10)을 정비하거나 튜닝하기 위해 와이어링 유닛(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동작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레버(12)를 제2위치(H)에서 제1위치(D)로 이동시키면, 록킹돌기(15)는 록킹홈(22)으로부터 록킹이 해제된다. 이 때, ECU 유닛(10)은 소정 거리 상승하면서 ECU 유닛(10)의 수단자들와 장착부(21)의 암단자들은 접속이 분리된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ECU 유닛(10)을 들어올려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분리장치에 의하면, 고정되지 않은 ECU 유닛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차체에 고정된 와이어링 유닛과 신호교환 가능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록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버를 ECU 유닛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을 들이고도 록킹시킬 수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와 가이드 홈을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장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을 연결 및 록킹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ECU 유닛의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제1위치 및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을 접속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 상기 레버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을 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EUC 유닛은 수단자들을, 상기 와이어링 유닛은 암단자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레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록킹돌기; 및,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 상기 록킹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와이어링 유닛에 형성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측 단부에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레버 조작시의 힘을 줄이기 위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록킹돌기까지의 거리 L1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까지의 거리 L2의 비는 1:6 ~ 1:7.5 인 것을 특징으로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레버는 상기 ECU 유닛 하우징의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양 레버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CU 유닛 하우징 측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링 유닛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회전축은 상기 ECU 유닛 하우징의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ECU 유닛 하우징의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8. 암단자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유닛과, 수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링 유닛의 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ECU 유닛을 연결 및 록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ECU 유닛의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제1위치 및 상기 ECU 유닛과 상기 와이어링 유닛을 접속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록킹돌기;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 상기 록킹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장착부에 형성되는 록킹홈;
    상기 ECU 유닛 하우징 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ECU 유닛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측 단부에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레버 조작시의 힘을 줄이기 위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록킹돌기까지의 거리 L1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까지의 거리 L2의 비는 1:6 ~ 1: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회전축은 상기 ECU 유닛 하우징의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KR1020060001890A 2006-01-06 2006-01-06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KR10067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890A KR100676624B1 (ko) 2006-01-06 2006-01-06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890A KR100676624B1 (ko) 2006-01-06 2006-01-06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624B1 true KR100676624B1 (ko) 2007-01-30

Family

ID=3801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890A KR100676624B1 (ko) 2006-01-06 2006-01-06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6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812B1 (ko) 2006-12-12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ecu 일체형 고정구조
KR20180065382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 구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WO2021172629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라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420A (ja) * 1992-10-06 1994-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
JPH06163105A (ja) * 1992-11-17 1994-06-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回路内蔵ユニットにおけるエレメントカバーの装着不良検知装置
KR19990029876U (ko) * 1997-12-29 1999-07-26 정몽규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KR200219923Y1 (ko) * 2000-10-14 2001-04-16 한국몰렉스주식회사 라이트 앵글형 abs용 커넥터 조립체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420A (ja) * 1992-10-06 1994-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
JPH06163105A (ja) * 1992-11-17 1994-06-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回路内蔵ユニットにおけるエレメントカバーの装着不良検知装置
KR19990029876U (ko) * 1997-12-29 1999-07-26 정몽규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KR200219923Y1 (ko) * 2000-10-14 2001-04-16 한국몰렉스주식회사 라이트 앵글형 abs용 커넥터 조립체의 잠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812B1 (ko) 2006-12-12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ecu 일체형 고정구조
KR20180065382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 구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1897076B1 (ko) * 2016-12-07 2018-09-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 구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WO2021172629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라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US20230016638A1 (en) * 2020-02-28 2023-01-19 Lg Electronics Inc. Modular control device and vehicle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993B2 (ja) 電源回路接続装置
EP2522562A2 (en) Steering roll connector for a vehicle
EP2453542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relay module
US5711675A (en) Meter module, connecting device thereof, wiring harness protector, and connecting device of instrument wiring harness
JP2000233716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を電気的に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
KR100676624B1 (ko)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EP1403152A1 (en) Vehicle shift lever device
US20050028635A1 (en) Steering column module
JPH07257232A (ja) メータモジュール組立体
KR20190119418A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도난방지 장치
US6352433B2 (en) Instrument panel mounting structure
US20050215080A1 (en) Structure of glove box
JP2926674B2 (ja) メ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接続装置
WO2010058529A1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500861B2 (ja) バッテリ収容装置
WO2018030335A1 (ja) 車載部品
KR10204708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JP6084015B2 (ja) 車載装置、及び、取付装置
JP4762969B2 (ja) 車両搭載用電気接続箱並びに車両搭載用電気接続箱における電気接続箱ユニットと電子制御ユニットとの接続構造
JP2008019973A (ja) ワイヤの端部結合構造
KR101414481B1 (ko) 차량용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JP3900110B2 (ja) コネクタ構造
JP4755075B2 (ja) ユニット接続装置
KR20110004836U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20220160808A (ko) 케이블 락킹 가이드 지그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