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743B1 -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743B1
KR100675743B1 KR1020050111208A KR20050111208A KR100675743B1 KR 100675743 B1 KR100675743 B1 KR 100675743B1 KR 1020050111208 A KR1020050111208 A KR 1020050111208A KR 20050111208 A KR20050111208 A KR 20050111208A KR 100675743 B1 KR100675743 B1 KR 10067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packing member
sealed space
infusion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환
Original Assignee
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환 filed Critical 허승환
Priority to KR102005011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09Flow controllers by repeated filling and emptying of an intermediate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2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air intake into infusion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4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low-level float-valve to cut off media flow from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혈액 역류방지와 체내로의 원활한 수액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infusion solution)을 체내에 주사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시 부주의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체내로의 수액공급을 원활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폐 공간부, 제1몸체, 제2몸체, 패킹부재, 접이부, 상판

Description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DEVICE FOR PROTECTING FLOWING BACKWARD IN INFUSION SOLUTION DELIVERING SE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가 점적부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종단면도,
도 3은 상판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제2몸체를 형성하는 패킹부재의 상하이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서 돌출부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가 점적부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역류방지장치 100,100' : 제1몸체 200 : 제2몸체
300 : 공간부 110 : 측벽 111 : 걸림홈
120 : 상판 121 : 강도보강턱 400 : 수액저장부
401 : 월류방지턱 410,410' : 가이드돌기 500 : 돌출부
600 : 무게추 210 : 접속부 211 : 걸림턱
220 : 접이부 230 : 패킹부재 231 : 날개부
점적부: 1
본 발명은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혈액 역류방지와 체내로의 원활한 수액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infusion solution)을 체내에 주사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시 부주의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체내로의 수액공급을 원활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액투여기는 수액이 점적되는 점적부와 가용성을 가진 호스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부, 및 호스의 일단에 연결된 주사바늘로 구성되며, 즉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공기 흡입구와 수액출구가 일체로 구비된 점적부의 삽입구를 삽입 하여 수액이 공급되면, 점적부에 공급된 수액이 가용성의 호스를 통하여 주사바늘로 공급되어 체내에 투여되며, 이때 수액이 통과하는 호스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부는 투여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액투여기의 문제점으로서는 수액의 투여가 종료됨과 동시에 주사바늘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사바늘을 통하여 혈액이 역류하거나 체내로 공기가 투입되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또한 링거액병 또는 색에 주입된 수액이 체내에 투여되는 경우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수액의 투약이 종료되는 시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7-056956호(1997.11.10.자 공개)"링겔의 수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역류방지 장치"와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9-028794호(1997.02.04.자 공개)"점적주사기의 제어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의 종래기술은 수액의 부양력과 자중에 의해 동작되는 구형의 밸브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형의 밸브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 등으로 구형의 밸브체를 제조할 경우 구형의 표면에는 필연적으로 제조과정상 돌기부(수지 주입부 또는 금형 접합부로 인하여 발생)가 형성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돌기부가 구형의 표면에 형성될 경우 밸브체가 완전한 구형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불완전한 밀폐가 발생된다. 또한, 수액의 부양력과 밸브체의 자 중으로 인하여 작동될 경우 구형의 밸브체의 무게는 극히 제한적인 범위 이내에서 결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부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매우 가벼운 재질을 선택할 경우, 이는 밸브체의 자중에 의한 밀폐력이 약화된다는 문제를 가진다. 즉, 밀폐력은 밸브체의 자중에 의해서 발생하며, 자중이 가벼울 경우 밀폐력 자체가 약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외부의 가벼운 충격에도 밸브체가 흔들려 그 밀폐력이 소멸하게 된다.
상기 일본공개특허의 종래기술은 제어플로트의 중공조의 설치 및 밸브와 제어플로트 말단간에 간극에 의하여 밸브의 강하 압력을 증가시키고 자동 밀폐차단하는 효과를 향상시킨 점적주사기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수액을 투여하여 준비하는 초기단계에서 상기 점적부내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결된 호스를 통해 수액을 흘려보냄으로서 일정 수위가 되도록 점적부내를 채우는 도중에 상기 밸브의 강하로 인한 하측의 테이퍼형상 유통구가 막히게 되어 그로 인한 수액의 유동이 강제 차단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infusion solution)을 체내에 주사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시 부주의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체내에 공기가 투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류방지장치 내에서 외압작용시 밀폐공간 부 내부로 패킹부재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혀지거나 복원되는 접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점적부 내부를 통과하는 수액의 원활한 유동과, 수액의 역류시에는 효과적인 차단을 가능케 하는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사바늘을 통하여 체내에 수액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를 위하여 상기 수액 투여기의 점적부에 삽입되며, 부력발생부 및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액의 수위 상승시 상기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상승하며, 수액의 수위 하강시 상기 패킹부재의 작용으로 상기 점적부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
상기 부력발생부는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패킹부재가 형성되는 제2몸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부이며,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된 패킹부재는 상기 밀폐 공간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부력발생부란 부력을 일으킬 수 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그 형상에 구애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패킹부재란 수액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을 말하며 그 형상에 구애되지 않는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이부, 상기 접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패 킹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이부가 상기 밀폐 공간부의 내부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밀폐 공간부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밀폐 공간부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그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접혀진 접이부가 복원되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밀폐 공간부에 대하여 하부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공간부의 상판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는 수액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수액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부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무게추가 수직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가 점적부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상판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제2몸체를 형성하는 패킹부재의 상하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서 돌출부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역류방지장치(10)는 크게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몸체(100)를 살핀다.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된 공간부(300)의 상판(12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판(120)의 저면에는 다수의 강도보강턱(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몸체(100)의 상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어 일정량의 수액을 저장할 수 있는 수액저장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수액저장부(400)는 점적부(1)로 점적되는 수액을 받아 그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곳이다.
본 실시례의 수액저장부(400)의 형태는 원형 용기에 가까운 형태이나, 점적부(1)의 형태에 따라 타원형 용기, 사각 용기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수액저장부(400)의 면적 및 높이는 실시례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수액저장부(400)의 면적 및 높이는 이에 저장될 수 있는 수액의 양을 결정하게 되며, 이는 필요한 밀폐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20)은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로 제2몸체(200)가 결합되어 밀폐 공간부(300)를 형성한 후, 밀폐 공간부(300) 외부의 압력에 의해 그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패킹부재(23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평판으로 형성된 상판보 다는 보다 용이하게 상판(120)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제2몸체(200)의 접이부(220)가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하여 패킹부재(230)의 이동을 간편하게 한다.
도 3은 상판(120)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양 측벽의 사이로 평판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측벽의 외부에서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평판을 접는 과정에서 저항력이 크게 발생됨을 나타내는 예(a)와, 평판을 상향 경사지게 형성해 놓는 경우(b)에는 평판보다는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소멸되어 보다 용이한 힘의 전달로서 접는 과정이 수월하게 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판(120)은 수액저장부(400)와 밀폐 공간부(300)를 구분하는 경계층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판(120)의 저면으로는 다수의 강도보강턱(121)이 형성되어 수액저장부(400)의 하측으로 형성된 밀폐 공간부(300)의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턱(121)은 밀폐 공간부(300)의 내부중심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수액저장부(400)의 내측면 상부에는 월류방지턱(401)이 내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있다. 수액저장부(400)가 외부의 힘에 의해 경사지게 위치할 경우, 수액저장부(400)에 저장된 수액은 월류하게 되나, 이때 수액저장부(400)의 내측면 상부에 월류방지턱(401)을 형성할 경우 돌출형성된 월류방지턱(401)의 높이만큼 월류되는 수액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수액저장부(40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41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410)의 단면은 대체로 삼각형 형태를 이루며, 길이는 밀폐공간부(300)의 외부 상측 윗부분까지로만 형성된다. 즉, 가이드돌기(410)의 길이는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부(300)가 외부의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밀폐 공간부(300)의 외측을 간섭하지 않게 수액저장부(400)만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410)는 수액저장부(400)의 상하이동시 수액저장부(400)가 가급적 점적부(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과 표면장력에 의한 물방울의 응집을 방지하게 하며, 특히 수액저장부(400)가 상하로 이동시 점적부(1)의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원활한 상하이동을 이루기 위하여, 가이드돌기(410)의 단면 형태를 삼각형으로 하고 있다.
즉, 가이드돌기(410)의 첨예한 꼭지점만이 점적부(1)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어, 수액저장부(400)는 그 상하이동시 점적부(1)와의 접촉마찰이 최소화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원활한 수액저장부(400)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이드돌기(410)의 최외측이 이루는 직경은 점적부(1)의 내주면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의 경우 8개의 가이드돌기(4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몸체(100)의 공간부(300)를 형성하는 측벽(110)의 내부에는 제1몸체(100)의 하부로 결합되는 제2몸체(200)의 걸림턱(211)이 결합되는 걸림홈(11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몸체(200)를 살핀다.
제2몸체(200)는 제1몸체(100)에 결합되는 접속부(210), 접속부(210)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이부(220), 접이부(220)의 하부에 형성되는 패킹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접속부(210)는 제1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제2몸체(200)를 결합하여 밀폐 공간부(300)를 이루게 한다.
접속부(210)의 외측에는 제2몸체(200)가 제1몸체(100)의 하부로 결합될 때, 제1몸체(100)의 공간부(300)를 형성하는 측벽(110)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결합되는 걸림턱(2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부(220)는 밀폐 공간부(300)의 내부로 접혀짐으로써 제2몸체(2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패킹부재(230)가 밀폐 공간부(30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가능하며, 밀폐 공간부(300)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그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접혀진 접이부(220)가 복원되게 된다.
패킹부재(230)는 밀폐 공간부(300)에 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형태는 하측으로 어느정도 경사진 도넛 형태의 날개부(231)로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231)는 하방향의 힘을 받을 경우 약간 상측으로 꺽이면서 상부에 위치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점적부(1)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패킹부재(230)의 형태는 매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제2몸체(200)가 제1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될 경우, 부력발생부에 해당되는 밀폐 공간부(300)를 형성하게 된다.
제2몸체(200)와 제1몸체(100)의 결합 방법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구조 등을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강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발생부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500)가 마련되며, 돌출부(500)는 부력발생부의 측벽(110)보다 더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도 8은 돌출부(500)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서 돌출부(500)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으로, 돌출부(500)가 없는 경우에는 제2몸체(200)의 양측 하단부가 점적부(1)의 바닥으로 지나치게 하강함으로 인해 패킹부재(230)의 접이부(220)가 완전히 펴질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패킹부재(230)는 접이부(220)가 완전히 펴지기 위해 점적부(1) 바닥과의 충분한 거리가 요구된다. 만약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지 않으면, 패킹부재(230)의 날개부(231)가 점적부(1) 바닥으로부터 반발되어 밀폐 공간부(300)의 상부로 재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돌출부(500)가 형성된 도1의 실시례는 패킹부재(230)가 외압에 의해 밀폐 공간부(300)로부터 하부로 이동하게 될 때, 돌출부(500)가 패킹부재(230)와 점적부(1) 바닥과의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게 한다.
본 실시례의 경우 부력발생부로서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를 언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부력발생부는 부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며 본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력이란 중력이 작용할 때 유체(流體) 속에 있는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중력과 반대방향의 힘으로 정의되며, 쉽게 말하면 물에 뜨려는 힘을 말한다. 부력의 크기는 유체 속에 있는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유체의 무게와 같다. 따라서 단순히 수액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일 경우에도 이는 부력발생부로서 작용하 며, 빈 공간을 극히 비중이 낮은 재질로 충진하는 경우에도 이는 부력발생부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밀폐된 빈 공간을 이루는 부력발생부는 일반적인 부력발생부보다 특이한 점을 가진다.
우선, 비어있는 공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중량이 극히 가벼워질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중량으로 최대한의 부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액 투여기 세팅시 점적부(1)를 수차례 수축하여 수액을 적정 수위로 맞추기 때문에, 점적부(1)의 수축과 함께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가 함께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특히 제2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패킹부재(23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매우 유연한 재질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패킹부재(230)로서 기존에 알려진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본 패킹부재(230)의 재질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a) 내지 (f)를 참조하여 본 역류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의 (a)는 외력에 의해 제2몸체(200)의 접이부(220)가 밀폐 공간부(300)의 내부로 접혀짐으로써, 패킹부재(230)가 상기 밀폐 공간부(30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함을 나타낸 상태이다.
도 7의 (b)는 점적부(1)내로 역류방지장치(10)를 삽입한 후, 점적부(1)내로 수액을 유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점적부(1)내로 흘러 내리는 수액은 상기 밀폐 공간부(300)의 내부로 이동된 패킹부재(230)에 의해 유동이 방해 받지 않고 순조롭게 진행됨을 나타낸다.
도 7의 (c)는 수액이 계속 점적되어 수액저장부(400) 뿐만 아니라 점적부(1)내로도 일정량의 수액이 채워짐을 나타낸 것이다. 점적부(1)에 채워진 수위는 점적부(1)의 옆에 표시하였다.
도 7의 (d)는 점적부(1)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외부압력으로 밀폐 공간부(300)의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접혀진 접이부(220)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패킹부재(230)를 밀폐 공간부(300)에 대하여 하부로 이동함을 나타낸 상태이다.
도 7의 (e)는 수액이 계속 점적되어 수액저장부(400)에 채워진 수액이 점적부(1)로 월류된 결과, 본 역류방지장치(10)는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수액의 수위상승과 함께 상승이 된 상태이다. 점적부(1)에 채워진 수액의 수위는 점적부(1)의 옆에 표시하였다.
도 7의 (f)는 수액 점적이 중단되자, 수액의 수위 하강과 함께 본 역류방지장치(10)가 하강하여 최종적으로 제2몸체(200)의 패킹부재(230)가 점적부(1)의 하측면과 접하게 되면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점적부(1)에 채워진 수액의 수위는 점적부(1)의 옆에 표시하였다.
도 7의 (f)의 상태의 경우 특별한 상황에 의하여 점적부(1)의 수위가 하강할 경우(즉 수액이 일부 유출될 경우) 본 역류방지장치(10)가 받는 부력은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수액저장부(400)에 저장된 수액이 더욱더 강하게 패킹부재(230)의 날개부(231)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어, 밀폐력은 더욱 증대된다.
특별한 상황이란 환자의 운동시 또는 이동시에 이동 걸고리에 걸린 수액 투여기가 심한 흔들림과 떨림에 직면하게 되는 상황 등을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 점적부(1)의 수위가 약간 낮아질 수 있지만 수액의 수위 하강에 따라 패킹부재(230)의 밀폐력이 더욱 커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가 점적부(1)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제2실시례의 구성 중 제1실시례와 차이가 나는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역류방지장치(10')가 제1실시례와 차이가 나는 부분은 제1몸체(100')이다.
제1실시례의 수액저장부(400)는 사라졌으며, 또한 제1몸체(100')의 형태가 변경되었다. 즉, 밀폐 공간부(300)의 크기가 수액저장부(400)를 포함한 만큼 확장됐으며, 밀폐 공간부(300)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무게추(600)가 수직하게 제2몸체(200)의 상측에 마련된 것이다. 상기 무게추(600)는 제2실시례에서 확장된 밀폐 공간부(300)로 인해 수액저장부(400)가 마련된 제1실시례보다 부족하게 되는 무게를 상쇄키 위해 마련된 것이다.
한편, 실시례에 따라서는 제1몸체(100')의 재질의 변경이나, 측벽(110)과 상 판(120)의 두께를 확대하여 제1실시례에 해당되는 무게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향 경사진 상판(120)의 외주연에 다수의 가이드돌기(410')가 마련된다. 상기의 가이드돌기(410')는 제1실시례처럼 제1몸체(100')의 상하이동시 제1몸체(100')가 가급적 점적부(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제1몸체(100')가 상하로 이동시 점적부(1)의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원활한 상하이동을 이루기 위하여, 가이드돌기(410')의 형태는 삼각형으로 하고,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이드돌기(410')의 최외측이 이루는 직경은 점적부(1)의 내주면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점적부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부력을 발생하게 하는 밀폐 공간부의 내부로 상하이동되는 패킹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패킹부재에 의한 점적부 내부를 통과하는 수액유동의 차단을 방지함으로 인한 수액의 원활한 유동과 수액의 역류시에는 효과적인 차단을 가능케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병원 등의 진료기관에서 주사바늘을 통하여 환자에게 링거액을 공 급하는 과정에서의 혈액의 역류로 인한 환자들의 염려와 불안은 물론 링거액병의 교체에 따른 간호사의 수고와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액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링거액 병을 교체함으로서 발생되는 엄청난 약물 낭비도 줄일 수 있다.

Claims (6)

  1. 주사바늘을 통하여 체내에 수액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를 위하여 상기 수액 투여기의 점적부에 삽입되며,
    부력발생부 및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액의 수위 상승시 상기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상승하며,
    수액의 수위 하강시 상기 패킹부재의 작용으로 상기 점적부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
    상기 부력발생부는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패킹부재가 형성되는 제2몸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부이며,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된 패킹부재는 상기 밀폐 공간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이부, 상기 접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패킹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이부가 상기 밀폐 공간부의 내부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패킹부재가 상 기 밀폐 공간부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밀폐 공간부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그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접혀진 접이부가 복원되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밀폐 공간부에 대하여 하부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공간부의 상판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는 수액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수액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부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무게추가 수직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20050111208A 2005-11-21 2005-11-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67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208A KR100675743B1 (ko) 2005-11-21 2005-11-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208A KR100675743B1 (ko) 2005-11-21 2005-11-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743B1 true KR100675743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208A KR100675743B1 (ko) 2005-11-21 2005-11-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7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94A (ja) * 1995-07-24 1997-02-04 Ko Kinwa 点滴注射器の制御装置
JP2002113100A (ja) 2000-10-10 2002-04-16 Yukihiro Kinoshita 医療用一方弁
JP2003180830A (ja) 2001-12-17 2003-07-02 Retug Inc 自動点滴閉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94A (ja) * 1995-07-24 1997-02-04 Ko Kinwa 点滴注射器の制御装置
JP2002113100A (ja) 2000-10-10 2002-04-16 Yukihiro Kinoshita 医療用一方弁
JP2003180830A (ja) 2001-12-17 2003-07-02 Retug Inc 自動点滴閉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608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JP5600171B2 (ja) 逆方向の送達によるシリンジアセンブリ
RU2718291C2 (ru) Шприц с подворачивающейся мембраной
KR101745445B1 (ko) 가압형 약물 주입 시스템
ES2769531T3 (es) Bomba desechable con mecanismo de retrosucción
CA2712230C (en) A disposable pump, a dispensing system comprising a pump and a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JP2004203443A (ja) 流動体貯留容器
KR20000068176A (ko) 밀폐된 보행기용 펌프
KR102564541B1 (ko) 유체들의 주입을 위한 디바이스
JP2007527251A (ja) クロージャ部材
JP6882377B2 (ja) 流体流制御弁と流れ制御装置とそれを用いる方法
JP2022168261A (ja) 薬液注入器具
KR100675743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JP2007125164A (ja) 弁機構及び輸液セット
KR100723345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2235831B1 (ko) 약액 디스펜서
KR200492869Y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101942564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100542974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20090043649A (ko)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CN113329950B (zh)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KR101739608B1 (ko)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
JP4907318B2 (ja) 注出器
CN104640594A (zh) 具有加注器元件的单次使用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