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967B1 - 스톱콕 - Google Patents

스톱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967B1
KR102209967B1 KR1020190023363A KR20190023363A KR102209967B1 KR 102209967 B1 KR102209967 B1 KR 102209967B1 KR 1020190023363 A KR1020190023363 A KR 1020190023363A KR 20190023363 A KR20190023363 A KR 20190023363A KR 102209967 B1 KR102209967 B1 KR 10220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cock
drug
injection
injection pi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696A (ko
Inventor
한현용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9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2039/229Stopc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33Valve comprising a resilient or deformable element, e.g. flap valve, deformable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바디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약물의 주입이 가능하면서 다른 방향에서 주입되는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스톱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톱콕은 주입관 및 공급관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주입관 및 공급관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주입관 및 상기 바디 사이를 서로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타단은 약물이 상기 주입관을 통해 주입되면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약물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약물의 주입이 중단되면 원위치로 탄성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톱콕{STOPCOCK}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톱콕(Stopcock)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와 연결되어 약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톱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처방되는 생리 식염수, 물약 및 약액을 포함하는 약물들은 수혈관을 통해 환자의 신체로 공급되고, 수혈관에는 스톱콕이 연결되어 다양한 종류의 약물들의 이동을 제어한다.
기존의 3way 스톱콕을 통해 약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경우, 스톱콕에 형성된 밸브를 회전시켜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통로는 개방하거나 약물의 주입을 차단하고자 하는 통로는 차단한다.
그러나 밸브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약물이 밸브로 유입되거나 역류하여 오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밸브의 오염으로 스톱콕 자체가 오염되어 스톱콕의 사용기간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밸브의 개폐가 용이하면서 밸브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1729호는 의료용 스톱콕 및 밸브 유닛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488호는 의료용 기능성 다방향 스톱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밸브의 구동을 통한 오염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1729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488호
바디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약물의 주입이 가능하면서 약물 주입량의 제어가 용이하고 다른 방향에서 주입되는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스톱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톱콕은 주입관 및 공급관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주입관 및 공급관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주입관 및 상기 바디 사이를 서로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타단은 약물이 상기 주입관을 통해 주입되면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약물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약물의 주입이 중단되면 원위치로 탄성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상단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밀착하며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바디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톱콕은, 일단은 상기 차단부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차단부와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차단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의 일단 상부 또는 하부를 누르는 구동에 따라, 상기 조절부의 타단은 상기 차단부의 타단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바디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주입관 및 공급관 사이의 상기 차단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를 향해 튜브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측면주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톱콕은 일단은 튜브 형태로 상기 측면주입관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측면주입관을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측면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주입부는 일단은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주입관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축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 및 일단은 상기 고정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디를 향해 확장 및 연장되어 상기 측면주입관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측면에 중공이 형성되는 삽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톱콕은 상기 주입관 및 공급관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타측을 둘러싸며 상기 바디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바디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자석이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회동을 통해 자성을 나타내는 상기 차단부의 타단 끝단을 상기 바디의 내측면과 밀착시키거나 상기 바디의 내측면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톱콕은 탄성판을 통해 자동으로 주입관으로부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약물의 양을 유지하고, 바디의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다른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톱콕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약물에 의한 오염이 감소되고, 탄성막의 약물의 압력에 대한 지지력 조절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 중 탄성막의 탄성력 보강 또는 약물의 유입량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톱콕은 자성을 통해 탄성막의 변형을 제어할 수 있어, 단순히 링 형태의 고정부를 회동시키는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약물의 유입량을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바디 및 측면주입부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톱콕의 분해사시도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4 및 5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
도 6은 도 4의 스톱콕의 바디 내부를 나타내는 절개도.
도 7은 도 4의 스톱콕의 작동을 나타내는 절개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을 나타내는 절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바디 및 측면주입부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스톱콕의 분해사시도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콕(100)은 바디(200), 차단부(400) 및 측면주입부(600)를 포함한다.
스톱콕(100)은 환자에게 처방되는 생리식염수, 물약 및 약액을 포함하는 약물들의 이동을 제어하고, 다양한 종류들의 약물을 동시에 투여가 가능하며 별도의 조작없이 다양한 종류의 약물 주입에 따른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바디(200)는 주입관(220), 공급관(240) 및 측면주입관(260)을 포함한다.
바디(200)의 중앙부는 내부에 공간이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2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주입관(220) 및 공급관(240)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공간(10)이 내부에 형성된다.
주입관(220)의 일단은 바디(2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200)를 관통하여 제1 공간(10)과 연결되는 주입구를 둘러싸며 바디(200)와 결합되고, 타단은 파이프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공급관(240)의 일단은 바디(20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200)를 관통하여 제1 공간(10)과 연결되는 튜브를 둘러싸며 바디(200)와 결합되고, 타단은 파이프 형태로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공급관(24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원통형으로 둘러싸는 튜브가 배치되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약물을 공급관(240)의 내부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측면주입관(260)의 일단은 주입관(220) 및 공급관(240) 사이의 차단부(400)와 이격된 위치에서 바디(2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00)의 외측을 향해 튜브 형태로 연장되어 제1 공간(10)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차단부(400)는 실링유닛(420) 및 탄성막(440)을 포함한다.
차단부(400)의 일단은 주입관(220) 및 공급관(240)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20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00)를 관통하며 바디(2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주입관(220) 및 바디(200) 사이를 서로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실링유닛(420)의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외측에는 외측을 둘러싸는 홈이 형성되어 바디(200)의 일측에 삽입되면 제1 공간(10)을 외부와 차단한다.
차단부(400)가 바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실링유닛(420)을 주사기의 니들(Needle)로 관통시켜 제1 공간(10)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탄성막(440)의 일단은 실링유닛(42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실링유닛(420)의 타단 가장자리 일부분과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반원 형태로 상부를 향해 볼록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탄성막(440)의 저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막(440)의 타단 저면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약물이 상기 홈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막(440)이 변형되는 것을 차단하여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탄성막(440)의 상부면은 제1 공간(10)의 내부에서 주입관(220)의 일단이 연결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바디(200)의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주입관(220) 내부의 공간과 바디(200) 내부의 제1 공간(10)을 서로 차단한다.
탄성막(440)의 타단은 제1 공간(10)의 바디(200) 내측면 일부분이 제1 공간(10)의 안쪽을 향해 원통 형태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단턱과 밀착되고, 평소에는 탄성막(440)의 타단이 상기 단턱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주입관(220)의 내부공간에서 제1 공간(10)로 이동하려는 약물의 압력이 발생하면 탄성막(440)의 타단이 상기 단턱과 분리된다.
탄성막(440)은 탄성력이 있는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로 제작되고, 바디(200)의 내측면에 상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주입관(220)을 통해 약물이 제1 공간(10)을 향해 이동하면, 약물의 압력으로 탄성막(440)이 제1 공간(10)을 향해 휘어져 제1 공간(10) 및 주입관(220)의 내부공간 사이에 약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주입관(220)을 통한 약물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막(440)은 원위치로 탄성 이동하여 바디(20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제1 공간(10) 및 주입관(220)의 내부공간은 서로 분리된다.
또한, 공급관(240)이나 측면주입부(600)를 통해 제1 공간(10)로 유입되는 약물은 탄성막(440) 또는 탄성막(440)의 타단에 형성된 홈에 의해 주입관(220)의 내부공간으로 역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막(44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홈으로 유입되는 약물은 상기 홈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막(440)을 압박하여 탄성막(440) 및 바디(200)의 내측면 사이의 밀폐력을 개선한다.
측면주입부(600)는 고정유닛(620) 및 삽입유닛(640)을 포함한다.
측면주입부(600)의 일단은 튜브 형태로 측면주입관(260)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주입관(260)을 밀봉하도록 형성된다.
고정유닛(620)의 일단은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주입관(260)의 타단 일부분을 둘러싸며 측면주입관(260)과 밀착 결합되고, 타단은 곡면을 형성하며 바디(2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축소되며 연장된 후 다시 원통형으로 연장된다.
고정유닛(620)의 타단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외부에 배치되는 약물병과 튜브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되고, 내부에는 고정유닛(620)을 관통하는 제4 공간(14)이 형성된다.
삽입유닛(640)의 일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4 공간(14)의 내부에서 고정유닛(620)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에서 고정유닛(620)의 타단을 향해 확장되며 경사지게 연장되어 측면주입관(260)의 내부에 배치된다.
삽입유닛(640)의 타단 양측면에는 삽입유닛(640) 내부의 제3 공간(13) 및 제4 공간(14)을 연결하는 복수의 중공(21, 22)들 각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삽입유닛(640)의 일단은 제1 공간(10) 및 제2 공간(12) 사이의 측면주입관(260)을 관통하는 연결관(11)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삽입유닛(640)의 일단을 관통하는 주사기의 니들을 통해 제3 공간(13)으로 주입되는 약물은 연결관(11) 및 제1 공간(10)을 지나 공급관(240)으로 이동하고, 주입된 약물 중 연결관(11)을 통해 제1 내지 제3 공간(12, 13, 14)들로 역류하는 약물의 일부는 중공(21, 22)들을 통해 고정유닛(620)의 일단 및 삽입유닛(640)의 타단 사이로 이동하므로 삽입유닛(640)을 지나 외부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링유닛(420) 및 탄성막(440)이 제1 공간(10)에 삽입되어 바디(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주입관(220)의 내부에서 제1 공간(10)을 향해 이동하는 제1 약물은 탄성막(440)의 타단을 제1 공간(10)을 향해 밀어내며 바디(200)의 내부로 이동한다.
상기 제1 약물이 탄성막(440)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2 약물이 측면주입부(600)를 통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면 탄성막(440)은 상기 제2 약물의 주입압력에 의해 바디(200)의 내측면과 밀착되거나 바디(200)의 내측면을 커버하며 제1 공간(10) 및 주입관(220)의 내부 사이를 차단하여 상기 제2 약물의 역류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1 약물이 탄성막(440)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3 약물이 실링유닛(420)을 관통하는 주입장치를 통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3 약물의 주입압력에 의해 탄성막(440)이 바디(20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1 공간(10) 및 상기 주입관(220)의 내부공간 사이는 탄성막(440)의 탄성복원력 및 상기 제3 약물의 주입압력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스톱콕(100)은 주입관(220)에서 바디(200)로 이동하는 약물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별다른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바디(200)의 다른 위치에서 주입되는 다른 약물들이 주입관(220)으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스톱콕(100)은 자동으로 주입관(220)을 향한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주입관(220), 차단부(400) 및 측면주입부(600)를 통해 3 방향에서 각기 다른 종류의 약물을 바디(200)의 내부에 위치한 제1 공간(10)에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120)은 차단부(410) 및 조절부(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3들의 스톱콕(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5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스톱콕의 바디 내부를 나타내는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스톱콕의 작동을 나타내는 절개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콕(120)은 차단부(410) 및 조절부(800)를 포함한다.
차단부(410)는 실링유닛(422) 및 탄성막(440)을 포함한다.
차단부(410)의 일단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 상부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차단부(410)의 일단은 바디(200)의 일측에 삽입되어 바디(200)의 일측 내측면과 밀착되고, 차단부(410)의 타단은 바디(200)의 상단 내측면과 밀착되어 주입관(220)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10)과 분리시킨다.
실링유닛(422)의 일단은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환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실링유닛(42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외측면은 실링유닛(422)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함몰되어 실링홈이 형성되고, 바디(200)의 일측 내측면에 링형태로 돌출된 돌출부와 결합된다.
탄성막(440)의 일단은 실링유닛(422)의 상단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반원 형태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바디(200)의 상단 내측면과 밀착된다.
조절부(800)는 캡(820), 회전축(830), 기어(840), 스토퍼(850) 및 보강판(860)을 포함한다.
조절부(800)의 일단은 차단부(4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차단부(410)와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탄성막(440)을 향해 연장되어 차단부(410)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조절부(800)의 타단은 차단부(410) 또는 조절부(800)의 일단 상부를 누르는 구동에 따라 탄성막(440)과 밀착된 상태로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이동하여 주입관(220)으로부터 주입되는 약물의 압력에 대한 탄성막(440)의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조절부(800)의 타단은 차단부(410) 또는 조절부(800)의 일단 하부를 누르는 구동에 따라 탄성막(440)과 밀착된 상태로 바디(200)의 일측을 향해 이동하여 주입관(220)으로부터 주입되는 약물의 압력에 대한 탄성막(440)의 저항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절부(800)의 조작을 통해 탄성막(440)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약물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약물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82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실링유닛(422)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실링유닛(422) 및 캡(820) 사이의 밀봉 개선을 위해 실링유닛(422) 및 캡(820)을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회전축(830)의 일단은 캡(820)의 배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실링유닛(422)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실링유닛(422)에 결합된 캡(820)을 관통하여 실링유닛(422)의 타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기어(840)의 일단은 캡(820)의 배면에서 회전축(830)의 중앙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부채꼴 형태로 확장되며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 끝단에는 복수의 걸림턱들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회전축(830)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평면이 형성된다.
스토퍼(850)의 일단은 회전축(830)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기어(840)를 사이에 두고 캡(820)의 양측 배면과 결합되고, 중앙부는 바디(200)의 타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 연결되면서 기어(840)의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평면과 밀착된다.
스토퍼(850)의 타단은 스토퍼(850)의 중앙부에서 기어(840)의 양측으로 분리되면서 캡(820)을 향해 연장되어 스토퍼(850)의 일단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캡(820)과 결합된다.
스토퍼(850)는 탄성 소재로 제작되어 회전축(830)을 축으로 기어(840)의 타단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이 스토퍼(850)의 중앙부를 밀어내면서 스토퍼(850)의 중앙부를 지나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
반대로, 기어(840)의 타단이 회전축(830)을 축으로 하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평면은 스토퍼(850)의 중앙부를 하부를 향해 밀어낸 후 스토퍼(850)의 중앙부를 지나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기어(840)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는 스토퍼(850)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평면과 밀착되어 기어(840)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스프링(870)의 일단은 기어(840)의 상부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밀착되어 회전축(83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은 절곡된 후 캡(820)의 배면과 밀착되며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스프링(87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기어(840)의 상부면 및 캡(820)의 배면에 각각 밀착되거나 결합되고, 기어(840)의 타단이 하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도록 하부를 향해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토퍼(850)의 중앙부가 상기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87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도 기어(840)의 회동은 정지되고, 스토퍼(850)의 중앙부가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평면과 분리되면, 기어(840)의 타단은 스프링(870)의 탄성에 의해 탄성 하강한다.
또한, 해당 사용자가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상부를 눌러 기어(840)의 상단을 제1 공간(10)을 향해 밀어내면, 기어(840)의 타단이 회전축(830)을 축으로 탄성 하강한다.
또한,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하부를 눌러 기어(840)의 하단을 제1 공간(10)을 향해 밀어내면, 기어(840)의 타단이 회전축(830)을 축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
보강판(860)의 일단은 기어(84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절곡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제1 공간(10)을 향해 연장되어 탄성막(440)의 저면과 밀착된다.
보강판(860)의 타단은 상부를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막(440)의 저면과 밀착되어 주입관(220)에서 주입되는 약물의 압력에 대한 탄성막(440)의 지지력을 증가시킨다.
보강판(860)의 타단이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이동하여 탄성막(440)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면, 주입관(2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약물의 압력에 대한 탄성막(440)의 지지력이 증가하여 약물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반대로, 보강판(860)의 타단이 캡(820)을 향해 끌어당겨지면, 탄성막(440) 및 보강판(860)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고, 주입관(2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약물의 압력에 대한 탄성막(440)의 지지력이 감소하여, 주입관(220)의 약물이 변형된 탄성막(440)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하부를 제1 공간(10)을 향해 밀어내고, 기어(840)의 상부가 보강판(860)을 캡(820)을 향해 당기면, 보강판(860) 및 탄성막(440)의 접촉면적이 감소되고 주입관(2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약물의 압력에 대한 탄성막(440)의 지지력이 감소되므로, 약물이 탄성막(440)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반대로,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상부를 제1 공간(10)을 향해 밀어내면, 스토퍼(850)의 중앙부가 상기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평면과 분리되고, 기어(840)의 상단은 하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며, 기어(840)의 상부는 보강판(860)을 바디(200)의 타측으로 이동시켜 약물이 탄성막(440)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퍼(850)의 일단은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고, 스토퍼(850)의 중앙부가 기어(840)의 타단이 하부를 향해 이동하려는 회동을 차단하고 있어 스토퍼(850)의 일단 경사면을 통해 기어(840)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탄성막(440)을 지나 약물이 제1 공간(10)으로 안정적으로 유입된다.
반대로,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상부를 제1 공간(10)을 향해 눌러서 스토퍼(850)의 타단을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이동시키면, 스토퍼(850)의 중앙부가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기어(840)의 걸림턱들 중 어느 하나의 평면과 분리되고, 기어(840)의 타단은 스프링(870)의 탄성력에 의해 급속히 하강한다.
기어(840)의 타단이 급속히 하강하면서, 기어(840)의 상부는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보강판(86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절곡된 형상이 펼쳐지며, 보강판(860)의 타단 및 탄성막(440)의 접촉면적이 증가한다.
또한, 해당 사용자가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하부를 제1 공간(10)을 향해 눌러 기어(840)의 타단을 상승시키는 경우, 스토퍼(850)의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상부를 향해 변형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기어(840)의 걸림턱들이 스토퍼(850)의 중앙부를 지나 상부를 향해 이동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하부를 누르면, 주입관(220)의 약물이 제1 공간(10)으로 주입되고, 캡(820) 또는 실링유닛(422)의 상부를 누르면 주입관(220)의 약물의 제1 공간(10)으로의 유입이 차단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약물의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걸림턱들 각각에 형성된 평면들에 의해 기어(840)가 회동한 후 단계별로 고정이 가능하여, 보강판(860) 및 탄성막(440) 사이의 접촉면적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주입관(220)에서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약물의 양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을 나타내는 절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톱콕(140)은 차단부(415) 및 고정부(9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3들의 스톱콕(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콕(140)은 차단부(415) 및 고정부(900)를 포함한다.
스톱콕(140)은 고정부(900)의 구동을 통해 차단부(415)의 주입관(220)으로부터 유입되는 약물의 압력에 대한 지지력을 제어할 수 있고, 고정부(900)의 직관적인 구동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 중에도 탄성막(442)의 약물의 압력에 대한 지지력을 조정하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단부(415)는 실링유닛(420) 및 탄성막(442)을 포함한다.
탄성막(442)의 일단은 실링유닛(420)의 상단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00)의 상단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주입관(220)에서 약물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탄성막(442)의 일부분 또는 전체는 자성체가 포함된 고분자로 형성되고, 바디(200)의 상단을 사이에 두고 바디(200)의 외측면에 탄성막(442)과 인접하도록 바디(200)와 밀착되는 고정부(900)의 구동에 의해 하부를 향해 절곡되거나 바디(200)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된다.
고정부(900)는 회전링(920), 돌출부(940) 및 자석(960)을 포함한다.
고정부(900)의 일단은 주입관(220) 및 공급관(240) 사이에서 바디(200)의 타측을 둘러싸며 바디(2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어지는 연장선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바디(200)와 결합된다.
고정부(900)의 타단은 바디(200)의 타측 외측면에서 외측을 향해 확장 및 연장되어 바디(200)의 타측을 둘러싸는 환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90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바디(200)의 타측 일부를 둘러싸는 자석(96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링(920)은 환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200)의 타측을 둘러싸면서 바디(2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어지는 연장선을 축으로 바디(200)의 타측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밀착된다.
돌출부(940)의 일단은 회전링(920)의 내측면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링(920)의 내측면을 따라 링 형태로 연장된 후 일단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940)는 회전링(920)과 결합된 상태로 바디(200)의 타측을 둘러싸며 바디(200)의 타측에 삽입되어 회전링(920)이 회전하면서 바디(200)와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자석(960)은 회전링(920)의 내부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은 회전링(920)의 내부공간에서 반원 형태로 연장되어 회전링(920)의 내부에 고정되며, 탄성막(442)과 동일한 자성을 가지거나 반대의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막(442) 및 자석(960)의 자성이 동일한 경우, 회전링(920)의 회동을 통해 자석(960)이 탄성막(442)과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막(442)은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약물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탄성막(442) 및 자석(960)의 자성이 동일한 경우, 회전링(920)의 회동을 통해 자석(960)이 탄성막(442)과 상대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막(442)은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약물의 제1 공간(10)으로의 유입이 제한되거나 감소한다.
반대로, 탄성막(442) 및 자석(960)의 자성이 다른 경우, 회전링(920)의 회동을 통해 자석(960)이 탄성막(442)과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막(442)은 바디(200)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약물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거나 약물의 제1 공간(10)으로의 유입이 제한된다.
그리고 탄성막(442) 및 자석(960)의 자성이 다른 경우, 회전링(920)의 회동을 통해 자석(960)이 탄성막(442)과 상대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막(442)은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약물의 제1 공간(10)으로의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스톱콕 200: 바디
400, 410: 차단부 600: 측면주입부
800: 조절부 900: 고정부

Claims (7)

  1. 주입관 및 공급관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주입관 및 공급관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주입관 및 상기 바디 사이를 서로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타단은 약물이 상기 주입관을 통해 주입되면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약물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약물의 주입이 중단되면 원위치로 탄성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상단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밀착하며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바디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콕.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차단부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차단부와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차단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의 일단 상부 또는 하부를 누르는 구동에 따라, 상기 조절부의 타단은 상기 차단부의 타단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바디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주입관 및 공급관 사이의 상기 차단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를 향해 튜브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측면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콕.
  5.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은 튜브 형태로 상기 측면주입관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측면주입관을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측면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주입부는,
    일단은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측면주입관의 타단 내측면과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튜브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축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 및
    일단은 상기 고정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유닛의 타단을 밀봉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기 고정유닛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바디를 향해 확장 및 연장되어 상기 측면주입관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타단 측면에 중공이 형성되는 삽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 및 공급관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타측을 둘러싸며 상기 바디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바디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자석이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회동을 통해 자성을 나타내는 상기 차단부의 타단 끝단을 상기 바디의 내측면과 밀착시키거나 상기 바디의 내측면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콕.

KR1020190023363A 2019-02-27 2019-02-27 스톱콕 KR10220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63A KR102209967B1 (ko) 2019-02-27 2019-02-27 스톱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63A KR102209967B1 (ko) 2019-02-27 2019-02-27 스톱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696A KR20200104696A (ko) 2020-09-04
KR102209967B1 true KR102209967B1 (ko) 2021-02-01

Family

ID=7247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363A KR102209967B1 (ko) 2019-02-27 2019-02-27 스톱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974B1 (ko) 2005-06-17 2006-01-20 허승환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622017B1 (ko) 2006-01-20 2006-09-18 허승환 혈액역류방지장치
KR200449368Y1 (ko) 2010-01-19 2010-07-06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약액 주입튜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825A (ko) * 2001-08-13 2003-02-20 연우인더스트리(주)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100421524B1 (ko) * 2001-11-16 2004-03-18 연우인더스트리(주)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100497682B1 (ko) * 2002-08-26 2005-07-01 임호훈 역류방지밸브
JP2007143813A (ja) 2005-11-28 2007-06-14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医療用活栓
KR101404488B1 (ko) 2013-02-22 2014-06-17 장근수 의료용 기능성 다방향 스톱콕
KR20170064611A (ko) * 2015-12-01 2017-06-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역류방지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974B1 (ko) 2005-06-17 2006-01-20 허승환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100622017B1 (ko) 2006-01-20 2006-09-18 허승환 혈액역류방지장치
KR200449368Y1 (ko) 2010-01-19 2010-07-06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약액 주입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696A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640B1 (ko) 개선된 역압 밀봉을 갖는 의료용 밸브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US7186236B2 (en) Infusion device and inlet structure for same
US8114055B2 (en) Implantable pump with infinitely variable resistor
CN1315546C (zh) 注射针头用的固定装置
US8211060B2 (en) Reduced size implantable pump
AU2006241288B2 (en) Connector
US20120053556A1 (en) Infusion control device
TWI311062B (en) Liquid co-infusion device
RU2676440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шприц
JP2010512170A (ja) 薬剤投与器用マイクロ・ニードル・アダプタ
KR20160038546A (ko)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0475695Y1 (ko)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JP5878479B2 (ja) 薬注入のための挿入体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102209967B1 (ko) 스톱콕
US11260211B2 (en) Variable volume infusion port
JP4970261B2 (ja) チューブおよび液体供給具
JP5327987B2 (ja) コネクタ用弁体及びコネクタ
KR102247794B1 (ko) 스톱콕
KR100399643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JP2020146523A (ja) 薬物搬送装置
KR102358995B1 (ko) 스톱콕
JPH10295811A (ja) 薬液供給具
KR20200022828A (ko) 피부고정형 피하주사액 주입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