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89B1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89B1
KR102047089B1 KR1020190086801A KR20190086801A KR102047089B1 KR 102047089 B1 KR102047089 B1 KR 102047089B1 KR 1020190086801 A KR1020190086801 A KR 1020190086801A KR 20190086801 A KR20190086801 A KR 20190086801A KR 102047089 B1 KR102047089 B1 KR 10204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tor
housing
gea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교
김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마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마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마르스
Priority to KR102019008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89B1/ko
Priority to PCT/KR2019/017735 priority patent/WO20202043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브레이크 액츄에이터가 소개된다.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모터(22)가 하우징(10)에 조립되는 과정에 하우징(10)의 제1 단자(70)와 제1 리브(17) 사이에 모터(22)의 제2 단자(60)가 압입되며 모터(22)의 제2 단자(60)와 제2 리브(27)의 사이에 하우징(10)의 제1 단자(70)가 압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자들 (60,70)간의 연결이 용이하며 긴밀하고 안정적이다.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소형화 및/또는 경량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Electric Parking Brake Actuator}
본 발명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특히 모터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 간의 조립이 용이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많은 부품들의 작동이 자동화되어 가고 있다. 제동과 조향 안정성 보장을 위해 ABS(Antilock Braking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도 승객 편의와 안전을 위해 최근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자동화된 장치들에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가 사용된다.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평지나 경사에서 차량을 홀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레버나 페달에 가하는 힘으로 작동된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전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홀드한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작동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휠을 구속하며, 케이블 풀러형과 캘리퍼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캘리퍼형은 후륜 주 브레이크의 캘리퍼에 일체로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캘리퍼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아 케이블 풀러형에 비해 레이아웃을 구성하기가 유리하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전기 모터의 구동력을 기어열을 거쳐 액츄에이팅 대상에 감속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좁은 공간에 설치되고 타부품에 장착 또는 연결되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며, 진동이나 노이즈 발생이 적어야 한다. 또한 액츄에이터 및 이의 부품들은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2877호에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가 소개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에서 전기 모터의 구동력은 종동기어인 전달기어를 거쳐 기어감속기로 전달된다. 전달기어와 감속기는 기어박스에 조립되며, 기어박스와 모터는 액츄에이터의 하우징에 수용된다. 기어박스는 전달기어와 감속기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어박스는 액츄에이터를 구성하거나 조립하는데 편리를 제공하지만, 2개의 하우징을 갖는 액츄에이터의 구조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는 불리하다. 또한 기어박스나 회전축들이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내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들에서 기어박스는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기어박스가 제거되더라도 하우징 내 모터 및 기어들의 축들이 회전하는 중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 또는 지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상기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를 차량 배터리에 연결하기 위해 액츄에이터의 하우징과 모터에 각각 연결 단자가 마련된다. 액츄에이터의 조립 과정에 이들 단자는 서로 스폿 용접되는데, 스폿 용접부는 액츄에이터의 진동으로 인해 균열되고 깨지기 쉽다. 용접부에서 단선이 발생하면 수리가 어려워 새 것으로 교체된다. 또한 용접은 액츄에이터의 조립을 번거롭게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상기된 단자 용접부에서의 단선 문제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자들 간의 연결이 용이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를 제공하조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 및/또는 경량화가 가능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드시 위에 언급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미처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 기재되는 사항에 의해서도 이해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외부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와 제1 단자의 전방에 이격 배치된 제1 리브를 구비하는 하우징; 제1 단자의 전면에 전면이 밀착된 제2 단자와 제2 단자의 전방에 이격 배치된 제2 리브를 구비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제1 리브에 의해 제2 단자의 후면이 가압되고 제2 리브에 의해 제1 단자의 후면이 가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모터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과정에 제1 단자와 제1 리브 사이에 제2 단자가 압입되며 제2 단자와 제2 리브의 사이에 제1 단자가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단자가 제2 리브에 의해 가압되는 제1 위치와 제2 단자가 제1 리브에 의해 가압되는 제2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단자들은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리브들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단자에는 이들의 면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핑 요소들이 마련될 수 있다. 스토핑 요소들은 돌기-홈, 돌기-홀, 요철 등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단자가 커플링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터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과정에 제1 단자에 대해 제2 단자가 미끌어지면서 스토핑 요소들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스토핑 요소들은 진동 등에 의해 제1 단자에 대해 제2 단자가 미끌어져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며, 단자들 간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연결을 보장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로킹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에 수용된 모터, 하우징의 타측에 수용된 기어감속기, 모터의 구동력을 기어감속기로 전달하기 위한 요소 및 일단은 상기 모터를 고정하며 타단은 기어감속기의 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은 그 일단과 타단 사이가 절곡되어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브래킷의 일단은 일단은 모터를 고정하며 타단은 기어감속기 위에서 감속기어의 축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터는 모터 축과 이 모터 축의 일단에 마련된 구동기어를 구비하며, 기어감속기는 기어감속기 축의 일단에 마련된 입력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요소는 아이들기어로서 브래킷에 견고하게 고정된 아이들기어 축에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에 의해 모터 축, 아이들기어 축 및 기어감속기 축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브들에 의해 하우징 단자와 모터 단자가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지지되므로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의해 단자들 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종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스폿 용접부에서의 단선으로 인해 액츄에이터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낭비와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에, 압입을 위해 다소의 힘이 필요할 수 있겠지만, 스냅식으로 하우징 단자와 모터 단자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조립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와 기어감속기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간단한 구조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하우징 내에 아이들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기어감속기 및 아이들기어의 각 회전축이 하우징 내에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들이 흔들리거나 회전축들 간의 정렬이 틀어지는 현상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진동 및 노이즈의 발생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브래킷은 구조가 간단하며 손쉽게 제작될 수 있다. 브래킷을 이용하여 모터, 기어감속기 및 아이들기어가 하우징 내에 손쉽게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의 구조도 단순해질 수 있다. 브래킷은 모터에 미리 조립되어 액츄에이터 조립라인에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는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를 보여준다. 내부가 보이도록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단자와 모터 단자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준다. 커버가 제거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나머지 부픔들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에 도 6에 도시된 모터가 조립된 것을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은 모터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과정에 하우징 단자에 모터 단자가 밀착 고정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인 모터와 하우징의 단면들은 개략적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들로, 도 11에서 하우징 단자와 모터 단자가 단면이 아닌 그 외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서 모터가 단면이 아닌 그 외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특징적인 측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을 들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들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될 수 있고,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그리고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 한정이 없는 한, 제2 요소가 제1 요소 '상'에 배치되거나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된다고 하는 것은,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은 물론 제1 및 제2 요소의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된 것을 허용하는 의미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등의 방향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점도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 1에는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액츄에이터(1)가 도시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1)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용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레이크 액츄에이터(1)는 하우징(10) 및 하우징(10)내에 수용된 모터(22), 기어감속기(33) 및 아이들기어(50)를 구비한다. 액츄에이터(1)는 또한 모터(22)로부터 기어감속기(33)로 연장되는 브래킷(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체(11)와 상부의 커버(12)로 구성된다. 하우징(10)에는 모터(22)가 안착되는 제1 수용부(13)와 기어감속기(33)가 안착되는 제2 수용부(14)가 마련된다. 제1 수용부(13)와 제2 수용부(14)는 각각 모터(22)와 기어감속기(33)가 딱 알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모터(22)와 기어감속기(33)는 하우징(10)에 체결 고정되지는 않을 수 있다. 경량화를 위해 하우징(10)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22)의 일단에는 모터 축(21)에 연결된 구동기어(20)가 마련된다. 주차 시 차량 내 운전석 측에 마련된 주차 버튼을 승객이 누르면 모터(22)가 작동하고, 그에 따라 구동기어(20)가 회전한다. 모터 축(21)과 함께 구동기어(20)가 회전한다.
상기 기어감속기(33)는 모터(22)와 이격 배치되며 그 상단에 입력기어(30)가 마련된다. 기어감속기(33)는 유성기어열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2)의 구동력은 입력기어(30)를 통해 기어감속기(33)에 입력된다. 기어감속기(33)의 축(31)은 모터 축(21)과 평행하다.
상기 기어감속기(33)는 링기어 중심에 선기어가 배치되고, 선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피니언이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피니언들은 캐리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선기어는 입력기어(30)의 하부에 입력기어(3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기어(30)로부터 기어감속기(33)에 입력된 토크는 기어감속기(33)의 출력단(36)을 통해 더 높은 토크로 출력된다. 출력단(36)은 치(teeth)를 갖는 기어일 수 있다. 기어감속기(33)는 고정 링기어(34)와 회전 링기어(3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링기어들(33,34)에 대응하여 피니언들이 2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20)의 회전력은 아이들기어(50)를 통해 입력기어(30)로 전달된다. 구동기어(20)와 입력기어(30) 사이에 2 이상의 아이들기어(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아이들기어(50)가 아닌 다른 요소가 모터의 구동력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아이들기어(50)는 브래킷(40) 위에 장착된다.
도 1에서 보기에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는 외부로부터 모터(22)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단자(60,70)가 마련된다. 하나는 하우징(10)에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모터(22)에 마련되며, 모터(22)를 제1 수용부(13)에 장착하는 과정에 모터 단자(60)와 하우징 단자(70)가 커플링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단자(70)는 상방향 연장된 커플링부(71)와 수평 연장부(72)를 구비한다. 커플링부(71)는 모터 단자(60)와 커플링되는 부위이며 수평 연장부(72)는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부위이다. 수평 연장부(72)는 하우징(10)에 마련된 커넥터부(15) 내에 놓인다.
상기 모터 단자(60)는 상방향 연장된 커플링부(61)와 모터(22), 예로서 브러시(미도시)에 연결된 수평 연장부(64)를 구비한다. 커플링부(61)와 수평 연장부(64) 사이에는 "ㄱ" 형태로 굽은 연결부(62,63)가 마련된다. 커플링부(61)로부터 수평한 제1 연결부(62)가 연장되며, 제2 연결부(63)은 제1 연결부(62)로부터 하방향 연장된다. 제1 연결부(62)에는 관통홀(66)이 마련되며, 제2 연결부(62)는 커플링부(61)와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 단자(60)의 커플링부(61)에는 전방, 즉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을 향해 돌출된 돌기(65)가 마련되며, 하우징 단자(70)에는 돌기(65)에 대응하는 홈(75)이 마련된다. 모터 단자(60)의 돌기(65)는 상하 이격된 2개의 돌기(65a,65b)를 구비하며, 하부 돌기(65a)가 상부 돌기(65b)보다 클 수 있다. 하우징 단자(70)의 홈(75)은 하부 돌기(65a)에 대응하는 하부 홈(75a)과 상부 돌기(65b)에 대응하는 상부 홈(75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22)와 기어감속기(33) 및 아이들기어(50) 각각의 축(21, 31, 51)은 브래킷(40)에 의해 지지 또는 고정된다. 브래킷(40)의 일단(41)은 하우징(10)의 제1 수용부(13)에 안착되어 있는 모터(22)를 고정한다. 브래킷(40)에 의해 모터(22)가 견고히 고정되므로 모터 축(21)이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브래킷(40)의 타단(42)은 입력기어(30) 위에서 기어감속기 축(31)에 연결되어 기어감속기 축(31)을 견고히 지지한다.
상기 브래킷(40)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조립 편의를 위해 브래킷(40)은 모터(22)에 고정되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 조립라인에 투입될 수 있으며, 조립라인에서 브래킷(40)은 패스너로 하우징(10)에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된 브래킷(40)에 의해 모터 축(21), 기어감속기 축(31) 및 아이들기어 축(51)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기어(20), 입력기어(30) 및 아이들기어(50)는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에 놓인다. 구동기어(20)의 회전력은 아이들기어(50)를 거쳐 입력기어(30)로 전달된다. 브래킷(40)은 이들 기어들(20,30,50)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자전할 수 있도록 견고히 지지한다.
상기 브래킷(40)은 그 일단(41)과 타단(42) 사이가 절곡되어 일단(41)과 타단(42)이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된다. 브래킷(40)의 타단(42)은 입력기어(30) 위에서 기어감속기 축(3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41)보다 높게 위치된다. 브래킷(40)의 일단(41)과 타단(42) 사이 절곡부(43)에는 구동기어(20)와 아이들기어(50) 간의 치합을 위한 개구(44)가 마련된다.
상기 기어감속기 축(31)과 브래킷(40) 사이에는 부싱이 마련될 수 있다. 부싱은 기어감속기 축(31)의 원활한 회전을 허용하면서도 축(31)이 흔들이지 않고 고정 혹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부싱 외에 베어링이나 기타 원활한 축회전을 보조하기 위한 다른 부품들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이들기어 축(51)은 브래킷(40)에 마련된 고정홀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이들기어 축(51)은 레이저 용접이나 리벳과 같은 체결기구 등을 이용하여 브래킷(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이들기어 축(51)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아이들기어(5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감속기(33)의 고정 링기어(34)에는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37)가 마련된다. 기어감속기(33)가 안착되는 제2 수용부(12)에는 스토퍼(37)가 끼워지는 안착홈(17)이 마련된다. 안착홈(17)에 끼워진 스토퍼(37)에 의해 하우징(10) 내에서 고정 링기어(34)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제1 수용부(13)과 커넥터부(15) 사이에 2개의 하우징 단자(70a,70b: 70)가 마련된다.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는 모터(22)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13) 부근에 배치되고, 수평 연장부(72)는 커넥터부(15)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 단자(70)의 전방에는 하우징 리브(17)가 이격 배치된다. 하우징의 단자(70)와 리브(17) 사이에 모터 단자(60)가 압입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22)의 상부에는 엑스텐션(24a,24bb: 24)을 갖는 커버(23)가 마련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22)는 브러시를 갖는 일반 DC모터이거나 또는 브러시리스 모터일 수 있다. 커버(23)에는 브러시, 홀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텐션(24)은 모터(22)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엑스텐션(24)에는 모터(22)가 제1 수용부(13)에 안착되는 과정에 하우징(10)의 단자(70)와 리브(17)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26)이 마련된다. 포켓 내에는 모터 단자(60)와 모터 리브(27)이 마련된다. 모터 리브(27)는 모터 단자(60)의 커플링부(61) 전방에 이격 배치된다.
상기 엑스텐션(24)의 상면에는 포켓(26)과 연통하는 엑세스홀(25a,25b)이 마련된다. 제1 엑세스홀(25a)에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 선단이 진입하며, 제2 엑세스홀(25b)은 모터 단자(60)의 관통홀(66)과 매칭된다. 관통홀(66)보다 제2 엑세스홀(25b)의 직경이 크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의 커플링 과정을 살펴본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 단자(70)은 커플링부(71)가 상향 연장되도록 하우징(10)에 설치된다. 하우징 단자(70)의 전방에는 하우징 리브(17)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와 하우징 리브(17) 사이에 모터 단자(60)가 압입된다.
상기 하우징 리브(17)는 상부의 경사부(18)와 하부의 플랫부(19)를 구비한다. 하우징 단자(70)와 경사부(18) 사이의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하우징 단자(70)의 후방에는 모터 리브(27)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16)이 마련되다.
상기 모터 단자(60)은 포켓(26) 내에서 커플링부(61)가 하향 연장되도록 커버(23)에 설치된다. 모터 단자(60)의 전방에는 모터 리브(27)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모터 단자(60)의 커플링부(61)와 모터 리브(27) 사이에 하우징 단자(70)가 압입된다.
상기 모터 리브(27)는 하부의 경사부(28)와 상부의 플랫부(29)를 구비한다. 모터 단자(60)와 경사부(27) 사이의 간격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모터 단자(60)의 후방에는 하우징 리브(17)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모터(22)가 하강하면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가 모터 단자(60)와 모터 리브(27) 사이를 미끌어져 들어간다. 하우징 단자(70)의 상부 홈(75a)보다 모터 단자(60)의 하부 돌기(65a)의 직경이 커서, 모터 단자(60)가 하강하는 과정에 하부 돌기(65a)는 상부 홈(75a)에 걸림 고정되지는 않는다. 모터(22)를 더 압입하면 모터 단자(60)은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를 타고 미끄러져 내려간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모터(22)가 완전히 하강하면 모터 단자(60)의 하부 돌기(65a)는 하우징 단자(70)의 하부 홈(75a)에서 스토핑되고, 상부 돌기(65b)는 상부 홈(75b)에서 스토핑된다. 모터 단자(60)의 커플링부(61)는 그 후면이 하우징 리브(17)에 의해 가압되고,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은 그 후면이 모터 리브(27)에 의해 가압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의 커플링이 용이하며,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초기 상태 그대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 단자(60)가 하우징 리브(17)에 의해 가압되는 제1 위치(A)와 하우징 단자(70)가 모터 리브(27)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위치(B)가 상이하며, 가압 방향은 서로 완전히 반대임을 알 수 있다. 모터 단자(60)와 하우징 단자(70)은 각각 플랫부(19,29)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커플링 구조는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 간의 안정적이고도 긴밀한 접촉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를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보장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단자(70)의 커플링부(71) 선단은 제1 엑세스홀(25a)을 통해 외부로 부분 노출된다. 매우 쉽지는 않겠지만 작업자가 툴을 이용하여 하우징 단자(70)의 선단을 밀어 젖힌 상태에서 모터(22)를 강하게 상승시키면, 모터(22)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10)으로부터 모터(22) 분리 시, 모터(22)나 하우징(10)에 파손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종래에는 모터(22)를 하우징(10)에 조립한 이후에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모터(22)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었다. 서로 용접된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을 강제로 분리하는 경우, 모터(22)나 하우징(10)에 손상이 발생하여 재사용이 어렵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터(22)가 하우징(10)에 조립된 후, 즉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 간의 커플링이 완료된 후, 브레이크 액츄에이터(1)의 전기적인 연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모터(22)의 엑스텐션(24)에 마련된 엑세스홀(25a,25b)을 통해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을 전류 측정기에 연결하여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 간의 커플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1)는 하나의 예로서 다음의 순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모터(22)의 커버(23) 상에 브래킷(40)의 일단(41)이 고정되며, 브래킷(40)에 마련된 고정홀(45)에 아이들기어 축(51)이 압입된다. 하우징(10)의 제2 수용부(13)에 기어감속기(33)가 장착된다. 하우징(10)의 제1 수용부(12)에 모터(22)가 장착되며 브래킷(40)의 타단(42)에 기어감속기 축(31)이 끼워진다. 제1 수용부(12)에 모터(22)가 장착되는 과정에 하우징 단자(70)와 모터 단자(60)가 커플링된다. 그 다음 패스너를 이용해 브래킷(40)이 하우징(10)에 고정되며, 마지막으로 커버(11)가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액츄에이터(1)는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간편한 조립에도 불구하고 모터 축(21), 기어감속기 축(31) 및 아이들기어 축(5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외에도,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 변형례들은 그 각각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룰 수 있으며, 이들 특징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장치나 방법을 구성할 수 있다.
10: 하우징 15: 커넥터부
17: 하우징 리브 20: 구동기어
21: 모터축 22: 모터
23: 모터 커버 24: 엑스텐션
25: 엑세스홀 26: 포켓
27: 모터 리브 30: 입력기어
33: 기어감속기 40: 브래킷
50: 아이들기어 60: 모터 단자
65:; 돌기 70: 하우징 단자

Claims (5)

  1.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에 수용된 모터, 하우징의 타측에 수용된 기어감속기 및 모터의 구동력을 기어감속기로 전달하기 위한 요소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와 제1 단자의 전방에 이격 배치된 제1 리브를 구비하며, 모터는 제1 단자에 밀착된 제2 단자와 제2 단자의 전방에 이격 배치된 제2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과정에 제1 단자와 제1 리브 사이에 제2 단자가 압입되며 제2 단자와 제2 리브의 사이에 제1 단자가 압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리브에 의해 제2 단자의 후면이 가압되고 제2 리브에 의해 제1 단자의 후면이 가압되고,
    상기 모터는 제1 단자와 제1 리브가 삽입되는 포켓이 마련된 엑스텐션을 구비하며, 포켓에 제2 단자 및 제2 리브가 마련되며, 엑스텐션에는 외부에서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접근 가능하도록 포켓으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가 제2 리브에 의해 가압되는 제1 위치와 제2 단자가 제1 리브에 의해 가압되는 제2 위치가 서로 상이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의 가압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에는 면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핑 요소들이 마련되며,
    상기 모터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과정에 제1 단자에 대해 제2 단자가 미끌어지면서 스토핑 요소들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요소들은 모터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방향으로 2개 이상 이격되게 마련되며, 이 조립되는 방향을 따라 스토핑 요소들의 크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모터를 고정하며 타단은 기어감속기의 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모터 축과 이 모터 축의 일단에 마련된 구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감속기는 기어감속기 축의 일단에 마련된 입력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요소는 아이들기어로서 브래킷에 견고하게 고정된 아이들기어 축에 마련되고,
    상기 브래킷은 그 일단과 타단 사이가 절곡되어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되며, 브래킷의 타단은 입력기어 위에서 감속기어의 축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20190086801A 2019-04-05 2019-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204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01A KR102047089B1 (ko) 2019-07-18 2019-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PCT/KR2019/017735 WO2020204304A1 (ko) 2019-04-05 2019-12-13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01A KR102047089B1 (ko) 2019-07-18 2019-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089B1 true KR102047089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01A KR102047089B1 (ko) 2019-04-05 2019-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49A (ko) * 2020-12-17 2022-06-27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677B1 (ko) * 2015-06-22 2016-04-26 효성전기주식회사 금속 금형 및 기어박스 사출 병행방식의 링기어를 적용한 moc 액츄에이터
KR101892895B1 (ko) * 2018-03-07 2018-10-04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Epb 액츄에이터 기어박스의 단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677B1 (ko) * 2015-06-22 2016-04-26 효성전기주식회사 금속 금형 및 기어박스 사출 병행방식의 링기어를 적용한 moc 액츄에이터
KR101892895B1 (ko) * 2018-03-07 2018-10-04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Epb 액츄에이터 기어박스의 단자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49A (ko) * 2020-12-17 2022-06-27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2454334B1 (ko) * 2020-12-17 2022-10-17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381B2 (en) Electric booster
EP3444497B1 (en) Wheel module
KR101612677B1 (ko) 금속 금형 및 기어박스 사출 병행방식의 링기어를 적용한 moc 액츄에이터
EP2375106A1 (en) Transfer incorporating wet brake
KR101867966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의 일체형 기어박스
JP5978406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ための電気機械アクチュエータ、このようなアクチュエータのための電気モータ、及び、組み立て方法
KR10204708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WO2016132633A1 (ja) ブレーキ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ブレーキ装置
US20210394610A1 (en) Corner module of vehicle
JP2018520053A (ja) 可駆動型トーションビームアクスル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装置
KR102047092B1 (ko) 기어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
JP6382116B2 (ja) ブレーキ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ブレーキ装置
US20200031321A1 (en) Actuator for electric parking brake
JP2015536390A (ja) 自動車ドアロック用の作動ユニットおよび製造方法
KR102503966B1 (ko) 액추에이터용 구동 유닛, 그리고 구동 유닛 및 전동 유닛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KR10204708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
KR20170102860A (ko) 디스크 브레이크
EP2457789B1 (en) Equalizer device for parking brake
KR10126388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용 액추에이터
JP2011098629A (ja)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におけるアクスルハウジングの支持構造
CN1726358A (zh) 行星齿轮传动机构和将行星齿轮传动机构装配在传动机构构架上的装置
KR20200016605A (ko) 액츄에이터
KR100676624B1 (ko)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JP2021128561A (ja) 車両用ペダル装置
JP2008019973A (ja) ワイヤの端部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