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682B1 - 역류방지밸브 - Google Patents

역류방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682B1
KR100497682B1 KR10-2002-0050563A KR20020050563A KR100497682B1 KR 100497682 B1 KR100497682 B1 KR 100497682B1 KR 20020050563 A KR20020050563 A KR 20020050563A KR 100497682 B1 KR100497682 B1 KR 10049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luid
pipe
in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108A (ko
Inventor
임호훈
Original Assignee
임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훈 filed Critical 임호훈
Priority to KR10-2002-005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6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관(10) 내에 자석(23)(33)(43)을 함장하여 유체역류시에는 유체통로인 개폐판(31)이 차단되고 유체유입시에는 상기 개폐판(31)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유압과 자력을 이용한 역류방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과, 유입되는 유량이 조절되도록 중심부분이 돌출형성되어 유입공(22)이 천공된 유입관(21)과, 상기 유입관(21)의 주연부와 상기 유체관(10)의 내부 사이에 위치고정되는 유입고정자석(23)과,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도록 중심부분이 돌출형성되어 배출공(42)이 천공된 배출관(41)과, 상기 배출관 (41)의 주연부와 상기 유체관(10)의 내부 사이에 위치고정되는 배출고정자석(43)과, 상기 유입관(21)과 배출관(41)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판흐름공(32)이 천공된 개폐판(31)과, 상기 유입고정자석(23) 및 배출고정자석(43)에 대해 척력작용되면서 상기 개폐판(31)의 주연부에 결합고정된 이동자석(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류방지밸브 {The Valve For A Check Back Current}
본 발명은 유체를 일방향으로만 통과시키고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 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자석을 함장하여 유체역류시에는 밸브가 차단되고 유체유입시에는 밸브를 개방시킬수 있도록 유압과 자력을 이용한 역류방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라 함은 관내 유체의 흐름을 막기도 하고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밸브에는 유체의 흐름을 안전하게 막기 위한 스톱밸브, 압력이 높은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슬루스밸브, 관로의 열림을 조절하는 나비형 밸브,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 관내의 유압이 규정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유체를 밖으로 흘리기도 하고 원래대로 되돌리기도 하는 이스케이프밸브, 저압으로 작은 지름의 관로를 개폐하는 콕밸브 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며,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밸브중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는 유체가 흐르게 되면 유압에 의해 유체가 관을 통해 흐르고, 유체가 흐르지 않거나 역류하면 보조장치나 역유압에 의해 관이 닫히는 장치였다.
이와 같은 역류방지밸브는 흐르는 유체의 방향과 반대로 역류하는 유체의 역류만을 방지하여, 유체가 흐르지 말아야 하는 위험한 상황에서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출은 방지하지 못하였다.
또한, 밸브 내의 관로를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밸브 내부에 설치되고, 그 개폐수단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밸브 외부에 설치되어 조절수단의 개폐작동등의 조절에 개폐수 단의 작동을 통해 밸브 내부의 관로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제어장치를 사 용하여 유체를 차단하는 번거로움과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어려움 및 작 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유체관 내에 길이방향으로 자석을 함장하여 유체역류시에는 밸브가 차단되고 유체 유입시에는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유체가 흐르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서 유체의 유입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 록 유압과 자력을 이용한 역류방지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는 기본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과, 유입되는 유량이 조절되도록 중심부분이 돌출형성되어 유입공이 천공된 유입관과, 유입관의 주연부와 유체관의 내부 사이에 위치고정되는 유입고정자석과,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도록 중심부분이 돌출형성되어 배출공이 천공된 배출관과, 배출관의 주연부와 유체관의 내부 사이에 위치고정되는 배출고정자석과, 유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판흐름공이 천공된 개폐판과, 유입고정자석 및 배출고정자석에 대해 척력작용되면서 개폐판의 주연부에 결합고정된 이동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유체관은 유입고정자석 및 배출고정자석의 기능을 저해하는 자성물질이 내부로 흐르지 않도록 유입구와 배출구에 유입필터와 배출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유체관은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유입구와 배출구에 유입이음부와 배출이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과, 유압과 자력의 영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과, 유체관의 양쪽 외측단부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자석과, 개폐판의 양측 단부에 위치고정되어 고정자석을 관통하여 상하운동하는 안내막대와, 안내막대의 다른 단부에 고정되는 이동자석과, 고정자석 및 이동자석과 일렬로 수직배열되면서 유체관의 양쪽 외측단부에 위치고정되는 보조고정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유체관은 자성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천공형성된 다수의 거름공마다 거름망이 안착구성된 배수관덮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과, 유압과 자력의 영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과, 개폐판을 지지하여 상하운동시키는 이동막대와, 이동막대가 유동핀에 의해 유동공을 따라 직선왕복운동되도록 하고 유체관의 양쪽 외측에 고정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유동구와, 유동구의 단부에 위치고정되는 이동자석과, 이동자석과 일렬배열되고 유체관의 양쪽 외측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과, 유체관의 한쪽 단부에 회전고정되고 유압에 의해 한방향으로 열리면서 자력에 의해 닫히는 개폐판과, 개폐판의 단부에 고정되는 이동자석과, 이동자석과 일렬배열되고 유체관의 외측면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자석과, 이동자석 반대편의 개폐판 타측 단부에 일체결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유체가 흐르는 상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유체관의 A-A' 단면의 평면구조를 도사한 것이며, 아울러 도 3은 도 1의 유체관의 B-B' 단면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는 둥근 원통형의 긴 유체관(10) 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0)측의 유입관(21)과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40)측의 배출관(41)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21)과 상기 배출관(41) 사이에는 역류방지수단으로 개폐판(31)이 이동가능하게 설치구성된다.
또한, 유입관(21)은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유입구(20)에서 배출구(40)방향으로 중심부분이 돌출형성되고, 유체가 통과하여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21)의 단부중앙에 천공된 유체가 통과하여 흐를 수 있는 유입공(22)이 형성되며, 또한 각이 있는 도넛모양의 유입고정자석(23)이 상기 유입관(21)의 주연부와 상기 유체관(10)의 내부 사이에 설치결합됨으로써 상기 유입관(21)이 유입고정자석(23)과 함께 유체관(10)의 내부에 위치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배출관(41)은 상기 유입관(21)과 모양은 같고 설치방향은 반대이며 그 단부중앙에 배출공(42)이 천공형성되며, 또한 각이 있는 도넛모양의 배출고정자석(43)이 상기 배출관(41)의 주연부와 유체관(10)의 내부 사이에 설치결합된다.
또한, 개폐판(31)은 유체가 배출관(41)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다수의 판흐름공(32)이 천공되며, 유압의 세기 및 자력의 세기중 어느 하나에 좌우되는 이동자석(33)의 움직임에 따라 유입관(21)과 배출관(41)의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개폐판(31)의 중앙부위는 유입공(21)과 배출공(41)을 통해 역류하는 유체를 막을 수 있도록 판흐름공(32)이 천공되지 않으며, 각이 있는 도넛모양의 이동자석(33)은 상기 개폐판(31)의 주연외측부에 고정되어 양쪽에 위치한 유입고정자석(23) 및 배출고정자석(43)으로부터 자력을 영향받아 좌우로 이동되는데, 이때 기본적으로 상기 개폐판(31)의 이동자석(33)은 양쪽의 유입고정자석(23)과 배출고정자석(43) 사이에서 각각 극성을 달리하므로 상호 반발력에 의해 이들 유입고정자석(23)과 배출고정자석(43) 사이의 중앙에서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중앙의 위치하게 되는 이동자석(33)에 대해 양쪽의 유입고정자석(23)과 배출고정자석(43) 간의 거리는 자력이 확실하게 미칠 수 있는 거리에 한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서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개폐판(31)이 배출고정자석(43)의 S극과 이동자석(33)의 S극 그리고 이동자석(33)의 N극과 유입고정자석(23)의 N극에 미치는 척력에 의해 배출관(41)과 유입관(21)의 중간에 위치하고, 유체는 유입공(22)과 판흐름공(32) 그리고 배출공(42)을 통해 유압이 높은 유입구(20)에서 유압이 낮은 배출구(40)쪽으로 흘러 원활히 배출된다.
한편, 상수도나 가스의 배관이 터졌을 때에는 배출구(40)의 유압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유입구(20)의 유압이 높아져, 높아진 유입구(20)의 유압이 배출고정자석(43)의 S극과 이동자석(33)의 S극 그리고 이동자석(33)의 N극과 유입고정자석 (23)의 N극에 미치는 척력보다 세게 작용함으로써 개폐판(31)이 배출관(41)으로 이동하여 배출공(42)을 막게되어 유체의 배출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상수도의 수자원의 무방비 유출을 막음으로써 수자원의 낭비를 막아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으며, 가스배관으로부터 가스의 유출을 막음으로써 화재를 예방하여 인적, 물적 재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유리병 또는 유리관등에 유체가 가득차서 유리병 또는 유리관등의 유리성형품이 불량이 되기전까지 유압이 높아질 경우에는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구(40)의 유압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유입구(20)의 유압이 낮아지게 되며, 높아진 배출구(40)의 유압이 배출고정자석(43)의 S극과 이동자석(33)의 S극 그리고 이동자석(33)의 N극과 유입고정자석(23)의 N극에 미치는 척력보다 세게 작용함으로써 개폐판(31)이 유입관(21)으로 이동하여 유입공(22)을 막게되어 유체의 유입이 저지된다.
아울러, 도 1에서 보인 기본 실시예의 유입관(21)과 개폐판(31) 사이 및 개폐판(31)과 배출관(41) 사이의 주위에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도면 도시생략)를 설치형성하여 자력수단인 유입고정자석(23), 이동자석(33), 배출고정자석(43)을 대체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는 상기의 원리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구조를 보인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의 단부에 유압과 자력의 영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31)이 이동고정되며, 상기 유체관(10)의 외측의 각각 중앙부위 및 단부에 고정자석(61)과 보조고정자석(64)이 위치고정된다.
또한, 유체관(10) 단부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개폐판(31)의 양측 상방으로 안내막대(62)가 일체 결합되며, 아울러 상기 안내막대(62)는 상기 유체관(10)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자석(61)을 관통하여 이동자석(33)에 연결부착된다.
또한, 이동자석(33)은 보조고정자석(64)과 고정자석(61)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안내막대(62)와 개폐판(31)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일체구조화되며, 이는 상기 보조고정자석(64)과 고정자석(61)의 자력 및 유압의 영향을 받아 상기 이동자석(33)이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판(31)이 개폐동작될 수 있는 작동구조를 이룬다.
또한, 개폐판(31)은 유압의 영향을 극대화하여 유체가 배출될 때는 개폐판(31)이 잘 열리면서 유체가 역류할 때는 개폐판(31)이 확실히 닫히도록 하기위해 그 중심부가 유체관(10)의 내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반구형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체가 배출되지 않거나 유체가 역류할 경우 보조고정자석(64)의 하단 N극과 이동자석(33)의 상단 S극에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이동자석(33)의 하단 N극과 고정자석(61)의 상단 N극에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개폐판(31) 전체의 합력이 위로 작용하여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는 동시에 중심부가 유체관(10)의 내측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상기 개폐판(31)이 확실하게 완전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배출될 경우, 유체가 개폐판(31)의 중심부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유압이 유체가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 작용하는 자력보다 세게 작용하여, 상기 개폐판(31) 전체의 합력이 아래로 작용하여 열림으로써 유체가 배출된다.
그리고, 유체가 모두 배출되면 유압이 작용하지 않아 보조고정자석(64)의 하단 N극과 이동자석(33)의 상단 S극에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이동자석(33)의 하단 N극과 고정자석(61)의 상단 N극에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개폐판(31) 전체의 합력이 위로 작용하여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또한,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유체관(10) 위로 덮어지는 배수덮개의 평면구조와 상기 배수덮개를 C-C'선 방향으로 단면도시한 것으로, 모서리 4측이 곡면처리되고 중앙에서 호형모양의 거름공(66)이 4방향 균등하게 천공형성되며, 특히 상기 거름공(66)에는 자석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각 거름공(66)마다 주머니모양의 거름망(67)이 안착형성된다.
특히, 다수의 거름공(66)들이 관통형성된 배수관덮개(68)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된 관계로, 유체를 배수할 경우 유체의 역류방지기능을 저해하는 자성 물질이 바깥쪽의 거름공(66)에서부터 안쪽의 거름공(66)으로 걸러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성물질이 유체관(10)의 안으로 유입되어 고정자석(61), 이동자석(33), 보조고정자석(64)들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 자력의 약화로 유체관(10)의 기능이 저해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관덮개(68)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밸브의 덮개용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의 단부에 유압과 자력의 영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31)이 이동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관(10)의 양쪽 외측단부에 고정자석(61)이 위치고정된다.
또한, 이동막대(62)가 유체관(10) 단부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개폐판(31)의 양쪽 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체결합되는 한편, 유동핀(72)을 매개로 유동구(75) 일측에는 장방형태로 관통형성된 유동공(73)을 따라 안내이동되어 직선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결합연결된다.
또한, 유동구(75)는 유체관(10)의 외측에 회전운동가능하도록 고정핀(74)으로 결합구성되는 한편, 상기 유동구(75)의 일단에는 이동자석(33)이 고정자석(61)과 일렬배열되도록 결합형성된다.
또한, 개폐판(31)이 확실히 개폐되도록 그 중심부가 유체관(10)의 내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반구형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체가 배출되지 않거나 유체가 역류할 경우 이동자석(33)의 하단 N극과 고정자석(61)의 상단 S극에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전체 합력이 위로 작용하여 개폐판(31)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고, 개폐판(31)의 중심부가 유체관(10)의 내측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개폐판(31)이 확실하게 완전밀폐된다.
한편, 유체가 배출될 경우 유체가 개폐판(31)의 중심부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유압이 이동자석(33)의 하단 N극과 고정자석(61)의 상단 S극의 인력보다 세게 작용하여 이동자석(33)의 하단 N극과 고정자석(61)의 상단 S극이 떨어지면서, 유동구(75)는 상기 고정자석(61)의 반대쪽으로 회전하고 그와 동시에 유동핀(72)이 하방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이동막대(71)에 연결된 개폐판(31)은 전체 합력이 하방으로 작용하여 열림으로써 유체가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유체가 모두 배출되면 유압이 작용하지 않아 이동자석(33)의 하단 N극과 고정자석(61)의 상단 S극에 인력이 작용하여, 유동구(75)는 고정자석(61)쪽으로 회전하고 그와 동시에 유동핀(72)이 상방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이동막대(71)에 연결된 개폐판(31)은 전체 합력이 상방으로 작용하여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의 한쪽 단부에 유압과 자력의 영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31)이 힌지(77)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유체관(10)의 한쪽 외측단부에 고정자석(33)이 설치고정되면서 상기 고정자석(33) 아래로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판(31)의 일단에 상기 이동자석(33)이 일체결합된다.
한편, 개폐판(31)이 열린후 유압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고정자석(61)과 이동자석(33)이 자기력선의 범주를 벗어나 인력이 작용하기 어려우므로 무게추(76)가 힌지(77)를 기점으로 상기 개폐판(31)이 쉽게 닫히도록 이동자석(33)의 반대쪽에 개폐판(31)과 일체결합된다.
따라서, 유체가 배출되지 않거나 유체가 역류할 경우 고정자석(61)의 하단 N극과 이동자석(33)의 상단 S극에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개폐판(31)은 합력이 위로 작용하여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고, 무게추(76)의 중력에 의해 힌지(77)를 기점으로 무게추(76)는 아래로 힘이 작용함으로써 전체 합력이 위로 작용하여 상기 개폐판(31)이 확실하게 완전밀폐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배출될 경우 유체가 개폐판(31)을 밀어내어 유압이 고정자석 (61)의 하단 N극과 이동자석(33)의 상단 S극의 인력과 무게추(76)의 중력보다 세게 작용함으로써, 상기 무게추(76)는 위로 회전이동하고 상기 개폐판(31)은 아래로 회전이동하여 전체 합력이 아래로 작용하여 상기 개폐판(31)이 열려 유체가 배출된다.
그리고, 유체가 모두 배출되면 유압이 작용하지 않아 다시 고정자석(61)의 하단 N극과 이동자석(33)의 상단 S극의 인력과 무게추(76)의 중력이 작용함으로써, 힌지(77)를 기점으로 무게추(76)는 아래로 힘이 작용하고 개폐판(31)은 위로 힘이 작용하여 전체 합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31)이 완전밀폐된다.
한편, 도 9는 도 8의 응용 실시예를 구조단순화 시킨 것으로써, 개폐판(31)의 일단에 결합구성되는 무게추(76)를 생략하여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는, 유체관내에 길이방향으로 자석을 함장하여 유체역류시에는 밸브가 차단되고 유체유입시에는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유체가 흐르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서 유체의 유입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방지, 악취제거, 해충유입 방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유체가 흐르는 상태의 내부구조도.
도 2는 도 1의 유체관의 A-A' 단면의 평면구조도.
도 3은 도 1의 유체관의 B-B' 단면의 평면구조도.
도 4a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유체 배출방지상태의 작동구조도.
도 4b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유입방지상태의 작동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기본 실시예의 구조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배수관덮개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배수관덮개의 C-C'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응용 실시예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기본 실시예의 구조도.
도 9는 도 8의 응용 실시예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체관 20 : 유입구
21 : 유입관 22 : 유입공
23 : 유입고정자석 24 : 유입필터
25 : 유입이음부 31 : 개폐판
32 : 판흐름공 33 : 이동자석
40 : 배출구 41 : 배출관
42 : 배출공 43 : 배출고정자석
44 : 배출필터 45 : 배출이음부
61 : 고정자석 62 : 안내막대
64 : 보조고정자석 66 : 거름공
67 : 거름망 68 : 배수관덮개
71 : 이동막대 72 : 유동핀
73 : 유동공 74 : 고정핀
75 : 유동구 76 : 무게추

Claims (7)

  1.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과, 유입되는 유량이 조절되도록 중심부분이 돌출형성되어 유입공(22)이 천공된 유입관(21)과, 상기 유입관(21)의 주연부와 상기 유체관(10)의 내부 사이에 위치고정되는 유입고정자석(23)과,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도록 중심부분이 돌출형성되어 배출공(42)이 천공된 배출관(41)과, 상기 배출관 (41)의 주연부와 상기 유체관(10)의 내부 사이에 위치고정되는 배출고정자석(43)과, 상기 유입관(21)과 배출관(41)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판흐름공(32)이 천공된 개폐판(31)과, 상기 유입고정자석(23) 및 배출고정자석(43)에 대해 각각 극성을 같이하여 척력작용될 수 있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개폐판(31)의 주연부에 결합고정된 이동자석(33)으로 구성되되, 상기 유체관(10)은 유입고정자석(23) 및 배출고정자석(43)의 기능을 저해하는 자성 물질이 내부로 흐르지 않도록 유입구(20)와 배출구(40)에 유입필터(24)와 배출필터(44)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관(10)은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유입구(20)와 배출구(40)가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되도록 유입이음부(25)와 배출이음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2. 삭제
  3. 삭제
  4.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과, 유압과 자력의 영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 (31)과, 상기 유체관(10)의 양쪽 외측단부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자석(61)과, 상기 개폐판(31)의 양측 단부에 위치고정되어 상기 고정자석(61)을 관통하여 상하운동하는 안내막대(62)와, 상기 안내막대(62)의 다른 단부에 고정되는 이동자석(33)과, 상기 고정자석(61) 및 이동자석(33)과 일렬로 수직배열되면서 상기 유체관(10)의 양쪽 외측단부에 위치고정되는 보조고정자석(64)으로 구성되되, 상기 유체관(10)은 자성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천공형성된 다수의 거름공(66)마다 거름망(67)이 안착구성된 배수관덮개(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5. 삭제
  6.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과, 유압과 자력의 영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 (31)과, 상기 개폐판(31)을 지지하여 상하운동시키는 이동막대(71)와, 상기 이동막대(71)가 유동핀(72)에 의해 유동공(73)을 따라 직선왕복운동되도록 하고 상기 유체관(10)의 양쪽 외측에 고정핀(7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유동구(75)와, 상기 유동구(75)의 단부에 위치고정되는 이동자석(33)과, 상기 이동자석(33)과 일렬배열되고 상기 유체관(10)의 양쪽 외측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자석(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7.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10)과, 상기 유체관(10)의 한쪽 단부에 회전고정되고 유압에 의해 한방향으로 열리면서 자력에 의해 닫히는 개폐판(31)과, 상기 개폐판 (31)의 단부에 고정되는 이동자석(33)과, 상기 이동자석(33)과 일렬배열되고 상기 유체관(10)의 외측면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자석(61)과, 상기 이동자석(33) 반대편의 상기 개폐판 타측 단부에 일체결합되는 무게추(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KR10-2002-0050563A 2002-08-26 2002-08-26 역류방지밸브 KR10049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563A KR100497682B1 (ko) 2002-08-26 2002-08-26 역류방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563A KR100497682B1 (ko) 2002-08-26 2002-08-26 역류방지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953U Division KR200254774Y1 (ko) 2001-08-27 2001-08-27 역류방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08A KR20030019108A (ko) 2003-03-06
KR100497682B1 true KR100497682B1 (ko) 2005-07-01

Family

ID=2772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563A KR100497682B1 (ko) 2002-08-26 2002-08-26 역류방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97B1 (ko) * 2006-08-31 2007-01-17 홍경찬 젖병내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필터
KR102209967B1 (ko) * 2019-02-27 2021-02-01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톱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922A (en) * 1981-03-19 1982-09-22 Tokyo Roki Kk Secondary air feeder
KR970018625U (ko) * 1995-10-13 1997-05-26 임경상 체크밸브
KR19990065024A (ko) * 1998-01-05 1999-08-05 이태랑 전자기기 냉각장치용 유체펌프
KR200280148Y1 (ko) * 2002-03-12 2002-07-02 임호훈 밸브관의 역류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922A (en) * 1981-03-19 1982-09-22 Tokyo Roki Kk Secondary air feeder
KR970018625U (ko) * 1995-10-13 1997-05-26 임경상 체크밸브
KR19990065024A (ko) * 1998-01-05 1999-08-05 이태랑 전자기기 냉각장치용 유체펌프
KR200280148Y1 (ko) * 2002-03-12 2002-07-02 임호훈 밸브관의 역류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08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7822B1 (en) Device for blocking a liquid flow in one direction
KR101264017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KR100497682B1 (ko) 역류방지밸브
KR200254774Y1 (ko) 역류방지밸브
KR20190000664U (ko) 역류방지 체크밸브
KR200255638Y1 (ko) 부력유도기능을 갖는 배수관 역류방지장치
EP1790782B1 (en) Water level control valve comprising a paramagnetic shutter
KR200326120Y1 (ko) 무게중심이동형 플랩 밸브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JPH085093A (ja) 空調機ドレンの排水弁
JP3731880B2 (ja) 水抜栓
JP3496966B2 (ja) フラッシュ弁装置
KR200191668Y1 (ko)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KR100805751B1 (ko) 유체 개폐밸브
CN216810136U (zh)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下水器
KR102669059B1 (ko)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KR200472254Y1 (ko) 악취차단기
CN107620379A (zh) 防臭地漏
KR101051279B1 (ko) 누름 개폐식 밸브
CN212297774U (zh) 一种具有双重阻流的新型止回阀
KR100473049B1 (ko) 유체의 자동차단 방법
KR20080087335A (ko) 필터가 구비된 밸브
KR200156356Y1 (ko) 급수 제어장치
KR200416486Y1 (ko) 다기능 스트레이너
AU687822B2 (en) Reduced pressure zone backflow preven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