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234B1 -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234B1
KR100758234B1 KR1020060091550A KR20060091550A KR100758234B1 KR 100758234 B1 KR100758234 B1 KR 100758234B1 KR 1020060091550 A KR1020060091550 A KR 1020060091550A KR 20060091550 A KR20060091550 A KR 20060091550A KR 100758234 B1 KR100758234 B1 KR 100758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packing
plotter
blood
back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환
Original Assignee
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환 filed Critical 허승환
Priority to KR102006009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234B1/ko
Priority to PCT/KR2007/001378 priority patent/WO200710864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09Flow controllers by repeated filling and emptying of an intermediate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2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air intake into infusion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4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low-level float-valve to cut off media flow from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혈액 역류방지와 체내로의 원활한 수액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infusion solution)을 체내에 주사할 때 잔여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시 부주의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체내에 삽입된 주사바늘의 위치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액 투여기, 혈액 역류, 플로터, 고정체, 시트형 패킹

Description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DEVICE FOR PROTECTING BACKWARD FLOWING OF BLOOD}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수액투여기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가 점적부에 삽입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E-E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이 조립된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2는 도 3의 보조패킹의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도 3의 실시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가 점적부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체 110 : 플로터 수용공간
120 : 원통형 벽체 130 : 바닥체
131 : 수액 유출 통로 131a : 제1이송부
131b : 제2이송부 131c : 지지턱
132 : 보조구멍
200 : 플로터 210 : 원통형 몸체
220 : 패킹부
300 : 시트형 패킹 400 : 가압부재
410 : 가압봉 500 : 수액 유도체
510 : 수액 저장조 600 : 보조 패킹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09608호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22017호 "혈액역류방지장치"
본 발명은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혈액 역류방지와 체내로의 원활한 수액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액병 또는 색(sack)에 주입된 수액(infusion solution)을 체내에 주사할 때 잔여 량의 점검에 따른 불편과 투약 완료시 부주의로 인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체내에 삽입된 주사바늘의 위치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액투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이 점적되는 점적부(2)와 가요성을 가진 호스(3)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부(4), 및 호스(3)의 일단에 연결된 주사바늘(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색(sack) 또는 링거액병(6)에 공기흡입구(2b)와 수액출구(2c)가 일체로 구비된 점적부(2)의 삽입구(2a)를 삽입하여 수액이 공급되면, 점적부(2)에 공급된 수액이 가요성의 호스(3)를 통하여 주사바늘(5)로 공급되어 체내에 투여되며, 이때 수액이 통과하는 호스(3)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부(4)는 투여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액투여기의 문제점으로서는 수액의 투여가 종료됨과 동시에 주사바늘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사바늘을 통하여 혈액이 역류하거나 체내로 공기가 투입되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또한 링거액병 또는 색에 주입된 수액이 체내에 투여되는 경우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수액의 투약이 종료되는 시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수액투여용 주사바늘이 수액 투여 중 수액투여기의 위치가 환자의 몸에 비해 급격하게 낮아지거나, 환자의 이동으로 수액투여기의 위치에 비하여 환자의 심장 위치가 높게 되면 혈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압력이 떨어지는 수액을 밀어내고 바늘을 통하여 혈액이 환자의 신체 밖으로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09608호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는 점적부에 장착되어, 링거액병으로부터의 수액 공급이 중단될 경우 점적부로부터의 수액의 유출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수액 공급을 중단할 뿐이며 두번째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즉, 이 기술에 의할 경우에도 환자가 손을 높이 들 경우 주사바늘을 통하여 혈액이 역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22017호 "혈액역류방지장치"는 주사바늘에 장착되어 어떠한 경우에도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혈액의 역류를 완전히 차단한다는 점에서는 획기적이나, 링거액병으로부터 수액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점적부로부터 수액이 유출되는 것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즉, 이 기술에 의할 경우에도 링거액병으로부터 수액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비록 혈액의 역류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호스의 수액 수위가 지속적으로 하강하여 호스 내부에 공기가 차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두가지 기술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완벽한 혈액 역류 방지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가지 기술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이는 점적부와 주사바늘 각각에 장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판매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 하나의 역류방지장치를 통하여 완벽한 혈액 역류 방지, 완벽한 수액 유출 차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혈액역류방지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사바늘을 통하여 체내에 수액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투여기의 혈액 역류방지를 위하여 ; 파이프 형태의 원통형 벽체와 상기 원통형 벽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체에 의하여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플로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체에 수액 유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벽체의 외주면이 점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고정체 ; 부력의 작용으로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부력발생부와, 상기 부력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발생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하강시 상기 수액 유출 통로를 차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 상기 수액 유출 통로는, 수액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부의 제1이송부와 하부의 제2이송부로 구분되되, 상기 제 1이송부의 끝단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 상기 제2이송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턱에 그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시트형 패킹 ; 상기 시트형 패킹의 중앙부를 상기 제1이송부쪽으로 밀도록 형성된 가압봉이 마련되며, 상기 제2이송부에 장착되는 가압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수액저장조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거친 수액이 상기 수액저장조를 월류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유도체가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바닥체에 보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바닥체의 상부에서 상기 보조구멍을 개폐하는 보조구멍 개폐부가 형성되는 보조패킹이 상기 고정체의 바닥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가 점적부에 삽입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이 조립된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3의 보조패킹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례는 수액투여기의 점적부(2)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본 실시례는 크게 고정체(100), 플로터(200), 시트형 패킹(300), 가압부 재(400), 수액 유도체(500), 보조패킹(60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체(100)는 파이프 형태의 원통형 벽체(120)와 원통형 벽체(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체(130)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플로터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플로터 수용공간(110)에는 후술하는 플로터(200)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고정체(100)의 원통형 벽체(12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플로터 가이드 턱(1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플로터 가이드 턱(121)은 플로터(200)의 상방향 이동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체(100)의 원통형 벽체(120)의 상부에는 복수의 절개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체(100)의 상부에 복수의 절개홈(122)이 형성됨으로써 고정체(100)의 상부는 벌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플로터(200)를 플로터 수용공간(110)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즉, 플로터 가이드 턱(121)에 의하여 플로터(200)가 삽입되는 것이 방해되므로, 플로터 가이드 턱(121)을 벌리기 위하여 절개홈(122)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절개홈(122)은 플로터 가이드 턱(121)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터 수용공간(110)의 바닥부, 즉 바닥체(130)의 중앙에는 수액 유출통로(13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체(100)의 외주면, 즉 원통형 벽체(120)의 외주면은 점적부(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수액은 수액 유출 통로(131)를 통해서만 고정체(100)의 하부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한편, 플로터 수용공간(110)의 바닥부, 즉 바닥체(130)의 일측에는 보조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구멍(132)은 후술하는 보조 패킹(600)에 의하여 개폐된다.
고정체(100)의 플로터 수용공간(110)에 플로터(200,floater)가 삽입되어 마련된다.
플로터(200)는 내부에 종방향으로 중앙 통공(211)이 형성되어 파이프 형태를 이루는 원통형 몸체(210)와 상기 원통형 몸체(210)에 연결되는 패킹부(220)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몸체(21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21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212)의 횡단면은 대체로 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가이드돌기(212)는 원통형 몸체(210)의 상하이동시 원통형 몸체(210)가 플로터 수용공간(1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원통형 벽체(120)의 내주면과 원통형 몸체(210)의 외주면을 소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원통형 벽체(120) 내주면에 묻어있는 수액으로 인하여 원통형 몸체(210)의 상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례에서 가이드 돌기(212)는 8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개수는 실시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원통형 몸체(210)는 부력을 받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충분하 며, 원통형 몸체(210)는 수액의 수위 상승과 하강에 따라 그 부력으로 인하여 플로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승과 하강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 원통형 몸체(210)는 부력발생부로서 작용한다.
한편, 원통형 몸체(210)에는 패킹부(220)가 연결된다.
패킹부(220)는 플로터(200)의 하강시 고정체(100)의 수액 유출 통로(131)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패킹부(220)는 하부가 원추형을 이룸으로서 그 하부가 고정체(100)의 수액 유출 통로(131)에 삽입되면서 수액 유출공(131)을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패킹부(22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매우 신축성있는 재질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패킹부재로서 기존에 알려진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본 패킹부의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패킹부(220)와 원통형 몸체(210)를 연결하기 위하여, 원통형 몸체(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연결바(213)가 중앙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바(213)는 중앙에서 모여 패킹 결합부(214)를 형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연결바(213)는 3개가 마련되며, 패킹 결합부(214)의 상부는 수액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선형 또는 원추형을 이룬다.
패킹부(220)는 상기 패킹 결합부(214)에 접착 또는 끼움 구조로 고정된다.
한편 고정체(100)의 바닥체(130)에 보조 패킹(600)이 마련된다.
보조 패킹(600)은 그 양단에 상기 고정체(100)에 결합되는 고정체 결합부(6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바닥체(130)의 상부에서 보조구멍(132)을 개폐 하는 보조 구멍 개폐부(6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 패킹(600)은 고정체 결합부(620)가 바닥체(130)의 상면에 접착 또는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양단이 고정되며, 중앙의 보조 구멍 개폐부(610)는 바닥체(130)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의 압력을 받을 경우 보조구멍(132)이 열리도록 하며, 별도의 압력을 받지 않을 경우 보조구멍(132)을 막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구멍(132)을 개폐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응용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수액 유출 통로(131)를 살핀다.
수액 유출 통로(131)는 수액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부의 제1이송부(131a)와 하부의 제2이송부(131b)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제1이송부(131a)는 제2이송부(131b)와 연통되는 끝단으로 지지턱(13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턱(131c)이 위치하는 제2이송부(131b)에는 시트형 패킹(300, sheet type packing)이 마련된다.
시트형 패킹(300)은 제2이송부(131b)쪽으로 약간 만곡되어져 있으며 가장자리가 지지턱(131c)과 접하게 위치되고 제2이송부(131b)에 장착된 가압부재(400)의 가압봉(410)에 의해 중앙부가 제1이송부(131a)쪽으로 밀려지나 지지턱(131c)에 의해 제1이송부(131a)와 경계를 이루는 제2이송부(131b)에 위치되게 된다.
제1이송부(131a) 내에는 패킹이동방지부(131d)가 형성된다.
패킹이동방지부(131d)는 시트형 패킹(300)의 중심부가 제1이송부(131a) 내로 지나치게 밀려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의 단면을 이루고 있다.
제2이송부(131b)에는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시트형 패킹(300)의 위치를 안내하는 복수의 패킹가이드부(131e)가 마련된다.
패킹가이드부(131e)는 수액의 통과를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시트형 패킹(300)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으로 위치되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압부재(400)는 일측 중심으로 시트형 패킹(300)을 밀어주는 가압봉(410)이 형성되며, 외부형상은 단면이 십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십자형의 끝단이 제2이송부(131b)에 끼워 맞춰지거나 또는 접착되어 장착된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하부에는 결합용 돌출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용 돌출부(420)에 수액 유도체(500)가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압부재(400)와 수액 유도체(500)의 결합은 매우 다양하게 응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수액 유도체(500)는 상부에 상면이 개방된 수액저장조(51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원추형을 이루는 형태이다.
따라서 제2이송부(131b) 및 가압부재(400)를 거친 수액은 수액저장조(510)의 벽을 월류한 후 하부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수액 유도체(5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액의 흐름은 하나로 연결된 수액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점적부 혹은 호스 내에 미세한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실시례의 작동을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들이다.
(a)는 수액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b)는 점적부의 초기 세팅을 위하여 많은 양의 수액이 점적부로 떨어지고 있 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플로터(200)는 아직 부력의 힘이 작아서 상승하지 못하고 고정체(100)의 수액 유출 통로(131)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c)는 (b) 상태가 계속 진행되어 수액의 수위가 상승하고 이에 수반하여 플로터(200)는 부력의 힘에 의하여 상승하고, 많은 양의 수액은 플로터(200)의 중앙 통공(211)을 지나 고정체(100)의 수액 유출 통로(131)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하여 수액투여기의 초기 세팅이 완료된다.
이때 플로터(200)의 중앙 통공(211)은 보다 많은 유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속도로 플로터(200)를 통과하는 수액의 흐름에 의하여 본 플로터(20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로터(200)의 중앙 통공(211)의 유로 단면적은 적어도 호스(3)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수액 유출 통로(131)의 제1이송부(131a)로 유입된 수액은 패킹이동방지부(131d)를 통과하여 시트형 패킹(30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제2이송부(131b)쪽으로 약간 만곡되게 형성된 시트형 패킹(300)은 수액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시트형 패킹(300)의 하부에서 누르는 가압부재(400)의 가압봉(410)에 의하여 원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제1이송부(131a)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턱(131c)에 지지되어 위치되는 시트형 패킹(300)의 가장자리는 수액의 압력에 의하여 제2이송부(131b)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시트형 패킹(300)의 가장자리가 휘어지면 수액이 통과되며, 통과된 수액은 제2이송부(131b)에 장착된 가압부재(400)의 외부 십자형의 간극 사이로 통과되어 수액 유도체(500)의 수액 저장조(510)로 유입된 후 수액 저장조(510)를 월류한 후 빠져나가게 된다.
이후 (d)는 수액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로서, 플로터(200)는 부력에 의하여 상승되어 있으므로, 수액의 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시트형 패킹(300)의 가장자리 또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e)는 수액의 공급이 중단되어, 수액의 수위 하강과 함께 플로터(200)가 하강하여, 플로터(200)의 패킹부(220)가 고정체(100)의 수액 유출 통로(131)를 막아, 더이상 점적부(2)로부터 수액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이다.
점적부(2)로부터 수액이 더이상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수액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혈액은 역류되지 않는다.
또한 수액의 공급이 중단되면, 시트형 패킹(300)이 상부로부터 받는 압력이 하강하여, 시트형 패킹(300)의 가장자리는 지지턱(131c)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c), (d) 혹은 (e)의 상태에서 환자가 손을 들어올리는 경우 등에 혈액 역류가 발생하기 위하여는 시트형 패킹(300)의 하부의 유체 압력이 상승하여 시트형 패킹(300)의 하부의 유체가 역류하여 시트형 패킹(300)을 지나 시트형 패킹(300)의 상부로 이동하여야 하지만, 본 실시례는 시트형 패킹(300)의 가장자리가 지지턱(131c)에 걸려 유체의 상부 이동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4는 본 실시례의 하부에 모이는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례는 시트형 패킹(300)으로 인하여 고정체(100) 하부의 공기가 고정체(100) 상부로 이동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어, 고정체(100) 하부에 공기방울이 모일 수 있다.
이때 보조패킹(600)의 보조구멍 개폐부(610)는 고정체(100) 하부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 보조구멍(132)으로부터 매우 조금 이격되어, 고정체(100) 하부에 모인 공기가 상부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즉 도 14의 오른쪽 도면과 같이 호스에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 이 압력은 보조구멍(132)을 막은 보조구멍 개폐부(610)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그 간격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물론 이때 고정체 결합부(620)는 바닥체(13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례가 점적부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실시례와 달리 본 실시례에서는, 보조구멍(132) 및 이를 위한 보조패킹(600)이 생략되어 있다. 나머지 점에서는 제1실시례와 동일하다.
상기의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내지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단 하나의 역류방지장치를 통하여 완벽한 혈액 역류 방지와 완벽한 점적부로부터의 수액 유출 차단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점적부로부터의 수액 유출이 완전히 차단되어 호스 내부의 수액의 수위가 하강할 위험이 전혀 없으며, 또한 환자가 손을 들어 올리는 경우에도 혈액이 역류할 위험이 전혀 없게 된다.

Claims (3)

  1. 주사바늘을 통하여 체내에 수액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투여기의 혈액 역류방지를 위하여 ; 파이프 형태의 원통형 벽체와 상기 원통형 벽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체에 의하여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플로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체에 수액 유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벽체의 외주면이 점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고정체 ; 부력의 작용으로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부력발생부와, 상기 부력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발생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하강시 상기 수액 유출 통로를 차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액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
    상기 수액 유출 통로는, 수액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부의 제1이송부와 하부의 제2이송부로 구분되되, 상기 제1이송부의 끝단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
    상기 제2이송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턱에 그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시트형 패킹 ;
    상기 시트형 패킹의 중앙부를 상기 제1이송부쪽으로 밀도록 형성된 가압봉이 마련되며, 상기 제2이송부에 장착되는 가압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수액저장조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거친 수액이 상기 수액저장조를 월류하도록 이루어진 수액 유도체가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바닥체에 보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바닥체의 상부에서 상기 보조구멍을 개폐하는 보조구멍 개폐부가 형성되는 보조패킹이 상기 고정체의 바닥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기의 혈액역류방지장치.
KR1020060091550A 2006-05-24 2006-09-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758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550A KR100758234B1 (ko) 2006-09-21 2006-09-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PCT/KR2007/001378 WO2007108646A1 (en) 2006-05-24 2007-03-21 Device for protecting backward flowing in infusion solution delivering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550A KR100758234B1 (ko) 2006-09-21 2006-09-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234B1 true KR100758234B1 (ko) 2007-09-12

Family

ID=3873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550A KR100758234B1 (ko) 2006-05-24 2006-09-21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2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831A (ko)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스틱인저리 방지와 재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주사기 및 채혈주사기
KR102083480B1 (ko) * 2019-09-27 2020-05-26 주식회사 엔게인 역류 방지 장치
KR20200085711A (ko) 2018-07-17 2020-07-15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채혈 주사기
CN112569432A (zh) * 2019-09-27 2021-03-30 安径医疗 防逆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414A (en) 1992-09-28 1993-08-10 Hung Yung Feng Automatically closed dripping apparatus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KR100622017B1 (ko) 2006-01-20 2006-09-18 허승환 혈액역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414A (en) 1992-09-28 1993-08-10 Hung Yung Feng Automatically closed dripping apparatus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KR100622017B1 (ko) 2006-01-20 2006-09-18 허승환 혈액역류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831A (ko)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스틱인저리 방지와 재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주사기 및 채혈주사기
KR20200085711A (ko) 2018-07-17 2020-07-15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채혈 주사기
KR102083480B1 (ko) * 2019-09-27 2020-05-26 주식회사 엔게인 역류 방지 장치
CN112569432A (zh) * 2019-09-27 2021-03-30 安径医疗 防逆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608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US11420036B2 (en) Infusion set
US4668231A (en) Implantable hand-operable dispensers for fluid medicaments
KR101745445B1 (ko) 가압형 약물 주입 시스템
ES2559310T3 (es) Aparato de dispensación de fluido
KR100758234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JP2006223871A (ja) ドリップチャンバアクセスを有する圧力作動式脈管内セット
US20070000950A1 (en) Closure member
US20210369981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air and backflow elimination
EP3020431A2 (en) Regulator for drug infusion and drug infusion device including same
US11833326B2 (en) Fluid flow control valve and flow control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same
KR101657694B1 (ko) 드립 챔버에 자동 정지 장치를 구비한 정맥주사 세트
WO2007108646A1 (en) Device for protecting backward flowing in infusion solution delivering set
KR100938880B1 (ko) 수액세트용 역류 방지장치
KR100622017B1 (ko) 혈액역류방지장치
KR100723345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EP0143503B1 (en) Implantable hand-operable dispensers for fluid medicaments
AU2008221529A1 (en) Liquid coinfusion device
KR100896976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1973972B1 (ko) 수액세트의 점적통
US11602595B2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KR0172665B1 (ko)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 장치
KR100542974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EP378269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US20210093780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