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252B1 -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252B1
KR100676252B1 KR1020050041119A KR20050041119A KR100676252B1 KR 100676252 B1 KR100676252 B1 KR 100676252B1 KR 1020050041119 A KR1020050041119 A KR 1020050041119A KR 20050041119 A KR20050041119 A KR 20050041119A KR 100676252 B1 KR100676252 B1 KR 10067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ignal
focus
zero cross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779A (ko
Inventor
한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25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27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3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ervo format, e.g. guide tracks,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재생 또는 기록작업을 수행할 레이어의 변환시에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기 위한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FE)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의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여 알에프(RF)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알에프 신호의 레벨 슬라이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 및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에서 모두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되면 레이어가 이동된 것으로 인식한다.

Description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A layer count method of multi-layer disk}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이 적용되는 광기록재생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3은 레이저 광의 위치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포커스 에러 신호 및 RF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a는 로우 레이어에서 하이 레이어로 레이어를 이동하여 포커싱하는 과정에서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b는 하이 레이어에서 로우 레이어로 레이어를 이동하여 포커싱하는 과정에서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픽업부 12:RF증폭부
13:DSP부 14:서보부
15:마이컴 16:멀티 레이어 디스크
17:대물렌즈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재생 또는 기록의 대상이 되는 레이어의 변환시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CD, DVD디스크 등과 같은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기록재생장치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데, 광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 중의 하나가 광픽업이다. 광픽업은 광디스크의 표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광디스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재생데이터를 얻는다.
이렇게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해서 광픽업은 레이저 광이 광디스크의 기록층에 정확히 포커싱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 보 10-2005-0031010호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액츄에이터로 대물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포커스 인입시점을 판단한 후 인입시점이라고 판단되면 레이저 광이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인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2개의 레이어(layer)를 가지는 광디스크(예를 들면 싱글 사이드(single side)-더블 레이어(double layer) DVD디스크)에서 기록 또는 재생을 할 때 하나의 레이어에서 작업을 하다가 다른 레이어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대물렌즈를 상하로 이동시켜 현재 작업중인 레이어의 포커스 지점을 이탈하고 다른 레이어에 포커스 인입을 하여 작업대상이 되는 레이어를 변환하였다. 이와 같이 2개의 레이어를 가지는 광디스크에서 작업을 할 때는 레이어의 변환시 2개의 레이어 중에서 다른 레이어로 이동하므로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3개 이상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는 레이어의 변환시 신속한 레이어 변환 및 포커스 인입을 위해 레이어를 카운트하여 어떠한 레이어로 이동했는지 알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L0, L1, L2, L3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 L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다가 L3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L0에서 L3로 레이어를 변환해야 하고, 이 때 이동한 레이어의 수가 3개임을 카운트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레이어의 변환시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재생 또는 기록작업을 수행할 레이어의 변환시에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기 위한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FE)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스 에러신호가 기준레벨 이상이 되는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횟수를 레이어 이동횟수로 인식한다.
또한 상기 횟수는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의 제로 크로싱 포인트를 기초로 생성한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재생 또는 기록작업을 수행할 레이어의 변환시에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기 위한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알에프(RF)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알에프신호의 크기가 기준크기 이하가 되는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횟수를 레이어 이동횟수로 인식한다.
또한 상기 횟수는 상기 알에프 신호를 레벨 슬라이스하여 생성한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재생 또는 기록작업을 수행할 레이어의 변환시에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기 위한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 용하여 포커스 에러(FE)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의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여 알에프(RF)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알에프 신호의 레벨 슬라이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 및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에서 모두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되면 레이어가 이동된 것으로 인식하는 한다.
또한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 및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검출순서를 확인하여 레이어의 이동방향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된 뒤에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되면 하이 레이어에서 로우 레이어로 레이어가 이동되고,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된 뒤에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되면 로우 레이어에서 하이 레이어로 레이어가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이 적용되는 광기록재생장치는 픽업부(Pickup)(11)와, RF증폭부(12)와, 서보부(14)와, DSP부(13)와, 마이컴(15)을 포함한다.
픽업부(11)는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우드(미도시)와, 발산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터 렌즈(미도시)와, 포커스 액츄에이터(미도시) 및 트래킹 액츄에 이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대물렌즈(도2의 17)와, 입사된 광을 분기하는 빔 스플리터(미도시)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디텍터(Photo Detector)(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이들을 이용하여 픽업부(11)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16)에 레이저 광을 쏘아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멀티 레이어 디스크(16)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한다.
RF증폭부(12)는 픽업부(11)에서 전달된 전기신호로 재생데이터인 RF신호를 생성하고, 포커스 이탈을 검출한 신호인 포커스 에러(Focus Error)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트랙 이탈을 검출한 신호인 트래킹 에러(Tracking Error)신호를 생성한다.
서보부(14)는 RF증폭부(12)에서 전달된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 및 마이컴(15)에서 전달된 스핀들 에러(Spindle Error) 신호 등을 참조하여 포커싱, 트래킹, 스핀들을 위한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제로 크로싱 지점을 검출하여 포커스 제로 크로싱(Focus Zero Crossing) 신호를 만들고, RF신호를 특정레벨에서 슬라이싱(slicing)하여 레벨 슬라이스(Level Slice) 신호를 만든다.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 및 레벨 슬라이스(LS) 신호에 대해서는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뒤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DSP부(13)는 RF신호를 데이터 처리하며, 마이컴(15)의 대물렌즈(도2의 17) 이동명령에 따라 픽업부(11)에 대물렌즈(17) 구동명령을 내린다.
마이컴(15)은 사용자의 입력명령에 따라 픽업부(11), RF증폭부(12), DSP부(13) 및 서보부(14)를 제어하며,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 온/오프 명령을 서보 부(14)에 인가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는 기록층인 4개의 레이어(L0,L1,L2,L3)를 가지며, 기록면에서 커버로 갈수록 로우 레이어에서 하이 레이어가 된다. 이러한 레이어에 포커스를 맞추기 위해 픽업부(11)는 대물렌즈(17)를 상하로 이동시켜 레이저 광이 멀티 레이어 디스크(16)에 도달하는 지점을 조절한다.
도3에서는 레이저 광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RF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대물렌즈(17)가 이동하여 레이저 광이 레이어로부터 하부의 일정거리(A지점)에 도달하면 반사광이 수광되면서 RF증폭부(12)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RF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레이저 광을 점차 멀티 레이어 디스크(16)의 레이어에 접근시킬수록 포커스 에러 신호(FE)는 플러스 성분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고 RF신호는 크기가 증가한다. 그러다가 레이저 광이 레이어의 최적위치(B지점)에 도달하여 포커스가 맞춰지면 포커스 에러의 값은 0이 되면서 RF신호의 크기는 최대값이 된다.
이 위치(B지점)에서 레이저 광을 점차 레이어의 상부로 이동시키면 포커스 에러 신호(FE)는 레이저 광이 레이어에 접근할 때와 반대의 위상이 되며, RF신호도 다시 점차 감소하게 된다.
만약 레이저 광을 레이어의 위에서 레이어의 아래쪽으로 점차 이동시키면 포커스 에러 신호(FE)는 도3의 포커스 에러 신호와는 위상이 반대인 파형을 가지며, RF신호는 도3의 RF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파형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작업중인 레이어에서 다른 레이어로 포커싱을 이동하면 도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RF신호가 검출되고, 이 신호들의 파형변화를 체크하면 레이어의 변환여부 및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알 수 있다.
도4a에서는 L0에서 L3로 레이어를 변환하였을 때 멀티 레이어 디스크(16)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생성한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RF신호와, 이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 및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를 도시하였다.
도4a의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보면 L0에 포커싱 되다가 L0를 이탈하는 순간 도3의 Y성분에 해당하는 신호가 나타나고, L1, L2를 거치면서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은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파형이 반복된다. 그러다가 목표 레이어인 L3에 도달하면 도3의 X성분이 반복된 후에 서보제어에 의해 L3에 포커싱이 맞춰진다. 이 때 L0에서 L3까지 레이어를 이동할 때 도3의 X성분에 해당하는 파형은 3개가 검출됨을 알 수 있으며, 이처럼 포커스 에러 신호(FE)에서 X성분에 해당하는 파형의 수를 확인하면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기초로 생성한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를 이용하여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 할 수도 있다. 도4a의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제로 크로싱 지점을 찾아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를 생성하면 도4a의 두 번째 그래프와 같은 파형이 된다.
도4a의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를 보면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플러 스 성분에 대응하는 신호는 하이상태이며, 나머지는 로우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의 파형에서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수가 이동한 레이어의 수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을 이용하면 포커스 에러 신호(FE) 자체를 체크할 때와 마찬가지로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알 수 있다. 다만,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를 이용하여 레이어를 카운트 할 때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16)의 면진동 등의 외란에 의해 포커싱에 에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신호들을 필터링하여 이용하거나,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플러스 성분의 크기가 기준레벨 이상이 되는 횟수만을 파악하여 이동한 레이어의 수로 카운트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기준레벨은 광기록재생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L0에서 L3로 레이어를 변환할 때 RF증폭부(12)에서 검출되는 RF신호는 도4a의 세번째 그래프와 같으며, 도4a의 RF신호를 보면 도3의 RF신호와 같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4a의 RF신호를 보면 RF신호의 크기가 기준크기 이하가 되는 횟수가 이동한 레이어의 수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즉, 도4a에서 RF신호의 크기가 기준크기 이하가 되는 횟수는 3이며, 이는 이동한 레이어의 수와 같다. 이 때 기준크기는 광기록재생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RF신호에서도 RF신호를 이용한 새로운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 할 수 있는데, RF신호의 피크(peak)추세를 검출하여 레벨 슬라이싱(slicing)한 디펙트(defect)신호 또는 RF신호의 바텀(bottom)추세를 검출하여 레벨 슬라이싱한 미러(mirror)신호 및, 피크추세와 바텀추세를 모두 검출하여 두 신호를 뺀 신호를 만들고 이 신호를 레벨 슬라이싱한 신호를 만들어 이용할 수 있고, 이 신호들을 모두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신호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도4a에서는 RF신호의 바텀추세를 검출하여 레벨 슬라이싱한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를 도시하였다. 이 때 슬라이싱하는 레벨은 광기록재생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도4a의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를 보면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수(3개)가 이동한 레이어의 수(3개)와 같음을 알 수 있다.
도4b에는 도4a와 반대로 L3에서 L0로 레이어를 변환하였을 때 얻어지는 각종 파형들을 도시한 것이며, 도4b에서 RF신호 및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는 도4a와 같으나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위상이 도4a와 반대이며 이에 따라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도 변경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포커스 에러 신호(FE), RF신호,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 및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를 이용하면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 할 수 있으며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이상의 신호를 함께 체크할 수도 있다.
도5에서는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와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를 이용하여 레이어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마이컴(15)에서 DSP부(13)로 레이어 이동명령이 전달되면(20) DSP부(13)는 이를 픽업부(11)에 전달하고, 서보부(14)는 레이어 차를 연산하여(22) 이동해야 할 레이어의 수를 파악한다. 또한, RF증폭부(12) 및 서보부(14)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16)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FE),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 RF신호 및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를 생성한다.
픽업부(11)는 레이어 이동명령에 의해 대물렌즈(17)를 상하로 조절하여 레이저 광의 도달지점을 변경시킴으로써 작업대상인 레이어를 다른 레이어로 변환한다(24). 레이어의 변환시에 서보부(14)는 레이어 차(목표 레이어-현재 레이어)가 양수인지 판단한다(26). 여기에서 레이어 차가 양수이면 로우 레이어에서 하이 레이어(예를 들면 L0에서 L3로)로 레이어가 이동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레이어 차가 음수이면 하이 레이어에서 로우 레이어(예를 들면 L3에서 L0로)로 레이어가 이동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만약 레이어 차가 양수이면 도4a에서와 같이 레벨 슬라이스 신호(LS)의 상승에지가 나타난 후에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의 상승에지가 나타나므로 이들 신호에서의 상승에지의 발생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28,30). 그리고 레벨 슬라이스 신호(LS)와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에서 각각 상승에지가 확인되면 레이어 카운트를 1 증가시킨다(36). 다음으로 레이어 카운트가 레이어 차의 절대값과 같은지 판단하여 레이어 카운트가 레이어 차의 절대값과 다르면 24단계로 리턴하고, 레이어 카운트가 레이어 차의 절대값과 같으면 레이어의 변환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 브레이크 전압을 인가하고 서보 제어에 들어간다(40).
다음으로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와 레벨 슬라이스 신호(LS)가 로우상태인지 확인하여(42) 이들이 로우상태가 아니면 40단계로 리턴하고, 이들이 로우상태이면 사이클을 종료한다. 여기에서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와 레벨 슬라이스 신호(LS)가 로우상태이면 레이저 광이 목표 레이어에 제대로 포커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도4a 및 도4b의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 및 레벨 슬라이스 신호(LS)의 후반부에서 알 수 있다.
한편, 26단계에서 레이어 차가 음수이면 도4b에서와 같이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의 상승에지가 나타난 후에 레벨 슬라이스 신호(LS)의 상승에지가 나타나므로 이들 신호에서의 상승에지의 발생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32,34). 그리고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와 레벨 슬라이스 신호(LS)에서 각각 상승에지가 확인되면 레이어 카운트를 1 증가시킨 후(36)에 38단계를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FZC)와 레벨 슬라이스 신호(LS)를 모두 체크하여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면 보다 신뢰성이 높은 판단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작업대상인 레이어를 변환할 때 이동한 레이어의 수를 카운트하여 레이어의 이동상황을 알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레이어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 에러 신호,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 RF신호 및 레벨 슬라이스 신호를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체크하여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어 차가 양수인지 음수인지를 판단하면 레이어의 이동방향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재생 또는 기록작업을 수행할 레이어의 변환시에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기 위한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알에프(RF)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알에프신호의 크기가 기준크기 이하가 되는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횟수를 레이어 이동횟수로 인식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는 상기 알에프 신호를 레벨 슬라이스하여 생성한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5.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재생 또는 기록작업을 수행할 레이어의 변환시에 이동한 레이어를 카운트하기 위한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FE)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의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여 알에프(RF)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알에프 신호의 레벨 슬라이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 및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에서 모두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되면 레이어가 이동된 것으로 인식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 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 및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검출순서를 확인하여 레이어의 이동방향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된 뒤에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되면 하이 레이어에서 로우 레이어로 레이어가 이동되고, 상기 레벨 슬라이스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된 뒤에 상기 포커스 제로 크로싱 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되면 로우 레이어에서 하이 레이어로 레이어가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KR1020050041119A 2005-05-17 2005-05-17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KR10067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19A KR100676252B1 (ko) 2005-05-17 2005-05-17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19A KR100676252B1 (ko) 2005-05-17 2005-05-17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79A KR20060118779A (ko) 2006-11-24
KR100676252B1 true KR100676252B1 (ko) 2007-02-01

Family

ID=3770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19A KR100676252B1 (ko) 2005-05-17 2005-05-17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4899B (zh) * 2012-04-27 2017-06-01 Disco Corp Laser processing device and laser processing method (2)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874A (ko) * 1999-06-18 2001-01-15 윤종용 다층 디스크 드라이버의 포커스 점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874A (ko) * 1999-06-18 2001-01-15 윤종용 다층 디스크 드라이버의 포커스 점프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0287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4899B (zh) * 2012-04-27 2017-06-01 Disco Corp Laser processing device and laser processing method (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79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0429A (ja) 光デイスク装置
JPWO2003010761A1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とそのフォーカス処理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媒体
KR100676252B1 (ko)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레이어 카운트 방법
US7345961B2 (en) Information medium apparatus and information medium starting method
JP2007172810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ピックアップ移動制御方法
JP4139751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50116159A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와, 씨디 및 디브이디를 인식하는방법
JP2002367193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855274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80058892A (ko) 다층 디스크의 층 판별 방법 및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장치
JP3764299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358663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再生方法
JP4396707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161939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77528B2 (ja) 光学式情報記録装置
KR100327219B1 (ko) 복층구조를가지는광디스크시스템에서의포커스점프방법및장치
JP2005092992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57719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의 트래킹 서보 제어 방법
JP2009059401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判定方法
JP2695909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2010135018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トラック位置誤差検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218609A (ja) ディスク装置
JPH0198169A (ja) トラック検索装置
JP2009016015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引き込み制御方法
JP2001067687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