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649A -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649A
KR20090043649A KR1020070109309A KR20070109309A KR20090043649A KR 20090043649 A KR20090043649 A KR 20090043649A KR 1020070109309 A KR1020070109309 A KR 1020070109309A KR 20070109309 A KR20070109309 A KR 20070109309A KR 20090043649 A KR20090043649 A KR 2009004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body
container
tube contai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782B1 (ko
Inventor
임형준
Original Assignee
임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준 filed Critical 임형준
Priority to KR102007010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7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으로 이루어진 치약,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튜브용기에 공기의 유입만 가능하고 공기와 액상 내용물의 배출은 방지되는 공기흡입부를 형성하여, 튜브용기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튜브용기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함은 물론, 튜브용기내에 액상 내용물이 조금 남아 있을 경우 그 액상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를 제공한다.
공기흡입부, 파이프, 튜브용기, 에어펌프

Description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TUBE-TYPED PACKAGE VESSEL}
본 발명은 액상으로 이루어진 치약, 화장품 등의 유동성 내용물이 저장되는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용기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튜브용기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하면서 튜브용기내에 액상 내용물이 조금 남아 있을 경우 이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문화생활이 다양 복잡하고 대가족사회에서 핵가족화로 인한 생활방식의 변화로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생활용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에 가장 밀접한 생활용품 중에 치약과 접착제, 의약품, 화장품 등의 액상 내용물이 있으며, 이는 튜브용기에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즉, 상기 튜브용기는 폴리에틸렌이라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표면을 압착함으로써 액상의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치약, 물감, 의약품, 화장품 등의 액상 내용물을 담는 튜브용기는 사용자가 사용시 중간부분을 눌러 짜게 되면 아래쪽으로 내용물이 몰리거나 튜브용기가 눌려 원상회복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튜브용기내에 내용물이 조금 남아 있을 경우에는 출구쪽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강하게 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최종적으로 사용시 잔여량이 남게 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튜브용기에 공기의 유입만 가능하고 공기와 액상 내용물의 배출은 방지되는 공기흡입부를 형성하여, 튜브용기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튜브용기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함은 물론, 튜브용기내에 액상 내용물이 조금 남아 있을 경우 그 액상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덮개에 의해 덮혀지는 출구를 마련한 튜브형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눌러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된 후 상기 용기본체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내의 일단에 마련되어 용기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공기흡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부는, 공기 흡입용으로 양단 개구형의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이프는, 압력차이에 의해 용기 본체내의 공기와 액상의 내용물이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용기 본체내 안쪽 부위에 위치하는 일단의 개구부는 납작하게 형성하고, 용기본체내 바깥부위에 위치하는 타단의 개구부는 둥근 모양으로 형성함이 좋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용기본체의 후단측에 마련되는 공기흡입홀을 가진 에어펌프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덮개에 의해 덮혀지는 출구를 마련한 튜브형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눌러 액상의 내용물에 대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용기본체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내에 마련되는 공기주머니; 및 상기 공기주머니의 일단에 형성되어 공기 주입은 가능하지만 그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지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주머니는 역지변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 및, 상기 공기저장부의 누름시 전이되는 공기에 따라 팽창하여 용기본체내의 액상 내용물에 대한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팽창부로 분할 구성하게 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은 튜브용기에 공기의 유입만 가능하고 공기와 액상 내용물의 배출은 방지되는 공기흡입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튜브용기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튜브용기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함은 물론, 튜브용기내에 액상 내용물이 조금 남아 있을 경우 그 액상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키면서 자원 낭비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용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용기의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용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는, 덮개(1)에 의해 덮혀지는 출구(2)를 마련한 튜브형의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10)를 눌러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된 후 상기 용기본체(10)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0)내의 일단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공기흡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부는 공기 흡입용으로 양단 개구형의 파이프(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파이프(20)는 압력차이에 의해 용기 본체(10)내의 공기와 액상의 내용물이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용기 본체(10)내 안쪽 부위에 위치하는 일단의 개구부(a)는 납작하게 형성하고, 용기본체(10)내 바깥부위에 위치하는 타단의 개구부(b)는 둥근 모양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액상의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본체(10)의 특정부분을 누르면, 상기의 액상 내용물은 출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액상의 내용물이 출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용기본체(10)의 누름부위는 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된다.
즉, 상기 공기흡입부는 양단 개구형의 파이프(20)로, 상기 용기 본체(10)내 안쪽 부위에 위치하는 일단의 개구부(a)는 납작하게 형성되고, 용기본체(210)내 바깥부위에 위치하는 타단의 개구부(b)는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타단의 개구부(b)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 후 일단의 개구부(a)를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이프(20)의 양단 개구부(a)(b)에서 발생하는 개구면적으로 인해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 내에 충진된 공기는 물론 액상의 내용물은 상기 파이프(20)를 통해 용기본체(10)의 외부로 역류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파이프(20)를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기 주입만 가능할 뿐, 상기 용기본체(10)내의 공기와 액상의 내용물이 역류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는 공기흡입부를 공기흡입홀(31)이 마련된 에어펌프(30)로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본체(10)의 특정부분을 눌러 액상 내용물을 출구(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 기본체(10)의 누름부위를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에어펌프(30)를 여러번 누른다.
그러면, 상기 에어펌프(30)의 반복적인 누름으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홀(31)을 통해 용기본체(10) 내에 주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의 누름부위는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6,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이는 용기본체(10)내에 공기주머니(40)를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용기본체(10)내에 공기주머니(4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공기주머니(40)의 일단은 공기의 주입은 가능하지만 그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지변(41)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공기주머니(40)는 공기저장부(40a)와 팽창부(40b)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내의 저장되는 내용물이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저장부(40a)는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항상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저장부(40a)가 위치하는 부분의 용기본체(10)를 눌러,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저장부(40a)에 저장된 공기가 팽창부(40b)로 전이되고, 이에 따라 상기 팽창부(40b)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팽창부(40b)의 팽창으로부터 상기 용기본체(10)내의 면적은 상기 팽창부(40b)의 팽창되는 면적만큼 줄어들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용물에 대한 토출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 공기저장부(40a)가 위치하는 부분의 용기본체(10)에 대한 누름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팽창부(40b)로 전이된 공기가 다시 공기저장부(40a)로 리턴되면서, 상기 팽창부(40b)는 수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내의 면적은 원래의 상태로 리턴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용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용기의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용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에어펌프가 적용된 튜브용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튜브용기내에 공기주머니가 형성된 상태의 측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튜브용기내에 공기주머니가 형성된 상태의 평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튜브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출구 10; 용기본체
20; 파이프 30; 에어펌프
31; 공기흡입홀 40; 공기주머니
41; 역지변 40a; 공기저장부
40b; 팽창부

Claims (6)

  1. 덮개에 의해 덮혀지는 출구를 마련한 튜브형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눌러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된 후 상기 용기본체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내의 일단에 마련되어 용기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공기흡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는 공기 흡입용으로 양단 개구형의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압력차이에 의해 용기 본체내의 공기와 액상의 내용물이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용기 본체내 안쪽 부위에 위치하는 일단의 개구부는 납작하게 형성하고, 용기본체내 바깥부위에 위치하는 타단의 개구부는 둥근 모양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는 용기본체의 후단측에 마련되는 공기흡입홀을 가진 에어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5. 덮개에 의해 덮혀지는 출구를 마련한 튜브형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눌러 액상의 내용물에 대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용기본체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내에 마련되는 공기주머니; 및 상기 공기주머니의 일단에 형성되어 공기 주입은 가능하지만 그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지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머니는 역지변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 및, 상기 공기저장부의 누름시 전이되는 공기에 따라 팽창하여 용기본체내의 액상 내용물에 대한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팽창부로 분할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KR1020070109309A 2007-10-30 2007-10-30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KR10093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09A KR100932782B1 (ko) 2007-10-30 2007-10-30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09A KR100932782B1 (ko) 2007-10-30 2007-10-30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49A true KR20090043649A (ko) 2009-05-07
KR100932782B1 KR100932782B1 (ko) 2009-12-21

Family

ID=4085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309A KR100932782B1 (ko) 2007-10-30 2007-10-30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2283A (en) * 2010-07-19 2012-02-01 Kraft Foods R & D Inc Foamed beverage pack
KR101468386B1 (ko) * 2013-07-09 2014-12-03 (주)영진팩 백인 바틀의 내층 백 예비 박리방법 및 그 예비 박리장치
KR101518444B1 (ko) * 2013-11-12 2015-05-08 주식회사 오네스 튜브형 화장품용기
US9550622B2 (en) 2010-07-19 2017-01-24 Kraft Foods R&D, Inc.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376A (ko) * 1973-11-28 1975-07-08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2283A (en) * 2010-07-19 2012-02-01 Kraft Foods R & D Inc Foamed beverage pack
US9550622B2 (en) 2010-07-19 2017-01-24 Kraft Foods R&D, Inc. Containers
KR101468386B1 (ko) * 2013-07-09 2014-12-03 (주)영진팩 백인 바틀의 내층 백 예비 박리방법 및 그 예비 박리장치
KR101518444B1 (ko) * 2013-11-12 2015-05-08 주식회사 오네스 튜브형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782B1 (ko) 200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3750C1 (ru) Насос для выдачи текучих сред
US20070017507A1 (en) Sprayer with changeable volume
KR20120128141A (ko)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JPH08318979A (ja) 流体又は半流体の物質を収容し小出しするための装置
KR100932782B1 (ko)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US10968032B2 (en) Refill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JP5798703B1 (ja) 空気遮断型ポンピング容器
JP4785035B2 (ja) 容器
US7475438B2 (en) Portable bidet
KR101942564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JP4975585B2 (ja) 泡噴出容器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JP2001240089A (ja) チューブ容器
JP2008296948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EP1561512B1 (en) Pump unit and container
JP4679014B2 (ja) 粘稠液の注出容器
KR200362343Y1 (ko) 역류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방향제 용기
KR200379905Y1 (ko) 역류 방지 장치를 구비한 리필 가능한 방향제 용기
KR200493057Y1 (ko) 화장품 용기용 에코 펌프
JP5522660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101101288B1 (ko) 유체 흡입수단을 구비하는 유체 저장용기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102587036B1 (ko) 잔량 방지 용기
KR100864141B1 (ko) 포장튜브 외형을 유지하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