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608B1 -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608B1
KR101739608B1 KR1020127016496A KR20127016496A KR101739608B1 KR 101739608 B1 KR101739608 B1 KR 101739608B1 KR 1020127016496 A KR1020127016496 A KR 1020127016496A KR 20127016496 A KR20127016496 A KR 20127016496A KR 101739608 B1 KR101739608 B1 KR 101739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jection
container
lacquer
in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236A (ko
Inventor
케이이치 야마다
마사유키 우루마
마사키 히라마쯔
Original Assignee
다이껜 이끼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껜 이끼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껜 이끼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4Manually opera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09Flow controllers by repeated filling and emptying of an intermediate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2005/1450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mechanically driven, e.g. spring or clock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액약 주입을 위해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는 주입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압출용 수용실(S1) 및 주입용 수용실(S2)은, 해당 양 실(S1, S2) 가운데 한쪽이 확장하는 일 따라 다른 쪽이 축소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주입용 수용실(S2) 내에 소정량 이상의 액약이 충전된 상태에서 전환 밸브(9)를 개방 위치로 변환하는 일에 의해, 액약 펌프(2)의 토출압에 응한 압출용 수용실(S1)의 확장에 의해서 주입용 수용실(S2)을 축소시켜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시킨다.

Description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Pouring device and medical liquid pouring system with same}
본 발명은 액약 주입 장치로부터 토출된 액약을 소정량 충전함과 함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하는 주입 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기 주입 용구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가압하의 액체원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원 공급 수단과, 제어된 보라스(Bowlus) 투여량의 액체를 제공하기 위한 보라스 투여량 장치와, 액체의 정상적인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보라스 투여량 장치는, 상기 액체원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액체를 충전 가능한 투여량 저장소를 구비한다. 이 투여량 저장소는 압축시키는 일에 따라서 그 내용물을 배출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보라스 투여량 장치에서는, 투여량 저장소에 충전된 액약을 환자의 체내에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큰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여량 저장소에 충전된 액약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서는, 필터나 카테테르(Katheter)라고 하는 유통 저항이 큰부재를 개입시켜 액약을 흘러가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서 투여량 저장소를 압축하는데 필요로 하는 힘은 매우 크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표평 03-50553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액약 주입을 위해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는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압된 액약을 토출 가능한 토출부에 접속되는 일에 따라서,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액약을 충전함과 함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하는 주입 용구이고, 상기 토출부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토출부로부터 액약을 유도하기 위한 도입 통로와, 상기 도입 통로에 의해 유도된 액약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상기 액약을 수용함에 따라서 확장 가능한 압출용 수용실과,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액약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를 개입시켜 상기 토출부에 연통 가능하고, 상기 액약의 수용에 따라 확장하는 한편, 축소시키는 일에 따라 수용된 액약을 도출 가능한 주입용 수용실과, 상기 주입용 수용실로부터 도출된 액약을 환자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출 통로와, 상기 도출 통로에 의한 액약의 도출을 저지하기 위한 폐쇄 위치와, 상기 도출 통로에 의한 액약의 도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 동작 가능한 전환 밸브와,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상기 소정량의 액약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받는 일에 따라 상기 전환 밸브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조작부를 갖추어서, 상기 압출용 수용실 및 주입용 수용실은, 해당 양 실(兩室) 가운데 한쪽이 확장하는 일 따라 다른 쪽이 축소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상기 소정량 이상의 액약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밸브를 개방 위치로 변환하는 일에 의해서,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토출압에 따른 상기 압출용 수용실의 확장에 의해 상기 주입용 수용실을 축소시켜 상기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시키는, 주입 용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된 액약을 토출 가능하게 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에 접속된 상기 주입 용구를 갖추고 있는 액약 주입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약의 도출을 위해서 사용자에 요구되는 힘으로서는 전환 밸브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힘에 억제할 수가 있음에 따라서, 액약 주입을 위해서 사용자에 요구되는 힘을 경감시킬 수가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액약 주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입 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입 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토출 완료후(첫회 충전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주입 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에 대한 액약 충전 기간 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주입 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에 대한 액약 충전의 완료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주입 용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조작 버튼의 조작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람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약 주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액약 주입 시스템의 주입 용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액약 주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입 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약 주입 시스템(1)은, 가압된 액약을 토출 가능한 액약 펌프(토출부)(2)와, 이 액약 펌프(2)에 접속되어 액약 펌프(2)로부터의 액약을 충전함과 함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하는 주입 용구 (3)와, 이 주입 용구(3)로부터 도출된 액약을 환자에게 유도하는 카테테르(4)를 갖추고 있다.
액약 펌프(2)는, 액약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이 수용부 내의 액약을 소정의 압력에 가압한 상태에서 토출한다. 구체적으로, 액약 펌프(2)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95/28977호에 개시되는 대기압을 구동원으로 하는 것, 특개 제2004-147862호 공보에 개시되는 신축성 용기의 복원력을 구동력으로 하는 것, 또는 용수철 등의 탄성부재의 첨부 세력을 구동력으로 하는 것을 채용할 수가 있다.
주입 용구(3)는, 상기 액약 펌프(2)에 접속된 도입 튜브(도입 통로)(16)와, 이 도입 튜브(16)에 의해 유도된 액약을 수용 가능한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와, 환자에게 주입하는 소정량의 액약을 충전하기 위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와, 양 주름 상자 용기(5, 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와, 이 연결부재(7)에 설치된 조정부재(조정부)(8) 및 전환 밸브(9)와,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로 상기 카테테르(4)를 연통하기 위한 도출 튜브(도출 통로)(17)와, 양 주름 상자 용기(5, 6) 서로를 이간하는 외측의 단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통모양 용기(고정부재)(10) 및 덮개(고정부재)(11)와, 통모양 용기(10)의 일단에 밀어넣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버튼(조작부)(12)을 갖추고 있다.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는, 소정 방향(도 1의 상하방향)의 신축 축을 따라 서 신축 가능하다. 또,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는, 그 신축 방향의 일측(도 1의 상측)이 닫혀져 있는 것과 동시에, 신축 방향의 타측(도 1의 하측)이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는, 상기 신축 축으로 따라 신축 가능한 원통형의 주름 상자 본체(5a)와, 이 주름 상자 본체(5a)의 신축 방향의 일측을 닫는 저부(5c)와, 이 저부(5c)에 설치된 돌출부(5b)를 갖추고 있다. 이 돌출부(5b)는, 저부(5c)보다 작은 직경 치수를 가지며 신축 방향의 일측(도 1 상부)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내부에는, 압출용 수용실(S1)이 설치되어 있다.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는, 소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의 신축 축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다. 또,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는, 그 신축 방향의 일측(도 1의 하측)이 닫혀져 있는 것과 동시에, 신축 방향의 타측(도 1의 상측)이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는, 상기 신축 축으로 따라 신축 가능한 원통형의 주름 상자 본체(6a)와, 이 주름 상자 본체(6a)의 신축 방향의 일측을 닫는 저부(6c)와, 이 저부(6c)에 설치된 돌출부(6b)를 갖추고 있다. 이 돌출부(6b)는, 저부(6c)보다 작은 직경 치수를 가지며 신축 방향의 일측(도 1 하부)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주름 상자 본체(6a)의 직경 치수 E2(도 3 참조)는,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주름 상자 본체(5a)의 직경 치수 E1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다. 이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내부에는, 주입용 수용실(S2)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7)는, 양 주름 상자 용기(5, 6) 가운데 일측이 신장하는 일에 따라 타측이 축소하는 형태로 되고, 해당 양 주름 상자 용기(5, 6) 끼리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7)는, 대략 동등한 직경 치수를 가지는 한 벌의 원판부(7a) 및 원판부(7b)와, 이들 원판부(7a, 7b)를 동심(同心)으로 연결하는 연결부(7c)를 갖추고 있다. 원판부(7a)의 표면(도 1의 상면)에는, 상기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주름 상자 본체(5a)의 개구측의 단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접착되어 있다. 또, 원판부(7a)는, 주름 상자 본체(5a)의 내측이 되는 위치에서 안과 밖(表裏)(도 1의 상하)으로 관통하는 관통공(7d)를 구비하고 있다. 원판부(7b)의 표면(도 1의 하면)에는,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주름 상자 본체(6a)의 통로측의 단면이 맞대어진 상태로 접착되어 있다. 또, 원판부(7b)는, 주름 상자 본체(6a)의 내측이 되는 위치에서 안과 밖(도 1의 상하)으로 관통하는 관통공(7e)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7c)는, 각 원판부(7 a, 7b)의 대략 중심 위치에서 해당 각 원판부(7a, 7b)의 서로 대향하는 면(도 1에 있어서의 원판부(7a)의 하면과 원판부(7b)의 상면)을 연결한다. 각 원판부(7a, 7b) 및 연결부(7c)에는, 각 부(7a~7c)의 중심 위치에 형성된 구멍을 가지기 때문에, 이 구멍을 통해서 양주름 상자 용기(5, 6)가 서로 연통하고 있다. 또, 연결부(7c)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측벽을 관통하는 도입구(導入口, 7f)와, 이 도입구(7f)보다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측에서 측벽을 관통하는 도출구(7g)가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7f)에는 상기 도입 튜브(16)가 접속되고 도출구(7g)에는 상기 도출 튜브(17)가 접속되어 있다.
조정부재(8)는, 세공(細孔, 8a)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양 주름 상자 용기(5, 6)를 연통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조정부재(8) 일측의 단부(도 1의 상측 단부)는, 상기 원판부(7a)의 관통공(7d)에 삽입된 상태에서, 해당 관통공(7d)과 조정부재(8)의 외측면과의 사이의 액약의 유통을 저지하도록 원판부(7a)에 접착되어 있다. 또, 조정부재(8) 타측의 단부(도 1의 하측의 단부)는, 상기 원판부(7b)의 관통공(7e)에 삽입된 상태로, 해당 관통공(7e)과 조정부재(8)의 외측면과의 사이의 액약의 유통을 저지하도록 원판부(7b)에 접착되어 있다.
전환 밸브(9)는, 상기 연결부재(7)의 연결부(7c)를 통해 양 주름 상자 용기(5, 6) 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환 밸브(9)는 상기 도출구(7g)의 개폐를 변환하기 위한 판본체(15)와, 이 판본체(15)로부터 양 주름 상자 용기(5, 6)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피조작부(14)를 구비하고, 이 피조작부(14)가 후술 하는 조작 버튼(12)에 압압(押壓)된 형태에 따라 판본체(15)가 변위한다. 판본체(15)는, 주방향으로 게시한 한 벌의 플랜지부(15a, 15b)를 가지는 탄성부재이다. 플랜지부(15a, 15b)는, 각각 상기 연결부(7c)의 벽면에 밀착한다. 이에 의해 각 플랜지부(15a, 15b)와 연결부(7c)의 벽면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액약의 흐름이 규제되는 것과 동시에, 양 플랜지부(15a, 15b) 끼리의 사이로 액약의 흐름이 허용된다. 그리고, 판본체(15)는, 도 3에 나타낸 폐쇄 위치와 도 1에 나타낸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폐쇄 위치에서는 각 플랜지부(15a, 15b)가 상기 도출구(7g)를 사이에 둔 양측 위치에서 연결부(7c)의 내벽면에 밀착하는 일에 따라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로부터 도출 튜브(17)로의 액약 흐름이 저지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개방 위치에서는, 플랜지부(15b)가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에 배치되어 플랜지부(15a)만이 연결부(7c)의 내벽면에 밀착하는 일에 따라,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로부터 도출 튜브(17)를 향하여 액약의 흐름이 허용된다. 또한 상기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의 어느 쪽의 위치에 있어서도, 플랜지부(15a)는, 도입구(7f)와 도출구(7g)와의 사이에서 연결부(7c)의 내벽면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와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와의 사이에서 액약의 유통은 규제된다. 피조작부(14)는, 판본체(15)에 고정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 하겠지만, 피조작부(14)의 길이는, 아래의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 판본체(15)로부터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 측으로 형하는 피조작부(14)의 돌출 길이는,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에 소정량의 액약이 수용된 상태에서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돌출부(5b) 내(후술하는 원통형상 용기(10)의 위치 결정부(10a)보다 위)에 배치되는 길이이다. 판본체(15)로부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측으로 향한 피조작부(14)의 돌출 길이는,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로부터 소정량의 액약이 도출된 상태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저면(도 1의 하면)에 당접하는 일에 따라 판본체(15)가 폐쇄위치에 압압되는 길이이다.
원통형상 용기(10)는, 덮개(11)가 장착되는 일에 따라, 해당 덮개(11)와의 사이에 상기 양 주름 상자 용기(5, 6)의 서로 이간하는 측의 단면(저부(5c, 6c))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양 주름 상자 용기(5, 6), 연결부재(7), 조정부재(8) 및 전환 밸브(9)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원통 형상 용기(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본체(10c)와, 이 본체(10c) 일측의 단부 근방(상단부보다 조금 아래의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부(10a)와, 이 위치 결정부(10a)를 안과 밖(도 1의 상하)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10b)을 갖추고 있다. 본체(10c)는, 상기 양 주름 상자 용기(5, 6) 및 연결부재(7)를 수용가능하게 한 굵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10c) 내측의 직경 치수는, 양 주름 상자 용기(5, 6)보다 큰 연결부재(7)가 접동 가능하게 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관통공(10b)은, 상기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돌출부(5b)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크기이다. 즉, 위치 결정부(10a)는, 돌출부(5b)를 삽통한 상태로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저부(5c)가 신장 방향(도 1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해당 저부(5c)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관통공(10b)에 삽통한 돌출부(5b)는, 위치 결정부(10a)보다 위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조작 버튼(12)에 의해서 압압 가능하게 된다.
한편, 덮개(11)는, 상기 원통형상 용기(10)의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해당 원통 형상 용기(10)의 단부(도 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덮개(11)는,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돌출부(6b)를 수용하기 위한 요부(凹部)를 가진다. 그리고, 덮개(11)는, 이 요부에 돌출부(6b)를 수용한 상태에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저부(6c)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덮개(11)는,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저부(6c)가 신장 방향(도 1의 하부)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형태로 해당 저부(6c)의 위치를 고정한다.
조작 버튼(12)은, 덮개(11)가 장착되지 않은 쪽(도 1의 윗쪽)의 개구부로부터 원통 형상 용기(10)의 본체(10c)에 삽입되어 있다. 또, 조작 버튼(12)은, 양 주름 상자 용기(5, 6)의 신축 방향에 따라 본체(10c)에 대해서 접동(摺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조작 버튼(12)은, 도 1에 나타낸 비조작 상태와, 도 6에 나타낸 조작 상태와의 사이에서, 본체(10c)에 대하여 접동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비조작 상태에서는, 조작 버튼(12)의 일부는, 위치 결정부(10a)로부터 돌출하는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돌출부(5b)에 의해 본체(10c)로부터 위로 밀어내어지고 있다. 한편, 도 6의 조작 상태에서는, 조작 버튼(12)은, 외력을 받아 돌출부(5b)를 압압하면서 위치 결정부(10a)에 당접할 때까지 본체(10c) 내에 밀어 넣어지고 있다.
이하, 상기 액약 주입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주입 용구(3)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토출 완료 후(첫회 충전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주입 용구(3)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에 대한 액약 충전 기간 중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주입 용구(3)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에 대한 액약 충전의 완료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주입 용구(3)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조작 버튼(12)의 조작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 상태를 나타내는 일람표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의 액약이 모두 도출되었을 때, 또는 주입 용구(3)의 사용 개시시에 있어서는, 화살표 Y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구멍(7f)을 통해서 액약 펌프(2)로부터의 액약이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 내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는 신장한다. 이에 응해서, 연결부재(7)는, 화살표 Y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측에 압압되어 해당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를 수축시킨다. 상기 도 3 상태에 대해서는, 전환 밸브(9)의 피조작부(14)의 단부(도 3의 하단부)가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저면(돌출부(6b)의 내측면)에 당접하여 위에 밀어 올릴 수 있는 일에 따라, 판본체(15)가 폐쇄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상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하, 록아웃 타임(잠금시간으로 칭한다)을 들여 소정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3 ml)의 액약이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에 충전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에 도입된 액약은, 화살표 Y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부재(8)의 세공(細孔, 8a)을 통해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에 도입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의 직경 치수 E1(도 3 참조)보다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직경 치수 E2(도 3 참조)가 크게 이루어지는 일에 따라서, 압출용 수용실(S1) 내에 있어서의 연결부재(7)에 대한 수압면적보다 주입용 수용실(S2) 내에 있어서의 연결부재(7)에 대한 수압면적이 크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판본체(15)가 폐쇄 위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양 수용실(S1, S2) 내의 액약의 압력이 서로 동일하다. 그 때문에, 연결부재(7)에서는, 화살표 Y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를 수축함과 함께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를 신장시킬 방향의 힘이 생긴다. 이 힘을 이용하여,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로부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에 세공(8a)을 통해 액약이 충전된다. 또한 판본체(15)는, 연결부재(7)의 연결부(7c) 내에 탄성변형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탄성변형의 반력을 받아, 전환 밸브(9)는, 화살표 Y4로 나타낸 연결부재(7)의 이동에 종동(從動)한다.
그리고,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에 소정량의 액약이 충전되면(록아웃 타임이 도래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조작부(14)가 저면(돌출부(5b)의 내측면)에 당접하는 일에 따라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의 신장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피조작부(14)의 단부(도 5의 상단부)가 원통형상 용기(10)의 위치 결정부(10a)보다 조작 버튼(12)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버튼(12)의 투입 조작에 응하여 피조작부(14)를 눌러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도 3및 도 4의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부(10a)보다 내측에 피조작부(14)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버튼(12)을 눌러도 위치 결정부(10a)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피조작부(14)를 눌러 움직이게 할 수 없다(불능 상태). 이와 같이 록아웃 타임 중에 조작 버튼(12)을 불능 상태로 하는 일에 따라, 소정량 미만의 액약이 충전되는 것을 회피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상기 형태의 록아웃 타임이 도래한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Y5의 방향으로 조작 버튼(12)을 밀어넣어 조작한다. 이 조작에 따라서, 화살표 Y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조작부(14)가 연결부재(7)에 대해서 상대 변위하는 일에 따라 판본체(15)가 개방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의 액약은, 화살표 Y7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출구(7g)로부터 도출 가능하게 되고, 해당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의 액약의 압력이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 내의 액약의 압력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액약 펌프(2)의 토출압에 의해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5)가 신장하고, 이에 따라서 연결부재(7)가 화살표 Y8로 나타낸 바와 같이 눌러 작동된다. 이에 의해,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가 수축하여 해당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6) 내의 소정량의 액약이 도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액약 주입 시스템(1)에 의하면, 액약 펌프(2)에 의한 액약의 토출압에 응한 압출용 수용실(S1)의 확장에 의해, 주입용 수용실(S2)를 축소시키고, 해당 주입용 수용실(S2) 내에 충전된 액약을 도출시킬 수가 있다. 즉, 액약 주입 시스템(1)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 버튼(12)을 조작하여 전환 밸브(9)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면, 그 이상의 힘을 주는 일 없이 액약 펌프(2)의 토출압을 이용해 주입용 수용실(S2) 내의 액약을 도출시킬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액약의 도출을 위해서 사용자에 요구되는 힘을, 전환 밸브(9)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힘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약 주입을 위해서 사용자에 요구되는 힘을 경감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출용 수용실(S1) 및 주입용 수용실(S2) 내에 액약이 충전된 상태에서, 압출용 수용실(S1)을 축소하고, 한편, 주입용 수용실(S2)을 확장할 방향의 반력이 생기는 형태로, 압출용 수용실(S1) 및 주입용 수용실(S2)의 수압면적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약 펌프(2)로부터의 액약을 확실히 주입용 수용실(S2) 내에 충전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액약 펌프(2)로부터 액약이 토출되면, 우선, 압력 손실을 일으키게 하는 조정부재(8)를 개입시킬 필요 없이 압출용 수용실(S1) 측으로 우선적으로 액약이 충전되는 것과 동시에, 이 충전에 따라서 양 수용실(S1, S2)의 수압면적의 차이에 의한 상기 반력이 생긴다. 압출용 수용실(S1) 내에 그 이상의 액약을 충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액약은 갈 곳을 잃는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주입용 수용실(S2)을 확장할 방향의 반력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갈 곳을 잃은 액약은, 상기 반력을 이용하여 조정부재(8)를 통해서 서서히 주입용 수용실(S2) 내로 도입된다. 그리고, 전환 밸브(9)가 개방 위치에 변경 조작되면, 도출 튜브(17)를 개입시켜 액약의 도출이 허용되어서 주입용 수용실(S2) 내가 감압된다. 그 때문에, 해당 주입용 수용실(S2) 내의 압력보다 압출용 수용실(S1) 내의 압력(액약 펌프(2)에 의한 토출압)이 상대적으로 커져, 해당 압출용 수용실(S1)이 확장하는 일에 따라 주입용 수용실(S2) 내의 액약이 도출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양 수용실(S1, S2)의 수압면적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반력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자연의 길이 상태로부터 신장 또는 축소시키는 일에 따라 발생하는 양주름 상자 용기(5, 6)의 복원력을 상기 반력으로서 이용하는 일이 가능하다. 이 복원력은, 양주름 상자 용기(5, 6)의 재질, 주름 상자가 접히는 수, 또는 양주름 상자 용기(5, 6) 측벽의 두께 등을 적당히 설정하는 일에 따라 조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출용 수용실(S1)과 주입용 수용실(S2)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조정부재(8)를 가진다. 이에 의해, 압출용 수용실(S1)은 조정부재(8)를 개입시키지 않고 액약 펌프(2)에 접속되는 반면, 주입용 수용실(S2)은 압출용 수용실(S1) 및 조정부재(8)를 개입시켜 액약 펌프(2)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입 용구(3)의 일부로서 조정부재(8)를 가진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 형태와 같이 주입 용구(3)와는 별도로, 해당 주입 용구(3)에 접속되는 유량 조정기(도 8의 부호 26 참조)를 갖추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주입 용구(3)의 록아웃 타임을, 해당 주입 용구(3)에 접속하는 유량 조정기의 규정 유량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적당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량의 액약이 주입용 수용실(S2) 내에 충전된 상태에서 조작 버튼(12)에 의해 전환 밸브(9)를 변위 가능하게 하고, 한편, 소정량의 액약이 주입용 수용실(S2) 내에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조작 버튼(12)에 의해 전환 밸브(9)를 변위 불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소정량에 못 미친 액약의 도출을 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목적으로 하는 효능을 얻기 위해서 미리 정해진 양(상기 소정량)의 액약을 확실히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유효한 액약 투여를 실현할 수가 있다. 게다가 소정량에 못 미친 액약을 도출해 버리는 일에 따라 재차 소정량을 채우기 위해서 여분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불편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출 튜브(17)을 개입시킨 액약의 도출 종료에 이르는 주입용 수용실(S2)의 축소에 따라서 전환 밸브(9)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에 변환된다. 즉, 도출 튜브(17)를 개입시킨 액약의 도출 종료와 함께 전환 밸브(9)를 폐쇄 위치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전환 밸브(9)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만으로 소정량의 액약을 확실히 환자에게 투여할 수가 있는 것과 동시에, 이 투여의 뒤에 자동적으로 주입용 수용실(S2) 내로 액약 충전이 개시되는 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약 주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액약 주입 시스템의 주입 용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액약 주입 시스템(27)은, 상기 액약 펌프(2)와, 액약 펌프(2)에 접속된 튜브(28a ~ 28c)와, 튜브(28b)를 흐르는 액약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유량 조정기(조정부)(26)와, 튜브(28a)에 접속되어 액약 펌프(2)로부터의 액약을 충전함과 함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하도록 구성된 주입 용구(20)와 이 주입 용구(20)로부터 도출된 액약을 환자에게 유도하는 카테테르(4)를 갖추고 있다.
튜브(28a)는, 액약 펌프(2)와 주입 용구(20)를 직접 연통시킨다. 튜브(28b)는, 튜브(28a)의 도중 부에서 분기하여 유량 조정기(26)를 개입시켜 액약 펌프(2)로 주입 용구(20)를 연통시킨다. 튜브(28c)는, 유량 조정기(26)의 하류측에서 튜브(28b)로부터 분기하여 액약 펌프(2)와 주입 용구(20)를 연통시킨다.
유량 조정기(26)는, 상기 실시 형태의 조정부재(8)와 동일한 형태로 액약 펌프(2)로부터 액약에 대한 압력 손실을 일으키게 하는 일에 따라, 액약의 유량을 조정한다.
주입 용구(20)는, 튜브(28c)에 접속되는 용기 본체(용기)(23)와, 이 용기 본체(23)에 장착되어 튜브(28a) 및 튜브(28b)에 접속되는 덮개(용기)(22)와, 용기 본체(23) 및 덮개(22) 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부재(24)와, 용기 본체(23) 내의 실(액체 수용실)을 압출용 수용실(S3)과 주입용 수용실(S4)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25)과, 주입용 수용실(S4)로부터 도출된 액약을 유도하는 튜브(29)와, 이 튜브(29)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튜브(29)를 개입시켜 액약의 도출을 허용 또는 저지하는 수동 개폐밸브(전환 밸브)(21)를 갖추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튜브(28b) 및 튜브(28c)는, 주입 용구(20)의 구성은 아닌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튜브(28b) 및 튜브(28c) 가운데, 적어도 후술하는 접속부(23b)와 제3 접속부(22e)를 접속하는 부분은, 주입 용구(20)의 일부(도출 통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용기 본체(23)는, 일단이 개구로 되는 것과 동시에 타단이 닫혀진 원통형의 원통부(23a)와, 원통부(23a)의 저부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튜브(28c)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23b)와, 원통부(23a)의 저부 및 돌출부(23b)를 관통하는 구멍을 갖추고 있다. 액약은, 돌출부(23b)에 접속된 튜브(28c)로부터 상기 구멍을 개입시켜 원통부(23a) 내에 도입된다.
덮개(22)는, 상기 원통부(23a)의 통로를 덮는 형태에서 해당 원통부(23a)에 고정되는 개부(蓋部)(22a)와, 이 개부(22a)에 튜브(28a)를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속부(22b)와, 원통부(23a)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을 향해 개부(22a)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2c)와, 이 돌출부(22c)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연장하는 제2 접속부(22d) 및 제3 접속부(22e)와, 개부(22a)로부터 상기 원통부(23a) 내로 연장하는 가이드부(22f)를 갖추고 있다. 제1 접속부(22b)는, 원통부(23a)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 개부(22a)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튜브(28a)에 접속 가능하다. 제1 접속부(22b) 및 개부(22a)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을 개입시켜 튜브(28a)로부터의 액약이 용기 본체(23) 내에 도입된다. 돌출부(22c)는, 그 기단측이 용기 본체(23) 내로 개구되는 것과 함께 첨단부가 닫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속부(22d)는, 돌출부(22c) 내로 연통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튜브(29)에 접속 가능하다. 제3 접속부(22e)는, 상기 제2 접속부(22d)보다 용기 본체(23) 측의 위치에서 돌출부(22c) 내로 연통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튜브(28b)에 접속 가능하다. 가이드부(22f)는, 돌출부(22c)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용기 본체(23)의 원통부(23a)의 약 반의 깊이 위치까지 연장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위부재(24)는, 용기 본체(23)의 원통부(23a) 내에 배치된 지지판(24a)과, 이 지지판(24a)에 입설(立設)되는 것과 동시에 그 첨단부가 덮개(22)의 돌출부(22c) 내에 배치된 로드(24b)와, 이 로드(24b)의 첨단부에 설치된 탄성체(24e)와, 지지판(24a)에 입설된 가이드통(24d)을 갖추고 있다. 지지판(24a)은, 상기 덮개(22)의 가이드부(22f)보다 큰 직경 치수를 가지는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24e)는, 상기 덮개(22)의 돌출부(22c)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액약의 유통을 규제하는 한 벌의 플랜지부(24c)를 가진다. 액약의 유통은, 각 플랜지부(24c) 간에 있어서 허용된다. 가이드통(24d)은, 덮개(22)의 가이드부(22f) 내에서 접동가능하게 되는 직경 치수를 가지며, 해당 가이드부(22f)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변위부재(2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24a)이 덮개(22)의 가이드부(22f) 단면에 당접하는 개방위치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24a)이 원통부(23a)의 저부에 격벽(25)을 개입시켜 당접한 폐쇄위치와의 사이에 용기 본체(23) 및 덮개(22)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개방위치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24e)의 한 벌의 플랜지부(24c)가 제2 접속부(22d) 및 제3 접속부(22e)의 개구부를 끼우도록 배치되어서, 양 접속부(22d, 22e) 간의 액약의 유통이 허용된다. 또, 폐쇄위치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24e)의 첨단측의 플랜지부(24c)가 제2 접속부(22d)와 제3 접속부(22e)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 접속부(22d, 22e) 간의 액약의 유통이 규제된다. 또한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의 어느 쪽의 위치에 있어서도, 탄성체(24e)의 기단측의 플랜지부(24c)가 제2 접속부(22d) 및 제3 접속부(22e)보다 기단 측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돌출부(22c)와 용기 본체(23)와의 사이의 액약의 유통은 규제되고 있다.
격벽(25)은,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원형의 박막이다. 이 격벽(25)의 주연부는, 상기 덮개(22)의 개부(22a)와 용기 본체(23)의 원통부(23a)의 개구단과의 사이에서 협지(挾持)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격벽(25)의 중앙 부분은, 상기 변위부재(24)의 지지판(24a)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 따라서, 격벽(25)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용 수용실(S3)에 액약이 도입된 상태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낸 개방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반력)을 일으키게 하게 된다.
수동 개폐밸브(21)는, 통상적으로 닫히고, 사용자의 압압 조작에 따라서 개방하는 밸브 본체를 가지는 전환 밸브이다. 구체적으로, 수동 개폐밸브(21)의 조작전 상태에서는 튜브(29)와 카테테르(4)와의 사이의 액약의 흐름이 규제된다. 한편, 수동 개폐밸브(21)를 조작하는 일에 따라 튜브(29)와 카테테르(4)와의 사이의 액약 흐름이 허용된다.
이하, 액약 주입 시스템(27)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부재(24)가 개방위치로 되는 상태에 대해서, 액약 펌프(2)로부터의 액약은, 유량 조정기(26)에 의한 압력 손실이 생기는 튜브(28b)에 우선하여 튜브(28a)를 개입시켜 압출용 수용실(S3) 내에 도입된다. 압출용 수용실(S3) 내에의 액약의 도입에 수반하여, 격벽(25)을 탄성변형(신장) 시키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부재(24)를 폐위치로 변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액약 펌프(2)로부터의 액약이, 유량 조정기(26)을 개입시켜 튜브(28b)로 도입된다.
구체적으로, 수동 개폐밸브(21)는 통상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유량 조정기(26)로부터의 액약은, 튜브(28c)를 개입시켜 주입용 수용실(S4) 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유량 조정기(26)로 조정되는 유량에 의해 규정되는 록아웃 타임이 경과하면, 도 8에 나타낸 개방위치가 되어 주입용 수용실(S4) 내에 소정량의 액약이 충전된다. 여기서, 주입용 수용실(S4)에 액약이 도입되는 것은, 격벽(25)에는 개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동 개폐밸브(21)를 조작하는 일에 따라, 튜브(29)를 개입시킨 액약의 도출이 허용되어 주입용 수용실(S4) 내의 압력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주입용 수용실(S4) 내의 압력보다 액약 펌프(2)의 토출압인 압출용 수용실(S3)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이에 의해, 압출용 수용실(S3)이 확장하고, 주입용 수용실(S4)이 축소된다. 이 동작에 따라서, 주입용 수용실(S4) 내의 소정량의 액약은, 카테테르(4)를 개입시켜 도출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3) 및 덮개(22)에 의해 구성되는 용기와, 이 용기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용기 내의 실을 압출용 수용실(S3) 및 주입용 수용실(S4)로 구획하는 격벽(25)을 갖추고 있다. 액약 펌프(2)로부터 액약이 공급되면, 격벽(25)가 신축하는 일에 따라, 양 수용실(S3, S4)의 일측이 확장함과 동시에 타측이 축소하게 된다. 따라서, 액약 펌프(2)의 토출압에 의해 압출용 수용실(S3)이 축소하도록 격벽(25)이 신장하는 일에 따라, 주입용 수용실(S4) 내의 액약을 도출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가지는 발명이 주로 포함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압된 액약을 토출 가능한 토출부에 접속되는 것으로 되고,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액약을 충전함과 함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하는 주입 용구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액약을 유도하기 위한 도입 통로와, 상기 도입 통로에 의해 유도되는 액약을 수용 가능하고, 한편, 상기 액약의 수용에 따라서 확장 가능한 압출용 수용실과,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액약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를 개입시켜 상기 토출부에 연통 가능하고, 상기 액약의 수용에 따라서 확장하는 한편, 축소시키는 일에 따라서 수용된 액약을 도출 가능한 주입용 수용실과, 상기 주입용 수용실로부터 도출된 액약을 환자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출 통로와, 상기 도출 통로에 의한 액약의 도출을 저지하기 위한 폐쇄 위치와 상기 도출 통로에 의한 액약의 도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 동작 가능한 전환 밸브와,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상기 소정량의 액약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받는 일에 따라 상기 전환 밸브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조작부를 갖춘 상기 압출용 수용실 및 주입용 수용실은, 해당 양 실 가운데 한쪽이 확장하는 일에 따라 다른 쪽이 축소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상기 소정량 이상의 액약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밸브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일로 되고,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토출압에 응한 상기 압출용 수용실의 확장에 의해 상기 주입용 수용실을 축소시켜 상기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시키는 주입 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부에 의한 액약의 토출압에 따른 압출용 수용실의 확장에 의해서, 주입용 수용실을 축소시키고, 해당 주입용 수용실 내에 충전된 액약을 도출시킬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환 밸브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면, 그 이상의 힘을 주는 일 없이 토출부의 토출압을 이용하여 주입용 수용실 내의 액약을 도출시킬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액약의 도출을 위해서 사용자에 요구되는 힘으로서는 전환 밸브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힘에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약 주입을 위해서 사용자에 요구되는 힘을 경감할 수가 있다.
상기 주입 용구에 대해서,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압출용 수용실은, 상기 압출용 수용실로 액약이 도입되는 일에 따라서, 상기 주입용 수용실을 확장함과 함께 상기 압출용 수용실을 축소할 방향의 반력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토출부로부터의 액약을 주입용 수용실 내로 확실히 충전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에 대해서, 토출부로부터 액약이 토출되면, 우선, 압력 손실을 일으키게 하는 조정부를 개입할 필요가 없는 압출용 수용실측에 우선적으로 액약이 충전되는 것과 동시에, 이 충전에 따라서 주입용 수용실을 확장할 방향의 반력이 생긴다. 압출용 수용실 내에 그 이상 액약을 충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액약은 갈 곳을 잃지만, 주입용 수용실을 확장할 방향의 반력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갈 곳을 잃은 액약은, 반력을 이용하여 조정부를 통해서 서서히 주입용 수용실 내로 도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환 밸브가 개방 위치로 변경 조작되면, 도출 통로를 개입시킨 액약의 도출이 허용되어 주입용 수용실 내가 감압된다. 그 때문에, 해당 주입용 수용실 내의 압력보다 압출용 수용실 내의 압력(토출부에 의한 토출압)이 상대적으로 커져, 해당 압출용 수용실이 확장한다. 이에 의해 주입용 수용실 내의 액약이 도출된다.
상기 반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상기 압출용 수용실에 상기 토출부에 의한 압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용 수용실이 확장함과 동시에 상기 압출용 수용실이 축소할 방향의 힘이 생기도록,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압출용 수용실의 수압면적을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 주입 용구에 대해서, 상기 압출용 수용실과 상기 주입용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정부를 한층 더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압출용 수용실과 주입용 수용실이 조정부를 개입시켜 연결되고 있는 일에 따라, 압출용 수용실은, 조정부를 개입시킬 필요 없이 토출부에 접속되는 한편, 주입용 수용실은, 압출용 수용실 및 조정부를 개입시켜 토출부에 접속된다.
상기 주입 용구에 대해서, 상기 전환 밸브는, 판본체와, 상기 판본체로부터 늘어나는 것과 함께 상기 조작부와 결합(係合)하는 일에 따라 상기 판본체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변위 가능한 피조작부를 갖추어서, 상기 소정량의 액약이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수용된 상태에 대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피조작부가 결합 가능하고, 한편,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수용된 액약이 상기 소정량보다 미리 설정된 양만큼 적은 경우에는 이 부족량의 분만큼 확장한 상기 압출용 수용실에 의해 상기 조작부와 상기 피조작부와의 결합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주입용 수용실 내에 소정량의 액약이 충전될 때까지의 사이에서 조작부가 조작되어도 판본체가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소정량에 못 미친 액약의 도출을 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효능을 얻기 위해서 미리 정해진 양(상기 소정량)의 액약을 확실히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유효한 액약 투여를 실현할 수가 있는 것과 동시에, 소정량에 못 미친 액약을 도출해 버리는 일에 따라서 재차 소정량을 채우기 위해서 여분의 시간을 필요로 해야 하는 불편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주입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는, 상기 도출 통로를 개입시킨 액약의 도출 종료에 이르는 상기 주입용 수용실의 축소에 따라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도출 통로를 개입시킨 액약의 도출 종료와 함께 전환 밸브를 폐쇄 위치에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전환 밸브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만으로 소정량의 액약을 확실히 환자에게 투여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 투여의 뒤에 자동적으로 주입용 수용실 내에의 액약의 충전이 개시된다.
상기 주입 용구에 있어서, 소정의 신축 축에 따라 각각 신축 가능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 및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와,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와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를 공통의 신축 축을 따라 신축 가능해지도록 직렬로 늘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 및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의 서로 이간하는 외측의 단면의 위치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갖추고,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의 내부에 상기 주입용 수용실이 설치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의 내부에 상기 압출용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 및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가 공통의 신축 축을 따라서 신축 가능해지도록 직렬로 늘어놓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양 주름 상자 용기의 외측의 단면의 위치가 고정되고 있다. 이에 의해, 양 주름 상자 용기의 서로 대향하는 안쪽의 단면의 이동을 서로 연동시킬 수가 있다.
상기 주입 용구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실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액체 수용실을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압출용 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출용 수용실과 주입용 수용실이 용기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격벽을 신축하는 일에 따라, 양 수용실의 한쪽이 확장함과 함께 다른 쪽이 축소한다. 따라서, 토출부의 토출압에 의해 압출용 수용실이 축소하도록 격벽이 신장하는 것으로서, 주입용 수용실 내의 액약을 도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된 액약을 토출 가능한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에 접속된 상기 주입 용구를 갖추고 있는 액약 주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약 주입을 위해서 사용자에 요구되는 힘을 경감할 수가 있다.
S1, S3: 압출용 수용실 S2, S4: 주입용 수용실
1, 27: 액약 주입 시스템 2: 액약 펌프(토출부)
3, 20: 주입 용구 5: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
6: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   7: 연결부재
8: 조정부재(조정부)   9: 전환 밸브
10: 원통형상 용기(고정부) 11: 덮개(고정부)
12: 조작 버튼(조작부) 14: 피조작부
15: 판본체   16: 도입 튜브(도입 통로)
17: 도출 튜브(도출 통로) 21: 수동 개폐변(조작부)
22: 덮개(용기 및 도출 통로의 일부) 23: 용기 본체(용기)
25: 격벽 26: 유량 조정기(조정부)
28b, 28c: 튜브(도출 통로의 일부) 29: 튜브(도출 통로의 일부)

Claims (9)

  1. 가압된 액약을 토출 가능한 토출부에 접속되게 하고,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액약을 충전함과 함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하는 주입 용구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액약을 유도하기 위한 도입 통로와,
    상기 도입 통로에 의해 유도된 액약을 수용 가능하고, 한편, 상기 액약의 수용에 따라서 확장 가능한 압출용 수용실과,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액약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를 개입시켜 상기 토출부에 연통 가능하고, 상기 액약의 수용에 따라서 확장하는 한편, 축소시키는 일에 따라서 수용된 액약을 도출 가능한 주입용 수용실과,
    상기 주입용 수용실로부터 도출된 액약을 환자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출 통로와,
    상기 도출 통로에 의한 액약의 도출을 저지하기 위한 폐쇄 위치와, 상기 도출 통로에 의한 액약의 도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 동작 가능한 전환 밸브와,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상기 소정량의 액약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받는 일에 따라 상기 전환 밸브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출용 수용실 및 주입용 수용실은 해당 양 실 가운데 한쪽이 확장하는 일에 따라 다른 쪽이 축소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상기 소정량 이상의 액약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밸브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일에 따라,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토출압에 따른 상기 압출용 수용실의 확장에 의해 상기 주입용 수용실을 축소시켜 상기 소정량의 액약을 도출시키고,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압출용 수용실은, 상기 압출용 수용실로 액약이 도입되는 일에 따라서, 상기 주입용 수용실을 확장함과 함께 상기 압출용 수용실을 축소할 방향의 반력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용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상기 압출용 수용실에 상기 토출부에 의한 압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용 수용실이 확장함과 함께 상기 압출용 수용실이 축소할 방향의 힘이 생기도록,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압출용 수용실의 수압면적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용구.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압출용 수용실과 상기 주입용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용구.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는, 판본체와, 상기 판본체로부터 연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와 결합하는 일에 따라 상기 판본체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변위 가능한 피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량의 액약이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수용된 상태에 대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피조작부가 결합가능하고, 한편, 상기 주입용 수용실 내에 수용된 액약이 상기 소정량보다 미리 설정된 양만큼 적은 경우에는 이 부족량의 분만큼 확장한 상기 압출용 수용실에 의해 상기 조작부와 상기 피조작부와의 결합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용구.
  6.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는, 상기 도출 통로를 개입시켜 액약의 도출 종료에 이르는 상기 주입용 수용실의 축소에 따라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용구.
  7.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소정의 신축 축에 따라서 각각 신축 가능한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 및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와,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와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를 공통의 신축 축을 따라 신축 가능해지도록 직렬로 늘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 및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의 서로 이간하는 외측의 단면의 위치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용 주름 상자 용기의 내부에 상기 주입용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압출용 주름 상자 용기의 내부에 상기 압출용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용구.
  8.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실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액체 수용실을 상기 주입용 수용실 및 압출용 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용구.
  9. 가압된 액약을 토출 가능한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에 접속된 청구항 1 또는 3에 따른 주입 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약 주입 시스템.

KR1020127016496A 2009-12-16 2010-12-15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 KR101739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5292 2009-12-16
JP2009285292A JP5606729B2 (ja) 2009-12-16 2009-12-16 注入用具及びこれを備えた薬液注入システム
PCT/JP2010/007275 WO2011074255A1 (ja) 2009-12-16 2010-12-15 注入用具及びこれを備えた薬液注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236A KR20120125236A (ko) 2012-11-14
KR101739608B1 true KR101739608B1 (ko) 2017-06-08

Family

ID=4416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496A KR101739608B1 (ko) 2009-12-16 2010-12-15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90306B2 (ko)
EP (1) EP2508215A4 (ko)
JP (1) JP5606729B2 (ko)
KR (1) KR101739608B1 (ko)
CN (1) CN102665796B (ko)
BR (1) BR112012014898B1 (ko)
WO (1) WO2011074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81816A1 (en) 2017-06-07 2019-12-12 Avent, Inc. Bolus delivery device
JP2020141964A (ja) * 2019-03-08 2020-09-10 ニプロ株式会社 薬液自己注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167B2 (ja) 1993-12-10 1997-04-1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JP2002058739A (ja) * 2000-08-23 2002-02-26 Daiken Iki Kk 薬液のワンショット注入器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4224442B2 (ja) 2004-08-16 2009-02-12 大研医器株式会社 薬液注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1020A1 (de) * 1983-03-25 1984-09-27 Hasko von Dipl.-Ing. Dr.med. 8000 München Sanden Abgabeeinrichtung zur verabreichung von fluessigkeiten
US5011477A (en) 1989-04-21 1991-04-30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inuous/bolus infusor
JP2542775B2 (ja) * 1992-10-12 1996-10-09 株式会社オプテック 薬液注入装置
EP0702968B1 (en) * 1994-04-12 2003-06-25 Tsukada Medical Research Co., Ltd. Accordion container for chemical
EP0715861B1 (en) 1994-04-27 2000-08-02 Daiken Iki Co. Ltd. Liquid injection device
FR2778338B1 (fr) * 1998-05-05 2000-09-29 Aguettant Lab Dispositif d'injection a debit controle et en ambulatoire d'un medicament sous forme liquide
EP1330276B1 (fr) * 2000-11-03 2008-02-20 Allergan Medical S.A. Dispositif medical implantable pour delivrer un liquide
JP2003111839A (ja) * 2001-10-02 2003-04-15 Daiken Iki Kk 充填補助機能を備えた薬液注入装置
JP4278957B2 (ja) 2002-10-30 2009-06-17 大研医器株式会社 薬液注入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167B2 (ja) 1993-12-10 1997-04-1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JP2002058739A (ja) * 2000-08-23 2002-02-26 Daiken Iki Kk 薬液のワンショット注入器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4224442B2 (ja) 2004-08-16 2009-02-12 大研医器株式会社 薬液注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4898A2 (pt) 2017-03-14
WO2011074255A1 (ja) 2011-06-23
BR112012014898B1 (pt) 2020-12-08
KR20120125236A (ko) 2012-11-14
EP2508215A4 (en) 2017-12-20
EP2508215A1 (en) 2012-10-10
JP5606729B2 (ja) 2014-10-15
JP2011125433A (ja) 2011-06-30
US20120253283A1 (en) 2012-10-04
CN102665796B (zh) 2014-06-18
CN102665796A (zh) 2012-09-12
US8790306B2 (en) 201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3842B1 (en) Syringe assembly with inverse delivery
JP5830036B2 (ja) 液体分配用滴下ヘッド及び液体分配用滴下ボトル
KR20020060265A (ko) 코 통로로의 약제 투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767884B2 (ja) 流体投入のための複数のポートを備えたドリップチャンバ
KR970706857A (ko) 튜브 스파이크 홀더를 구비한 주입 펌프(infusion pump with tube spike holder)
CN107921201B (zh) 用于输注流体的装置
KR101745445B1 (ko) 가압형 약물 주입 시스템
CN111954549A (zh) 药液供给调节装置及具备其的注射液注入装置
JP4512241B2 (ja) 薬液のワンショット注入器および薬液注入装置
KR101739608B1 (ko) 주입 용구 및 이를 갖춘 액약 주입 시스템
BR112020023442A2 (pt)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fármacos
KR101857730B1 (ko) 내부압력 조절이 가능한 약액주입장치
JP6298208B1 (ja) 液体供給システム
EP3434299B1 (en) Medicinal fluid injec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internal pressure
CN108404261A (zh) 药品混合装置以及混合药品的方法
JP3566053B2 (ja) ボウラス投与装置
KR102196122B1 (ko)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JP5631603B2 (ja) 注入用具及びこれを備えた薬液注入システム
JP4253538B2 (ja) 薬液導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液注入装置並びに間歇型投与システム
JP2020039761A (ja) 薬液投与装置と薬液投与装置に用いられる薬液注入コントローラ
KR102672950B1 (ko) 약액 용기
KR20180002686U (ko) 무바늘 주름관 주사기
KR100805556B1 (ko) 약액 조절 장치
KR100675743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JP2006223570A (ja) 医療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