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286B1 -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 Google Patents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286B1
KR100673286B1 KR1020050078819A KR20050078819A KR100673286B1 KR 100673286 B1 KR100673286 B1 KR 100673286B1 KR 1020050078819 A KR1020050078819 A KR 1020050078819A KR 20050078819 A KR20050078819 A KR 20050078819A KR 100673286 B1 KR100673286 B1 KR 10067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elastic beam
beam part
guide block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원
김석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컴
Priority to KR102005007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2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6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 G01R1/07378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using an intermediate adapter, e.g. space transfor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A probe card of a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a probe block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reliability of a semiconductor wafer chip test process by minimizing leakage current in a signal transferring process. A probe block(130) includes a guide block(132) and a plurality of probes(150). The guide block includes a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loading part having slots. Each of the probes includes a first and second elastic beam part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The probe further includes a connective beam part which is positioned at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eam parts are extend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ve beam part in order to be elastically fixed to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Description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 및 그 프로브 카드에 사용되는 프로브 블록{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카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be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be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카드의 소켓 프레임과 프로브 블록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frame and a probe block of the probe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b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의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of a p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블록의 단면도들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rob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카드의 요부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 probe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블록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ob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블록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ob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블록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0 and 11 illustrate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ob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전자기판110: electromagnetic plate

120 : 소켓 프레임120: socket frame

130 : 프로브 블록130: probe block

150 : 프로브 150 probe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에 집적된 IC칩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프로브카드(probe card) 및 그 프로브 카드에 사용되는 프로브 블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ard for inspecting whether an IC chip integrated in a semiconductor wafer is defective and a probe block used in the probe card.

반도체 집적회로의 검사 공정에는 웨이퍼 상태에서 IC 칩 검사를 하는 웨이퍼 프로빙 검사가 있으며, 이 프로빙 검사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전기적 특성시험으로서, 어셈블리 공정에서 불량 칩을 사용하는 생산 공정을 줄여 생산 비용의 불필요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spection process, there is a wafer probing inspection that performs IC chip inspection in a wafer state. This probing inspection is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test of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This is to prevent the increase.

일반적인 웨이퍼 프로빙 검사 장치는, 웨이퍼 상태에서 IC 칩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검사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검사헤드가 있으며, 프로브 카드는 상기 검사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도체 IC 칩이 형성된 웨이퍼가 프로브 카드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웨이퍼 프로브 스테이션이 설치된다.A typical wafer probing inspection apparatus has an inspection hea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spection system for performing IC chip inspection in a wafer state, and a probe card includes a probe c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pection head and a wafer on which a semiconductor IC chip is formed. The wafer probe station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placed in contact.

프로브 카드는 웨이퍼상의 각 칩을 테스트하기 위해 전자기판에 에폭시수지로 니들을 고정시킨 후, 검사하고자 하는 웨이퍼의 칩 패드에 프로브 카드의 니들을 접촉시키고, 이 니들을 통해 측정 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그때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게 된다. The probe card is fixed by fixing the needle with an epoxy resin on the electromagnetic plate to test each chip on the wafer, and then contacting the needle of the probe card with the chip pad of the wafer to be inspected, and energizing the measurement current through the needle. Electrical characteristics will be measured.

그러나, 기존의 프로브 카드는 니들형의 프로브들을 고정하는데 에폭시 수지 를 사용하기 때문에, 프로브들이 에폭시 수지의 변형(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작용) 및 변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평탄도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경우 칩 테스트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프로브 교체에 따른 원가 상승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robe card uses an epoxy resin to fix the needle-type probes, the flatness is not changed in the process of the probes repeatedly deforming (shrink and expand with the temperature change) and deformation of the epoxy resin. Occurr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hip test is not only deteriorated but also a cost increase factor due to the probe replacement.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블레이드형의 프로브가 제안되었으나, 블레이드형의 프로브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서 신호 전달에 불안전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브들(블레이드형)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물이 필요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어렵고 힘든 단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조립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까지 발생되고 있다. 특히, 블레이드형의 프로브는 고정구조물에 의해 프로브 홀더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구조물을 제거해야만 프로브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lade-type probe has been proposed, but the blade-type probe has a larg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not only has instability in signal transmission, but also requires a separate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probes (blade type). Since the assembly work is difficult and difficult disadvantag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time is delay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In particular, since the blade-type probe is fixed to the probe holder by the fixing structure, the probe can be replaced only by removing the fixing structure, and thus has a low maintenance 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과정이 단순한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 및 그 프로브 카드에 사용되는 프로브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card of a new type semiconductor inspection apparatus with a simple assembly process and a probe block used for the probe car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브의 교체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 및 그 프로브 카드에 사용되는 프로브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card of a new type of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in which a probe can be easily replaced, and a probe block used for the probe car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에 고정 가능한 프로브가 구비된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 및 그 프로브 카드에 사용되는 프로브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card of a semiconductor inspection apparatus having a probe that can be fixed to a guide block by using its elasticity, and a probe block used for the probe car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브 블록은 일측면에 홈을 갖는 그리고 상기 일측면에는 슬롯들이 형성된 장착부를 갖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롯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프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Prob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uide block having a groove having a groove on one side and the slot is formed on one side; It may include probes that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and is elastically fixed to the slo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홈에 위치되는 연결빔부, 상기 연결빔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의 홈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제1탄성빔부와 제2탄성빔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ay include a connecting beam part positioned in a groove of the guide block, a first elastic beam part and a second elasticity that are bent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eam part and elastically fixed to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It may include a beam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블록의 장착부는 상기 홈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슬롯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와 제2탄성빔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블록의 걸림턱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제1탄성빔부와 상기 제2탄성빔부에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guide block further includes a locking jaw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ot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roove, respectively, wherein the probe is the first elastic bea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or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ok hooks may further include hook hooks formed in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to be fixed to the locking jaws of the guide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제1접촉단과 상기 웨이퍼의 칩패드로 제공될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기 위해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제2접촉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단은 상기 제1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단은 상기 제2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tact end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of the wafer and a second contact en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d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chip pad of the wafer; The first contact en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the second contact en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접촉단과 상기 제2접촉단은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end and the second contact end may be of a spring ty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블록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부의 슬롯들에 결합되는 프로 브들은 제1접촉단이 서로 엇갈려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block, the probes coupled to the slots of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lock may be positioned with the first contact end alternate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는 일면에 접속패드들을 갖는 전자기판; 상기 전자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소켓 프레임; 상기 소켓 프레임에 결합되는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 홈이 형성된 장착부를 갖는 가이드 블록들;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고정되되, 상기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일단과,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타단을 갖는 프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Probe card of the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lectromagnetic plate having a connection pad on one surface; A socket fram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Guide blocks coupled to the socket frame and having mounting portions grooved in at least one side; And probe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guide block and elastically fixed to each other and having one end contacting the connection pad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and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chip pad of the waf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장착부의 홈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제1탄성빔부와 제2탄성빔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ay include a first elastic beam part and a second elastic beam part which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mounting part of the guide block and are elastically fix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장착부에 상기 프로브의 제1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과, 상기 프로브의 제2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lock may include slots into which the first elastic beam part of the probe is fitted and fixed, and slots into which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of the probe is fitted and fix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와 상기 제2탄성빔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beam part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제1접촉단과, 상기 제2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제2접촉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beam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of the wafer, and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beam portion to connect the electromagnetic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act end in contact with the p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탄성빔부와 상기 제2탄성빔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탄성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탄성빔부는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제1접촉단을 갖고, 상기 제4탄성빔부는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제2접촉단을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further includes a third elastic beam part bent from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a fourth elastic beam part bent from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and the third elastic beam The part may have a first contact end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of the wafer, and the fourth elastic beam part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en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d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저면에 상기 제3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4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lock may have slots in which the third elastic beam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slots in which the fourth elastic beam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 프레임에 상기 가이드 블록을 고정 및 평탄도 조절을 위한 복수의 볼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ket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olts for fixing and adjusting the flatness of the guide block.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together for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의도는 프로브(150)들과 가이드 블록(132)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3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프로브(150)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The basic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fixing of the probes 150 and the guide block 132. To achieve this, the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to the guide block 132 by using its own elasticity.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robe 150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it.

일반적으로, 반도체 웨이퍼 검사를 위한 프로빙 검사 장치는 웨이퍼 상태에 서 IC 칩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테스트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검사 헤드가 있으며, 프로브 카드는 검사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도체 칩이 형성된 웨이퍼는 웨이퍼 프로브 스테이션에 놓여져 프로브 카드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In general, a probing inspection apparatus for semiconductor wafer inspection has an inspection hea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st system for performing IC chip inspection in a wafer state, and a probe c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pection head and a semiconductor chip is formed. The wafer is placed in a wafer probe station and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can contact the probe card.

여기서 프로브 카드(100)는 기판상의 각 칩(chip)을 테스트하기 위해 전자기판(110) 상에 장착된 프로브 블록(130)의 프로브(probe;150)를 테스트하고자 하는 칩의 패드(pad;W1)(도 6b 참조)에 접촉시킨 후, 테스트 시스템(TEST SYSTEM)의 전기적 시그널(SIGNAL)을 칩으로 전해주는 장치로써, 기판이 실질적인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테스트의 각 신호 배선과 기판상의 각 패드를 칩 단위로 동시에 접속시켜주는 핵심적인 검사장치이다. The probe card 100 is a pad W1 of a chip to test a probe 150 of a probe block 130 mounted on an electromagnetic plate 110 to test each chip on a substrate. (See Fig. 6b), and then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SIGNAL) of the test system (TEST SYSTEM) to the chip, each signal wiring of the test and each pad on the board so that the board can actually test It is a core inspection device that connects at the same time by chip.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100)는 절연 기판상에 도체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판(110)과, 전자기판(110)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켓 프레임(120) 그리고 이 소켓 프레임(1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8개의 프로브 블록(130)들을 포함한다. 1 to 3, the probe car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ic plate 110 having a conductive wiring pattern formed on an insulating substrate, and a socket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The frame 120 and eight probe blocks 130 ar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ocket frame 120.

여기서, 전자기판(110)은 스페이스 트랜스포머(Space Transformer) 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is made of a space transformer or a printed circuit board.

그리고 전자기판(110)은 상면에 테스트 헤드(미도시됨)의 핀들과 접촉되어 테스트 신호를 전달받는 다수의 핀접촉부(미 도시됨)를 갖으며, 저면에 프로브 블록(130)의 프로브(150)들과 접촉되는 접속패드(114)들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has a plurality of pin contacts (not shown) contacting the pins of the test head (not shown) to receive a test signal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probe 150 of the probe block 130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 And a circular plate with connection pads 114 in contact with them.

소켓 프레임(120)은 4개의 고정볼트(10)에 의해 전자기판(110)의 저면에 장착된다. 소켓 프레임(120)은 전자기판(110)의 저면과 마주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고정핀(122)을 갖으며, 소켓 프레임(120)이 전자기판(110)의 저면에 장착될 때, 고정핀(122)은 전자기판(110)의 저면에 형성된 홈(119)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소켓 프레임(120)은 프로브 블록(130)들이 장착되는 4개의 장착부(124)를 갖는다. 장착부(124)는 오프닝(125)과 오프닝(125) 양측에 나사홀(126)들을 갖는다. The socket frame 12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by four fixing bolts 10. The socket frame 120 has a plurality of fixing pins 122 protruding from one surface facing the bottom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and when the socket frame 12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the socket frame 120 is fixed. The pin 122 is fitted into the groove 119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Meanwhile, the socket frame 120 has four mounting units 124 on which the probe blocks 130 are mounted. The mounting part 124 has the opening 125 and the screw holes 126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25.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카드(100)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프로브 블록(130)은 가이드 블록(132)과 이 가이드 블록(132)에 클립(clip)방식으로 탈 부착되는 다수의 프로브(150)들을 포함한다. 프로브(150)는 가이드 블록(132)의 홈(132a)에 결합될 때 약간 좁혀지면서(수축되면서) 슬롯(136)에 끼워지게 되고, 수축되었던 프로브(150)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블록(132)의 홈(132a) 상면과 저면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즉, 프로브(150)는 가이드 블록(132)의 홈(132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다.4 to 7, the probe block 130,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obe card 1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guide block 132 and the guide block 132 in a clip mann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bes (150). When the probe 150 is coupled to the groove 132a of the guide block 132, the probe 150 is narrowed (constricted) to be inserted into the slot 136, and the retracted probe 15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elastic force. The guide block 132 is to be elastically fix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groove (132a). That is, the probe 150 is fixed to the groove 132a of the guide block 132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프로브(150)는 얇은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타입으로, 가이드 블록(132)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The probe 150 is a blade type made of a thin conductive metal plate and has a structural feature that can be elastically fitted to and coupled to the guide block 132.

프로브(150)의 구조적인 특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프로브(150)는 제1탄성빔부(152), 제1탄성빔부(15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연결빔부(154), 연결빔부(154)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탄성빔부(156)를 갖는다. Looking at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obe 150 in more detail, the probe 150 is the first elastic beam portion 152, the connecting beam portion 154 formed by b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eam portion 152, the connecting beam portion 154 It has a second elastic beam portion 156 is bent from the end of the.

프로브(150)의 제1탄성빔부(152)와 제2탄성빔부(156) 그리고 연결빔부(154) 는 가이드블록(132)의 홈(132a)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제1탄성빔부(152)와 제2탄성빔부(156)는 슬롯(136)에 끼워져 고정된다.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156, and the connection beam part 154 of the probe 150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132a of the guide block 132, and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is provided.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156 are fitted into the slot 136 and fixed.

제1,2탄성빔부(152,156)는 홈(132a)과 슬롯(136)속에 은폐되기 때문에 별도의 절연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단(152b)은 반도체 웨이퍼(w)의 칩 패드(w1)와 접촉될 때, 제1접촉단(152b)이 받는 힘을 제1탄성빔부(152)가 흡수하여 휘어지면서 제1접촉단(152b)들간의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값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eam parts 152 and 156 are concealed in the grooves 132 a and the slots 136,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insulation and a special effect of enabling stable signal transmiss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when the first contact end 152b comes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w1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 receives a force applied to the first contact end 152b. As the 152 is absorbed and bent, it is possible to secure an overdrive value between the first contact ends 152b.

제1탄성빔부(152)는 홈(132a)의 저면쪽으로 향해 돌출된 걸림후크(152a)와, 제1탄성빔부(152)의 끝단에 하향 절곡되어 가이드 블록(132)의 슬롯(136)으로부터 노출되는 제1접촉단(152b)을 갖는다. 이 제1접촉단(152b)은 피검사체인 반도체 웨이퍼의 칩 패드(w1)에 접촉되는 부분이며, 걸림후크(152a)는 홈(132a)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134)에 걸리는 부분이다. 제1접촉단(152b)과 제2접촉단은 반도체 웨이퍼(W)의 칩 패드(W1)와 전자기판(110)의 접속패드(114)와 접촉될 때 슬롯(136) 속에서 안정적인 업-다운(휘어짐)이 가능하다(도 6b 참조).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is bent downwardly at the end of the hook hook 152a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groove 132a and exposed from the slot 136 of the guide block 132. It has a first contact end 152b. The first contact end 152b is a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w1 of the semiconductor wafer to be inspected, and the hook hook 152a is a portion that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13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32a. The first contact end 152b and the second contact end are stable up-down in the slot 136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W1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the connection pad 114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Bent) is possible (see FIG. 6B).

프로브(150)는 제1탄성빔부(15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연결빔부(154)와 연결빔부(154)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탄성빔부(156)를 갖는다. 제2탄성빔부(156)는 제1탄성빔부(152)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블록(132)에 형성된 슬롯(136)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2탄성빔부(156) 역시 제1탄성빔부(152)와 마찬가지로 걸림후크(156a)와, 제2탄성빔부의 끝단에 상향 절곡된 제2 접촉단(158a)을 갖는다. 제2접촉단(158a)은 반도체 웨이퍼의 칩 패드(미도시됨)로 제공된 테스트 신호를 전달받기 위해 전자기판(110)의 접속패드(114)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The probe 150 has a connection beam part 154 formed by b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and a second elastic beam part 156 formed by bending from an end of the connection beam part 154.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156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and is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slot 136 formed in the guide block 132. Like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156 also has a hook hook 156a and a second contact end 158a bent upwardly at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The second contact end 158a is a part contacting the connection pad 114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to receive the test signal provided to the chip pad (not show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150)는 제1탄성빔부(152)와 제2탄성빔부(156)가 가이드 블록(132)의 홈(132a)에 삽입되고 가이드 블록(132)에 형성된 슬롯(136)에 끼워지면서 프로브(150)들 간의 간격이 유지되게 되고, 제1탄성빔부(152)와 제2탄성빔부(156)의 걸림후크(152a,156a)가 가이드 블록(132)의 걸림턱(134)에 걸리면서 프로브(150)가 가이드 블록(132)의 홈(132a)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be 150 has a slot 136 in which the first elastic beam portion 152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ortion 156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132a of the guide block 132 and formed in the guide block 132. The gap between the probes 150 is maintain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ap, and the engaging hooks 152a and 156a of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156 are engaged with the guide block 132. While being caught in the probe 150 is held so as not to fall out of the groove 132a of the guide block 132.

가이드 블록(132)은 세라믹 재질의 소정길이를 갖는 사각 블록으로, 양측면에는 프로브(150)들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부(131)를 갖는다. 장착부(131)는 측면으로부터 형성된 홈(132a)과, 일측면과 홈(132a)의 내부에 프로브(150)들이 끼워져 고정되는 수개의 슬롯(136)들이 반도체 웨이퍼의 칩 패드(W1)들의 간격에 따라 제공되며, 그 홈(132a)의 상면과 저면에는 걸림턱(134)이 각각 제공된다. 이 걸림턱(134)에는 프로브(150)의 걸림후크(152a,156a)가 걸리면서 고정이 된다. 가이드 블록(132)과 소켓 프레임(120)의 결합은 소켓 프레임(120)의 장착부(124)에 형성된 나사홀(126;도 3에 도시됨)들에 결합되는 볼트(180)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guide block 132 is a rectangular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a ceramic material, and has mounting parts 131 on which both sides of the probes 150 are inserted. The mounting portion 131 has a groove 132a formed from a side surface, and several slots 136 to which the probes 150 are inserted and fixed in one side and the inside of the groove 132a are formed at intervals between the chip pads W1 of the semiconductor wafer. It is provided along, and the engaging jaw 134 is provid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groove 132a, respectively. The hooking jaw 134 is fixed while the hooks 152a and 156a of the probe 150 are caught. The coupling of the guide block 132 and the socket frame 120 is made by bolts 180 coupled to the screw holes 126 (shown in FIG. 3)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24 of the socket frame 120.

한편, 가이드 블록(132)은 홈(132a)과 슬롯들(136) 가공을 위해 상부 블록(a)과 하부 블록(b)으로 나누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블록(132)의 양측면에 장착부(131)가 각각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장착부(131)는 필요에 따라 가이드 블록(132)의 일측면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block 132 is divided into an upper block (a) and a lower block (b) for processing the groove 132a and the slots 136 may be manufactured after each assemb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s 131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lock 132,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mounting portion 131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guide block 132 as necessary. May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100)는 프로브(150)가 가이드 블록(132)에 고정되는 구조 방식 자체가 프로브(150)의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브(150) 고정을 위한 부품이 필요치 않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특히, 프로브(150)는 제1접촉단(152b)과 제2접촉단(158a) 사이 길이를 짧게 구현할 수 있고,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에 신호 전달과정에서의 누설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브 블록(130)은 가이드 블록(132)에서 프로브(150)의 분리 교체가 선택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브(150)의 교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be car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probe 150 is fixed to the guide block 132 itself uses the elastic force of the probe 150, it is necessary to fix the separate probe 150. There is no need for parts. In particular, the probe 150 may shorten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contact end 152b and the second contact end 158a, and may have a simple shape to minimize the leakage current in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probe block 130 may selectively replace and replace the probe 150 in the guide block 132, the probe block 130 may be easily replaced.

한편, 테스트를 오래 하다보면 물리적인 접촉 압력으로 인하여 프로브 블록(130)의 평탄도가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 각각의 가이드 블록(130)들은 양단에 장착된 볼트(180)를 조이거나 푸는 방법으로 개별적인 평탄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처럼, 가이드 블록(132)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볼트(180)만을 사용하는 경우 x축의 평탄도만 조절할 수 있으나, 도 8에서와 같이 가이드 블록(132)의 양단에 각각 2개씩 총 4개의 볼트(180)를 사용한다면 x축과 y축의 평탄도 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정밀하게 평탄도를 맞출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the test is long, the flatness of the probe block 130 is inclined due to the physical contact pressure. In this case, each of the guide blocks 130 tightens or loosens the bolts 180 mounted at both ends. Individual flatness adjustment is possible.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only one bolt 180 is used at each end of the guide block 132, only the flatness of the x-axis can be adjusted. However, as shown in FIG. If four bolts 180 are used, the flatness of the x-axis and the y-axis can be adjusted to more accurately match the flatness.

(프로브 블록의 제1변형예) (First Modification of Probe Block)

도 9는 프로브 블록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obe block.

도 9를 참조하면, 프로브 블록(130')은 앞에서 설명한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100)의 프로브 블록(130)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가이드 블 록(132')과 프로브(150')들을 포함하여,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변형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probe block 130 ′ includes a guide block 132 ′ and a probe 15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probe block 130 of the probe car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cluding the '),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modification because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다만, 본 변형예에서 프로브(150')들은 도 5에 도시된 프로브(150)와 유사한 구조를 갖되, 제1탄성빔부(152)의 제1접촉단(152b')과 제2탄성빔부(156)의 제2접촉단(158a')이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처럼 스프링 타입의 제1,2접촉단(152b',158a')은 반도체 웨이퍼(W)의 칩 패드(W1)와 전자기판(110)의 접속패드(114)와 접촉될 때 충분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제1,2접촉단(152b',158a')들의 높이차이로 인한 접촉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가이드 블록(132')의 평탄도 조절을 하는 과정에서 전자기판(110)의 접속패드(114)와 제2접촉단(158a')간의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제2접촉단(158a')이 충분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오버드라이브 값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9에서 제1,2접촉단(152b',158a')의 변형 상태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프로브(150")는 제1,2접촉단(152b,158a')들의 높낮이에 대한 오차 값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오버드라이브 값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probes 150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probe 150 shown in FIG. 5, and the first contact end 152b'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156 of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The second contact end 158a 'of the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spring type. As such, the spring type first and second contact ends 152b 'and 158a' have sufficient elastic force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W1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the connection pad 114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nds 152b 'and 158a' have an advantage of minimizing contact failure due to height differenc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flatness of the guide block 132 ',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d 114 and the second contact end 158a'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is narrowed, the second contact end 158a 'is reduced. This sufficient elastic force ensures an overdrive value. For reference, in FIG. 9, the deformation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nds 152b ′ and 158a ′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The probe 150 ″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n elastic force capable of sufficiently compensating an error value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nds 152b and 158a ', thereby securing an overdrive value.

(프로브 블록의 제2변형예) (2nd modification of probe block)

도 10 및 도 11은 프로브 블록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probe block.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브 블록(130")은 앞에서 설명한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100)의 프로브 블록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가이드 블록(132")과 프로브(150")들을 포함하여,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변형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10 and 11, the probe block 130 ″ includes a guide block 132 ″ and a probe 150 ″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probe block of the probe car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modification.

다만, 본 변형예에서 프로브(150")들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프로브(150,150')와 유사한 구조를 갖되, 제1탄성빔부(152)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3탄성빔부(158)와 제2탄성빔부(156)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4탄성빔부(159)를 갖으며, 가이드 블록(132")은 저면과 상면에 제3탄성빔부(158)와 제4탄성빔부(159)가 각각 위치되는 슬롯(136a)들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특히, 제4탄성빔부(159)의 제1접촉단(152b)이 위치되는 슬롯(136a)의 일부분은 충분한 깊이를 갖음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슬롯(136a) 안쪽으로 이동되는 제4탄성빔부(159)의 끝단부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3탄성빔부(158)와 제4탄성빔부(159)에는 각각 스프링 타입의 제1접촉단(152b')과 제2접촉단(158a')이 형성된다. 이처럼 스프링 타입의 제1,2접촉단(152b',158a')은 반도체 웨이퍼의 칩 패드(W1)와 전자기판(110)의 접속패드(114)와 접촉될 때 충분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제1,2접촉단(152b,158a')들의 높낮이에 대한 오차값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오버드라이브 값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10에는 제1,2접촉단(152b',158a')의 변형 상태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the probes 150 ″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ose of the probes 150 and 150 ′ shown in FIGS. 5 and 9, and are formed by bending the first elastic beam part 152 and the third elastic beam part 158. The fourth elastic beam portion 159 is formed by bending from the second elastic beam portion 156. The guide block 132 " has a third elastic beam portion 158 and a fourth elastic beam portion 159 on the bottom and top surfaces,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slots 136a located therein. Particularly, the portion of the slot 136a in which the first contact end 152b of the fourth elastic beam portion 159 is located has a sufficient depth, so that the fourth elastic beam portion 159 moved into the slot 136a by elastic force. ) Can fully accommodate the end. In addition, a spring type first contact end 152b 'and a second contact end 158a' are formed in the third elastic beam part 158 and the fourth elastic beam part 159, respectively. As such, the spring type first and second contact ends 152b 'and 158a' have sufficient elastic force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W1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connection pad 114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110. The overdrive value can be secured because it has an elastic force capable of sufficiently compensating an error value of the heights of the two contact ends 152b and 158a '. For reference, in FIG. 10, deformation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nds 152b ′ and 158a ′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도 11에서와 같이, 가이드 블록(132')은 양측의 장착부(131)의 슬롯(136a)들은 서로 교대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웨이퍼상의 각 칩(chip) 패드(pad)의 간격이 조밀한 경우, 프로브(150)들을 일렬로 배치하는 방식은 슬롯(136a)들의 간격을 조밀하게 가공하는데 한계가 있고 프로브(150)들간의 상호 절연에도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나, 도 11에서와 같이 가이드 블록(132")의 양측에 슬롯(136a)들이 서로 교대로 배열되어 형성되면, 슬롯(136a)에 장착되는 프로브(150") 의 제1접촉단(152b')들이 서로 엇갈려 위치된다. 따라서, 프로브 블록(130")의 프로브(150") 간격을 보다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어 파인피치(fine pitch)에 대응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1, the guide block 132 ′ may be formed by alternately arranging slots 136a of the mounting portions 131 on both sides. For example, when the spacing of each chip pad on the wafer is dense, the method of arranging the probes 150 in a line has a limitation in densely processing the spacing of the slots 136a and between the probes 150. Problems may also occur in the mutual insulation of the slots, but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lots 136a are alternate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lock 132 ", the probe 150" mounted in the slot 136a is formed. The first contact ends 152b 'of are alternately positioned. Therefore, the probe 150 "interval of the probe block 130" can be arranged more densely, and it can respond to fine pitch.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프로브 카드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take various forms in the probe card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o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프로브의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가이드 블록에 프로브들을 장착하는 조립성이 뛰어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robe's own elastic force, and thus, the assembly of the probes to the guide block is excellent.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프로브를 통한 신호 전달 효율을 증대시키게 되어 신호 전달 과정에서의 누설 전류를 최소화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의 칩 검사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through the probe, thereby minimizing leakage current in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chip inspec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가이드 블록에서 프로브의 분리 교체가 선택적으로 가능하여 교체 작업 등이 용이하다. In the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lacement of the probe in the guide block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and thus the replacement operation may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반복적인 테스트 진행에 따라 프로브의 변형 및 위치 이동이 발생하거나 불량이 발생하게 될 경우, 기존에는 프로브 카드 전체를 폐기(또는 교체)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해당 프로브 블록(또는 해당 프로브)만을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When the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and moved in accordance with repetitive testing, or when a defect occurs, the entire probe card must be discarded (or replac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block (or Maintenance is easy because only the relevant probe) needs to be removed and repaired or replaced.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반복적인 테스트 진행에 따른 물리적인 접촉 압력으로 인하여 프로브 블록의 평탄도가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가이드 블록을 고정하는 볼트들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해당 가이드 블록에 대한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latness of the probe block is inclined due to the physical contact pressure according to the repeated test progress,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adjust the flatness of the guide block by using the bolts for fixing the guide block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프로브 블록의 양측 슬롯에 각각 결합되는 프로브들의 제 1 접촉단이 엇갈려 위치되어 이웃하는 제 1 접촉단의 거리가 슬롯의 간격에 대하여 반으로 줄일 수 있어 파인피치에 대응이 가능하다.In the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ends of the probe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lots of the probe block are alternately positio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first contact ends can be reduced by half with respect to the interval between the slots so that it can cope with fine pitch. Do.

Claims (16)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에 사용되는 프로브 블록에 있어서:In the probe block used for the probe card of the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일측면에 홈을 갖는 그리고 상기 일측면에는 슬롯들이 형성된 장착부를 갖는 가이드 블록과;A guide block having a groove on one side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with slots on one side; 상기 가이드 블록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롯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제1탄성빔부와 제2탄성빔부를 갖는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블록.And a probe having a first elastic beam part and a second elastic beam part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and elastically fixed to the slo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로브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홈에 위치되는 연결빔부를 더 포함하고,The probe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beam portion located in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상기 제1탄성빔부와 상기 제2탄성빔부는 상기 연결빔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의 홈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블록.And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are bent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eam part and extended to be fixed to the groove of the guide block.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이드블록의 장착부는 상기 홈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슬롯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The mounting portion of the guide block further comprises a locking step form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lot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roove, respectively,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와 제2탄성빔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블록의 걸림턱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제1탄성빔부와 상기 제2탄성빔부에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블록.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hook formed on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such that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are fitted into the locking jaw of the guide block, respectively. block.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제1접촉단과 상기 웨이퍼의 칩패드로 제공될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기 위해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제2접촉단을 더 포함하되;A first contact end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of the wafer and a second contact end in contact with a connection pad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chip pad of the wafer; 상기 제1접촉단은 상기 제1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고,The first contact e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elastic beam part, 상기 제2접촉단은 상기 제2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블록. And the second contact e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접촉단과 상기 제2접촉단은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블록.And the first contact end and the second contact end are of a spring typ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이드 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되,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guide block, 상기 가이드 블록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부의 슬롯들에 결합되는 프로브들은 제1접촉단이 서로 엇갈려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블록.Probes coupled to the slots of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lock are probe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act end is staggered with each other.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에 있어서:In the probe card of the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일면에 접속패드들을 갖는 전자기판; An electromagnetic plate having connection pads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전자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소켓 프레임;A socket fram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상기 소켓 프레임에 결합되는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 홈이 형성된 장착부를 갖는 가이드 블록들; 및Guide blocks coupled to the socket frame and having mounting portions grooved in at least one side; And 상기 가이드 블록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고정되되, 상기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일단과,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타단을 갖는 프로브들을 포함하되;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guide block is elastically fixed, including a probe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d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of the wafer; 상기 프로브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장착부의 홈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제1탄성빔부와 제2탄성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And the probe has a first elastic beam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beam portion inserted into a groov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guide block and fixed elastically.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장착부에 상기 프로브의 제1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과, 상기 프로브의 제2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The guide block may include slots in which the first elastic beam part of the prob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slots in which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of the prob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block.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와 상기 제2탄성빔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The probe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beam unit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astic beam unit and the second elastic beam uni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제1접촉단과, 상기 제2탄성빔부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제2접촉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The probe may include a first contact end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contacting the chip pad of the wafer, and a second contact end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to contact the connection pad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Probe card of a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로브는 상기 제1탄성빔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탄성빔부와 상기 제2탄성빔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탄성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탄성빔부는 웨이퍼의 칩패드와 접촉되는 제1접촉단을 갖고, 상기 제4탄성빔부는 전자기판의 접속패드와 접촉되는 제2접촉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The probe further includes a third elastic beam part bent from the first elastic beam part and a fourth elastic beam part bent from the second elastic beam part, wherein the third elastic beam part is in contact with the chip pad of the wafer. And a fourth contact end having a first contact end, wherein the fourth elastic beam part has a second contact end in contact with a connection pad of an electromagnetic plat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저면에 상기 제3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제4탄성빔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The guide block is a probe card of the semiconductor insp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is formed with slots to be fixed to the third elastic beam portion is inserted, the fourth elastic beam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접촉단과 상기 제2접촉단은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프로브 블록.And the first contact end and the second contact end are made of a spring typ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소켓 프레임에 상기 가이드 블록을 고정 및 평탄도 조절을 위한 복수의 볼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And a plurality of bolts for fixing the guide block to the socket frame and adjusting the flatness.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자기판은 스페이스 트랜스포머(Space Transformer) 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 장치의 프로브 카드.The electromagnetic plate is a space transformer or a 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e card of the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KR1020050078819A 2005-08-26 2005-08-26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KR100673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819A KR100673286B1 (en) 2005-08-26 2005-08-26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819A KR100673286B1 (en) 2005-08-26 2005-08-26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286B1 true KR100673286B1 (en) 2007-01-24

Family

ID=3801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819A KR100673286B1 (en) 2005-08-26 2005-08-26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28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8948A (en) 1997-11-18 1999-06-02 Seiko Epson Corp Probe c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8948A (en) 1997-11-18 1999-06-02 Seiko Epson Corp Probe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2184B2 (en) Test contact system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with packages having an array of signal and power contacts
KR101674135B1 (en) Probe card
JP5232382B2 (en) Probe tip and probe card
US6252415B1 (en) Pin block structure for mounting contact pins
JP2008309787A (en) Probe assembly for probe card
KR20090013717A (en) Electrical signal connector
JP6362507B2 (en) Contact spring block, contact socket, method of replacing contact spring of contact spring block, and method of replacing contact spring of contact socket
KR100673286B1 (en)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CN108845166B (en) Probe card
KR100661298B1 (en)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porbe block using the probe card
KR100632484B1 (en) Probe card of vertically buffering type
KR200383930Y1 (en) probe card for wafer test
KR100906345B1 (en) Probe card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correction of probe block in the probe card
KR101203125B1 (en) Needle installation block for probe card
KR100670557B1 (en) Probe assembly
KR100669827B1 (en) Probe assembly
KR100291940B1 (en) Probe card for arranging hollow type probe tip to vertical direction
KR100720122B1 (en) Probe device of semiconductor wafer inspector
KR100480665B1 (en) Vertical Type Probe Device
KR100971732B1 (en) Method for bonding probe and method for repairing probe card having the same
KR20090079271A (en) Probe Card
KR20050029066A (en) Probe card
KR20090000861A (en) Probe card having pin insert type contact structure
KR101363368B1 (en) Examination apparatus of printed circuit board
KR100889146B1 (en) Probe car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