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36B1 - 잔량 방지 용기 - Google Patents

잔량 방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36B1
KR102587036B1 KR1020220166122A KR20220166122A KR102587036B1 KR 102587036 B1 KR102587036 B1 KR 102587036B1 KR 1020220166122 A KR1020220166122 A KR 1020220166122A KR 20220166122 A KR20220166122 A KR 20220166122A KR 102587036 B1 KR102587036 B1 KR 10258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ischarge
container
content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민
문준성
김민준
Original Assignee
박승민
문준성
김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민, 문준성, 김민준 filed Critical 박승민
Priority to KR102022016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6Containers with an additional opening for filling or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1Lower closure of the 43-typ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일측에 펌핑부를 갖는 용기의 타측에 펌핑부로 토출이 어려운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캡 및 부배출공으로 구성된 잔량배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용기 저면에 남아 사용이 어려운 내용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출하여 잔량 없이 수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친환경적 잔량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일단에 개방구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개방구에 관통 설치되고,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배출시키는 잔량배출부를 포함하는 잔량 방지 용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잔량 방지 용기 {A RESIDUAL AMOUNT PREVENTION CONTAINER}
개시된 내용은 일측에 펌핑부를 갖는 용기의 타측에 펌핑부로 토출이 어려운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캡 및 부배출공으로 구성된 잔량배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용기 저면에 남아 사용이 어려운 내용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출하여 잔량 없이 수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친환경적 잔량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샴푸나 린스, 바디워시, 헤어젤, 화장품 등은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단에는 펌프(디스펜서)가 형성되어 펌핑 작동에 의해 배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펌프에는 용기의 내부로 인출 및 바닥에 이르는 배출호스가 형성되어 펌핑 작동 시 내용물이 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펌핑식 용기의 경우 내용물의 대부분 소진된 상태에서는 그 배출호스가 잔량의 내용물에 접하지 못하게 되는 것인바, 그 잔량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배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용물의 약 5% 정도가 용기내에 잔류하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고, 더구나 용기 폐기시 잔류한 내용물이 흘러서 취급이 어렵고, 용기내에 잔류하고 있는 내용물이 원액이므로 폐기 처리시 환경적인 문제도 유발한다.
따라서,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단의 펌프를 제거한 상태에서 용기를 뒤집어 배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출 사용 또한 내용물의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남아있는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의 중간 부분을 칼 등을 이용하여 절개 개방한 상태에서 그 잔량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절단 사용의 경우 상부가 개방되는 특성상 내용물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사용 중 자칫 날카로운 절단 단부를 통해 찰과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 내용물을 완전히 추출하는 잔량 방지 용기가 일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잔량 방지 용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7135호 (2015.09.23. 공개)는 용기의 구조가 상호 분리력이 우수한 두 종류의 수지를 사용한 내측 필름층과 외측층을 가진 이중 구조이며, 내측 필름층은 적절한 굽힘 탄성율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고, 브로우 성형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내측 필름층을 일부분 외측용기층에 부착함으로서 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주입시 필름의 불균일한 수축을 방지한 기술이며, 용기의 저부는 파팅라인의 분리에 의한 저부의 구멍 발생을 방지하기위해 내측층의 필름을 잡아주는 물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용기 성형시는 사용하는 브로우 핀(blow pin)의 직경과 길이를 조정하여 내부 필름층의 눌림에 의한 에어홀 브로킹(blocking)을 방지하고, 용기 주둥이 부위의 외측층에만 천공을 한 구조로서 에어리스 압축펌프를 사용하여 압축을 하면 천공구멍을 통하여 내측층과 외측층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서 내측 필름층을 압축하게 되고, 그 결과 내측층에 담긴 용기의 내용물을 완전히 추출할 수 있는 용기의 내용물을 전량 추출할 수 있는 잔량방지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614호 (2019.12.23. 등록)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절개편이 형성된 외측용기 및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에 융착 고정되고, 상기 외측 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내압 감소 시 수축되는 내측 용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하단에 절개편이 형성된 외측 용기가 구비되고, 외측 용기 내주면에 내측 용기가 밀착 구비됨으로써, 펌프질에 의해 용기 내용물 배출 시 내압에 의해 내측 용기가 수축되면서 잔량이 모두 펌프질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잔량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잔량 방지 용기의 경우에는 내용물의 잔량을 완전히 토출하여 사용하기 위해 용기를 이중 구조로 제조하거나 용기에 모터와 같은 복잡한 구성을 부가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단순하지 않아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펌프식 용기에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만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용기 바닥에 남아 펌프로 토출이 어려운 잔량의 내용물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경제적일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잔량 방지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7135호 (2015.09.23. 공개)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614호 (2019.12.23. 등록)
일단에 개방구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개방구에 관통 설치되고,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배출시키는 잔량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량배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통공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용기본체와 연통하도록 상기 캡에 통공되고,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이 배출되는 부배출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용기 저면에 남아 사용이 어려운 내용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출하여 잔량 없이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친환경적 잔량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일단에 개방구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개방구에 관통 설치되고,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배출시키는 잔량배출부를 포함하는 잔량 방지 용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잔량배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통공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캡의 외주를 커버하는 캡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커버부재는, 일측에 커팅라인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포장 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상기 배출구와 이음연결되지 않은 단일체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배출구의 일측 일정 범위를 밀폐하는 제1캡 및 상기 제1캡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캡에 커버되지 않은 상기 배출구의 타측 일정 범위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캡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잔량배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연통하도록 상기 캡에 통공되어,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이 배출되는 부배출공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배출공은 상기 캡과 이음연결되고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캡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축 및 연장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캡은,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부배출공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배출경사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출경사면은 상기 캡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상기 배출경사면을 따라 하방 이동하여 상기 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잔량 방지 용기에 의하면, 일측에 펌핑부를 갖는 용기의 타측에 펌핑부로 토출이 어려운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캡 및 부배출공으로 구성된 잔량배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용기 저면에 남아 사용이 어려운 내용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출하여 잔량 없이 수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통공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배출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펌핑부로 토출이 어려운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의 중간 부분을 날카로운 칼 등을 이용하여 절개 개방할 필요없이 캡의 개방만으로 용이하게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어, 날카로운 절단 단부로 인한 찰과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용기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캡이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부배출공을 중심으로 원뿔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진 배출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캡 상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배출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부배출공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잔량 방지 용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부배출공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잔량 방지 용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b)는 개시된 내용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c)는 개시된 내용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잔량 방지 용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잔량 방지 용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잔량 방지 용기(1)는 용기의 바닥면에 남아 펌핑부(200)로 토출이 어려운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잔량 방지 용기(1)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 펌핑부(200) 및 잔량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일단에 개방구를 갖고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샴푸나 린스, 바디워시, 헤어젤,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일반적인 용기의 하우징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는 개방된 일단에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200)가 배치되고, 타단에 잔량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상기 잔량배출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단에 개방구 및 하단에 후술할 배출구(310)가 통공되며, 상단 개방구에 펌핑부(200)가 장착되어 개방구를 밀폐하고, 하단 배출구(310)에 후술할 캡(320)이 장착되어 개방된 배출구(310)를 밀폐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용기본체(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고 직립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200)는 상기 개방구에 관통 설치되고, 내부 수용물질을 펌핑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핑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개방구를 관통하면서 펌핑 작용에 의해 용기본체(100)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펌핑수단(220), 상기 펌핑수단(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수단(220)에 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펌핑헤드(210), 상기 펌핑수단(220)과 연통하며 상기 펌핑수단(220)의 펌핑 작용에 의해 유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관(240) 및 상기 펌핑수단(220)과 연통하여 상기 펌핑수단(220)의 펌핑 작용에 의해 용기본체(1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끌어 올려 흡입하는 길이 방향의 흡입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펌핑부(200)는 펌핑헤드(210)가 안정적인 상, 하 유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펌핑수단(220)의 펌핑 작용으로 토출되는 내용물이 흡입관(230)을 통해 상승 이동하고 토출관(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잔량배출부(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잔량배출부(300)는 용기본체(100)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펌핑부(200)로 펌핑되지 않아 사용이 어려운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펌핑부(200)로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 후 펌핑부(200)로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을 때 적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잔량배출부(300)는 배출구(310), 캡(320), 캡커버부재(330), 부배출공(340) 및 배출경사면(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1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타단에 통공된 구성이다.
즉, 상기 배출구(310)는 개방된 용기본체(100) 하단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캡(320)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310)는 상기 캡(320)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내용물의 어느 정도 사용되면 캡(320) 상에 밀착된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캡(320)에 의해 개방되어 사용자가 잔량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b)는 개시된 내용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c)는 개시된 내용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캡(320)은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310)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320)은 상기 배출구(310)를 밀폐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배출구(3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구(310)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상기 배출구(310)와 이음연결되지 않은 단일체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3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즉, 상기 캡(320)은 배출구(310)를 밀폐하는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배출구(310)의 개방이 필요할 때는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32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310)의 일측 일정 범위를 밀폐하는 제1캡(321), 상기 제1캡(321)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캡(321)에 커버되지 않은 상기 배출구(310)의 타측 일정 범위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캡(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320)은 제1캡(321)과 제2캡(322)으로 배출구(310)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캡(321)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배출구(310)의 일정 범위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캡(322)은 상기 제1캡(321)과 연결되어 배출구(310)의 나머지 부분을 밀폐하고, 제1캡(321)과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하 회전되어 제2캡(322)에 밀폐되었던 배출구(3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2캡(322)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측에 배출구(310)를 덮은 상태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미도시)은 일반적인 뚜껑에 사용되는 공지의 것을 제한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3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용기본체(100)와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하 회전되어 배출구(3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캡(32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310)와 이음연결되지 않은 단일체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3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320)은 일반적인 뚜껑의 구조를 갖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310)를 덮은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커버부재(330)는 상기 캡(320)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 커팅라인(331)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포장 비닐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커버부재(330)는 상기 캡(320)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잔량배출부(300)가 밀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펌핑부(200)로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할 때는 잔량배출부(300)가 밀봉된 상태로 용기(1)가 사용되고, 펌핑부(200)로 내용물의 토출이 어려워 잔량배출부(300) 사용이 필요할 때 개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캡커버부재(330)는 밀봉된 상태가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도록 일측에 커팅라인(33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커팅라인(331)을 이용하여 캡커버부재(330)를 제거한 후 잔량배출부(300)의 캡(320)이나 부배출공(340)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커버부재(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 비닐일 수 있으나, 상기 캡커버부재(33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캡(320)을 감싸 밀봉하거나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부배출공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배출공(3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와 연통하도록 상기 캡(320)에 통공되고,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이 용기(1)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배출공(340)은 상기 캡(320)과 이음연결되고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용기본체(100)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캡(32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축 및 연장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배출공(340)은 상기 캡(320)에 형성되는 통공일 수 있으며, 중심부에 용기본체(100)와 연통된 통공을 갖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플랙서블한 재질의 튜브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배출공(3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마개(3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배출공(340)은 마개(341)가 일측에 연결된 통공일 수 있으며, 일측에 마개(341)가 연결된 일정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의 통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배출공(340)이 튜브 형상일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배출공(340)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튜브 형상의 부배출공(340)의 측면이 용기본체(100) 내부로 삽입되어 캡(320) 저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배치되고 사용시 삽입된 부배출공(340)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캡(320) 외측으로 돌출되어 캡(320) 외측으로 돌출된 튜브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배출공(340)은 상기 캡(320)에 통공된 구성으로, 상기 캡(320)과 함께 캡커버부재(330)로 밀봉되고, 사용자에 의해 캡커버부재(330)가 개봉된 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배출공(340)은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에 남아 있는 잔량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개(341)를 열어 부배출공(340)을 개방하면 펌핑부(200)에 의해 토출이 어려운 내용물이 하측 부배출공(340)을 통해 외부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32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캡(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한 튜브 형상의 부배출공(340)이 연장될 때 부배출공(340)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배출경사면(350)을 갖도록 원뿔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경사면(350)은 용기본체(100)의 바닥면 즉, 상기 캡(320)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상기 배출경사면(350)을 따라 상기 부배출공(340) 측으로 하방 이동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개시된 내용에 따른 잔류 방지 용기(1)는 사용자가 펌핑부(200)를 통해 일반적인 제품과 동일하게 내용물을 사용한 후 펌핑부(200)로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을 경우 캡커버부재(330)를 해체하여 잔량배출부(300)를 노출하고, 상기 부배출공(340)의 마개를 열어 용기본체(100) 바닥면의 내용물이 부배출공(340)으로 흘러나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부배출공(340)을 당겨 상기 캡(320)에 배출경사면(350)을 형성한 후 부배출공(340)의 마개(341)를 열어 바닥면의 내용물이 흘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배출공(340)을 통한 잔량 배출 후에는 상기 캡(320)을 개방하여 용기본체(100) 내부에 밀착되어 있는 내용물 모두를 수거하여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잔량 방지 용기에 의하면, 일측에 펌핑부를 갖는 용기의 타측에 펌핑부로 토출이 어려운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캡 및 부배출공으로 구성된 잔량배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용기 저면에 남아 사용이 어려운 내용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출하여 잔량 없이 수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통공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배출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펌핑부로 토출이 어려운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의 중간 부분을 날카로운 칼 등을 이용하여 절개 개방할 필요없이 캡의 개방만으로 용이하게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어, 날카로운 절단 단부로 인한 찰과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용기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캡이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부배출공을 중심으로 원뿔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진 배출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캡 상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배출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부배출공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잔량 방지 용기
100 : 용기본체 200 : 펌핑부
210 : 펌핑헤드 220 : 펌핑수단
230 : 흡입관 240 : 토출관
300 : 잔량배출부 310 : 배출구
320 : 캡 321 : 제1캡
322 : 제2캡 330 : 캡커버부재
331 : 커팅라인 340 : 부배출공
341 : 마개 350 : 배출경사면

Claims (7)

  1. 일단에 개방구를 갖는 용기본체;
    상기 개방구에 관통 설치되고,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배출시키는 잔량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량배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타단에 통공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캡의 외주를 커버하는 캡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커버부재는,
    일측에 커팅라인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포장 비닐이고,
    상기 잔량배출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연통하도록 상기 캡에 통공되어,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이 배출되고, 일측에 힌지 결합된 마개가 형성된 부배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부배출공은,
    상기 캡과 이음연결되고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캡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축 및 연장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은,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부배출공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배출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경사면은,
    상기 캡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상기 배출경사면을 따라 하방 이동하여 상기 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상기 배출구와 이음연결되지 않은 단일체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배출구의 일측 일정 범위를 밀폐하는 제1캡; 및
    상기 제1캡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캡에 커버되지 않은 상기 배출구의 타측 일정 범위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66122A 2022-12-01 2022-12-01 잔량 방지 용기 KR10258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122A KR102587036B1 (ko) 2022-12-01 2022-12-01 잔량 방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122A KR102587036B1 (ko) 2022-12-01 2022-12-01 잔량 방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036B1 true KR102587036B1 (ko) 2023-10-11

Family

ID=8829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122A KR102587036B1 (ko) 2022-12-01 2022-12-01 잔량 방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0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986U (ko) * 2009-04-30 2010-11-09 박종환 다용도 용액(점성액)절약용기장치
KR20130002854U (ko) * 2011-11-04 2013-05-14 임현우 알뜰 펌핑 용기
KR20150107135A (ko) 2014-03-13 2015-09-23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용기의 내용물을 전량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잔량방지 용기의 제조방법
KR20160046948A (ko) * 2014-10-20 2016-05-02 (주)아모레퍼시픽 이중구조를 갖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잔량 방지 펌프용기
KR200490189Y1 (ko) * 2019-06-21 2019-10-08 박정길 내용물 잔량 방지구조를 갖는 펌프식 용기
KR102060614B1 (ko) 2019-04-04 2019-12-30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이중 구조로 형성된 잔량 방지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986U (ko) * 2009-04-30 2010-11-09 박종환 다용도 용액(점성액)절약용기장치
KR20130002854U (ko) * 2011-11-04 2013-05-14 임현우 알뜰 펌핑 용기
KR20150107135A (ko) 2014-03-13 2015-09-23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용기의 내용물을 전량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잔량방지 용기의 제조방법
KR20160046948A (ko) * 2014-10-20 2016-05-02 (주)아모레퍼시픽 이중구조를 갖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잔량 방지 펌프용기
KR102060614B1 (ko) 2019-04-04 2019-12-30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이중 구조로 형성된 잔량 방지 용기
KR200490189Y1 (ko) * 2019-06-21 2019-10-08 박정길 내용물 잔량 방지구조를 갖는 펌프식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975B2 (en) Airless pump and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KR100785915B1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JP6137503B2 (ja) 持ち運び可能な詰替え式のクリームディスペンサ
KR100525455B1 (ko)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타입 화장품 용기의 정량 토출구조
US6889873B1 (en) Pouch and packaging and distribution unit
KR20040053054A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JP5208876B2 (ja) 二重容器
KR102587036B1 (ko) 잔량 방지 용기
KR200270335Y1 (ko) 이종의 화장품 저장용기
CN113827023A (zh) 容器
KR102501294B1 (ko)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KR102306251B1 (ko) 내용물 용기
JP3516517B2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用のディップチューブ
KR20230048653A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JP4679014B2 (ja) 粘稠液の注出容器
JP2602764Y2 (ja) 積層型容器
JP3544040B2 (ja) ポンプ付き容器
KR102415118B1 (ko) 펌프 용기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CN114786530B (zh) 双重容器
KR200338766Y1 (ko) 화장품용기
KR20230167862A (ko) 화장솜케이스가 부착된 에어리스펌프용기
KR102668248B1 (ko) 밀폐용기용 커버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