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891B1 -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891B1
KR100672891B1 KR1020040103015A KR20040103015A KR100672891B1 KR 100672891 B1 KR100672891 B1 KR 100672891B1 KR 1020040103015 A KR1020040103015 A KR 1020040103015A KR 20040103015 A KR20040103015 A KR 20040103015A KR 100672891 B1 KR100672891 B1 KR 10067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information
room
imag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874A (ko
Inventor
오가와가즈야
야마다겐
히라따도시유끼
하따야마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기기 정보는 그 기기로부터 표시 터미널로 전송된다. 표시 터미널은 수신된 기기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그 기기의 기기 아이콘 정보를 전송하도록 관리 서버에 요청한다. 관리 서버는 수신된 기기 정보에 따르는 아이콘 정보를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표시 터미널로 송신한다. 표시 터미널은 획득된 아이콘 정보로부터 기기 아이콘 화상을 생성하고, 하우스의 플로어 모형 화상에 그 기기 아이콘 화상을 중첩하여 표시한다. 사용자가 기기 아이콘을 표시 스크린상의 설치 위치로 이동시킬 때, 이동 목적지의 룸 번호와, 그 룸에서의 설치 위치가 검출된다. 검출된 위치 정보는 관리 서버로 송신되며, 그 기기와 관련되어 등록된다.
홈 네트워크, 표시 터미널, 관리 서버, 기기 아이콘 정보, 기기 아이콘 화상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NETWORK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모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의 구조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델 등록 DB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델별 아이콘 DB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 데이터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모형 데이터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룸 파트 DB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모형 화상의 표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터미널(200)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등록 프로세싱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터미널(200)의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델별 아이콘 DB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등록 프로세싱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의 구조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기 등록 DB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델별 아이콘 DB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모형 데이터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룸 구성 화상의 표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등록 프로세싱에 대한 흐름도의 수정을 보여주 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새로운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의 수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모드에 따른 위치 정보 등록 프로세싱의 수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모드에 따른 위치 정보 등록 프로세싱의 수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리 서버
200 : 표시 터미널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appliance)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 네트워크를 통해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이 제안되어 표준화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홈 서버와 같은 제어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이 제어기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대상 장치를 제어한다.
제어기와 가정용 기기간의 통신은, ECHONET, UPnP, 또는 SCP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전력을 각각의 가정용 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라인 등이 통신 네트워크로서 사용된다. 즉, 가정용 기기와 제어기는, 가정용 기기와 제어기의 소켓(socket)을 전력 공급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그러한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의 예로서, JP 2003-52093A호에서 기술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에서, 하우스(house)의 플로어(floor)의 모형 정보, 가정용 기기의 위치 정보 및 각 기기의 아이콘 정보는 제어기에 저장된다. 기기의 아이콘들은 모형 상에 중첩되어 표시되는데, 이로 인하여, 복잡한 기능 설정 및 기기 제어가 직관적인 작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될 때, 제어기가, 그 기기에 대한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보유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설치 위치를 제어기에 수동으로 입력하여 설정하면서 그 기기의 설치 위치를 실질적으로 확인한다. JP 2003-52093A호는 위치 정보에 대한 입력 방법을 기술하고 있지 않음을 주목하자. 이 경우, 위치 정보를 수동 입력하여 설정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작업이 다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기기가 연결될 때,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을 통해 위치 정보를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면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는, 건물내 룸 구성을 룸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룸 화상 표시 수단,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을 생성하여 룸 화상에 중첩하고 표시하는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 표시 스크린상의 기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기기 아이콘 이동 수단, 및 기기 아이콘의 이동 후 위치에 기초하여 기기의 상기 건물내 설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룸 화상 표시 수단은, 건물내 룸이 플로어 모형으로서 배열되는 플로어 모형 화상을 건물의 각 플로어에 대해 분할하고, 플로어 모형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아이콘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은, 예를 들어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대안적으로,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은,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에 액세스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고, 대응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서버에 요청한다.
더욱이, 위치 검출 수단은, 기기 아이콘이 이동하는 룸과, 룸에서의 기기 아 이콘의 위치를 검출하고, 룸의 식별 정보와, 룸에서의 기기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기기의 설치 위치 정보로서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면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능을 컴퓨터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의해 주어진 기능은, 건물내 룸 구성을 룸 화상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룸 화상 표시 프로세싱,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을 생성하여 룸 화상에 중첩 표시하기 위한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 표시 스크린상의 기기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기 아이콘 이동 프로세싱, 및 기기 아이콘의 이동 위치에 기초하여 기기의 건물내 설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룸 화상 표시 프로세싱은, 건물내 룸이 플로어 모형으로서 배열되는 플로어 모형 화상을 건물의 각 플로어에 대해 분할하고, 플로어 모형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아이콘 화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포함된다.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은,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에 액세스하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대응하는 기기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치 검출 프로세싱은, 기기 아이콘이 이동하는 룸과, 룸에서의 기기 아이콘의 위치를 검출하고, 룸의 식별 정보와, 룸에서의 기기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기기의 설치 위치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모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실시예 모드는 본 발명의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 모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준다.
실시예 모드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와 표시 터미널(200)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100)와 표시 터미널(200)은, ECHONET, UPnP, 또는 SCP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구비하며, 전력 공급 라인과 같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에어컨 및 DVD와 같은 기기와 연결가능하다.
관리 서버(100)는 제어 지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한다. 표시 터미널(200)은 각 플로어의 모형과, 룸에서의 기기의 설치 상태를 표시한다. 새로운 기기가 연결될 때, 표시 터미널(200)은 그 기기의 위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표시 스크린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
도 2 및 6은 관리 서버(100) 및 표시 터미널(200)의 구조의 예를 보여준다.
관리 서버(100) 및 표시 터미널(200)은, 하드웨어 관점에서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다른 LSI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더욱이, 관리 서버(100) 및 표시 터미널(200)은,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메모리에 로드된 기록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2 및 6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관리 서버(100) 및 표시 터미널(200)의 기능 블록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소프트웨어만,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음을 언급할 필요는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통신 제어 유닛(101), 제어 유닛(102), 사용자 인증 유닛(103), 입/출력 유닛(104), 모델 데이터 등록 유닛(105), 모델 등록 데이터베이스(DB)(106), 플로어 모형 데이터 등록 유닛(107), 룸 파트 데이터베이스(DB)(108),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09), 아이콘 선택 유닛(110), 모델별 아이콘 데이터베이스(DB)(111) 및 데이터 버스(112)를 포함한다.
통신 제어 유닛(101)은 홈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102)은 프로그램에 따라 각 유닛을 제어한다. 사용자 인증 유닛(103)은, 그 내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입/출력 유닛(104)은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고 외부에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새로이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가 통신 제어 유닛(101)을 통해 공급될 때, 모델 데이터 등록 유닛(105)은 그 정보를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한다. 모델 등록 DB(106)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될 정보의 구성은 후술될 것이다.
플로어 모형 데이터 등록 유닛(107)은,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09)이 사용자의 플로어 모형 데이터와 하우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한다. 더욱이, 통신 제어 유닛(101)을 통해 표시 터미널(200)로부터의 요청이 수신될 때, 플로어 모형 데이터 등록 유닛(107)은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09)으로부터 플로어 모형 데이터와 하우스 데이터를 판독하고, 룸 파트 DB(108)로부터 필요한 룸 파트 데이터를 판독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통신 제어 유닛(101)을 통해 표시 터미널(200)로 전송한다.
룸 파트 DB(108)는 룸에 관한 파트 정보 그룹을 저장한다. 파트 정보 그룹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09)은 사용자의 플로어 모형 데이터와 하우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로어 모형 데이터와 하우스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새로이 연결된 기기에 관한 아이콘 정보의 공급에 대한 요청이, 통신 제어 유닛(101)을 통해 표시 터미널(200)로부터 수신될 때, 아이콘 선택 유닛(110)은 모델별 아이콘 DB(111)로부터 대응 아이콘 정보를 선택하여, 통신 제어 유닛(101)을 통해 표시 터미널(20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이콘 선택 유닛(110)은, 표시 터미널(200)로부터 수신된 새로이 연결된 기기의 제조업체명, 모델 및 분류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고, 모델별 아이콘 DB(111)로부터 그 정보에 따르는 아이콘 정보를 추출하여 그 아이콘 정보를 통신 제어 유닛(101)으로 전송한다.
모델별 아이콘 DB(111)는 각 기기에 대해 구분된 아이콘 정보 그룹을 저장한다. 아이콘 정보 그룹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도 3a는 모델 등록 DB(106)에 저장된 정보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기에 대해 구분된 제조업체명, 모델, 분류, 룸 번호 및 위치 정보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로서 모델 등록 DB(106)에 저장된다. 위치 정보는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그 기기가 설치되는 룸의 참조 지점으로부터의 위치 (X1,Y1,Z1)로서 정의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새로이 연결된 기기가 룸 번호 003에 설치될 때, 그 룸의 참조 지점(도면에서, 그 룸의 위쪽 좌측 코너에 있는 검정색 원)로부터의 우측 방향(X1)에서의 위치와 아래쪽 방향(Y1)에서의 위치, 및 그 룸의 천장으로부터의 아래쪽 방향(Z1)에서의 위치가 위치 정보로서 저장된다.
위치 (X1,Y1,Z1)은, 룸의 수평 방향(X1 방향), 수직 방향(Y1 방향) 및 높이 방향(Z1 방향)에서의 디멘션에 대해 참조 지점으로부터 기기 설치 위치까지의 수평 방향(X1 방향), 수직 방향(Y1 방향) 및 높이 방향(Z1 방향)에서의 디멘션(dimension)의 비율에 의해 표현됨을 주목하자.
도 3b는 모델별 아이콘 DB(111)에 저장된 정보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업체명, 모델, 분류, 아이콘 화상 정보의 데이터명 및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콘텐츠)를 포함하는 테이블 정보가, 모델별 아이콘 DB(111)에 아이콘 정보로서 저장된다. 관리 서버(100)가 각 제조업체의 서버에 접속하여 아이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함으로써, 아이콘 정보가 업데이트됨을 주목하자. 대안적으로,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그 새로운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정보가 모델별 아이콘 DB(11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 서버(100)가 제조업체 측의 서버에 그 아이콘 정보에 대해 문의하여, 그 아이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아이콘 정보가 업데이트된다.
대응 아이콘 정보가 모델별 아이콘 DB(11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아이콘 선택 유닛(110)은 기기에 가장 근접한 아이콘 정보를 선택하여 그 아이콘 정보를 표시 터미널(200)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의 제조업체명, 모델 및 분류 중 모델만이 모델별 아이콘 DB(111)내 아이콘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때, 아이콘 선택 유닛(110)은, 제조업체명과 분류가 일치하는 아이콘 정보를 선택해야만 한다. 제조업체명과 모델이 아이콘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때, 아이콘 선택 유닛(110)은, 분류가 일치하는 정보 중에서 적절한 아이콘 정보(예를 들어, 상위 순위를 갖는 아이콘 정보)를 선택해야만 한다.
도 4a 및 4b는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09)에 저장된 정보(하우스 데이터 및 플로어 모형 데이터)의 구성을 보여준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하우스 데이터는 각 플로어의 깊이, 폭 및 높이(단위:미터)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영역이 각 플로어에 대해 설정되면, 깊이와 폭의 디멘션은, 이 직사각형 영역의 수직 디멘션과 수평 디멘션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빌딩(하우스)의 제1 플로어에 관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플로어의 외부 둘레를 정의하는 직사각형 영역(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함)이 설정되고, 이 직사각형 영역의 수평 방향(X0 방향) 디멘션과 수직 방향(Y0 방향) 디멘션이 하우스 데이터의 깊이와 폭으로서 각각 채택된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플로어 모형 데이터는, 룸 번호, 룸 파트 번호, 하우스의 어떤 플로어가 플로어 모형과 관련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이 플로어의 어떤 위치에 룸이 배열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룸 배열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룸 파트 번호는, 어떤 파트가, 룸 파트 DB(108)에 저장된 룸 파트 그룹(후술됨) 중의 룸을 구성하는지를 지정한다. 즉, 각각의 룸은 룸 파트 번호에 의해 지정된 형태와 영역을 구비한다.
더욱이, 룸 배열 정보는, 각각의 룸이, 하우스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각 플로어의 직사각형 영역의 어떤 위치에 배치되는지를 지정한다. 위치 (X0,Y0)은, 직사각형 영역의 수평 디멘션 및 수직 디멘션에 대해 참조 지점으로부터 그 룸의 위치까지의 수평 디멘션 및 수직 디멘션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참조 지점이 직사각형 영역의 위쪽 좌측 코너(검정색 원)에 설정된 경우, 룸의 참조 지점은, 이 참조 지점으로부터의 수평 방향 비율이 X0이고, 수직 방향 비율이 Y0인 위치에 위치된다.
도 4c는 룸 파트 DB(108)에 저장된 정보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룸 파트 번호, 룸 파트 번호에 의해 정의된 룸 파트 정보의 데이터명 및 각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룸 파트 정보의 콘텐츠(화상 정보, 경계 정보 등)로 구성되는 테이블 정보가 룸 파트 DB(108)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표시 터미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터미널(200)은, 통신 제어 유닛(201), 제어 유닛 (202), 스크린 표시 유닛(203), 스크린 조작 유닛(204), 기기 등록 제어 유닛(205), 아이콘 위치 획득 유닛(206), 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 및 데이터 버스(208)를 포함한다.
통신 제어 유닛(201)은 홈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202)은 프로그램에 따라 각 유닛을 제어한다. 스크린 표시 유닛(203)은, 모니터와 같은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에 의해 생성된 화상을 표시한다. 스크린 조작 유닛(204)은, 마우스와 같은 조작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스크린 표시 유닛(203)에 표시된 스크린을 조작하면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기기 등록 제어 유닛(205)은,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아이콘 위치 획득 유닛(206)은, 스크린 표시 유닛(203)에 표시되고, 스크린 조작 유닛(204)에 의해 이동되는 기기 아이콘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를 기기의 설치 위치로서 획득한다. 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은, 통신 제어 유닛(201)을 통해 관리 서버(100)로부터 획득된 플로어 모형 데이터 등에 기초한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그 화상 정보를 스크린 표시 유닛(203)에 제공한다.
도 7은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시점에서의 기기 등록 프로세싱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표신 터미널(200)에 입력하면, 표시 터미널(200)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201).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인증하고(사용자 인증 유닛(103)), 그 사용자가 조작 권한을 갖는지를 판단한다(S101). 그 다음, 관리 서버(100)는 인증 결과를 표시 터미널(200)에 전송한다(S102).
표시 터미널(200)은 수신된 인증 결과(사용자가 조작 권한을 갖는지를 나타냄)를 스크린 표시 유닛(203)에 표시한다(S202). 이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조작 권한이 없다면, 그 프로세싱은, 인증 결과가 표시될 때 중지된다. 사용자에게 조작 권한이 있다면, 표시 터미널(200)의 기기 등록 제어 유닛(205)은, 플로어 모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통신 제어 유닛(201)을 통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203).
이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100)는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09)으로부터 플로어 모형 데이터와 하우스 데이터를 판독하고, 룸 파트 DB(108)(플로어 모형 데이터 등록 유닛(107))로부터 필요한 룸 파트 데이터를 판독하며, 플로어 모형 데이터, 하우스 데이터 및 룸 파트 데이터를 표시 터미널(200)로 전송한다(S103,S104).
표시 터미널(200)은 수신된 플로어 모형 데이터, 하우스 데이터 및 룸 파트 데이터로부터 플로어 모형 화상을 생성하고(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플로어 모형 화상을 스크린 표시 유닛(203)의 모니터에 표시한다(S204). 도 5는 제1 플로어의 플로어 모형 화상을 보여줌을 주목하자. 사용자가 "2F"를 클릭할 때, 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은 제2 플로어의 플로어 모형 화상을 생성하여 그 모형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그 후에, 표시 터미널(200)의 기기 등록 제어 유닛(205)은,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S205).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기 등록 제어 유닛(205)은, 기기 등록 제어 유닛(205)이, 제조업체 코드, 모델 코드, 분류 코드 및 홈 네트워크를 통해 그 홈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새롭게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새로운 기기가 연결된다고 판단되면(예: S205), 기기 등록 제어 유닛(205)은, 수신된 제조업체 코드, 모델 코드, 분류 코드 및 아이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통신 제어 유닛(201)을 통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206).
이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제조업체 코드, 모델 코드 및 분류 코드를, 모델 데이터 등록 유닛(105)을 통해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한다(S105). 그 다음,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제조업체 코드, 모델 코드 및 분류 코드에 따르는 아이콘 정보의 아이콘 화상 정보를 모델별 아이콘 DB(111)로부터 추출하여(아이콘 선택 유닛(110)) 그 아이콘 화상 정보를 표시 터미널(200)로 전송한다(S106).
표시 터미널(200)은 수신된 아이콘 화상 정보에 기초한 아이콘 화상을 생성하고(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 그 아이콘 화상을 모니터상의 플로어 모형 화상의 근접한 위치에 중첩하여 표시한다(S207). 사용자는 그러한 표시를 봄으로써 새로이 연결된 기기의 유형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표시된 아이콘 화상을 적절한 방식으로 드래그(drag)하여 새로운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208). 그러한 설치 프로세싱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새로운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이 종료될 때, 표시 터미널(200)의 아이콘 위치 획득 유닛(206)은, 새로운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즉 룸 번호와, 아이콘 위치에 기초한 룸에서의 설치 위치(위치 정보: X1,Y1,Z1)를 획득한다. 그 다음, 아이콘 위치 획득 유닛(206)은 획득된 룸 번호와 위치 정보 (X1,Y1,Z1)을, 통신 제어 유닛(201)을 통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209).
이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100)는 기기의 위치 정보(룸 번호와 위치 정보)를 S105에서 등록된 기기 정보에 연관하여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한다(S107). 그 결과로서, 새로이 연결된 기기에 관련한 모델 등록 프로세싱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S208에서 새로이 연결된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을 설명한다.
도 8은 제1 플로어 모형 화상이 S204에서 표시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그 상태에서, 새로이 연결된 기기가 검출될 때, 그 기기의 기기 아이콘은 도면의 "새로이 연결된 기기 영역"에 표시된다. 도 9는 이 시점에서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타이틀 "새로운 기기가 연결됨"과 확인 버튼이, 기기 아이콘 외에 또 스크린에 중첩하여 표시된다.
도 9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크린 조작 유닛(204)을 조작하여 기기 아이콘을 임의의 스크린 위치로 이동(드래그)시킨 후에 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그 다음, 기기 아이콘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클릭할 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의 높이 방향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스크롤 바(scroll bar)가 스크린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그러한 스크롤 바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플로어 표면으로부터의 기기의 높이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는 ▼를 적절하게 클릭함으로써 스크롤 바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을 주목하자.
높이 방향 위치를 설정한 후,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클릭할 때, 먼저 아이콘 위치 획득 유닛(206)은, 각 룸의 경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가 어떤 룸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 다음, 아이콘 위치 획득 유닛(206)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룸에서의 위치 정보 (X1,Y1,Z1) 중 X1과 Y1을 획득하고, 스크롤 바의 위치에 기초하여 Z1을 획득한다. 아이콘 위치 획득 유닛(206)은, 룸 번호와, 상술한 방식으로 획득된 룸에서의 위치 정보 (X1,Y1,Z1)을 도 7의 S209에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그 다음, 관리 서버(100)는 룸 번호와 위치 정보 (X1,Y1,Z1)을 관리 서버(100)의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의 아이콘을 이동(드래그)시키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으로, 새로이 연결된 기기의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잡한 등록 작업을 피하고, 기기 등록 시 운영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아이콘 정보는 관리 서버(100) 측에서 보유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아이콘 정보는 표시 터미널(200)에서 보유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100)에 있어서, 아이콘 선택 유닛(110)과 모델별 아이콘 DB는 도 2에 도시한 구조에서 제거된다. 더욱이, 표시 터미널(200)에 있어서, 아이콘 표시를 위해 필요한 구조가 도 6에 도시한 구조에 추가된다.
도 11은 이 실시예에서의 표시 터미널(200)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 터미널(200)에서는, 도 6에 도시한 구조에 비하여 아이콘 선택 유닛(210)과 모델별 아이콘 DB(211)가 추가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의 분류, 아이콘 화상 정보의 데이터명 및 각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 그룹(콘텐츠)으로 구성되는 테이블 정보가 모델별 아이콘 DB(211)에 저장된다.
삭제
아이콘 선택 유닛(210)은, 새로이 연결된 기기로부터 획득된 제조업체 코드, 모델 코드 및 분류 코드 중 분류 코드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모델별 아이콘 DB(211)로부터 추출하여 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으로 송신한다. 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은 수신된 아이콘 화상 정보로부터 기기 아이콘을 생성하고, 그 기기 아이콘을 스크린 표시 유닛(203)의 플로어 모형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그 후에, 새로운 기기에 대한 설치 프로세싱(S208)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수행되어, 새로이 연결된 기기의 위치 정보가 획득된다.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시점에서의 기기 등록 프로세싱은, 도 7에서 도 13으로 변경됨을 주목하자. 즉, 도 7의 S206 →S105 →S106 →S207 프로세싱은, 도 13의 프로세싱 흐름도에서 S211 →S212로 변경된다. 요약하자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아이콘 정보를 수신하는 대신, 스크린 정보 생성 유닛(207)은, 새로이 연결된 기기로부터 획득된 분류 코드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모델별 아이콘 DB(211)로부터 추출하고(S211), 그 아이콘 화상 정보로부터 기기 아이콘을 생성하여 그 기기 아이콘을 플로어 모형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한다(S212).
이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콘 정보가 표시 터미널(200) 측에서 추출되기 때문에, 아이콘 정보를 전송하라고 관리 서버(100)에 요청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비교해서 설치 위치 등록 시점에서의 프로세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모델별 아이콘 DB(211)에 저장된 데이터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 제조업체와 모델에 근접하게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연결된 기기의 확인 시점에서의 객관성은 제1 실시예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기기의 설치 위치는, 룸과, 그 룸에서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위치 정보: X1,Y1,Z1). 그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의 설치 위치는 룸에 의해서만 설정된다.
도 14는 이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00)의 구조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된 데이터의 콘텐츠가 변경된다. 더욱이, 룸 파트 DB(108)가 제거되고,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다른 플로어 모형 데이터가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21)에 저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15a에 도시한 룸 번호만이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된다. 더욱이,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룸 번호, 룸 이름 및 플로어가 플로어 모형 데이터 저장 유닛(121)에 저장된다. 새로이 연결된 기기의 등록 시,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플로어의 플로어 모형을 구성하는 룸들만이 표시되고, 각 룸의 형태, 배열 등은 표시되지 않는다.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아이콘 화상 정보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획득되고, 대응하는 기기 아이콘은 새로이 연결된 기기 영역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기기 아이콘을 대응하는 룸으로 이동(드래그)시킬 때, 이동 목적지 룸의 룸 번호가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획득된다. 그 다음, 이 룸 번호는 표시 터미널(200)로부터 관리 서버(100)에 위치 정보로서 전송되어, 관리 서버(100)내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룸 번호만이 기기의 설치 위치 정보로서 등록되기 때문에, 각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콘텐츠 및 표시 프로세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위치 정보가 룸 번호 뿐이므로, 룸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세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없다는 불편함이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제1, 제2 및 제3 실시예)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 바를 스크린에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기기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높이 방향은 다른 방법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룸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고, 기기의 아이콘을 이 표시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높이 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룸 파트 데이터를 3차원 화상 정보로 변경하여, 3차원 표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콘 정보는 관리 서버(100) 또는 표시 터미널(200)에 의해 보유된다. 그러나, 아이콘 정보는 기기 자체에 의해 보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서의 아이콘 선택 유닛(110)과 모델별 아이콘 DB(111)는 제거될 수 있다. 새로운 기기를 연결함에 있어서, 그 기기로부터의 아이콘 정보를 획득하여 그 아이콘 정보를 스크린에 표시하기에 충분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7: S205)은 표시 터미널(200) 측에서 수행되고, 새로운 기기가 연결된다고 판단될 때, 새로이 연결된 기기의 기기 정보와 함께 첨부되는 아이콘 정보를 전송하라는 요청이, 표시 터미널(200)에서 관리 서버(100)로 전송된다(도 7: S206).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프로세싱은 관리 서버(100) 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지를 판단하고(S110),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다고 판단될 때, 그 기기의 기기 정보를 모델 등록 DB(106)에 등록하며(S105), 그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정보를 모델별 아이콘 DB(111)로부터 추출하여 표시 터미널(200)로 전송한다(S106). 그 결과로서, 아이콘을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표시 터미널(200)에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필요가 없고, 프로세싱의 간소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 (X1,Y1,Z1)은 표시 터미널(200) 측에서 얻어진다. 그러나, 아이콘 설치 위치의 좌표 데이터와, 스크롤 바의 위치 데이터가 표시 터미널(200) 측에서 획득되어 관리 서버(100)로 전송되며, 위치 정보를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100) 측에서 얻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콘이 플로어 모형 화상에 표시될 때, 아이콘을 각 룸의 경계선에 배치하지 않도록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주목하자. 예를 들어, 룸 A에서 그 다음 룸 B로 아이콘을 드래그함에 있어서, 아이콘의 참조 지점(위치를 얻기 위한 참조 지점)이 룸 A에 있을 때, 아이콘은 룸 A 측의 벽 근처에 존재하도록 표시되고, 아이콘의 참조 지점이 룸 B로 이동할 때, 아이콘은 룸 B 측의 벽 근처에 존재하며 룸 B에 완전하게 포함되도록 표시된다.
기기가 벽 근처에 설치될 때, 적절한 방식으로 아이콘을 회전시켜 표시하여, 기기의 후면이 벽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방향 정보가 아이콘 정보에 추가되고, 룸 파트의 방향 정보와 경계 정보를 비교하고, 아이콘의 방향이 벽에 수직하도록 표시를 조절한다. 그 결과로서, 아이콘의 이동과, 기기의 설치를 보다 원활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는, 어떤 룸에 기기가 설치되는지 또는 어떤 룸의 어떤 위치에 기기가 설치되는지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설치된 상태에서의 기기의 방향이 위치 정보에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의 방향이 상술한 바와 같이 벽에 수직이 되도록 표시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 그러한 방향 정보만이 표시 제어 시에 아이콘의 회전으로부터 검출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지시(▼가 드래그되고 드롭되어 방향을 설정함)가 스크린에 중첩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방식으로 기기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기기의 방향이 수평으로 설정됨을 주목하자. 그러나, 수직 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한 유사한 지시가 별도로 중첩되어 표시되면, 수직 방향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기기에 대한 위치 설정 프로세싱이 도 7의 프로세싱 흐름도에서 설명되지만, 시스템의 프로세싱 흐름도로서 도 19에 도시된 흐름을 채택하는 것이 보다 실용적임을 주목하자. 도 19에 도시한 각 프로세싱 단계(S101,S102,...,S107 및 S201,S202,...,S209)에서는, 도 7에서 도시한 프로세싱 흐름도의 각 프로세싱 단계(S101,S102,...,S107 및 S201,S202,...,S209)처럼 동일한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도 19의 프로세싱 흐름도에 있어서, 새로운 기기에 대한 위치 설정 프로세싱이 종료될 때, 그 프로세싱은 S205로 리턴되고,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 그 다음, 기기가 새로이 연결될 때까지 새로운 기기에 대한 플로어 모형 표시와 연결 판단(S204,S205)이 계속된다. 기기가 새로이 연결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예:S205), S206에서의 위치 정보 설정 프로세싱과 후속 단계들이 실행된다.
유사하게, 실시예 모드의 도 13에 도시한 프로세싱 흐름도를 도 20에 도시한 흐름도로 변경하는 것이 보다 실용적이다. 도 13에 도시한 프로세싱 흐름도의 각 프로세싱 단계(S101, S102, S103, S104, S107 및 S201, S202, ..., S205, S211, S212, S208, S209)처럼 동일한 프로세싱이, 도 20에 도시한 각 프로세싱 단계(S101, S102, S103, S104, S107 및 S201, S202, ..., S205, S211, S212, S208, S209)에서 수행된다. 즉, 도 20의 프로세싱 흐름도에 있어서, 새로운 기기에 대한 위치 설정 프로세싱이 종료될 때, 그 프로세싱은 S205로 리턴되고,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 그 다음, 기기가 새로이 연결될 때까지 새로운 기기에 대한 플로어 모형 표시와 연결 판단(S204,S205)이 계속된다. 기기가 새로이 연결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예:S205), S206에서의 위치 정보 설정 프로세싱과 후속 단계들이 실행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100)와 표시 터미널(200)은 별도로 제공된다. 그러나, 표시 터미널(200)의 기능이 관리 서버(100)에 주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100)는 하우스에 설치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관리 서버(100)는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어,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하우스 내부의 표시 터미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100)는, 각각의 사용자(각각의 하우스)에 대한 모델 등록 데이터, 하우스 데이터 및 플로어 모형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 측 표시 터미널에서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 터미널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지적된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물들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기기가 연결될 때,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을 통해 위치 정보를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을 제공한다.

Claims (12)

  1.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건물내 룸 구성을 룸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룸 화상 표시 수단,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룸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
    표시 스크린상의 상기 기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기기 아이콘 이동 수단, 및
    상기 기기 아이콘의 이동 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의 상기 건물내 설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룸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건물내 룸이 플로어 모형으로서 배열되는 플로어 모형 화상을 상기 건물의 각 플로어에 대해 분할하고, 상기 플로어 모형 화상을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은,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기기로부터 얻은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상기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수단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기기로부터 얻은 상기 기기 정보를,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에 제공하고,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서버에 요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기기 아이콘이 이동하는 룸과, 상기 룸에서의 상기 기기 아이콘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룸의 식별 정보와, 상기 룸에서의 상기 기기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상기 기기의 설치 위치 정보로서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7.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기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능을 컴퓨터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으로서,
    건물내 룸 구성을 룸 화상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룸 화상 표시 프로세싱,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룸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
    표시 스크린상의 상기 기기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기 아이콘 이동 프로세싱, 및
    상기 기기 아이콘의 이동 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의 상기 건물내 설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프로세싱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룸 화상 표시 프로세싱은, 상기 건물내 룸이 플로어 모형으로서 배열되는 플로어 모형 화상을 상기 건물의 각 플로어에 대해 분할하고, 상기 플로어 모형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가 더 제공되고,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기기로부터 얻은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상기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아이콘 표시 프로세싱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기기로부터 얻은 상기 기기 정보를, 사전설정된 기기 섹션과 관련된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기기 아이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에 제공하고, 대응하는 아이콘 화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서버에 요청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프로세싱은, 상기 기기 아이콘이 이동하는 룸과, 상기 룸에서의 상기 기기 아이콘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룸의 식별 정보와, 상기 룸에서의 상기 기기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상기 기기의 설치 위치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040103015A 2003-12-10 2004-12-08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672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2624 2003-12-10
JPJP-P-2003-00412624 2003-12-10
JP2004307723A JP2005198252A (ja) 2003-12-10 2004-10-22 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4-00307723 2004-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74A KR20050056874A (ko) 2005-06-16
KR100672891B1 true KR100672891B1 (ko) 2007-01-24

Family

ID=3479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015A KR100672891B1 (ko) 2003-12-10 2004-12-08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98252A (ko)
KR (1) KR100672891B1 (ko)
CN (1) CN13193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137A (ja) * 2005-03-11 2006-09-21 Nec Corp ユーザ端末管理装置とユーザ端末管理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端末管理システム
KR100841953B1 (ko) * 2006-12-19 2008-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기기에 대한 원격제어 아이디설정방법
JP2008152684A (ja) * 2006-12-20 2008-07-03 Seiko Epson Corp ネットワーク装置
KR100912367B1 (ko) * 2007-09-19 2009-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의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753386B (zh) * 2008-12-03 2012-09-19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住宅小区报警和家电设备的联网设置方法及其系统
JP5299440B2 (ja) * 2011-01-13 2013-09-25 横河電機株式会社 経路設定装置、経路設定方法、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5897261B2 (ja) * 2011-02-28 2016-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プロセッサ、操作画面の表示方法、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WO2012123989A1 (ja) 2011-03-16 2012-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の管理装置
JP5441967B2 (ja) * 2011-08-23 2014-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端末、通信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05688B2 (ja) * 2011-09-01 2015-04-22 京セラ株式会社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照明制御方法
JP6016413B2 (ja) * 2012-04-02 2016-10-2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設定画面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
KR102046928B1 (ko) * 2013-01-07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4150420A (ja) * 2013-02-01 2014-08-21 Pioneer Electronic Corp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169661B (zh) 2013-02-20 2017-07-2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便携信息终端、便携信息终端的控制方法和记录介质
US9800428B2 (en) 2013-02-20 2017-10-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925904B2 (ja) * 2013-02-20 2016-05-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793482A4 (en) * 2013-02-20 2014-11-05 Panasonic Ip Corp America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CN104350335B (zh) * 2013-02-20 2017-10-2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便携信息终端、便携信息终端的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JP5925906B2 (ja) * 2013-02-20 2016-05-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28768A1 (ja) * 2013-02-20 2014-08-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28769A1 (ja) * 2013-02-20 2014-08-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755852B (zh) 2013-02-20 2017-09-0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便携信息终端及其控制方法
WO2014128776A1 (ja) 2013-02-20 2014-08-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126313B (zh) * 2013-02-20 2018-12-0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终端的控制方法和装置
JP5529358B1 (ja) * 2013-02-20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G11201404650XA (en) 2013-02-20 2014-11-27 Panasonic Ip Corp America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JP5922050B2 (ja) * 2013-03-07 2016-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向け分散型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CN110262719B (zh) * 2013-03-29 2023-03-2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记录介质、控制方法、信息提供方法以及信息终端
JP5538592B1 (ja) 2013-05-17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74238B1 (ja) * 2013-06-05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イアウト生成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レイアウト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08408A1 (ja) * 2013-07-19 2015-01-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46018B1 (ja) 2013-08-07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設置場所策定支援方法、端末装置、設置場所策定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5050752A (ja) * 2013-09-04 2015-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における登録支援システム
CN104516275A (zh) * 2013-09-26 2015-04-15 上海澜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生成电器控件的方法
CN105723732B (zh) * 2013-11-14 2019-06-14 三菱电机株式会社 终端装置、控制装置、辅助系统以及方法
JP5663711B1 (ja) * 2014-01-29 2015-02-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59031B2 (ja) * 2014-02-04 2015-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イアウト生成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レイアウト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67225A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56909B2 (ja) * 2015-04-23 2018-07-11 株式会社東芝 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の管理方法、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JP6067081B2 (ja) * 2015-09-30 2017-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設置場所策定支援方法、端末装置、設置場所策定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9284857B (zh) * 2018-08-03 2020-11-0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基于配电房平面布置的配电房规划方法及相关设备
JP6515415B1 (ja) * 2018-11-12 2019-05-22 齋藤 昌勝 物品管理装置、及び、物品管理プログラム
CN110147044A (zh) * 2019-04-12 2019-08-20 施德朗(广州)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电子导航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CN110887485A (zh) * 2019-10-16 2020-03-17 武汉卓目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中的设备定位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5888A (en) * 1995-02-17 1996-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selectability of icons
CN1103075C (zh) * 1997-02-21 2003-03-12 致伸实业股份有限公司 用于视窗界面之视窗框或程序图标的标定方法
JP2000221897A (ja) * 1999-02-01 2000-08-11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US6477493B1 (en) * 1999-07-15 2002-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ff site voice enrollment on a transcription device for speech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74A (ko) 2005-06-16
JP2005198252A (ja) 2005-07-21
CN1319341C (zh) 2007-05-30
CN1627721A (zh)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891B1 (ko)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050131991A1 (en) Network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KR102071575B1 (ko) 이동로봇, 사용자단말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1759038B1 (ko) 기기 제어 시스템, 컨트롤러, 원격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9398413B1 (en) Mapping electronic devices within an area
CN108141393A (zh) 包括设备签名配对的家庭自动化系统和相关方法
JP2003052093A (ja) 機器の遠隔制御装置および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30110907A (ko)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5734422B2 (ja) 設備制御装置、操作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19953B2 (ja) 表示装置
JP6572390B2 (ja) 管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230352A1 (ja) 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JP4778934B2 (ja) 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1297044A (ja) デジタル情報機器ネットワーク装置
JP2009198059A (ja)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KR100575447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JP2009134469A (ja)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6919173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TWI706656B (zh) 視覺化家電控制系統及方法
JP4894781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2009134390A (ja) 構造物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5630398B2 (ja) 住宅情報提供システム、住宅情報提供方法、及び、住宅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7054830B2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EP1975751A1 (en) Data transfer of data for analysis and evaluation
CN108037743B (zh) 场景共享方法、场景构建方法、ue设备和家居智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