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611A - 역류방지밸브 - Google Patents

역류방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611A
KR20170064611A KR1020150169996A KR20150169996A KR20170064611A KR 20170064611 A KR20170064611 A KR 20170064611A KR 1020150169996 A KR1020150169996 A KR 1020150169996A KR 20150169996 A KR20150169996 A KR 20150169996A KR 20170064611 A KR20170064611 A KR 2017006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guide body
gas
pipe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장석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611A/ko
Publication of KR2017006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8Bal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가 관통된 관로의 외주면에 다리를 형성한 가이드본체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본체의 후단을 중앙부에 유로를 형성한 마개부로 마감하며, 이 가이드본체 내에 다리부에 안내되어 수평이동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고, 차단부재와 관로 사이에 탄성스프링을 설치하여, 마개부의 유로를 통해 가스 공급시 차단부재가 가스압에 의해 탄성스프링을 가압하면서 관로측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스가 유로 및 가이드본체의 다리 사이 공간을 통해 배출되고, 관로를 통해 가스 역류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 및 가스압에 의해 차단부재가 마개부의 유로를 차단하여 가스의 역류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부의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압이 차단부재를 밀어낸 후 배관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어, 저항을 최소화 하되, 차단부재를 역으로 밀어내는 가스압이 존재하지 않아 가스의 공급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차단부재의 이동에 따른 다리 사이의 공간부 직경 변화가 발생되지 않되, 이 다리 사이 공간부 직경에 관계없이 배관을 통해 동일한 량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 및 탄성스프링을 이용한 단순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수 감소와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역류방지밸브{Check valves}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본체 내측 구비된 차단부재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방향에 따라 수평이동되면서, 가이드본체의 관로를 차단하거나 혹은 마개부의 유로를 차단하여, 가스의 공급은 허용하되, 가스가 역류되는 것은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류방지밸브는 배기가스, 연료, 공기 등의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보내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면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이 유입구에서 상면에서 관체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액체를 유입하는 액체유입파이프를 형성한 케이스체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케이스체 하부로 삽입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창부를 형성하고 있는 밸브부재와, 이 밸브부재 상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면에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액체유입파이프 내로 삽입되는 정류체를 형성한 밀봉부재와, 밸브부재 하부로 삽입 결합되어 케이스체 하부를 마감하는 덮개체와, 밸브부재와 덮개체 사이에 구비되어 밸브부재를 케이스본체의 유입구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액체유입파이프를 통해 액체를 유입하면, 이 액체의 압력에 의해 밀봉부재가 눌리면서 코일스프링을 눌러 가압하고, 이때, 밀봉부재와 유입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액체가 통과된다.
그러면, 이 액체가 케이스체 내부 공간을 거쳐 밸브부재의 창부로 유입되고, 이 창부를 통해 밸브부재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덮개체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는 밀봉부재의 정류체에 의해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케이스본체 내측 주변으로 퍼지고, 그 상태에서 밸브부재의 창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만약, 덮개체의 유출구를 통해 액체가 유입되면, 액체가 밸브부재의 창부를 통해 케이스체 내로 배출되면서 밸브부재를 유입구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밀봉부재가 유입구를 차단하고, 이에따라, 케이스체 내의 액체가 액체유입파이프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즉, 덮개체의 유출구를 통해 액체가 유입되면, 이 액체의 압력 및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가압되어 밀봉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 밀봉부재가 유입구를 차단하여 액체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특허문헌 1은, 액체유입파이프로 유입되는 액체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눌리면서 창부의 직경이 좁아지고, 이 창부의 직경 변화로 덮개체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량이 감소되며, 또한, 창부를 통해 밸브부재 내로 유입된 액체 중 일부가 유출구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다른 일부가 밸브부재를 액체유입파이프 방향으로 밀어내어, 밀봉부재에 의해 유입구가 차단되거나, 혹은 유입구와 밀봉부재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유체의 통과량에 변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483536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부가 관통된 관로의 외주면에 다리를 형성한 가이드본체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본체의 후단을 중앙부에 유로를 형성한 마개부로 마감하며, 이 가이드본체 내에 다리부에 안내되어 수평이동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고, 차단부재와 관로 사이에 탄성스프링을 설치하여, 마개부의 유로를 통해 가스 공급시 차단부재가 가스압에 의해 탄성스프링을 가압하면서 관로측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스가 유로 및 가이드본체의 다리 사이 공간을 통해 배출되고, 관로를 통해 가스 역류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 및 가스압에 의해 차단부재가 마개부의 유로를 차단하여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는, 중앙부가 관통된 관로의 외주면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다리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본체와; 중앙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로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다리 말단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본체의 일단을 마감하는 마개부; 상기 가이드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들에 감싸지고, 상기 관로 또는 상기 마개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관로의 관통된 중앙부를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마개부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관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마개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탄성스프링과 서로 마주보는 후면에 상기 탄성스프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삽입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외면을 따라 패킹 끼워져 고정되는 함몰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다리의 말단에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다리와 서로 마주보는 전면에 상기 체결돌부에 체결되는 체결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중앙부가 관통된 상기 관로의 중앙부 직경과 상기 마개부의 유로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부의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압이 차단부재를 밀어낸 후 배관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어, 저항을 최소화 하되, 차단부재를 역으로 밀어내는 가스압이 존재하지 않아 가스의 공급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차단부재의 이동에 따른 다리 사이의 공간부 직경 변화가 발생되지 않되, 이 다리 사이 공간부 직경에 관계없이 배관을 통해 동일한 량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 및 탄성스프링을 이용한 단순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수 감소와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로 가스가 통과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로 가스가 역류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본체(100)는 중앙부가 관통된 관로(101)의 외주면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다리(102)를 형성한다.
상기 관로(101)는 배관(10)을 통해 역류하는 가스의 유입을 허용한다.
상기 관로(101)의 중앙부 관통공 직경은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102)는 그 전단이 상기 관로(101)의 외주면에서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넓어지도록 방사상으로 벌어지되, 후단이 상기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수평되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상기 탄성스프링(400)과 서로 마주보는 후면에 상기 탄성스프링(400)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삽입홈(103)을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삽입홈(103)은 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400)을 삽입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상기 다리(102)의 말단에 체결돌부(102a)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102)의 체결돌부(102a)는 상기 마개부(200)의 체결홈(203)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본체(100) 후단에 상기 마개부(200)를 고정한다.
마개부(200)는 중앙부에 유로(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로(101)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다리 말단(102)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본체(100)의 일단을 마감한다.
상기 유로(201)는 배관(10)을 통해 가스가 장치(미도시) 내로 공급되도록 가스의 유입을 허용한다.
상기 마개부(200)는 외면을 따라 패킹(P)이 끼워져 고정되는 함몰홈(202)을 형성한다.
상기 함몰홈(202)에 끼워진 패킹(P)은 그 외면이 배관(10)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배관(10)의 내주면과 상기 마개부(200)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가스가 누출 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마개부(200)는 상기 다리(102)와 서로 마주보는 전면에 상기 체결돌부(102a)에 체결되는 체결홈(203)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홈(203)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재(300)는 상기 가이드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102)들에 감싸지고, 상기 관로 또는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관로(101)의 관통된 중앙부를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를 차단한다.
상기 차단부재(300)는 중앙부가 관통된 상기 관로(101)의 중앙부 직경과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볼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를 차단하거나 혹은 상기 가이드본체(100)의 관로(101)를 차단한다.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탄성스프링(400)을 눌러 가압한다.
탄성스프링(400)은 상기 차단부재(300)와 상기 관로(10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재(300)를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밀어낸다.
상기 탄성스프링(400)은 상기 차단부재(300)에 눌러 압축되고, 가스 역류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차단부재(300)를 밀어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가이드본체(100)의 스프링삽입홈(103)에 탄성스프링(400)의 일단을 삽입 고정하고, 이 탄성스프링(400)의 후단에 차단부재(300)가 위치되도록 상기 차단부재(300)를 상기 가이드본체(10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300)의 외주면은 상기 다리(102)들에 의해 감싸지고, 그 상태에서 마개부(200)를 상기 가이드본체(100) 후단에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마개부(200)의 상기 체결홈(203)을 상기 가이드본체(100)의 다리(102)에 형성된 체결돌부(102a)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상기 체결돌부(102a)가 상기 체결홈(203)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본체(100) 후단에 상기 마개부(2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200)의 함몰홈(202)에 링 형상의 패킹(P)을 끼워 고정한 후, 상기의 구성에 의해 결합된 역류방지밸브를 상기 배관(10) 내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마개부(200)의 패킹(P)이 배관(100)의 내주면에 억지로 끼움되어, 배관(10) 내에 역류방지밸브가 고정된다.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배관(10)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유로(201)로 공급되는 가스압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300)가 상기 관로(101)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400)을 눌러 압축하고, 이와 동시에 유로(201)를 통과한 가스가 상기 배관(10)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여, 상기 배관(10)에 연결된 장치(미도시)로 가스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가이드본체(100)의 다리(102) 사이에서 상기 다리(102)에 의해 안내되어 수평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10)으로 공급되는 가스가 차단되면, 상기 탄성스프링(400)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차단부재(300)를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밀어내고, 이때, 상기 차단부재(300)가 상기 가이드본체(100) 내에서 수평 이동되어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를 차단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10)을 통해 상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스가 역류되면, 상기 가이드본체(100)의 관로(101)측 방향으로 가스가 공급되고, 이때, 상기 관로(101)의 중앙부 및 상기 다리(102)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가스가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역류되면서 상기 차단부재(300)를 눌러 가압함으로써, 이 차단부재(300)가 마개부(200)의 유로(201)를 차단하여, 가스가 상기 마개부(200)를 통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탄성스프링(400)에 가압되어 상기 유로(201)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배관(10)을 통해 가스가 역류되기 이전부터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가 차단되어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가스 공급시 차단부재(300)를 가스압으로 가압하여 배관(10)의 통로를 개방하고, 가스 역류시 미연에 차단부재(300)를 탄성스프링(400)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가스압으로 가압하여 마개부(200)를 통해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는, 마개부(200)의 유로(201)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압이 차단부재(300)를 밀어낸 후 배관(10)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어, 저항을 최소화 하되, 차단부재(300)를 역으로 밀어내는 가스압이 존재하지 않아 가스의 공급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차단부재(200)의 이동에 따른 다리(102) 사이의 공간부 직경 변화가 발생되지 않되, 이 다리(102) 사이 공간부 직경에 관계없이 배관(10)을 통해 동일한 량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300) 및 탄성스프링(400)을 이용한 단순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수 감소와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배관 100 : 가이드본체
101 : 관로 102 : 다리
102a : 체결돌부 103 : 스프링삽입홈
200 : 마개부 201 : 유로
202 : 함몰홈 203 : 체결홈
300 : 차단부재 400 : 탄성스프링
P : 패킹

Claims (5)

  1. 중앙부가 관통된 관로(101)의 외주면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다리(102)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본체(100)와;
    중앙부에 유로(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로(101)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다리 말단(102)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본체(100)의 일단을 마감하는 마개부(200);
    상기 가이드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102)들에 감싸지고, 상기 관로 또는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관로(101)의 관통된 중앙부를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를 차단하는 차단부재(300); 및
    상기 차단부재(300)와 상기 관로(10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재(300)를 상기 마개부(200)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4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상기 탄성스프링(400)과 서로 마주보는 후면에 상기 탄성스프링(400)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삽입홈(10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200)는 외면을 따라 패킹(P)이 끼워져 고정되는 함몰홈(20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상기 다리(102)의 말단에 체결돌부(102a)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200)는 상기 다리(102)와 서로 마주보는 전면에 상기 체결돌부(102a)에 체결되는 체결홈(20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300)는,
    중앙부가 관통된 상기 관로(101)의 중앙부 직경과 상기 마개부(200)의 유로(20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KR1020150169996A 2015-12-01 2015-12-01 역류방지밸브 KR20170064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96A KR20170064611A (ko) 2015-12-01 2015-12-01 역류방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96A KR20170064611A (ko) 2015-12-01 2015-12-01 역류방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611A true KR20170064611A (ko) 2017-06-12

Family

ID=5921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96A KR20170064611A (ko) 2015-12-01 2015-12-01 역류방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6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696A (ko) * 2019-02-27 2020-09-0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톱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696A (ko) * 2019-02-27 2020-09-0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톱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6019B2 (en) Pressure relief vavle
KR101482890B1 (ko) 유체 커플링
US8322361B2 (en)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relating to controlling flow through concentric passages
JP2008128285A (ja) 管継手の継手部材
US9410634B2 (en) Anti-shake flow-limiting cutoff valve
KR102617567B1 (ko) 유체 디바이스
US9205386B2 (en) Gas injection device having check valve
KR20160064102A (ko) 가스 차단 디바이스
US7575016B2 (en) Pipe disconnector with increased sealing power
KR101894895B1 (ko)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KR20170064611A (ko) 역류방지밸브
JP5295861B2 (ja) 逆止弁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US20180363791A1 (en) Pressure valve and pressure releasing assembly for the same
US20150219232A1 (en) Membrane style excess flow valve
JP2017521605A (ja) 圧力制限弁
JP2006509165A (ja) 逆流防止器
JP2014190523A (ja) 逆止弁
US20120103436A1 (en) Two-handle Type Faucet Having a double Anti-reverse function to prevent waste materials from flowing backward into the faucet when disaster happens
JP6220273B2 (ja) 逃し弁
JP5643586B2 (ja) 逆止弁
JP5859303B2 (ja) バルブ装置
WO2009113877A3 (en) Device for pressure testing of pipes
KR20200095098A (ko) 멀티 체크 밸브
KR102550333B1 (ko) 수소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