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974B1 -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974B1
KR100542974B1 KR1020050052264A KR20050052264A KR100542974B1 KR 100542974 B1 KR100542974 B1 KR 100542974B1 KR 1020050052264 A KR1020050052264 A KR 1020050052264A KR 20050052264 A KR20050052264 A KR 20050052264A KR 100542974 B1 KR100542974 B1 KR 10054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storage unit
drop
fluid
in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환
Original Assignee
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환 filed Critical 허승환
Priority to KR102005005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09Flow controllers by repeated filling and emptying of an intermediate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2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air intake into infusion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4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low-level float-valve to cut off media flow from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infusion solution)을 체내에 주사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시 부주의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체내에 공기가 투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사바늘 등을 통하여 체내에 수액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 등을 위하여 상기 수액 투여기의 점적부에 삽입되며 ;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점적부로 점적되는 수액을 받아 이를 저장하는 수액저장부, 상기 수액저장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부력발생부, 및 상기 수액저장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 수액의 수위 상승시 상기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상승하며, 수액의 수위 하강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수액저장부에 저장된 수액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점적부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액투여, 역류, 수액저장, 부력

Description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DEVICE FOR PROTECTING FLOWING BACKWARD IN INFUSION SOLUTION DELIVERYING SET}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수액 투여기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가 점적부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의 (a) 및 (b)는 도 3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3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월류방지턱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가 점적부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수액저장부
201 : 월류방지턱 202 : 가이드돌기
300 : 부력발생부
400 : 패킹부재
본 발명은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혈액 역류방지를 위한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infusion solution)을 체내에 주사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시 부주의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체내에 공기가 투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액투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이 점적되는 점적부(2)와 가용성을 가진 호스(3)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부(4), 및 호스(3)의 일단에 연결된 주사바늘(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색(sack) 또는 링거액병(6)에 공기흡입구(2b)와 수액출구(2c)가 일체로 구비된 점적부(2)의 삽입구(2a)를 삽입하여 수액이 공급되면, 점적부(2)에 공급된 수액이 가요성의 호스(3)를 통하여 주사바늘(5)로 공급되어 체내에 투여되며, 이때 수액이 통과하는 호스(3)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부(4)는 투여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액투여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의 수액투여기는 수액의 투여가 종료됨과 동시에 주사바늘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사바늘을 통하여 혈액이 역류하거나 체내로 공기가 투입되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링거액병 또는 색에 주입된 수액이 체내에 투여되는 경우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수액의 투약이 종료되는 시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렵다.
한편,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7-056956호(1997.11.10.자 공개) "링겔의 수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역류방지 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액의 부양력과 자중에 의해 동작되는 구형의 밸브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형의 밸브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플라스틱 등으로 구형의 밸브체를 제조할 경우 구형의 표면에는 필연적으로 제조과정상 돌기부(수지 주입부 또는 금형 접합부로 인하여 발생)가 형성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돌기부가 구형의 표면에 형성될 경우 밸브체가 완전한 구형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불완전한 밀폐가 발생한다.
(2) 수액의 부양력과 밸브체의 자중으로 인하여 작동될 경우 구형의 밸브체의 무게는 극히 제한적인 범위 이내에서 결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부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매우 가벼운 재질을 선택할 경우, 이는 밸브체의 자중에 의한 밀폐력이 약화된다는 문제를 가진다. 즉, 밀폐력은 밸브체의 자중에 의해서 발생하며, 자중이 가벼울 경우 밀폐력 자체가 약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외부의 가벼운 충격에도 밸브체가 흔들려 그 밀폐력이 소멸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수액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되, 수액의 수위 하강시 수액저장부에 저장된 수액의 하중을 이용하여 패킹부재가 점적부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밀폐력이 더욱 향상된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주사바늘 등을 통하여 체내에 수액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 등을 위하여 상기 수액 투여기의 점적부에 삽입되며 ;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점적부로 점적되는 수액을 받아 이를 저장하는 수액저장부, 상기 수액저장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부력발생부, 및 상기 수액저장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 수액의 수위 상승시 상기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상승하며, 수액의 수위 하강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수액저장부에 저장된 수액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점적부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부력발생부란 부력을 일으킬 수 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그 형상에 구애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패킹부재란 수액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을 말하며 그 형상에 구애되지 않는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는 밀폐된 빈 공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부력발생부는, 수액저장부가 형성되는 상부구조체 및 상기 패킹부재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체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밀폐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액저장부의 내측면 상부에는 내측면을 따라 월류방지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액저장부의 외측면에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가 점적부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의 (a) 및 (b)는 도 3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8은 월류방지턱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역류방지장치(100)는 크게 상부구조체(110) 및 하부구조체(1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부구조체(110)를 살핀다.
상부구조체(110)의 상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수액저장부(200)가 형성된다. 수액저장부(200)는 점적부(2)로 점적되는 수액을 받아 그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곳이다.
본 실시례의 수액저장부(200)의 형태는 원형 용기에 가까운 형태이나, 점적부(2)의 형태에 따라 타원형 용기, 사각 용기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수액저장부(200)의 면적 및 높이는 실시례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수액저장부(200)의 면적 및 높이는 이에 저장될 수 있는 수액의 양을 결정하게 되며, 이는 필요한 밀폐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액저장부(200)의 내측면 상부에는 월류방지턱(201)이 내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저장부(200)가 외부의 힘에 의해 경사지게 위치할 경우, 수액저장부(200)에 저장된 수액은 월류하게 되나, 이때 수액저장부의 내측면 상부에 월류방지턱(201)을 형성할 경우 돌출형성된 월류방지턱(201)의 높이만큼 월류되는 수액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월류방지턱(201)이 없을 경우에는 b 수위까지 수액이 월류하게 되나, 월류방지턱(201)이 형성된 경우에는 a 수위까지만 수액이 월류하게 된다. 따라서 월류방지턱(201)을 더욱 높게 돌출시킨다면(수액저장부가 기울어진 상태 기준, 만일 수액저장부가 정위치에 있다면 중앙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의미함), 수액저장부(200)가 경사지게 위치하는 경우에도 월류하는 수액의 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경사진 수액저장부(200) 에 저장될 수 있는 수액의 양이 많아짐을 의미하며, 이는 곧 수액저장부(200)가 경사진 상태에서 정위치로 복원하는 경우에도 수액저장부(200)는 일정량 이상의 수액이 저장되며, 따라서 흔들림 등에 의해서도 수액저장부(200)에 저장된 수액에 의하여 발생하는 밀폐력를 어느 이상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수액저장부(20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20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202)의 단면은 대체로 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가이드돌기(202)는 수액저장부(200)의 상하이동시 수액저장부(200)가 가급적 점적부(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수액저장부(200)가 상하로 이동시 점적부(2)의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원활한 상하 이동을 이루기 위하여, 가이드돌기(202)의 단면 형태를 삼각형으로 하고 있다.
즉, 가이드돌기(202)의 첨예한 꼭지점만이 점적부(2)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어, 수액저장부(200)는 그 상하이동시 점적부(2)와의 접촉마찰이 최소화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원활한 수액저장부(200)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이드돌기(202)의 최외측이 이루는 직경은 점적부(2)의 내주면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의 경우 8개의 가이드돌기(2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이드돌기의 형태 및 숫자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내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부구조체(1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제1부력발생부(30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를 향하여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부구조체(120)를 살핀다.
하부구조체(120)는 기본적으로 패킹부재(400)로서 작용한다.
즉, 하부구조체(120)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어느정도 경사진 도넛 형태의 날개부(401)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401)는 하방향의 힘을 받을 경우 약간 상측으로 꺽이면서 상부에 위치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점적부(2)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패킹부재(400)의 형태는 매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의 패킹부재가 사용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례와 같이 패킹부재(400)가 수액저장부(200)의 하측의 내측으로 마련되는 경우도 있지만, 본 실시례와 달리 패킹부재(400)가 수액저장부(200)의 하측의 외측에 마련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하부구조체(120)는 기본적으로 패킹부재(400)로서 작용하지만, 본 실시례의 경우 하부구조체(120)의 구조는 패킹부재(400) 이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부구조체(120)의 상부에는 제1부력발생부(301)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를 향하여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구조체(110)와 하부구조체(1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경우, 제1부력발생부(301)가 형성되며, 제1부력발생부(301)는 밀폐된 빈 공간을 이루게 된다.
상부구조체(110)와 하부구조체(120)의 결합 방법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구조 등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될 수 있다.
또한 하부구조체(120)의 하부에는 제2부력발생부(302)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 부를 향하여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경우 부력발생부(300)로서 제1부력발생부(301) 및 제2부력발생부(302)를 언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부력발생부는 부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며 본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력이란 중력이 작용할 때 유체(流體) 속에 있는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중력과 반대방향의 힘으로 정의되며, 쉽게 말하면 물에 뜨려는 힘을 말한다. 부력의 크기는 유체 속에 있는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유체의 무게와 같다. 따라서 단순히 수액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일 경우에도 이는 부력발생부로서 작용하며, 빈 공간을 극히 비중이 낮은 재질로 충진하는 경우에도 이는 부력발생부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밀폐된 빈 공간을 이루는 제1부력발생부는 일반적인 부력발생부보다 특이한 점을 가진다.
우선, 비어있는 공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중량이 극히 가벼워질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중량으로 최대한의 부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력발생부(301)와 제2부력발생부(302)를 비교하면, 제2부력발생부(302)의 경우 점적부의 수위(2)가 상승하면 제2부력발생부(302)의 내부로 수액이 어느정도 채워진다. 이는 제2부력발생부(302)에 있는 공기가 압축되어 가지게 되는 공기압력과 제2부력발생부(302)에 채워지는 수액의 표면이 가지는 수액의 표면압력이 동일할 때까지 수액이 채워진다. 따라서 제2부력발생부(302)는 점적부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그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하게 되어,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부력의 크 기가 줄어들게 된다. 물론 본 역류방지장치(100)가 경사지게 되어 제2부력발생부(302)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더욱더 큰 부력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제1부력발생부(301)는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위험이 없으며, 또한 수위 상승의 경우에도 그 부력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의 상부구조체(110) 및 하부구조체(12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액 투여기 세팅시 점적부를 수차례 수축하여 수액을 적정 수위로 맞추기 때문에, 점적부의 수축과 함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가 함께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특히 하부구조체(120)는 패킹부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매우 유연한 재질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패킹부재로서 기존에 알려진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본 하부구조체(120)의 재질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a) 내지 (d)을 참조하여 본 역류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의 (a)는 수액이 점적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7의 (b)는 수액이 점적되어 수액저장부(200)에 수액이 가득 채워진 상태이다. 그러나 아직 수액저장부(200)에 채워진 수액이 월류하지는 않은 상태이므로 점적부에는 수액이 차지 않은 상태이다.
도 7의 (c)는 수액이 계속 점적되어 수액저장부(200)에 채워진 수액이 점적 부(2)로 월류된 결과, 본 역류방지장치는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수액의 수위 상승과 함께 상승이 된 상태이다. 점적부에 채워진 수액의 수위는 점적부의 옆에 표시하였다.
도 7의 (d)는 수액 점적이 중단되자, 수액의 수위 하강과 함께 본 역류방지장치가 하강하여 최종적으로 패킹부재의 날개부가 점적부의 하측면과 접하게 되면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점적부에 채워진 수액의 수위는 점적부의 옆에 표시하였다.
도 7의 (d)의 상태의 경우 특별한 상황에 의하여 점적부의 수위가 하강할 경우(즉 수액이 일부 유출될 경우) 본 역류방지장치가 받는 부력은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수액저장부에 저장된 수액이 더욱더 강하게 패킹부재의 날개부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어, 밀폐력은 더욱 증대된다.
특별한 상황이란 환자의 운동시 또는 이동시에 이동 걸고리에 걸린 수액 투여기가 심한 흔들림과 떨림에 직면하게 되는 상황 등을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 점적부의 수위가 약간 낮아질 수 있지만 수액의 수위 하강에 따라 패킹부재의 밀폐력이 더욱 커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가 점적부에 마련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제2실시례의 구성 중 제1실시례와 차이가 나는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역류방지장치(100')가 제1실시례와 차이가 나는 부분은 하부구조체(120') 이다.
제1실시례의 제2부력발생부(302)는 사라졌으며, 또한 패킹부재(400')의 형태가 변경되었다. 즉, 하부구조체(120')의 하부에 원반 형태의 패킹부재(4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1실시례의 점적부(2)의 하부가 반구 형태로 형성된 반면, 본 실시례에 있어서는 점적부(2)의 하부가 상광하협의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패킹부재(400')의 경우에도 점적부(2)의 하부가 상광하협의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밀폐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혈액의 역류로 인하여 환자들의 염려와 불안은 물론, 함께 입원중인 환자 및 보호자 등 병실의 모든 사람들의 걱정과 소란함이 유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혈액의 역류로 인하여 혈액이 가요성 호스 안에서 응고되는 경 우 수액을 투여할 수 없기 때문에 수액투여기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낭비를 일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혈액 역류가 없는 경우에도 수액이 호스 하단으로 내려가면, 다음 링거액병의 수액 투입시 호스안의 공기를 배출한 후 수액을 투입하여야 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일소하여 링거액병의 교체에 따른 간호사의 수고와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환자들 또는 보호자들이 혈액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액이 호스 하부로 내려가는지 지속적으로 신경을 쓰야 하나, 본 장치를 이용할 경우 야간에 수액을 투여하는 경우라도 환자들이 혈액 역류를 걱정할 필요가 없이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수액이 점적부에서 일부 유출되는 경우에도 수액저장부에 저장된 수액의 하중으로 인하여 더욱더 강하게 점적부로부터 유출되는 수액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링거액병에 수액이 얼마 남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도 수액 점적이 중단되는 시점까지는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수액 점적이 중단되는 시점을 지나쳤을 때 발생되는 문제들(혈액 역류 또는 공기 배출)을 감안하여 미리 수액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링거액병을 교체하게 된다. 이를 국가단위로 집계하면 엄청난 양의 수액의 낭비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엄청난 약물 낭비를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주사바늘을 통하여 체내에 수액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를 위하여 상기 수액 투여기의 점적부에 삽입되며 ;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점적부로 점적되는 수액을 받아 이를 저장하는 수액저장부, 상기 수액저장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부력발생부, 및 상기 수액저장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수액저장부의 내측면 상부에는 내측면을 따라 월류방지턱이 돌출형성되어 ;
    수액의 수위 상승시 상기 부력발생부의 작용으로 상승하며, 수액의 수위 하강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수액저장부에 저장된 수액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점적부에서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는 밀폐된 빈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부력발생부는, 수액저장부가 형성되는 상부구조체 및 상기 패킹부재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체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50052264A 2005-06-17 2005-06-17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54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264A KR100542974B1 (ko) 2005-06-17 2005-06-17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264A KR100542974B1 (ko) 2005-06-17 2005-06-17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974B1 true KR100542974B1 (ko) 2006-01-20

Family

ID=3717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264A KR100542974B1 (ko) 2005-06-17 2005-06-17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696A (ko) * 2019-02-27 2020-09-0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톱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696A (ko) * 2019-02-27 2020-09-0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톱콕
KR102209967B1 (ko) 2019-02-27 2021-02-01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톱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608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1745445B1 (ko) 가압형 약물 주입 시스템
KR102564541B1 (ko) 유체들의 주입을 위한 디바이스
JP4539382B2 (ja) 薬剤持続注入ならびに追加投与可能な患者制御鎮痛(pca)装置
KR20130109757A (ko) 약물 주입 장치
CN100548396C (zh) 可进行药剂持续注入和追加给药的患者控制镇痛装置
KR200492869Y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KR100805314B1 (ko) 약액 정량주입 밸브
KR100542974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JP2007125164A (ja) 弁機構及び輸液セット
KR100723345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758234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WO2007108646A1 (en) Device for protecting backward flowing in infusion solution delivering set
EP0143503B1 (en) Implantable hand-operable dispensers for fluid medicaments
CN202426960U (zh) 防回血自动止液输液器
US11602595B2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KR102504345B1 (ko) 수액공급기의 공기유입차단장치
KR100318135B1 (ko) 기압차에의한수액주입방법및그장치
KR100675743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CN209596311U (zh) 防脱式输液器
KR20200038827A (ko) 링거투여 안전장치
KR20180127883A (ko) 링거 수액 주입 제어장치
KR20020082640A (ko) 의료용 수액투여기 세트 안전장치
KR100896976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20020066163A (ko) 안전 수액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